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049B1 -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 Google Patents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49B1
KR101507049B1 KR1020130059642A KR20130059642A KR101507049B1 KR 101507049 B1 KR101507049 B1 KR 101507049B1 KR 1020130059642 A KR1020130059642 A KR 1020130059642A KR 20130059642 A KR20130059642 A KR 20130059642A KR 101507049 B1 KR101507049 B1 KR 10150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air
charging
battery cell
channel mosf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238A (ko
Inventor
하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3005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4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접속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과, 상기 배터리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셀의 음극과 부하연결음극단자 사이에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에 제 1 접지부와 제 2 접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이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에 각각 한쌍의 피채널모스펫이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피채널모스펫에는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빠른 자연방전 특성을 가지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내의 전력이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충전부를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될 경우 즉시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CIRCUI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의 전원이 모두 방전된 경우에도 충전단자가 접속될 경우 충방전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로는 전지(battery)와 커패시터(capacitor)가 대표적이다.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는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라고도 불리우며, 전해콘덴서와 이차전지의 중간적인 특성을 갖는 에너지저장장치로서 높은 효율, 반영구적인 수명특성으로 인해 이차전지와의 병용 및 대체가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전기이중층 캐패시터는 이온들이 정전기적으로 유도되어 전극과 전해질 계면에 전기이중층이 형성되어 전하가 축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활성탄소와 같이 표면적이 넓은 물질을 전극의 활물질로 하여 전극물질의 표면과 전해질의 접촉면에 전기이중층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전극과 전해질 용액의 경계면에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하층이 정전 효과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전하 분포를 전기이중층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현상으로 마치 축전지에서와 같은 축전 용량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 축전지와는 다른 충/방전 특성을 가지는데, 축전지의 경우 충/방전 과정동안 시간에 대한 전압 특성이 마치 고원과 같은 평탄형(Plateau)의 그래프 특성을 보임에 비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 충/방전 과정동안 시간에 대한 전압 특성이 선형적인 그래프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충/방전된 에너지의 양이 용이하게 계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기를 저장하는 메커니즘이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축전지와 달리 전해질의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 전하를 저장하므로, 즉 물리적인 전하의 축적에 의한 축전현상을 이용하므로, 반복사용에 따른 열화현상이 없으며, 높은 가역특성과 긴 사용 수명을 가진다.
따라서,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하지 않고 장기간의 사용 수명이 요구되는 에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해서는 축전지 대체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액 간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전기이중층에 전하를 흡/탈착하는 원리를 이용하므로 빠른 충방전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정보기기인 핸드폰, 노트북, PDA 등의 보조 전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고용량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야간 도로 표시등,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등의 주전원 혹은 보조 전원으로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은 넓은 비표면적을 통한 고에너지와, 낮은 비저항을 통한 고출력화, 그리고 계면에서의 전기화학 반응의 억제를 통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것이 주요한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개번호 10-2009-0055365, 발명의 명칭: 전기이중층캐패시터 모듈의 충전 장치)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2차전지보다 훨씬 빠른 자연방전 특성에 의해 커패시터 내의 모든 전력이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조차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충방전을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내의 전력이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충전부를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될 경우, 즉시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접속되어 배터리셀의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셀의 음극과 부하연결음극단자 사이에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이 설치되되, 상기 배터리셀의 음극과 부하연결음극단자에는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의 소스(S)가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들의 드레인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엔채널모스펫의 소스와 배터리셀의 음극 사이 및 제 1 엔채널모스펫의 소스와 부하연결음극단자 사이에 제 1 접지부와 제 2 접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의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에 각각 피채널모스펫이 연결되되, 상기 피채널모스펫의 게이트가 각각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의 드레인과 상기 피채널모스펫의 게이트 사이에는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의 드레인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의 게이트에 대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의 게이트 전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셀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에서 게이트부는 상기 제 1 접지부로 연결되며, 소스부는 상기 제 2 접지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에서 소스부에는 각각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내의 전력이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충전부를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될 경우 즉시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배터리셀(10)과, 상기 배터리셀(10)에 접속되어 배터리셀(10)의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셀(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셀(10)의 음극(14)과 부하연결음극단자(125) 사이에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이 설치되되, 상기 배터리셀(10)의 음극(14)과 부하연결음극단자(125)에는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의 소스(S)가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들의 드레인(D)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엔채널모스펫(Q1, 40)의 소스(S)와 배터리셀(10)의 음극(14) 사이 및 제 1 엔채널모스펫(Q2, 50)의 소스(S)와 부하연결음극단자(125) 사이에 제 1 접지부(130)와 제 2 접지부(140)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0)에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게이트(G)가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에 각각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이 연결되되, 상기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의 게이트(G)가 각각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드레인(D)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드레인(D)과 상기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의 게이트(G) 사이에는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Q7, Q8: 100, 110)의 드레인(D)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게이트(G)에 대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의 게이트 전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셀은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충전되고 부하의 연결에 의해 방전되는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은 A.F.E(Analog Front End) IC 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셀의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는 MCU(Micro Control Unit) 칩으로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1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상기 모스펫(MOSFET)은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로서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이다.
상기 모스펫은 N형 반도체나 P형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이 재료에 따라서 크게 엔채널모스펫과 피채널모스펫으로 분류된다.
상기 엔채널모스펫은 소스(Sorce)보다 게이트(Gate)에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온되며, 소스와 게이트에 같은 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게이트에 신호가 입력 되지 않는 경우 오프된다.
상기 피채널모스펫은 소스에 게이트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온되며, 소스와 게이트에 같은 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게이트에 신호가 입력 되지 않을 경우 오프된다.
도 1 에 도시된 충방전 제어회로에서 Q1(40)과 Q2(50)는 한쌍의 제 1 엔채널 모스펫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Q1(40)은 방전을 제어하는 모스펫이며, Q2(50)는 충전을 제어 하는 모스펫이다.
상기 Q1(40) 에서 소스부보다 게이트부에 높은 전압을 주면 Q1이 ON이 되며, 상기 Q2(50)의 ON/OFF 와는 상관없이 방전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상기 Q2(50)가 OFF가 되어도 다이오드 방향에 의해 전류가 흘러 가기 때문이다.
또한, Q2(50)에서 소스부보다 게이트부에 높은 전압을 주면 Q2(50)가 ON 이 되며, Q1(40) 의 ON/OFF와 상관없이 방전이 이루어진다.
Q1(40)의 동작과 상관없는 이유는 Q1(40)이 OFF 되어도 다이오드 방향에 의해 전류가 흘러가기 때문이다.
여기서, Q1(40), Q2(50)가 모두 ON 이 되어 있다면 충전과 방전이 모두 가능하고, Q1(40)만 ON 이 된다면 방전만 가능하며, Q2(50) 가 ON이 된다면 충전만 가능하다.
또한, Q1(40), Q2(50)가 모두 OFF 가 된다면 충방전 모두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모스펫을 제어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A.F.E: 20)과 제어부(MCU: 30)는 EDLC+(12)와 EDLC-(14)의 전압을 받아 필요 전압으로 조절(Regulating) 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과 제어부(30)는 제 1 접지부(GND1: 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Q1(40)과 Q2(50)가 ON 이 될 경우 제 1 접지부(GND1: 130)와 제 2 접지부(GND2: 140)는 같은 전압 레벨이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제 1 접지부(GND1)와 제 2 접지부(GND2)의 전압 레벨은 같지 않다.
배터리셀(EDLC Cell: 10)의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A.F.E: 20)로 입력 받아 제어부(MCU: 30)에 각 셀 전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셀 전압을 관찰하면서 전압이 높으면 충전을 OFF 하고 전압이 낮으면 방전을 OFF 하는 제어를 한다.
따라서, 상기 충방전 모스펫(40, 50)의 게이트 신호를 제어부(30)에서 컨트롤 함으로써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Q1 과 Q2 에 각각 피채널모스펫과 엔채널모스펫을 추가하여 Q1 과 Q2 의 게이트 전압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I/O 신호로서 5V 를 공급하면 Q5(80) 가 엔채널모스펫이기 때문에 소스부(GND1) 보다 게이트부(5V)의 전압이 높아 ON 이 된다.
그러면, Q3(60)의 게이트는 0V 로서 제 1 접지부(GND1)와 같아지게 되며, Q3(60)는 피채널모스펫이기 때문에 소스부(EDLC+) 보다 게이트부(0V)의 전압이 낮기 때문에 ON 된다.
Q3(60)가 ON 이 되면 Q1(40)의 게이트부(EDLC+)에 높은 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Q1(40)은 소스부(GND1)보다 게이트부(EDLC+)의 전압이 높음으로 ON 이 되어 방전을 가능하게 한다.
엔채널모스펫인 Q6(90), 피채널모스펫인 Q4(70), Q2(50)에 대한 충전 제어는 상기 방전 제어 방식과 동일하다.
만약, I/O 신호가 제 1 접지부(GND1) 상태인 0V 이면, Q5(80)가 제 2 엔채널모스펫이기 때문에 소스부(GND1)와 게이트부(I/O,GND1)의 전압 레벨이 같으므로, OFF 상태가 된다.
그러면 Q5(80)는 Q3(60)의 게이트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Q3(60)의 소스부와 게이트부 간의 저항에 의해 같은 전압 레벨이 되어 OFF 가 된다.
그래서 Q3(60)는 Q1(40)의 게이트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Q1(40)은 소스부와 게이트부 간의 저항에 의해 같은 전압 레벨이 되어 OFF 가 되어, 방전을 불가능 하게 제어한다.
그런데, 배터리셀(10)로부터의 전압을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을 구동시켜야 제어부(30)를 통해 충방전을 제어하므로, 배터리셀(10)에는 제어부(30)를 구동할 정도의 전력이 남아있어야 하는데, 만약 상기 배터리셀(10)에 제어부(30)를 구동할 정도의 전압이 남아 있지 않을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Q1(40)과 Q2(50)의 제어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Q5(80)를 ON 시키면 Q3(60)가 ON 이 되고, Q3(60)가 ON 이 되면 Q1(40)이 ON 된다.
그런데, 제어부(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I/O신호를 줄 수 없으므로, Q5(80)가 OFF 되어 Q3(60), Q1(40)이 모두 OFF 된다.
그래서, 엔채널모스펫인 Q7(100)의 회로를 추가하여 충전 신호가 들어오면 Q3(60)를 ON 시켜 Q1(40)을 ON 시키도록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단자가 입력되면 EDLC+(12)에 CHARGE+(120)가 입력이 되고, EDLC-(14)는 제 1 접지부(GND1) 상태로서, 제 1 접지부(GND1)는 Q1(40)과 Q2(50)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제 2 접지부(GND2) 즉, CHARGE-(125) 와는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진다.
제 1 접지부(GND1)의 전압레벨은 Q3(60)에 의해 전위차가 EDLC+(12)와 비슷해져서 제 2 접지부(GND2)보다 제 1 접지부(GND1)의 전압이 높게 형성이 된다.
이제, Q7(100)의 소스부에 제 2 접지부(GND2)의 전압을 게이트부에 제 1 접지부(GND1)의 전압을 주면, 소스부보다 게이트부 전압이 높아 Q7(100)이 ON 이 되므로, Q3(60)의 게이트부에 제 2 접지부(GND2)의 신호를 주게 된다.
소스부의 CHARGE+ 보다 제 2 접지부(GND2)의 전압이 높기 때문에, Q3(60)가 ON 이 되며, Q1(40)의 게이트부에 CHARGE+ 를 공급하게 되어, Q1의 소스부(GND1)보다 게이트부(CHARGE+)의 전압이 높아 Q1(40)이 ON 이 된다.
여기서, 엔채널모스펫인 Q8(110)이 Q7(100)과 마찬가지로 ON 이 되고 Q4(70)도 ON 이 되고, Q2(50)도 ON 이 되어, Q1(40)과 Q2(50)가 ON 이 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인 Q5(80)와 Q6(90)에 상관없이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인 Q7(100)과 Q8(110)에 의해 Q3(60)과 Q4(70)를 ON 시켜 Q1(40)과 Q2(50)를 제어 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0)에 정상 전원을 공급할 정도가 되어 Q1(40)과 Q2(50)가 ON 이 되어 제 1 접지부(GND1)와 제 2 접지부(GND2)의 전위차가 같아져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인 Q7(100)과 Q8(110)의 소스부와 게이트부의 전위차가 같아져 OFF 상태가 되며, 이때는 위와 같이 I/O 신호를 주어 Q5(80)와 Q4(70)를 제어하여 충방전 제어를 하게 된다.
이때, Q1(40)이 ON 이 되고 Q2(50)가 OFF 가 되었을 경우, Q2(50)에 의해 제 2 접지부(GND2)보다 제 1 접지부(GND1)의 전압이 높아져 Q7(100)과 Q8(110)의 소스부(GND2) 보다 게이트부(GND1)의 전압이 높아져 I/O제어와 상관없이 Q8(110)이 ON 이 되어 Q2(50)가 ON 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Q8(110)의 소스부 단에 EDLC+(12)와 GND2(140)의 저항을 통해 전압을 분배하여 입력시킴으로써, 소스부 전압을 제 1 접지부(GND1)보다 높여 주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Q7(100)의 소스부의 저항(102)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목적이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셀
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
30: 제어부
40, 50: 제 1 엔채널모스펫
60, 70: 피채널모스펫
80, 90: 제 2 엔채널모스펫
100, 110: 제 3 엔채널모스펫

Claims (4)

  1.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배터리셀(10)과;
    상기 배터리셀(10)에 접속되어 배터리셀(10)의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20)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셀(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셀(10)의 음극(14)과 부하연결음극단자(125) 사이에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이 설치되되, 상기 배터리셀(10)의 음극(14)과 부하연결음극단자(125)에는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의 소스(S)가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들의 드레인(D)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엔채널모스펫(Q1, 40)의 소스(S)와 배터리셀(10)의 음극(14) 사이 및 제 1 엔채널모스펫(Q2, 50)의 소스(S)와 부하연결음극단자(125) 사이에 제 1 접지부(130)와 제 2 접지부(140)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0)에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게이트(G)가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에 각각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이 연결되되, 상기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의 게이트(G)가 각각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드레인(D)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드레인(D)과 상기 피채널모스펫(Q3, Q4: 60, 70)의 게이트(G) 사이에는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Q7, Q8: 100, 110)의 드레인(D)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 2 엔채널모스펫(Q5, Q6: 80, 90)의 게이트(G)에 대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제 1 엔채널모스펫(Q1, Q2: 40, 50)의 게이트 전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에서 게이트부는 상기 제 1 접지부로 연결되며, 소스부는 상기 제 2 접지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3 엔채널모스펫에서 소스부에는 각각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KR1020130059642A 2013-05-27 2013-05-27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KR10150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42A KR101507049B1 (ko) 2013-05-27 2013-05-27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42A KR101507049B1 (ko) 2013-05-27 2013-05-27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38A KR20140139238A (ko) 2014-12-05
KR101507049B1 true KR101507049B1 (ko) 2015-03-31

Family

ID=5245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42A KR101507049B1 (ko) 2013-05-27 2013-05-27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0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432A (ko) * 2011-05-23 2012-12-03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JP2013013184A (ja) 2011-06-28 2013-01-17 Makita Corp 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パ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432A (ko) * 2011-05-23 2012-12-03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JP2013013184A (ja) 2011-06-28 2013-01-17 Makita Corp 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38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734C (zh) 电源装置
US7061207B2 (en) Cell equalizing circuit
US9142979B2 (en) Active balancing circuit for balancing battery units
CN103492888B (zh) 开关电路、选择电路、以及电压测定装置
JP3655171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二次電池装置
US7863863B2 (en) Multi-cell battery pack charge balance circuit
CN106464005A (zh) 不间断电源装置
KR10191697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50077040A1 (en) Power output distribution and control system for multi-output battery charger
US9006932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06464006A (zh) 不间断供电电源装置
US20160197496A1 (en) Energy devices with ultra-capacitor structures and methods thereof
EA200970991A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х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работы зарядных устройств в параллельном режиме
CN201113407Y (zh) 一种锂离子电池保护装置
TW201220643A (en) Control circuit for battery
JP6229952B2 (ja) バッテリー装置およびバッテリー制御装置
CN219980445U (zh) 开关电路、控制装置、芯片、电池管理系统及电设备
JP2013207861A (ja) 充放電回路
US11139662B2 (en) Balance circuits for battery cells
KR101507049B1 (ko) 배터리팩의 충방전회로
US9998019B2 (en) DC-DC converter, and solar power controller and mobile body using same
CN103098341A (zh) 充电式电设备
JP6143819B2 (ja) 定電圧回路及び電源システム
KR20090121532A (ko)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밸런서
CN209170223U (zh) 一种低耗电降压电源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