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578A - 전자 인조미끼 - Google Patents

전자 인조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578A
KR20120140578A KR1020110060408A KR20110060408A KR20120140578A KR 20120140578 A KR20120140578 A KR 20120140578A KR 1020110060408 A KR1020110060408 A KR 1020110060408A KR 20110060408 A KR20110060408 A KR 20110060408A KR 20120140578 A KR20120140578 A KR 2012014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bait
light
electronic
led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성
Original Assignee
박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성 filed Critical 박인성
Priority to KR102011006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578A/ko
Publication of KR2012014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 A01K85/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in two or mor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인조미끼로서 야간낚시 할 경우 빛으로 어류를 유인해야 할 경우 별도의 집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인조미끼에 빛을 낼 수 있는 L.E.D를 내장하여 인조미끼가 집어 역할을 수행하며 낚시의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전자 인조미끼.

Description

전자 인조미끼{electronic lure}
낚시
낚시
빛을 좋아하는 고기나 오징어를 잡고자 하는 야간낚시를 할 때에 집어를 하기 위해 집어등을 물속으로 비추어 고기나 오징어가 불빛을 보고 모여들어 인위적인 포인트를 만들어 낚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집어등의 밝기에 의존해야 하며, 낚시인이 위치한 곳에서 너무 멀거나 너무 깊은 곳에 있을 시 에는 잡고자 하는 어류에게 빛이 도달하지 못하여, 집어등을 사용하는 효과를 거두지도 못하는 때도 발생을 하며, 집어등을 별도로 구매를 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과 낚시할 때마다 휴대해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도 있는 등 포인트를 변경하고자 할 때 새로운 포인트에서 다시 집어등을 장시간 켜서 집어를 해야 하는 불편함도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집어등을 켜서 빛을 좋아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보다는 인조미끼자체를 발광 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빛을 냄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연출 하여 어류들을 유인하여 잡을 수 있고, 물 밖에서 빛을 비추어 물속에 빛이 도달하는 것 보다는 물 속에서 인조미끼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빛을 발광함으로써 물속 깊이 있거나 낚시인과의 거리가 멀리 있을 때에는 빛에 대한 반응이 빨라 그만큼 효율적인 조과를 올릴 수 있어 낚시인에게 즐거움과 집어등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결 해 주는 것이다.
인조미끼가 자체적으로 발광 함으로써 집어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빛을 좋아하는 고기나 오징어를 유인하여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집어등을 구입 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해결하고 낚시할 때 포인트 이동 시 집어등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결하고자 한다.
도1 : 본 고안인 전자 인조미끼
본 고안의 전자 인조미끼는 기존의 인조미끼와 같이 눈(a)과 바늘(h)이 각 부위에 있으며 기존의 인조미끼와 달리 전면부(b)와 후면부(g)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면부(b)에는 L.E.D(c)가 결합 되어져 있고, 밧데리(e)를 끼워 발광시키며, 전면부(b)에 수나사(d)와 후면부(g)의 암나사(f)가 있어 밧데리(e)를 끼운 다음 전면부(b)와 후면부(g)를 결합시켜서 본 고안의 전자 인조미끼가 된다.
a: 인조미끼 눈
b: 인조미끼 전면부
c: L.E.D
d: 수나사
e : 밧데리
f: 암나사
g: 인조미끼 후면부
h: 낚시바늘

Claims (1)

  1. 인조미끼의 몸체 속에 있는 L.E.D가 빛을 발광하여 야간낚시 할 때 빛으로 고기를 유인할 수 있으며, 인조미끼의 몸체는 암나사 수나사로 되어있어 전면부와 후면부로 나뉘어 지고 밧데리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인조미끼

KR1020110060408A 2011-06-21 2011-06-21 전자 인조미끼 KR2012014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08A KR20120140578A (ko) 2011-06-21 2011-06-21 전자 인조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08A KR20120140578A (ko) 2011-06-21 2011-06-21 전자 인조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78A true KR20120140578A (ko) 2012-12-31

Family

ID=4790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08A KR20120140578A (ko) 2011-06-21 2011-06-21 전자 인조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71U (ko) 2015-09-14 2017-03-22 강영두 발광체 모듈을 구비한 낚시용 루어
KR20190002266A (ko) * 2017-06-29 2019-01-08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71U (ko) 2015-09-14 2017-03-22 강영두 발광체 모듈을 구비한 낚시용 루어
KR20190002266A (ko) * 2017-06-29 2019-01-08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90132956A (ko) * 2017-06-29 2019-11-2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200054925A (ko) * 2017-06-29 2020-05-2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110099882A1 (en) Illuminated lures
KR200386963Y1 (ko) 야광 지그헤드 스피너
KR20120140578A (ko) 전자 인조미끼
CN204707778U (zh) 一种具有引鱼作用的捕鱼网兜
CN205082506U (zh) 钓鱼用声波闪烁鱼饵
KR20220019364A (ko) 낚시용 인조미끼
EP1741335A1 (en) Artificial bait for cephalopods
TWD189346S (zh) Fake bait
CN204062593U (zh) Led诱鱼灯
JP3161782U (ja) 光点滅ルアー
KR20110115303A (ko) 어류 집어 부재
JP3474751B2 (ja) 発光ルアー
KR20200000425U (ko) 발광체를 구비한 인조미끼
CN104304206A (zh) 可诱鱼的浮标
KR102487693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CN204762922U (zh) 仿生鱼饵
CN104904643A (zh) 一种鱼类大水面放养的装置
HRP20170493A2 (hr) Umjetni svjetleći mamac za ribolov
CN205305747U (zh) 运用光学偏振效应的水族箱
CN204191415U (zh) 新型夜间led钓鱼竿
KR20120002977U (ko) 낚시용 인조미끼
CN207653361U (zh) 一种聚鱼器
CN212260212U (zh) 一种夜间发光引诱假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