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248B1 -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248B1
KR101506248B1 KR1020140141093A KR20140141093A KR101506248B1 KR 101506248 B1 KR101506248 B1 KR 101506248B1 KR 1020140141093 A KR1020140141093 A KR 1020140141093A KR 20140141093 A KR20140141093 A KR 20140141093A KR 101506248 B1 KR101506248 B1 KR 10150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fixed
fishing po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102014014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248B1/ko
Priority to JP2015203011A priority patent/JP2016077297A/ja
Priority to CN201510662303.4A priority patent/CN105519498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를 낚시받침대에 설치 후 고기가 물었을 때 낚싯대가 낚시받침대에 걸려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는, 원통 형상의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개방된 수용부의 일측에는 고정부가 체결 고정되며, 낚싯대의 손잡이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 일단이 고정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여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스톱퍼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와이어; 일단이 와이어 타단에 연결 고정되고, 봉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수용부로 이동되는 스틱; 및 스틱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본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외측면에 자기력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부에서 이탈되면 낚싯대 받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fishing pole cover with means for seperation}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를 낚시받침대에 설치 후 고기가 물었을 때 낚싯대가 낚시받침대에 걸려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함에 있어서, 특히 민물낚시의 경우에는 한 사람이 다수의 낚싯대를 던져놓고 이를 지켜보면서 고기가 물린 낚싯대를 들어올려 고기를 잡게된다. 이를 위해 통상 브이자형의 낚싯대 받침부를 지면에 고정한 후 여기에 낚싯대를 거취하게된다.
바다낚시의 경우에는 도처에 바위들이 있어 낚싯대를 바위틈 사이에 끼워고정하기가 용이한데 반하여, 민물낚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자연석이 흔치 않아 상기 브이자형 같은 낚싯대 받침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낚싯대 받침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기가 물기 전에는 낚싯대가 지지되어지지만 고기가 입질을 하거나 물게되면 낚싯대는 유동하게되며 특히, 큰 고기가 물린 경우에는 낚싯대가 물속을 끌려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은 한 사람의 낚시꾼이 동시에 여러개의 낚싯대를 던져놓고 낚시를 하기 때문이며 또한 낚시꾼이 한눈을 팔게되면 낚싯대를 잃어버리게도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6554호 (1999년09월27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554025호 (2006년02월14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74168호 (1999년12월27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6871호 (2009년11월27일 등록)
본 발명은 낚싯대 손잡이에 걸림부재가 구비된 마개가 결합되어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걸림부재를 휴대하지 않고도 필요 시 자석에 의해 편리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걸림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재 내부에 움직임 감지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야간 낚시에 물고기가 걸린 상태에서 낚싯대가 움직이면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알려주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는, 원통 형상의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개방된 수용부의 일측에는 고정부가 체결 고정되며, 낚싯대의 손잡이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 일단이 고정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여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스톱퍼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와이어; 일단이 와이어 타단에 연결 고정되고, 봉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수용부로 이동되는 스틱; 및 스틱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본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외측면에 자기력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부에서 이탈되면 낚싯대 받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내부에 설치 고정되며, 일정범위 내에서 흔들림이 감지되면 작동되는 움직임 감지센서;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움직임 감지센서가 작동되면 비프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에서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걸림부재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버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걸림부재가 본체와 결합되면 버튼이 눌러져 전원이 오프(off) 되고, 걸림부재가 본체에서 이탈되면 버튼이 최초 자리로 이동되면서 전원이 온(on) 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움직임 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움직임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발광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자석이 구비된 반대측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암나사산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된 조명등이 체결 고정되되, 조명등은, 야간 낚시에서 평상 시에는 지면을 향해 조명을 비추어 주변을 어둡게 하고, 물고기가 낚싯대의 미끼를 물고 이동할 시에는 낚싯대가 물가로 끌러가면서 걸림부재가 낚싯대 받침부에 걸려 지면을 향해 비추고 있던 조명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어 주변을 밝히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는 낚싯대 손잡이에 걸림부재가 구비된 마개가 결합되어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걸림부재를 휴대하지 않고도 필요 시 자석에 의해 편리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는 걸림부재 내부에 움직임 감지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야간 낚시에 물고기가 걸린 상태에서 낚싯대가 움직이면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알려주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가 결합된 낚싯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의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걸림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걸림부재에 조명등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도 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가 결합된 낚싯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의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걸림부재에 조명등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시대 마개의 도 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가에 펼쳐진 낚싯대(10)를 지지하는 낚싯대 받침부(1)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걸림부재(300)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구멍(2)이 형성되며, 걸림구멍(2)에는 연결부재(200)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즉, 물고기가 낚싯대(10)에 걸린 미끼를 물고 이동 시에는 낚싯대(10)가 낚싯대 받침부(1)에서 이탈되어 물가로 입수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재(300)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30)는 본체(100), 연결부재(200) 및 걸림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내부에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낚싯대의 손잡이(20) 부분의 후방에 나사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일측 내주면에 삽입되는 고정부(120)가 나사방식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10)에 보관되는 연결부재(200)의 구성들이 파손되거나 수리가 필요할 때 수용부(110)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연결부재(200)가 수용부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중앙에 관통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본체(100)와 걸림부재(300) 사이에 연결되고, 낚싯대(1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스톱퍼(210), 와이어(220), 스틱(230) 및 지지편(2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210)는 수용부(110)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부(120)에 형성된 관통홈(121) 보다 큰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00)의 구성이 본체(10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220)는 일단이 고정부(120)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121)을 관통하여 수용부(110) 내부에 구비된 스톱퍼(21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220)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220)는 고정부(120)에 형성된 관통홈(121)을 통해 이동되며, 낚싯대 미사용 시에는 수용부(110)에 보관되고, 낚싯대 사용 시에는 수용부(110)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스톱퍼(210)에 의해 와이어(220)가 고정부(12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스틱(230)은 일단이 와이어(220) 타단에 연결 고정되고, 봉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120)에 형성된 관통홈(121)을 통해 수용부(110)로 이동될 수 있다. 스틱(230)은 자유자재로 굴곡지도록 신축성을 갖는 와이어(220)를 관통홈(121)을 통해 수용부(110)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낚시가 끝난 후 낚싯대를 정리하기 위해 걸림부재(300)가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면, 외부에 노출된 와이어(220)를 수용부(110) 내부로 이동시켜 보관해야 하는데 이때, 스틱(230)의 일단을 먼저 관통홈(121)에 삽입시키면 스틱(230)에 고정된 와이어(220)의 타단이 동시에 따라오면서 수용부(110) 내부로 삽입된다.
지지편(240)은 걸림부재(300)에 형성된 공간부(320) 내부에 위치하고, 스틱(230)의 타단이 결합되며, 스틱(23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재(300)는 낚싯대(10)를 지지하는 낚싯대 받침부(1)로부터 낚싯대(10) 이탈시 낚싯대 받침부(1) 하단에 형성된 걸림구멍(2)에 걸려 낚싯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재(300)는 원통 형상의 내부에 공간부(32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고정부(120)와 자기력에 의해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310)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310)은 나사 결합과 같은 복잡한 체결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부재(300)를 본체(100)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체(100)에 부착된 걸림부재(300)를 작은 힘으로 쉽게 이탈되게 하고, 반대로 본체(100)에 걸림부재(300)를 결합시 본체(100)에 근접하게 이동하면 자기력에 의해 달라붙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300)는 자석(310)이 구비된 반대측 내주면에 암나사산(330)이 형성되고, 암나사산(330)에는 수나사산(910)이 구비된 조명등(9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야간 낚시에서 평상 시에는 지면을 향해 조명을 비추어 주변을 어둡게 하고, 물고기가 낚싯대(10)의 미끼를 물고 이동할 시에는 낚싯대(10)가 물가로 끌러가면서 걸림부재(300)가 낚싯대 받침부(1)에 걸려 지면을 향해 비추고 있던 조명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어 주변을 밝히도록 한다. 한편, 주변이 밝아지게 되면 다른 용무를 보던 사용자는 조명등에서 발광하는 빛을 인지하여 낚싯대(10)로 다가가 미끼를 물고 있던 물고기를 낚을 수 있다.
조명등(900) 미사용시에는 걸림부재(300)의 공간부(320)를 밀폐하기 위해 캡(34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재(3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움직임 감지센서, 스피커, 배터리, 스위치 및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걸림부재(300)의 공간부에 설치 고정되고, 걸림부재(300)가 일정범위 내에서 흔들리게 되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가 작동되면 비프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30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의 비프음이 외부에서 들리도록 걸림부재(300)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L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LED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걸림부재(300)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걸림부재(300)가 본체(100)와 결합되면 눌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300)가 본체(100)와 결합되면 상기 버튼이 눌러져 전원이 오프(off) 되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LED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걸림부재(300)가 본체(100)에서 이탈되면 상기 버튼이 최초 자리로 이동되면서 전원이 온(on) 되도록 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LED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상기 LED는 걸림부재(30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30)는 어류 포획을 위한 낚싯대 받침부의 실 사용시 포획된 어류의 몸놀림에 의하여 낚싯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와 동시에 낚싯대 받침부에 전달되는 힘을 지지봉이 흡수함으로 매설봉이 지면에 견고한 매설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낚싯대의 분실예방 및 회수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즐거운 마음으로 어류포획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낚싯대 받침부 2; 걸림구멍
10; 낚싯대 20; 손잡이
30; 마개 100; 본체
110; 수용부 120; 고정부
121; 관통홈 200; 연결부재
210; 스톱퍼 220; 와이어
230; 스틱 240; 지지편
300; 걸림부재 310; 자석
320; 공간부 330; 암나사산
900; 조명등 910; 수나사산

Claims (5)

  1. 원통 형상의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개방된 수용부의 일측에는 고정부가 체결 고정되며, 낚싯대의 손잡이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스톱퍼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와이어;
    일단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고, 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을 통해 수용부로 이동되는 스틱; 및
    상기 스틱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자기력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부에서 이탈되면 상기 낚싯대 받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 고정되어 일정범위 내에서 흔들림이 감지되면 작동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가 작동되면 비프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버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재가 본체와 결합되면 상기 버튼이 눌러져 전원이 오프(off) 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면 상기 버튼이 최초 자리로 이동되면서 전원이 온(on) 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석이 구비된 반대측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산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된 조명등이 체결 고정되되, 상기 조명등은 야간 낚시에서 평상 시에는 지면을 향해 조명을 비추어 주변을 어둡게 하고, 물고기가 상기 낚싯대의 미끼를 물고 이동할 시에는 상기 낚싯대가 물가로 끌려가면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낚싯대 받침부에 걸려 지면을 향해 비추고 있던 조명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어 주변을 밝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1093A 2014-10-17 2014-10-17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KR10150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93A KR101506248B1 (ko) 2014-10-17 2014-10-17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JP2015203011A JP2016077297A (ja) 2014-10-17 2015-10-14 離脱防止用の釣竿の口栓
CN201510662303.4A CN105519498A (zh) 2014-10-17 2015-10-14 防脱离用鱼竿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93A KR101506248B1 (ko) 2014-10-17 2014-10-17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248B1 true KR101506248B1 (ko) 2015-03-26

Family

ID=5302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93A KR101506248B1 (ko) 2014-10-17 2014-10-17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77297A (ko)
KR (1) KR101506248B1 (ko)
CN (1) CN105519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572A (zh) * 2018-02-26 2018-07-10 张乙 一种自动钓鱼器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9370B2 (ja) * 2016-10-31 2020-02-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尻手リングを備えた釣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89Y1 (ko) * 1992-06-29 1994-08-05 권병율 낚시대 이탈 방지구
KR19990022556U (ko) * 1999-03-16 1999-07-05 조태식 낚시대이탈방지보조대
KR200418294Y1 (ko) * 2006-03-06 2006-06-08 김병선 빛과 소리가 나는 낚시대 유실방지장치
KR20130091431A (ko) * 2012-02-08 2013-08-19 신석주 낚싯대 걸림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10809U (zh) * 1987-07-25 1988-04-27 宋绍斌 挂杆式海杆自动钓鱼器
CN2329178Y (zh) * 1998-03-11 1999-07-21 方斌 多功能杆式钓鱼器
US6691973B1 (en) * 2002-08-23 2004-02-17 James Barfiel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fishing rod
CN201048522Y (zh) * 2007-03-30 2008-04-23 梁明喜 可调节的鱼竿支架
JP2011120550A (ja) * 2009-12-14 2011-06-23 Tamagawa Seiki Co Ltd 釣り竿用制御装置
CN201894133U (zh) * 2010-08-13 2011-07-13 周兰 活动鱼竿插座
CN202958527U (zh) * 2012-12-21 2013-06-05 楼健伢 新型鱼竿支架及钓鱼椅
CN203243842U (zh) * 2013-05-16 2013-10-23 朱世诚 转向出线自动鱼竿
CN203692249U (zh) * 2014-01-24 2014-07-09 吴镐弟 一种钓鱼用万向调节栏杆渔具支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89Y1 (ko) * 1992-06-29 1994-08-05 권병율 낚시대 이탈 방지구
KR19990022556U (ko) * 1999-03-16 1999-07-05 조태식 낚시대이탈방지보조대
KR200418294Y1 (ko) * 2006-03-06 2006-06-08 김병선 빛과 소리가 나는 낚시대 유실방지장치
KR20130091431A (ko) * 2012-02-08 2013-08-19 신석주 낚싯대 걸림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572A (zh) * 2018-02-26 2018-07-10 张乙 一种自动钓鱼器
CN108260572B (zh) * 2018-02-26 2023-12-22 张一乙 一种自动钓鱼器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KR102172402B1 (ko) * 2018-08-23 2020-10-30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19498A (zh) 2016-04-27
JP2016077297A (ja)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617B1 (en) Electronic fishing lure assembly
US9702132B2 (en) Toilet night light
KR101506248B1 (ko)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US20160021861A1 (en) Fishing caddy system and method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US5842301A (en) Flashlight attachment for fishing poles
KR101326571B1 (ko) 낚싯대 걸림구
KR20190000285U (ko) 두족류 낚시 채비
KR101044512B1 (ko) 낚싯대 이탈방지 경보부를 가지는 받침대
JP4638595B2 (ja) 捕獲用網
KR101128302B1 (ko)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접철식 낚시용 받침대
AU2012100551A4 (en) Mobile illuminating lamp usable on water as well as on land
US3528188A (en) Fishing float
JP3474751B2 (ja) 発光ルアー
KR200427617Y1 (ko) 루어낚시용 발광 모조미끼
US20110219662A1 (en) Electric Shock Fishing Lure Apparatus
KR20120140578A (ko) 전자 인조미끼
US20080301996A1 (en) Fishing lure and bait illumination attachment
US20150320027A1 (en) Solar Rechargeable Fishing Float and/or Bobber
US20170099824A1 (en) Fish Strike Indicator
KR20170001015A (ko) 뜰채
KR20120005759U (ko) L.e.d전구를 내장한 낚시용 미끼
EP2221526A2 (en) Mobile illuminating lamp usable on water as well as on 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