KR10150706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60B1
KR101507060B1 KR20090000711A KR20090000711A KR101507060B1 KR 101507060 B1 KR101507060 B1 KR 101507060B1 KR 20090000711 A KR20090000711 A KR 20090000711A KR 20090000711 A KR20090000711 A KR 20090000711A KR 101507060 B1 KR101507060 B1 KR 10150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ocking member
plate
guide member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462A (ko
Inventor
김태한
조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60B1/ko
Priority to US12/647,227 priority patent/US8657511B2/en
Publication of KR2010008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7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사이즈에 따라 용지적재판의 적재위치가 가변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지카세트와,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 급지카세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사이즈에 따라 상기 용지적재판의 구속위치를 가변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적재판에 적재되는 용지의 적재용량이 가변되도록 급지카세트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란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 예를 들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 잉크젯방식 등 다양한 화상형성방식에 의해 토너 또는 잉크를 용지에 고착시킴으로써 가시적인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는 장치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과, 화상형성방식에 따라 토너 또는 잉크를 급지되는 용지에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과, 인쇄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급지유닛은 급지카세트라고도 하는데, 급지될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판과, 용지적재판을 픽업롤러 쪽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를 구비한다.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에 의해 한장 씩 픽업되어 인쇄유닛 쪽으로 이송된다.
리프팅장치는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에 의해 감소한 만큼 용지적재판을 상승시켜 용지적재판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에 의해 지속적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리프팅장치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용지적재판이 업/다운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지적재판이 업/다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용지사이즈에 따라 용지적재판의 위치가 가변되어 용지적재판에 적재되는 용지의 적재용량이 가변되는 급지카세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상기 급지카세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사이즈에 따라 상기 용지적재판의 구속위치를 가변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상기 용지적재판에 적재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용지사이즈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을 구속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복수의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적재판은 용지사이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록킹부 중 어느 하나에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록킹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구속부와 제2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제1구속부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속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카세트본체에 탄성 지지되되,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용지적재판을 제1구속위치에서 구속하도록 상기 록킹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상기 록킹부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용지가이드부재와 간섭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가이드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용지적재판을 제2구속위치에서 구속하도록 상기 작동리브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리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지적재판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적재위치를 결정하는 용량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용지 사이즈에 따라서 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다른 위치에서 제한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적재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용지의 적재용량이 최적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용지가 최적의 급지조건에서 급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정 적재용량 대비 초가 적재용량에 의한 중송 및 잼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소음 및 마모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와,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10)와,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20)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부(30) 및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부(40)를 구비한다.
급지부(10)는 인쇄매체인 용지(P)가 보관되는 급지카세트(11)와, 급지카세트(11)에 보관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부(2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카세트(11)는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1)의 전면 하단부에는 급지카세트(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현상부(20)는 레이저스캐닝유닛(21)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2)과, 감광드럼(22)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23)와, 감광드럼(22)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24) 및 감광드럼(22)의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감광드럼(22)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부(30)는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31)을 가지는 가열롤러(32)와, 가열롤러(3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32)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33)와, 가압롤러(33)가 가열롤러(32)에 밀착되도 록 가압롤러(33)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가압수단(34)을 가진다.
한편 배지부(40)는 정착부(30)를 통과한 용지를 본체(1)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배지롤러들(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와 이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서 잘라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 선을 따라서 잘라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10)에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판(14)과, 용지적재판(14)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가 장착된다. 용지적재판(14)은 급지카세트(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15)는 용지적재판(14)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된 용지는 탄성부재(15)에 의해서 픽업롤러(12)와 접촉하는데, 탄성부재(15)는 용지가 픽업롤러(12)에 의해서 한 장씩 급지카세트(10) 밖으로 이송되도록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급지카세트(10)에는 용지를 정렬하는 가이드유닛(51, 52)이 설치된다. 가이드유닛(51, 52)은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급지카세트(10)에 보관하고자 하는 용지사이즈에 맞게 가이드유닛(51, 52)을 이동시킨 후 용지를 용지적재판(14)에 적재한다.
가이드유닛(51, 52)은 제1가이드부재(51), 제2가이드부재(52)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재(51)는 급지카세트(10)의 좌우측에 하나씩 설치되고, 기어(53)에 맞물려서 서로 연동된다. 제2가이드부재(52)는 급지카세트(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1가이드부재(51)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좌우 모서리를 정렬하고, 제2가이드부재(52)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상하 모서리를 정렬한다.
예를 들면 A4 용지와 같이 용지의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제1가이드부재(51)를 이동시켜 제1가이드부재(51)의 좌우 폭 길이를 넓히고, 제2가이드부재(52)를 이동시켜 제2가이드부재(52)의 상하 폭 길이를 넓힌다. 이후 A4 용지를 용지적재판(14)에 적재하면 A4 용지는 제1가이드부재(51), 제2가이드부재(52)에 의해서 정렬된다. 이와 반대로 A5 용지와 같이 용지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제1가이드부재(51)를 이동시켜 제1가이드부재(51)의 좌우 폭 길이를 좁히고, 제2가이드부재(52)를 이동시켜 제2가이드부재(52)의 상하 폭 길이를 좁힌다. 이후 A5 용지를 용지적재판(14)에 적재하면 A5 용지는 제1가이드부재(51), 제2가이드부재(52)에 의해서 정렬된다.
한편, 탄성부재(15)는 용지적재판(14)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즉 탄성부재(15)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된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통상 탄성부재(15)는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가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계된다.
만약 용지적재판(14)에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용지가 적재되는 경우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이 변화할 수 있는데,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이 작은 경우에는 탄성부재(15)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수축량이 작고 용지의 무게 변화도 작아서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탄성부재(15)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수축량이 크고 용지의 무게 변화도 커져서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이 변화한다. 이러한 경우 용지의 중송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용지의 급지조건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급지카세트(10)에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을 가변시키는 용량조절유닛(70)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용량조절유닛(70)은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가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경우 용지의 적재용량과,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보다 사이즈가 작은 용지가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경우 용지의 적재용량을 서로 다르게 한정한다.
도 5 및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적재판이 제1구속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적재판이 제2구속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조절유닛(70)은 제1가이드부재(51)와, 록킹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부재(51)는 급지카세트(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지의 좌우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록킹부재(60)는 급지카세트(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록킹부재(60)의 우측 단부(60a)는 스프링(66)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다. 스프링(66)은 록킹부재(60)를 급지카세트(10)의 측벽(10a)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이때 스톱퍼(61) 는 급지카세트(10)에 걸리게 됨으로써 록킹부재(60)의 제1구속위치가 결정된다.(도 5 및 도 6참조)
록킹부재(60)는 제1가이드부재(51)와 연동한다. 록킹부재(60)는 제1가이드부재(51)와 간섭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리브(62)를 구비하고, 제1가이드부재(51)는 작동리브(62)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51a)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재(51)가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51a)는 작동리브(62)를 가압하고, 록킹부재(60)는 제1가이드부재(51)와 함께 소정 거리 이동한다. 이후 제1가이드부재(51)가 정지하게 되면 스프링(66)이 록킹부재(60)를 급지카세트(10)의 측벽(10a)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도 작동리브(62)는 가압부(51a)에 걸리게 됨으로써 록킹부재(60)의 제2구속위치가 결정된다.(도 7 및 도 8참조)
록킹부재(60)는 용지적재판(14)을 구속, 구속 해제한다. 록킹부재(60)는 복수의 구속부(6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복수의 구속부(63)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구속부(64), 제2구속부(65)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2구속부(65)는 제1구속부(64)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용지적재판(14)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용지적재판(14)의 걸림부(14a)가 록킹부재(60)의 복수의 구속부(63) 중 어느 하나와 걸리게 된다. 용지적재판(14)은 록킹부재(60)에 의해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용지적재판(14)의 적재위치(또는 구속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록킹부재(60)가 제1구속위치에 있는 경우 용지적재판(14)의 걸림부(14a)는 제1구속부(64)에 걸리게 됨으로서 용지적재판(14)의 제1적재위치(또는 제1구속위치)가 결 정되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록킹부재(60)가 제2구속위치에 있는 경우 용지적재판(14)의 걸림부(14a)는 제2구속부(65)에 걸리게 됨으로서 용지적재판(14)의 제2적재위치(또는 제2구속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록킹부재(60)의 좌측 단부(60b)는 급지카세트(10)의 측벽(10a)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급지카세트(10)가 본체(1)에 장착되는 동안 본체(1)는 록킹부재(60)의 좌측 단부(60b)를 가압하여 록킹부재(6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용지적재판(14)의 걸림부(14a)는 복수의 구속부(63)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용지적재판(14)은 상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탄성부재(15)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로부터 급지카세트(10)를 분리하여 급지카세트(10)에 용지를 보관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는 A4 용지로 하고,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지보다 사이즈가 작은 용지는 A5 용지로 하여 설명한다.
급지카세트(10)에 A4 용지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제1가이드부재(51)를 이동시켜 좌우 폭을 넓히고, 제2가이드부재(52)를 이동시켜 상하 폭을 넓힌다. 이때 록킹부재(60)는 스톱퍼(61)에 의해서 제1구속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용지적재판(14)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용지적재판(14)은 제1구속부(64)에 구속되어 제1적재위치(또는 제1구속위치)에 위치하게 된다.(도 5 및 도 6참조) A4 용지는 제1적재 위치에 위치하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될 수 있다. 급지카세트(10)를 본체(1)에 장착하면 용지적재판(14)은 록킹부재(60)의 제1구속부(64)로부터 구속 해제되고, 탄성부재(15)는 용지적재판(14)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픽업롤러(12)는 급지카세트(10)로부터 용지를 한 장씩 본체(1)로 이송시킬 수 있다.
급지카세트(10)에 A5 용지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제1가이드부재(51)를 이동시켜 좌우 폭을 좁히고, 제2가이드부재(52)를 이동시켜 상하 폭을 좁힌다. 이때 록킹부재(60)는 작동리브(62)에 의해서 제2구속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용지적재판(14)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용지적재판(14)은 제2구속부(65)에 구속되어 제2적재위치에 위치하게 된다.(도 7 및 도 8참조) A5 용지는 제2적재위치에 위치하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데, 그 적재용량은 A4 용지가 제1적재위치에 위치하는 용지적재판(14)에 적재되는 적재용량에 비해서 작아진다. 급지카세트(10)를 본체(1)에 장착하면 용지적재판(14)은 록킹부재(60)의 제2구속부(65)로부터 구속 해제되고, 탄성부재(15)는 용지적재판(14)을 상측으로 바이어스시켜, 용지와 픽업롤러(12)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픽업롤러(12)는 급지카세트(10)로부터 용지를 한 장씩 본체(1)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60)는 복수의 구속부(63)를 구비하는데,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구속부(64), 제2구속부(6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구속부(65)는 제1구속부(64)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구속부(6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스프링(67)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고 있는 점이다. 록킹부재(60)가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구속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구속부(65)는 제1구속부(64)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부(14a)는 제2구속부(65)와 간섭을 일으킨다. 이때 도 9와 같이 제2구속부(65)를 구성하게 되면 걸림부(14a)가 제2구속부(65)와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제2스프링(67)이 압축되기 때문에 제2구속부(65)는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걸림부(14a)와 제2구속부(65)가 간섭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마모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와 이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서 잘라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 선을 따라서 잘라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적재판이 제1구속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적재판이 제2구속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본체 10: 급지카세트
14: 용지적재판 15: 탄성부재
51: 제1가이드부재 52: 제2가이드부재
60: 록킹부재 70: 용량조절유닛

Claims (13)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급지카세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사이즈에 따라 상기 용지적재판의 구속위치를 가변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상기 용지적재판에 적재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용지사이즈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을 구속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복수의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적재판은 용지사이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록킹부 중 어느 하나에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록킹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구속부와 제2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제1구속부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본체에 탄성 지지되되,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용지적재판을 제1구속위치에서 구속하도록 상기 록킹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상기 록킹부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간섭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용지적재판을 제2구속위치에서 구속하도록 상기 작동리브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리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판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적재위치를 결정하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용지 사이즈에 따라서 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다른 위치에서 제한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적재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조절유닛은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용지적재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90000711A 2009-01-06 2009-01-06 화상형성장치 KR10150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711A KR101507060B1 (ko) 2009-01-06 2009-01-06 화상형성장치
US12/647,227 US8657511B2 (en) 2009-01-06 2009-12-2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711A KR101507060B1 (ko) 2009-01-06 2009-01-06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62A KR20100081462A (ko) 2010-07-15
KR101507060B1 true KR101507060B1 (ko) 2015-04-06

Family

ID=4231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711A KR101507060B1 (ko) 2009-01-06 2009-01-0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7511B2 (ko)
KR (1) KR101507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868B2 (ja) * 2013-06-18 2016-01-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
CN104708911B (zh) * 2013-12-16 2017-04-1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卡宽调节机构及使用该机构的卡打印机
US9840382B2 (en) * 2015-04-13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68864B2 (ja) * 2016-03-22 2020-03-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05274B2 (ja) * 2016-04-22 2020-06-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抽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668927B2 (ja) * 2016-05-02 2020-03-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692A (en) 1980-02-21 1981-07-28 Nashua Corporation Cassette with lockable lift plate
KR19990020943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유니버설 용지 카세트
JP2004196520A (ja) 2002-12-20 2004-07-15 Murata Mach Ltd 給紙装置
KR20080084214A (ko) * 2007-03-15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136A (en) * 1973-04-06 1977-06-28 Canon Kabushiki Kaisha Feed cassette
US4786042A (en) * 1987-04-01 1988-11-22 Xerox Corporation Adjustable size sensing sheet cassette
KR920006160B1 (ko) * 1989-03-30 1992-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사장치의 용지급지장치
JP3373971B2 (ja) 1995-04-25 2003-02-04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US5931456A (en) * 1997-09-09 1999-08-03 Hewlett-Packard Company Fine-pitch paper adjustment guide for image forming devices
JP2004091066A (ja) * 2002-08-29 2004-03-25 Sharp Corp 給紙カセット
JP3805293B2 (ja) * 2002-09-09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258338B2 (en) * 2004-06-03 2007-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tray for image forming devices
KR101198183B1 (ko) * 2007-07-13 2012-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862036B2 (en) * 2007-09-14 2011-0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restraint device for an input tr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692A (en) 1980-02-21 1981-07-28 Nashua Corporation Cassette with lockable lift plate
KR19990020943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유니버설 용지 카세트
JP2004196520A (ja) 2002-12-20 2004-07-15 Murata Mach Ltd 給紙装置
KR20080084214A (ko) * 2007-03-15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62A (ko) 2010-07-15
US8657511B2 (en) 2014-02-25
US20100172685A1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060B1 (ko) 화상형성장치
US7540489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14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機構
JP442995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06129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14712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406045B (zh) 供纸盒以及具备该供纸盒的图像形成装置
KR20100080714A (ko) 화상형성장치
JP2015028610A (ja) 画像形成装置
US96373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34479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90076547A (ko) 화상형성장치
EP3549777B1 (en) Sheet lo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loading device
JP7269546B2 (ja) 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187047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50988B1 (ko) 급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10668214A (zh) 供纸装置以及具备其的图像形成装置
JP6800822B2 (ja) 積載装置、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222374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210349415A1 (en) Document conveyance device, document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041293A (ko) 급지유닛
US10273097B2 (en) Sheet sup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40837B2 (ja) 用紙収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263450A (ja) 給紙カセット
JP4452147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