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905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905B1
KR101506905B1 KR1020090001593A KR20090001593A KR101506905B1 KR 101506905 B1 KR101506905 B1 KR 101506905B1 KR 1020090001593 A KR1020090001593 A KR 1020090001593A KR 20090001593 A KR20090001593 A KR 20090001593A KR 101506905 B1 KR101506905 B1 KR 10150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pressure
case body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611A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니시
히데키 카네코
Original Assignee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안전 벨트 권취 조작용의 핸들의 조립 작업이 용이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핸들(136)은 웜 샤프트(32)의 케이스체(139)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케이스(142)와, 상기 핸들 케이스(142)를 덮는 핸들 커버(143)를 갖고 있다. 토크 클러치(150)는 핸들 케이스(142)로부터 돌출된 내측 통(144)의 내주면의 피압접면(151)과, 이 피압접면(151)에 눌러지는 압접 부재(152)와, 상기 압접 부재(152)를 피압접면(151)에 누르는 코일 스프링(153)을 갖고 있다. 내측 통(144) 내에는 케이스체(139)의 플랜지부(14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압접 부재(152) 및 코일 스프링(153)은 플랜지부(140) 상에 유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52)은 케이스체(139)의 축심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차일드 시트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 설치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를 권취축에서 권취하여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에 장력을 추가함으로써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 권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상기 핸들을 공전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어른용 안전 벨트를 권취축에서 권취하여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이 권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상기 핸들을 공전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가 일본 특허 공개 2004-13099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도 11 ∼ 도 21을 참조하여 동호 공보의 차일드 시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동호 공보의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2는 이 차 일드 시트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3은 권취축의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6은 권취축의 숄더 벨트(shoulder belt)용 슬릿에 3점식 안전 벨트의 숄더 벨트를 삽입한 상황을 나타내고, 도 15 및 도 17은 권취축의 랩 벨트(lap belt)용 슬릿에 2점식 안전 벨트의 랩 벨트를 삽입한 상황을 나타낸다.
차일드 시트(10)는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1)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도시 생략)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안전 벨트(1)는 기단측이 리트랙터(retractor)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측이 랩 앵커를 통해서 차체에 연결되며 도중 부분이 숄더 앵커에 통과된다. 이 안전 벨트(1)는 텅(tongue)(도시 생략)의 벨트 삽입 통과구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텅보다 숄더 앵커측이 숄더 벨트(1b)이며 랩 앵커측이 랩 벨트(1a)이다.
이 차일드 시트(10)는 아이 탑승자가 앉는 자리부(12) 및 등받이부(14)와, 그 등받이부(14)의 배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리브(16, 18)와, 그 리브(16, 18)에 각각 형성된 어른용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와, 그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 끼리의 중간 부근에 배치된 어른용 안전 벨트 권취용의 권취축(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취축(24)은 등받이부(1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권취축(24)에는 어른용 안전 벨트(1)의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를 각각 삽입 하기 위한 랩 벨트용 슬릿(24a) 및 숄더 벨트용 슬릿(2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숄더 벨트용 슬릿(24b)은 랩 벨트용 슬릿(24a)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랩 벨트용 슬릿(24a)과 숄더 벨트용 슬릿(24b)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공통의 벨트 출입구(24c)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이 랩 벨트용 슬릿(24a) 및 숄더 벨트용 슬릿(24b)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권취축(24)을 그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며, 상기 권취축(24)의 축심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랩 벨트용 슬릿(24a)과 숄더 벨트용 슬릿(24b)은 상기 권취축(24)의 축심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벨트 출입구(24c)는 상기 랩 벨트용 슬릿(24a)과 숄더 벨트용 슬릿(24b)의 중간 위치의 권취축(24)의 측 둘레면을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브(16, 18)는 각각 등받이부(14)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도 상기 등받이부(1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권취축(24)의 상단측은 등받이부(14)의 배면에 장착된 브래킷(26)에 그 축심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권취축(24)의 하단측은 상기 등받이부(14)의 하부에 설치된 메카니즘 박스(mechanism box)(28)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메카니즘 박스(28) 내에 배치된 상기 권취축(24)의 하단부에는 웜(worm) 휠(30)이 고착되어 있다.
메카니즘 박스(28)는 좌우 리브(16, 18)의 하단부 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메카니즘 박스(28)의 양측면이 상기 리브(16, 18)의 대향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메카니즘 박스(28)의 양측면과 상기 리브(16, 18)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후술의 웜 샤프트(32)를 삽입하기 위한 삽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메카니즘 박스(28) 내에는 권취축(24) 하단의 웜 휠(30)과 인접해서 상기 권취축(24)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웜 샤프트(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웜 샤프트(32)에는 상기 웜 휠(30)과 맞물린 웜 기어(34)가 고착되어 있다. 이 웜 샤프트(32)의 양단은 메카니즘 박스(28)의 양측면과 좌우의 리브(16, 18)를 관통하여 차일드 시트(10)의 좌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웜 샤프트(32)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웜 샤프트(32)를 그 축심 둘레로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36, 38)이 장착되어 있다. 이 핸들(36, 38)에는 각각 상기 핸들(36, 38)의 회전 조작을 용이화하기 위한 노브(knob)(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부호 26a는 권취축(24)의 상단부가 피벗 부착된 베어링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28a는 웜 샤프트(32)를 유지하기 위한 브래킷을 나타내고, 부호 28b는 이 브래킷(28a)에 설치된 웜 샤프트 피벗용 베어링을 나타낸다.
핸들(36 또는 3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웜 샤프트(32), 웜 기어(34) 및 웜 휠(30)을 통해서 권취축(24)이 회전하고, 랩 벨트용 슬릿(24a)에 삽입된 랩 벨트(1a) 또는 숄더 벨트용 슬릿(24b)에 삽입된 숄더 벨트(1b)가 상기 권취축(24)에 권취된다. 권취축(24)은 웜 휠(30) 및 웜 기어(34)의 셀프 록킹(self-locking) 작용에 의해 랩 벨트(1a) 또는 숄더 벨트(1b)를 이 권취축(24)에 권취한 후에 상기 핸들(36 또는 3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아도 각 벨트(1a, 1b)의 장력에 의해 벨트 권취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권취축(24)에 랩 벨트(1a)나 숄더 벨트(1b)를 권취한 후의 벨트 느슨함이 방지된다.
핸들(36, 38)은 각각 권취 토크 제한용의 토크 리미터가 부착된 토크 클러치(50)를 통해서 웜 샤프트(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토크 클러치는 권취축(24)에 랩 벨트(1a) 또는 숄더 벨트(1b)가 충분히 권취되어 이들 벨트(1a, 1b)에 설정의 장력이 가해진 후에 핸들(36, 38)이 안전 벨트 권취 방향으로 더 회전 조작되면 활동(滑動)하여 권취축(24)에 그 이상의 권취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8 ∼ 도 21을 참조하여 이 핸들(36, 38) 및 토크 클러치(5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핸들(36)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본 상기 핸들(36) 및 토크 클러치(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 및 도 21은 각각 핸들(36)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하일 때 및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의 토크 클러치의 작동 설명도이며, (a)는 핸들(36)의 평면도, (b)는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b)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 ∼ 도 21에는 핸들(36)만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핸들(38)은 이 핸들(36)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핸들(36)은 이면측의 단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 용기형상의 핸들 케이스(36a)와, 그 핸들 케이스(36a)의 이면측 개방부에 장착된 커버(36b)와, 상기 핸들 케이스(36a)의 표면측의 단면에 설치된 노브(40) 유지용의 암(36c)을 갖고 있 다. 이 핸들 케이스(36a) 내에 토크 클러치(50)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웜 샤프트(32)는 상기 커버(36b)의 투과구(36d)로부터 이 핸들 케이스(36a) 내에 삽입되어 있다.
암(36c)은 노브(40)를 수용한 상태와, 노브(40)를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핸들 케이스(36a)에 장착되어 있다. 도 18의 부호 40a는 상기 노브(40)를 암(36c)에 피벗 부착하기 위한 피벗 부착 볼트를 나타낸다. 부호 36h는 커버(36b)를 핸들 케이스(36a)에 고착하기 위한 나사를 나타낸다.
토크 클러치(50)는 웜 샤프트(32)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제 1 클러치판(52)과, 이 제 1 클러치판(52)과 대면 배치된 제 2 클러치판(54)과, 이 제 2 클러치판(54)을 제 1 클러치판(52)에 누르기 위한 클러치 스프링(56)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클러치판(52)과 제 2 클러치판(54)의 대향하는 판면에는 각각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삼각 볼록 형상의 산부(52a, 54a)가 톱니상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있다. 이 산부(52a, 54a)는,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클러치판(52, 54)의 판면에 웜 샤프트(32)와 동심상으로 동일 반경의 원을 그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1 클러치판(52)은 커버(36b)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클러치판 유지부(36j) 내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 2 클러치판(54)은 핸들 케이스(36a) 내에 형성된 제 2 클러치판 유지부(36k) 내에 유지된다.
상기 제 2 클러치판 유지부(36k)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클러치판(54)을 제 1 클러치판(52)에 대하여 접촉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클러치판(54)과 핸들 케이스(36a)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볼록 클로(36l)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 클로(36l)는 제 2 클러치판(54)의 측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 홈(54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클러치 스프링(56)은 압축 상태(축력 상태)에서 상기 제 2 클러치판(54)과 제 2 클러치판 유지부(36k)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 케이스(36a)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핸들 케이스(36a)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 2 클러치판(54)의 산부(54a)가 제 1 클러치판(52)의 산부(52a)를 타고 넘으려고 하여 이것에 의해 제 2 클러치판(54)이 제 1 클러치판(52)으로부터 이반하려고 하지만, 이 클러치 스프링(56)은 핸들(36)에 설정값(예를 들면 10㎏f·㎝)을 초과하는 회전 토크가 가해질 때까지는 제 2 클러치판(54)이 제 1 클러치판(52)으로부터 이반되지 않도록 눌러서 산부(54a)가 산부(52a)를 타고 넘을 수 없게 할 수 있는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크 클러치(50)에 있어서는 핸들(36)에 가해진 회전 토크가 설정값 이하일 때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 스프링(56)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산부(54a)가 산부(52a)를 타고 넘을 수 없고 양자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1 클러치판(52)과 제 2 클러치판(54)이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36)에 가해진 회전 토크가 웜 샤프트(32)로 전달되어 웜 샤프트(32)가 회전한다.
또한, 핸들(36)에 가해진 회전 토크가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부(54a)가 클러치 스프링(56)으로부터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제 2 클러치판(54)을 제 1 클러치판(52)으로부터 이반시키면서 산부(52a)를 타고 넘는다. 이에 따라, 핸들(36)이 공전하고, 상기 핸들(36)에 가해진 설정값 이상의 회전 토크가 웜 샤프트(32)로 전달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하에, 이 차일드 시트(10)의 좌석으로의 설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1)가 랩 벨트(1a)만으로 구성된 소위 2점식 안전 벨트일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를 자동차의 좌석에 탑재한 후, 한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또는 22)로부터 다른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2 또는 20)로 랩 벨트(1a)를 꺼내어 상기 랩 벨트(1a)의 선단에 연결된 텅을 버클에 래칭한다. 이어서, 상기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 사이의 랩 벨트(1a)의 도중 부분을 벨트 출입구(24c)로부터 하측의 랩 벨트용 슬릿(24a)에 삽입시킨다.
그 후, 핸들(36 또는 38)을 회전 조작하여 권취축(24)을 회전시켜 랩 벨트(1a)에 충분한 장력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권취축(24)에 랩 벨트(1a)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가 랩 벨트(1a)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1)가 랩 벨트(1a)와 숄더 벨트(1b)로 구성된 소위 3점식 안전 벨트일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를 자동차의 좌석에 탑재하고, 한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또는 22)로부터 다른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2 또는 20)로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를 꺼내어 텅을 버클에 래칭한 후, 상기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 사이의 숄더 벨 트(1b)의 도중 부분을 벨트 출입구(24c)로부터 상측의 숄더 벨트용 슬릿(24b)에 삽입시킨다.
그 후, 핸들(36 또는 38)을 회전 조작하여 권취축(24)을 회전시켜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충분한 장력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권취축(24)에 숄더 벨트(1b)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가 상기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이 차일드 시트(10)에 있어서는 핸들(36, 38)이 토크 클러치(50)를 통해서 웜 샤프트(32)에 연결되어 있고,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설정의 장력이 가해질 때까지 이들을 권취축(24)에 권취하면 상기 핸들(36, 38)이 공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권취축(24)에 과대한 권취 토크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130996호 공보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4-130996호 공보에 있어서는, 클러치 스프링(56)은 핸들(36, 38)의 축심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핸들 케이스(36a)로부터 반력을 얻어 제 2 클러치판(54)을 제 1 클러치판(52)에 압박하고 있다. 상기 제 1 클러치판(52)은 이면측으로부터 커버(36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이 클러치 스프링(56)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핸들 케이스(36a)와 커버(36b)에는 클러치판(52, 54)을 통해서 서로 이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핸들 케이스(36a) 및 커버(36b)의 내부에 클러치 스프링(56) 및 클러치판(52, 54)을 수용하여 상기 커버(36b)를 핸들 케이스(36a)에 나사 고정할 때에 큰 힘으로 커버(36b)를 핸들 케이스(36a)에 압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핸들(36, 38)의 조립 작업 효율이 낮다.
또한, 클러치 스프링(56)이 핸들(36, 38)의 축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클러치 스프링(56)의 스트로크만큼 핸들(36, 38)의 상기 축심선 방향의 두께가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어른용 안전 벨트를 권취축에서 권취하여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이 권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상기 핸들을 공전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핸들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의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 설치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갖고, 이 슬릿에 어른용 안전 벨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를 권취하여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권취축에 연동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핸들과,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상기 핸들에 가해지면 상기 핸들을 공전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갖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샤프트 및 핸들의 한쪽에 형성된 피압접면과, 상기 샤프트 및 핸들의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피압접면에 눌러지는 압접 부재와, 상기 압접 부재를 상기 피압접면에 압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압접 부재와 피압접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대한 공전을 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압접 부재와 피압접면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여 상기 압접 부재가 피압접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핸들이 샤프트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접 부재를 상기 피압접면에 대하여 바이어싱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선단측에 상기 샤프트의 신장 방향 및 축단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신축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 부재의 선단측에 상기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신장 방향 및 축단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상기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의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에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의 동축상에 연장되는 원통면이 되고, 상기 원통면이 상기 피압접면이 되며, 상기 압접 부재 및 스프링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체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체에 지지되며, 상기 공간 내에는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한 2개의 상기 압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압접 부재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압접 부재 사이가 이반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각 압접 부재가 각각 상기 피압접면에 눌려 있으며,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의 각 압접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가이드 홈과,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된 1쌍의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상기 가이드 홈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의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가이드 벽은 상기 가이드 홈에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벽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압접 부재의 상기 피압접면과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피압접면을 향해 볼록부가 돌설되고, 상기 피압접면에 상기 볼록부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에 가해지는 토크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는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맞물린 상태가 되고, 상기 핸들에 가해지는 토크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게 되며, 상기 압접 부재의 상기 피압접면과의 대향면은 상기 피압접면의 곡면 형상에 따르는 원호상의 만곡면이며, 상기 핸들을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상기 볼록부는 선단이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되고, 상기 오목부는 안쪽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이 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피압접면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청구항 1)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압접 부재를 피압접면에 누르기 위한 스프링은 핸들이 접속된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에 있어서 압접 부재를 피압접면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핸들을 샤프트에 접속함에 있어서, 핸들이 이 스프링에 의해 샤프트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는 일이 없고 핸들의 샤프트로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스프링을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스프링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스트로크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핸들의 상기 축심 방향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을 소형, 경량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핸들이 소형이면 손이 작은 조작자라도 핸들을 확실히 쥘 수 있어, 핸들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로부터의 핸들의 돌출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핸들이 주위의 물건에 접촉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압접면은 샤프트와 대략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원통면이다. 이에 따라, 핸들 공전시에 있어서의 압접 부재의 피압접면에 따른 이동이 부드럽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이 공전하는 경우, 압접 부재로부터 피압접면으로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가 상기 피압접면에 형성된 오목부로부터 빠져나간다. 이때의 진동에 의해 핸들이 공전했을 때에 조작자에게 클릭감이 느껴지게 되어 핸들이 공전한 것, 즉 안전 벨트에 가해진 장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가 용이하게 지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신축 부재를 샤프트 축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핸들을 차일드 시트의 외면에 접근시켜 둘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를 이동시킬 때 등에 핸들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 조작시에는 신축 부재를 샤프트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핸들을 차일드 시트의 외면으로부터 이반시켜 조작자에게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핸들을 확실히 쥐고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이 차일드 시트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3은 권취축의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이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 도 6은 각각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직교 방향의 단면도(도 7, 도 8의 V-V선 및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 도 7, 도 8은 각각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평행 방향의 단면도(도 5, 도 6의 Ⅶ-Ⅶ선 및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핸들 수납시에 있어서의 도 7과 동일한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7은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하일 때를 나타내고, 도 6 및 도 8은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측 방향은 각각 차일드 시트에 착석한 사람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 차일드 시트(100)는 권취축(124)과, 이 권취축(124)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136, 138)과, 이 핸들(136, 138)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 상기 핸들(136, 138)을 공전시키기 위한 클러치 기구로서의 토크 클러치(150)의 구성이 각각 권취축(24), 핸들(36, 38) 및 토크 클러치(50)와 다른 것 이외는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2004-130996호 공보의 차일드 시트(1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 ∼ 도 10에 있어서 도 11 ∼ 도 2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이 차일드 시트(100)의 권취축(124), 핸들(136, 138) 및 토크 클러치(150)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차일드 시트(100)에 있어서도 권취축(124)은 등받이부(14)의 배면의 좌우 리브(16, 18) 끼리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등받이부(14)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권취축(124)의 상단측은 상기 등받이부(14)의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26)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하단측은 상기 등받이부(14)의 배면의 하부에 설치된 메카니즘 박스(28)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메카니즘 박스(28) 내에 배치된 권취축(124)의 하단부에는 웜 휠(30)이 고착되어 있어 이 웜 휠(30)이 웜 샤프트(32)의 웜 기어(34)에 맞물려 있다.
이 차일드 시트(100)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축(124)에 숄더 벨트(1b)를 삽입하기 위한 벨트 삽입용 슬릿(1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벨트 삽입용 슬릿(124a)은 상기 권취축(124)을 그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권취축(124)의 축심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벨트 삽입용 슬릿(124a)의 하단 부근의 권취축(124)의 측 둘레면을 노치하도록 하여 상기 벨트 삽입용 슬릿(124a)에 벨트 출입구(12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웜 샤프트(32)의 양단측에 각각 신축 부재로서의 케이스체(13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케이스체(139)는 웜 샤프트(32)보다 큰 직경의 대략 원통형이고, 상기 웜 샤프트(32)와 대략 동축상으로 또한 상기 웜 샤프트(32)의 신장 방향 및 축단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웜 샤프트(32)에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이하, 웜 샤프트(32)의 말단측을 각각 선단측으로 하고, 상기 웜 샤프트(32)의 축심 방향 중간측을 후단측으로 한다.
각 케이스체(139)의 측 둘레면에는 각각 그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3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웜 샤프트(32)의 양단측의 외주면으로부터는 각각 방사 방향으로 돌축형의 가이드 핀(32a)이 돌출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핀(32a)이 각 케이스체(139)의 가이드 홈(139a)에 각각 맞물려 있고, 이에 따라 각 케이스체(139)가 웜 샤프트(3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케이스체(139)는 웜 샤프트(3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각 케이스체(139)는 각각,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32a)이 가 이드 홈(139a)의 후단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까지 웜 샤프트(32)의 선단측으로 이동한 신출(伸出) 위치와, 도 9와 같이, 가이드 핀(32a)이 가이드 홈(139a)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까지 웜 샤프트(32)의 후단측으로 이동한 후퇴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 신출 위치에 있어서는, 각 케이스체(139)는 도 7과 같이 웜 샤프트(32)의 선단으로부터 차일드 시트(100)의 측방으로 설정 길이 신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케이스체(139)의 후퇴 위치로부터 신출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즉 각 케이스체(139)의 웜 샤프트(32)의 선단으로부터의 신출 길이는 약 50㎜이다. 또한, 도 9와 같이, 각 케이스체(139)는 후퇴 위치에 있어서도 각각의 선단이 웜 샤프트(32)의 선단보다 차일드 시트(100)의 측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각 케이스체(139)의 선단으로부터 웜 샤프트(32)의 선단이 돌출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웜 샤프트(32)의 외주면에 각 케이스체(139)를 신출 위치와 후퇴 위치에 각각 록킹하기 위한 록킹 홈(32b, 3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케이스체(139)의 후단측에는 이들 록킹 홈(32b, 32c)에 각각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록킹 클로(139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9와 같이, 록킹 홈(32b)은 웜 샤프트(32)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록킹 홈(32c)은 그보다 웜 샤프트(32)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139)가 신출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7과 같이, 이 케이스체(139)의 후단측의 록킹 클로(139b)가 웜 샤프트(32)의 선단측의 록킹 홈(32b)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고, 이에 따라 케이스체(139)가 신출 위치에 록킹된다. 케이스체(139)가 웜 샤프트(32)의 후단측으로 설정 이상의 힘으로 밀리면 록킹 클로(139b)가 록킹 홈(32b)으로부터 벗어나 케이스체(139)가 후퇴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케이스체(139)가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면 록킹 클로(139b)가 웜 샤프트(32)의 후단측의 록킹 홈(32c)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고, 이에 따라 케이스체(139)가 후퇴 위치에 록킹된다. 케이스체(139)가 설정 이상의 힘으로 웜 샤프트(32)의 선단측으로 인장되면 록킹 클로(139b)가 록킹 홈(32c)으로부터 벗어나 케이스체(139)가 신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각 케이스체(139)의 최선단부에는 그 측 둘레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대략 원판형의 플랜지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케이스체(139)의 선단측에 각각 토크 클러치(150)를 통해서 핸들(136, 138)이 연결되어 있다. 각 핸들(136, 138)의 선단면으로부터는 조작자가 손가락 등을 걸기 위한 노브(14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4 ∼ 도 8에는 한쪽의 핸들(136)만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다른쪽의 핸들(138)은 도면에 나타내는 핸들(136)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138)에 대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 및 설명을 생략한다.
핸들(136)은 케이스체(139)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케이스(142)와, 이 핸들 케이스(142)를 덮은 핸들 커버(143) 등을 갖고 있다. 이 핸들 케이스(142) 내에 토크 클러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 케이스(142)는 대략 원형의 바닥면부(142a)와, 이 바닥면부(142a)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된 둘레 벽부(142b)를 갖는 대략 원통형 용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바닥면부(142a)의 중앙부에는 샤프트 삽통공(142c)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 케이스(142)는 케이스체(139)와 대략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샤프트 삽통공(142c)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체(139)의 선단측이 이 핸들 케이스(1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삽통공(142c)은 케이스체(139)의 최선단부의 플랜지부(140)보다 작은 직경이고 또한 상기 케이스체(139)의 플랜지부(140) 이외의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 바닥면부(142a)의 상기 샤프트 삽통공(142c)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플랜지부(140)의 이면에 대치되어 있다.
둘레 벽부(142b)의 내측에 있어서 바닥면부(142a)로부터 플랜지부(140)를 둘러싸는 둘레벽형상의 내측 통(144)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통(144)은 플랜지부(140)와 대략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플랜지부(14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다. 이 내측 통(144)의 내경은 플랜지부(140)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플랜지부(140)는 이 내측 통(144)의 내측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내측 통(144)의 내주면이 클러치 기구(150)의 피압접면(151)으로 되어 있다.
내측 통(144)의 내측에는 이 피압접면(151)에 눌러지는 압접 부재(1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통(144)의 지름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2개의 압접 부재(152)가 배치되고, 이들 압접 부재(152) 끼리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15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53)은 축심 방향을 내측 통(144)의 지름 방향이며 또한 압 접 부재(152) 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압축 상태[즉, 축력(蓄力) 상태]에서 상기 압접 부재(152) 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53)에 의해, 압접 부재(152) 끼리가 이반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각 압접 부재(152)가 각각 피압접면(151)에 눌러져 있다.
부호 152a(도 4)는 각 압접 부재(152)의 후단면[피압접면(151)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된 코일 스프링(153)을 록킹하기 위한 핀을 나타낸다. 각 압접 부재(152)의 핀(152a)이 코일 스프링(153)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각 압접 부재(152)의 선단면[피압접면(151)의 대향면]은 피압접면(151)의 곡면 형상을 모방한 원호형의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각 압접 부재(152)의 선단면으로부터는 피압접면(151)을 향하여 볼록부(154)가 돌출되어 있다.
피압접면(151)에는 각 압접 부재(152)의 볼록부(154)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체(139)의 축심 둘레로 대략 90°간격으로 합계 4개의 오목부(155)가 배치되어 있지만, 오목부(155)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도 6과 같이, 상기 볼록부(154)는 선단이 뾰족한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155)는 안쪽일수록 폭이 좁은 대략 V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54) 및 오목부(15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볼록부(154)가 오목부(155)에 맞물린 상태에서 핸들(136)을 회전 조작하면, 상기 볼록부(154)가 코일 스프링(153)으로부터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압접 부재(152)를 후퇴시키면서 오목부(15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만, 코일 스프링(153)은 핸들(136)에 가해진 회전 토크가 설정값(예를 들면, 10kgf·cm)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는 각 압접 부재(152)와 피압접면(151) 사이 및 볼록부(154)와 오목부(155)의 접촉면끼리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볼록부(154)가 오목부(15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 즉 핸들(136)이 케이스체(139)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다. 핸들(136)에 가해진 회전 토크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54)가 이 마찰력을 극복하여 오목부(15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고, 각 압접 부재(152)가 피압접면(151)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에 따라, 핸들(136)이 케이스체(139)에 대하여 공전하게 된다.
플랜지부(140)의 선단면에는 이들 압접 부재(152)가 맞물린 가이드 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56)은 플랜지부(140)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가이드 홈(156)이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홈(156)은 플랜지부(140)의 중심을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 상기 플랜지부(140)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가이드 홈(156)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플랜지부(140)의 선단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가이드 벽(15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벽(157)은 각각 각 가이드 홈(156)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156)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압접 부재(152) 및 코일 스프링(153)은 이들 가이드 벽(157) 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압접 부재(152)의 양측 가장자리[각 가이드 벽(157)을 따른 변 가장자리]로부터는 각각 플랜지부(140)측으로 맞물림편(152b)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맞물림편(152b)이 각각 각 가이드 홈(156)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이들 가이드 벽(157) 및 가이드 홈(156)에 의해 각 압접 부재(152) 및 코일 스프링(153)은 플랜지부(140)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플랜지부(140) 상에 유지된다. 각 압접 부재(152)는 가이드 홈(156) 및 가이드 벽(157)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140)의 지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부(142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귀형상의 노브 지지편(145)이 돌출되어 있다. 이 노브 지지편(145)에 지지체(146) 및 코일 스프링(147)을 통하여 노브(141)가 지지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노브(141)는 핸들(136)의 앞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브(141)가 무엇인가에 접촉해도 상기 노브(141)는 이 접촉한 물건에 밀려 핸들(136) 내에 인입되므로 상기 노브(141) 자체 및 상기 노브(141)에 접촉한 물건의 손상이 방지 내지는 억제된다. 노브(141)에 접촉하고 있던 물건이 노브(141)로부터 떨어지면 노브(141)는 코일 스프링(147)에 밀려 핸들(136)로부터 돌출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 삽통공(142c)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케이스체(139)의 후단측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체(139)보다 큰 직경의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체 커버부(142d)가 돌출되고 있고, 이 케이스체 커버부(142d) 내에 케이스 체(139)의 후단측이 수용되어 있다. 이 케이스체 커버부(142d)는 케이스체(139) 중 상기 케이스체(139)를 신출 위치로 했을 때에 리브(16)의 측방으로 인출되는 부분을 덮고 있다.
핸들 케이스(142)의 바닥면부(142a) 중 내측 통(144)과 둘레 벽부(142b)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면부(142a)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핸들 커버(143)를 핸들 케이스(14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통공(1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바닥면부(142a)의 둘레 방향으로 대략 90°간격으로 4개의 나사 삽통공(148)이 형성되어 있지만 나사 삽통공(148)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 커버(143)는 핸들 케이스(142)의 선단면을 덮는 대략 원형의 주판부(143a)와, 이 주판부(143a)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핸들 케이스(142) 측으로 세워 설치된 원통형의 둘레 벽부(143b)를 갖고 있다. 이 둘레 벽부(143b)의 내경은 핸들 케이스(142)의 둘레 벽부(142b)의 외경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핸들 커버(143) 중 핸들 케이스(142)의 노브 지지편(145)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노브(141), 지지체(146) 및 코일 스프링(147)을 덮는 노브 수용부(14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 수용부(143c)는 둘레 벽부(143b)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대략 반원통 형상의 챔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 수용부(143c)의 선단면에는 노브(141)가 진퇴하는 개구(143d)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136)을 케이스체(139)에 접속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핸들 케이스(142)의 샤프트 삽통공(142c)에 케이스체(139)의 후단측을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핸들 케이스(142)의 내측 통(144) 내에 플랜지부(140)를 배치한다.
이어서, 각 압접 부재(152)의 후단측의 핀(152a)을 코일 스프링(153)의 양단측에 삽입하여 각 압접 부재(152)와 코일 스프링(153)을 합체시키고, 압접 부재(152) 끼리를 손으로 접근시켜 코일 스프링(153)을 압축하면서 각 압접 부재(152) 및 코일 스프링(153)을 플랜지부(140)의 선단면의 가이드 벽(157) 끼리의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각 압접 부재(152)의 양측변의 맞물림편(152b)을 각 가이드 홈(156)에 각각 맞물리게 한다. 그 후, 각 압접 부재(152)로부터 손을 떼어 놓고, 각 압접 부재(152)를 내측 통(144)의 피압접면(151)에 접촉시킨다. 이때, 각 압접 부재(152)의 볼록부(154)를 각각 피압접면(151)의 오목부(155)에 맞물리게 한다.
이어서, 핸들 케이스(142)의 노브 지지편(145)에 지지체(146) 및 코일 스프링(147)을 통해서 노브(141)를 설치한다. 그 후, 이들 지지체(146), 코일 스프링(147) 및 노브(141)를 노브 수용부(143c)에 수용하면서 핸들 커버(143)를 핸들 케이스(142)의 선단측에 씌운다. 이때, 노브 수용부(143c)의 선단면의 개구(143d)로부터 노브(141)를 핸들 커버(143) 밖으로 돌출시킨다. 그 후, 각 나사 삽통공(148)을 통해서 나사(149)에 의해 핸들 커버(143)를 핸들 케이스(142)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핸들(136)의 케이스체(139)로의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핸들(136)과 반대측의 핸들(138)도 이 핸 들(136)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핸들(138)은 핸들(136)과 같은 순서로 반대측의 케이스체(139)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이 차일드 시트(100)에 있어서는 각 압접 부재(152)를 피압접면(151)에 누르기 위한 코일 스프링(153)은 핸들(136, 138)이 접속된 케이스체(139)의 축심 방향과 직교 방향에 있어서 각 압접 부재(152)를 피압접면(151)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핸들(136, 138)을 케이스체(139)에 접속함에 있어서 핸들(136, 138)이 이 코일 스프링(153)에 의해 케이스체(139)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는 일이 없고, 핸들(136, 138)의 케이스체(139)로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코일 스프링(153)을 케이스체(139)의 축심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53)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스트로크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핸들(136, 138)의 상기 축심 방향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136, 138)을 소형, 경량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핸들(136, 138)이 소형이면 손이 작은 조작자라도 핸들(136, 138)을 확실히 쥘 수 있어, 핸들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100)로부터의 핸들(136, 138)의 돌출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핸들(136, 138)이 주위의 물건에 접촉되기 어렵다.
이하에, 이 차일드 시트(100)의 좌석으로의 설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차일드 시트(100)를 자동차의 좌석에 탑재하고,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1)의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를 한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또는 22)로부터 다른쪽의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2 또 는 20)로 삽입하여 텅(도시 생략)을 버클(도시 생략)에 래칭한다. 그 후, 상기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20, 22) 사이의 숄더 벨트(1b)의 도중 부분을 권취축(124)의 벨트 출입구(124b)로부터 벨트 삽입용 슬릿(124a)에 삽입한다.
그 후, 핸들(136 또는 138)을 회전 조작하여 권취축(124)을 회전시켜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충분한 장력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권취축(124)에 숄더 벨트(1b)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0)가 상기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확실히 고정된다.
이때, 핸들(136, 138)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하일 때에는, 도 5, 도 7과 같이, 코일 스프링(153)으로부터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볼록부(154)의 오목부(155)로부터의 미끄러져 나옴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36, 138)은 공전하지 않고 상기 핸들(136, 138)로부터 케이스체(139)를 통해서 웜 샤프트(32)에 토크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권취축(124)에 의한 숄더 벨트(1b)의 권취가 계속된다.
그 후,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가해진 장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핸들(136, 138)에 가해지는 토크가 설정값 이상이 된다. 그리고, 이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핸들(136, 138)에 가해짐으로써, 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54)가 코일 스프링(153)으로부터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압접 부재(152)를 후퇴시키면서 오목부(155)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고, 이에 따라 각 압접 부재(152)가 피압접면(151)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 결과, 핸들(136, 138)이 케이스체(139)에 대하여 공전하게 된다.
조작자는 핸들(136, 138)이 공전한 것을 느낀 후, 핸들(136, 138)의 회전 조작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0)의 좌석으로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이 차일드 시트(100)에 있어서는 핸들(136, 138)이 토크 클러치(150)를 통해서 웜 샤프트(32)[케이스체(139)]에 연결되어 있고, 랩 벨트(1a) 및 숄더 벨트(1b)에 설정의 장력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숄더 벨트(1b)를 권취축(124)에 귄취하면 상기 핸들(136, 138)이 공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권취축(124)에 과대한 권취 토크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핸들(136, 138)이 공전하는 경우 각 압접 부재(152)의 볼록부(154)가 피압접면(151)의 오목부(155)로부터 미끄러져 나온다. 이때의 진동에 의해 핸들(136, 138)이 공전되었을 때에 조작자에게 클릭감이 느껴지게 되고, 핸들(136, 138)이 공전 한 것, 즉 어른용 안전 벨트(1)에 가해진 장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가 용이하게 지각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핸들(136, 138)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핸들(136, 138)을 차일드 시트(100)측으로 눌러서 케이스체(139)를 후퇴 위치로 함으로써 도 1, 도 2와 같이 핸들(136, 138)을 차일드 시트(100)의 측면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00)를 이동시킬 때 등에 핸들(136, 138)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136, 138)을 조작할 때에는 핸들(136, 138)을 측방으로 잡아당겨 케이스체(139)를 신출 위치로 함으로써 도 10과 같이 핸들(136, 138)을 차일드 시트(100)의 측면으로부터 이반시켜 조작자에게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핸들(136, 138)을 확실히 쥐고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피압접면(151)이 핸들(136)에 설치되고, 압접 부재(152)가 웜 샤프트(32)[케이스체(139)]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피압접면(151)이 웜 샤프트(32)[케이스체(139)]에 설치되고, 압접 부재(152)가 핸들(136)에 설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스체(139)에 의한 웜 샤프트(32)의 신축 기구는 생략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직교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직교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평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클러치 기구의 웜 샤프트와 평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핸들 수납시에 있어서의 도 7과 동일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예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의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권취축에 안전 벨트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차일드 시트의 후방으로부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토크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차일드 시트의 핸들 및 토크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하일 때의 토크 클러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의 토크 클러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 벨트 1a: 랩 벨트
1b: 숄더 벨트 10, 100: 차일드 시트
12: 자리부 14: 등받이부
16, 18: 리브 20, 22: 안전 벨트 삽입 통과구
24, 124: 권취축 24a: 랩 벨트용 슬릿
24b: 숄더 벨트용 슬릿 24c: 벨트 출입구
30: 웜 휠 32: 웜 샤프트
34: 웜 기어 36, 38, 136, 138: 핸들
139: 케이스체 140: 플랜지부
142: 핸들 케이스 143: 핸들 커버
144: 내측 통 150: 토크 클러치
151: 피압접면 152: 압접 부재
153: 코일 스프링 154: 볼록부
155: 오목부

Claims (4)

  1. 자동차의 어른용 안전 벨트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 설치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갖고, 이 슬릿에 어른용 안전 벨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를 권취하여 상기 어른용 안전 벨트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권취축에 연동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핸들과,
    설정값 이상의 토크가 상기 핸들에 가해지면 상기 핸들을 공전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갖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샤프트 및 핸들의 한쪽에 형성된 피압접면과,
    상기 샤프트 및 핸들의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피압접면에 눌러지는 압접 부재와,
    상기 압접 부재를 상기 피압접면에 압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압접 부재와 피압접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대한 공전을 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핸들에 가해진 토크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압접 부재와 피압접면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여 상기 압접 부재가 피압접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핸들이 샤프트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접 부재를 상기 피압접면에 대하여 바이어싱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선단측에 상기 샤프트의 신장 방향 및 축단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신축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 부재의 선단측에 상기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신장 방향 및 축단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상기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의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에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의 동축상에 연장되는 원통면이 되고, 상기 원통면이 상기 피압접면이 되며,
    상기 압접 부재 및 스프링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체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체에 지지되며,
    상기 공간 내에는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한 2개의 상기 압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압접 부재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압접 부재 사이가 이반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각 압접 부재가 각각 상기 피압접면에 눌려 있으며,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의 각 압접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에 설치된 가이드 홈과, 상기 케이스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된 1쌍의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상기 가이드 홈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의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가이드 벽은 상기 가이드 홈에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고,
    상기 압접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벽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압접 부재의 상기 피압접면과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피압접면을 향해 볼록부가 돌설되고,
    상기 피압접면에 상기 볼록부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에 가해지는 토크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는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맞물린 상태가 되고, 상기 핸들에 가해지는 토크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게 되며,
    상기 압접 부재의 상기 피압접면과의 대향면은 상기 피압접면의 곡면 형상에 따르는 원호상의 만곡면이며,
    상기 핸들을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상기 볼록부는 선단이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되고, 상기 오목부는 안쪽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이 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피압접면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1593A 2008-05-07 2009-01-08 차일드 시트 KR10150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1343A JP5233395B2 (ja) 2008-05-07 2008-05-07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8-121343 2008-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611A KR20090116611A (ko) 2009-11-11
KR101506905B1 true KR101506905B1 (ko) 2015-03-30

Family

ID=4078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593A KR101506905B1 (ko) 2008-05-07 2009-01-08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0714B1 (ko)
JP (1) JP5233395B2 (ko)
KR (1) KR101506905B1 (ko)
CN (1) CN101574936B (ko)
DE (1) DE60200900110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3243B (zh) * 2010-10-28 2012-01-18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具有外置式儿童保护锁止机构的安全带卷收器
CN102555855B (zh) * 2010-12-31 2013-09-11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安全带锁定机构及具有该安全带锁定机构的儿童安全座椅
CN112572251B (zh) * 2019-09-30 2024-05-3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带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317A (ja) * 1987-04-23 1988-11-01 Arakawa Shatai Kogyo Kk 回転ノブの取付構造
JPH10119612A (ja) * 1996-10-17 1998-05-12 Takata Kk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4130996A (ja) * 2002-10-11 2004-04-30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208B1 (en) * 1999-07-12 2001-06-19 Cecil Creech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a belt, strap, or the like
US6241174B1 (en) * 1999-11-10 2001-06-05 Constance F. Berger Belt shortening device
CN100509476C (zh) * 2002-10-11 2009-07-08 高田株式会社 儿童座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317A (ja) * 1987-04-23 1988-11-01 Arakawa Shatai Kogyo Kk 回転ノブの取付構造
JPH10119612A (ja) * 1996-10-17 1998-05-12 Takata Kk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4130996A (ja) * 2002-10-11 2004-04-30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74936B (zh) 2013-07-03
KR20090116611A (ko) 2009-11-11
JP2009269455A (ja) 2009-11-19
DE602009001104D1 (de) 2011-06-01
JP5233395B2 (ja) 2013-07-10
EP2130714A1 (en) 2009-12-09
CN101574936A (zh) 2009-11-11
EP2130714B1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562B1 (en) Locking clip
US6626495B2 (en) Seat reclining device
JP469827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7942361B2 (en) Webbing retracting device
US20140319262A1 (en) Seat Belt Device
EP2055530B1 (en) Motor-driven actuator
EP1902911B1 (en) Webbing retractor device
KR101506905B1 (ko) 차일드 시트
US20180215343A1 (en) Webbing take-up device
US11338764B2 (en) Restraining system for a seat belt buckle
WO2014142738A1 (en) Chainsaw with self-locking knob assembly
JP564892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H0315406Y2 (ko)
KR100620620B1 (ko)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JP443796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413099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20230212893A1 (en) Vehicle door stopping apparatus
JP2015227584A (ja) シリンダ錠装置
JP200904032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02289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2493499B1 (ko) 구동장치
CN216077933U (zh) 拉线调节结构及车辆
JP6422105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H0420749B2 (ko)
JP7364384B2 (ja) パーク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