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891B1 -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891B1
KR101504891B1 KR1020130037026A KR20130037026A KR101504891B1 KR 101504891 B1 KR101504891 B1 KR 101504891B1 KR 1020130037026 A KR1020130037026 A KR 1020130037026A KR 20130037026 A KR20130037026 A KR 20130037026A KR 101504891 B1 KR101504891 B1 KR 10150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present
ginseng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57A (ko
Inventor
김경탁
이영경
김성수
홍희도
조장원
최상윤
이명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8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씨 알맹이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알맹이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삼씨를 압착 추출하여 제조한 인삼씨 알맹이 추출박의 추출물을 포함하므로써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유 후 폐박으로 버려지는 인삼씨 알맹이 추출박의 식품학적 이용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COMPOSITION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COMPRISING EXTRACT OF DEFATTED GINSENG SEED MEAL}
본 발명은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역에서 재배되는 인삼을 말한다. 인삼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연구되는 약초 중 하나로 수 천 년간 식품과 약재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인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사포닌 성분, 폴리아세틸렌 성분, 알칼로이드 성분, 페놀성 성분, 다당체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이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 항산화 활성, 항당뇨작용, 간기능 항진 및 독성물질 해독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항동맥경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을 한다고 밝혀졌다. 최근에는 인삼근 외에도 열매, 잎, 씨 등 인삼의 부위별 생리활성 성분 및 생물학적 이용가치 연구와 폐자원인 인삼박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인삼씨는 약 15~26%의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며(Beveridge 등 2002; Matsumoto 등 1986),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단일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C18:1)의 함량이 높아 올리브 오일과 비슷한 지방산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씨 오일에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는 스쿠알렌, 옥시도스쿠알렌,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등과 같은 다양한 피토스테롤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원료로 인삼씨 오일의 이용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외에 현재까지 이루어진 인삼씨에 관한 연구로는 인삼씨와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조성에 관한 연구(Hu 등 2008), 인삼씨와 과육의 사포닌 조성에 관한 연구, 산지별 인삼씨 오일의 조성과 산화안정성 비교 연구, 고압살균처리에 따른 인삼씨의 항상화 효과 등 주로 인삼씨의 진세노사이드 조성과 인삼씨 오일의 조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인삼씨 오일의 식품학적 가치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오일추출 부산물인 인삼씨박의 식품소재로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식품소비문화에도 변화가 일어나 건강지향적인 식생활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이에 부응하여 생리활성이 있는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인삼씨유를 착유한 후 얻은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1939 (2008년 2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3216 (2007년 2월 28일 공개)
본 발명은 착유 후 폐박으로 버려지는 인삼씨 배유 추출박을 이용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관련 질환은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암, 노화, 관상 동맥경화, 당뇨병, 간질, 신경퇴행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을 지닌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압착은 150~180℃, 1~5kg/cm2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은 인삼씨를 껍질과 인삼씨 배유(씨젖)로 분리한 뒤 인삼씨 배유의 오일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탄닌은 식물성 식품과 사료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서, 산과 효소로 가수분해되는 가용성 탄닌과 가수분해 되지 않는 축합형 탄닌으로 나뉜다. 최근에 탄닌의 항산화, 항균, 항히스타민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페놀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2차대산물로 광합성과 자외선에 의한 자유라디칼 스트레스나 초식동물의 공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고, 산화에 의한 손상을 치료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식품이나 체내에서 항산화제로써 DNA의 손상을 방지하여 암, 심혈관계 질환, 뇌기능 장애, 백내장, 면역계 쇠퇴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종실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은 이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의 색, 맛, 향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항산화"란 대사 과정을 통해 생성된 활성 산소가 축적되면 조직세포의 노화, 퇴행성 질환 등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류마티스,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 결과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로 인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항산화제는 산화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페놀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보습 효능을 나타내며, 수렴 효과를 나타내어 모공 축소 및 피부 탄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알맹이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 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나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쥬니페라놀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 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쥬니페라놀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 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씨를 압착 추출하여 제조한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추출물을 포함하므로써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유 후 폐박으로 버려지는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식품학적 이용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알아본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알아본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인삼씨는 충청남도 금산에서 구입하여 파쇄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삼씨로부터 인삼씨유를 얻기 위하여 인삼씨를 200℃에서 10분간 볶은 후 즉시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압착추출 시료는 인삼씨를 껍질과 인삼씨 배유(씨젖)로 분리한 뒤 인삼씨 배유만 시료로 사용하였고, 용매추출과 초임계추출 시료는 볶은 인삼씨를 커팅 밀(Universal Cutting Mill PULVERISETTE 19, FRITSCH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1mm screen을 통과하도록 갈아준 후 사용하였다.
1) 압착 추출박( Screw Pressed Meal : SPM )
압착 추출박을 얻기 위하여 인삼씨를 껍질과 인삼씨 배유로 분리한 뒤 인삼씨 배유를 착유기(깨박사, 현대녹색산업, 한국)를 사용하여 가열압출방법(60~70℃에서 전처리, 온도: 150~180℃, 압력: 1~5kg/cm2)으로 착유하였다. 착유 후 남은 인삼씨 배유의 압착 추출박을 믹서기로 (HR-2860, Philips, Korea)분쇄하여 -80℃에서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용매추출박( Solvent Extracted Meal : SEM )
볶은 후 분쇄한 인삼씨 약 100g에 N-핵산 500㎖ (1:10, w/v)를 넣은 후 상온 (25±1℃)에서 3시간씩 3번 반복 추출 후 와트만 여과지 No.1을 이용하여 감압여과를 하여 인삼씨로부터 추출 용매를 제거하고 용매추출박을 채취하였다. 용매추출박은 Fume hood 안에서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잔여 추출 용매를 날려주었다. 건조된 용매추출박은 -20℃에서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초임계추출박( Supercritical CO 2 Fluid extraction Meal : SFM )
초임계 추출은 Greentek21(경기도 안양)에서 실시하였다. 초임계 추출은 500bar, 65℃ 하에서 6시간 동안 이루어졌고, 주 용매인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361.14g/min(360min, CO2 130kg)의 유량으로 주입하였다. 오일 추출 후 얻은 초임계추출박은 -20℃에서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오일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얻은 세 가지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수율은 표 1과 같았다.
추출 방법 오일(%) 탈지박(%)
압착 추출박 9.90 23.21
용매 추출박 19.15 75.33
초임계 추출박 20.20 79.18
압착추출박과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하여 용매추출박과 초임계추출박을 45 mesh(355㎛) 체로 걸러 분쇄된 껍질과 인삼씨 배유를 최대한 분리하였다. 일반성분은 체로 거르지 않은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과 체로 거른 분말 모두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실험은 모두 체로 거른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기능성 성분 분석
1-1. 축합형 타닌의 함량 측정
축합형 타닌의 함량은 modified vanillin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 0.5g에 메탄올 10㎖을 가하여 20분 동안 진탕한 후, 3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 1㎖에 vanillin reagent 5㎖을 가하여 30℃의 어두운 water bath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카테킨을 사용하였으며, 0 ~1000 ㎍/㎖ 농도로 녹여 표준 검량 곡선을 작성하였고 총 축합형 타닌 함량은 1 g 건조중량에 대한 ㎎ catechin equivalent (CE)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그 결과, 압착추출박이 31.89 mg catechin equivalent/100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이는 용매추출박(10.63mg CE /100g)과 초임계추출박(10.34mg CE/100g)보다 약 3배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표 2).
(unit: ㎎/100g dry basis)
Sample Condensed tannin
(mg CE1 ) /100g )
Phytic acid
(mg/100g)
압착추출박 31.89±0.81a 65.81±0.25c
용매추출박 10.63±1.00b 76.28±0.86a
초임계추출박 10.34±0.28b 73.77±0.45b
1) CE : catechin equivalent
1-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방법을 변형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삼씨 배유 추출박 메탄올 추출물을 10 ㎎/㎖ 농도로 녹인 시료 100 ㎕에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Folin-Ciocalteu reagent (Sigma Chemical Co., USA) 750㎕을 넣고 교반시켰다. 5분 후, 6% NaHCO3 용액 750㎕를 가한 다음 상온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켜 분광광도계(SpectraMax 190,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7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페룰산(Fluka, Japan)을 사용하였으며, 0 ~1000 ㎍/㎖ 농도로 녹여 표준 검량 곡선을 작성하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1g 건조중량에 대한 ㎎ ferulic acid equivalent(FAE)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측정 결과 압착추출박의 총 폴리페놀함량이 366 mg FAE/100g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이는 가장 적은 함량을 나타낸 용매추출박(187.74mg FAE/100g)보다 약 2배 높은 값이었다(표 3).
시료 총 폴리페놀 함량(mg FAE /100g)1 )
압착추출박 366.00±4.61a
용매추출박 187.74±13.59c
초임계추출박 240.50±19.50b
1)Total phenolic contents (mg/100g dry matter basis) are expressed as ferulic acid equivalents.
실시예 2.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항산화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은 80% 메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동결 건조시킨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시 80% 메탄올 수용액에 녹여 실험하였다.
2-1.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알아본 결과는 도 1과 같으며, 대조군 대비 50%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는 농도인 EC50 값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Vitamin C에 대비하여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로 계산한 결과는 표 5와 같았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은 2.5~10㎎/㎖의 농도범위에서 추출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세가지 인삼씨 배유 추출박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자유 라디칼에 대한 EC50값을 살펴보면, 5.58~6.93㎎/㎖의 농도 범위에서 50%의 DPPH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착추출박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p<0.05).
2-2.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알아본 결과는 도 2와 같으며, 대조군 대비 50%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는 농도인 EC50 값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Vitamin C에 대비하여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로 계산한 결과는 표 4와 같았다.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ABTS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2.5~10㎎/㎖의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ABTS 자유 라디칼에 대한 EC50값은 8.59~10.20㎎/㎖의 범위로 압착추출박, 초임계추출박, 용매추출박 순으로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하였을 때 ABTS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 EC50
(mg/ml)
VCEAC
(mg/g)
DPPH ABTS DPPH ABTS 환원력
압착추출박 5.58±0.07c,4) 8.59±0.38b 8.42±0.11a 20.49±1.99a 20.71±0.06a
용매추출박 6.93±0.31a 10.20±0.29a 7.21±0.22c 16.72±0.27c 11.67±0.35c
초임계추출박 6.51±0.28b 8.85±0.26b 7.53±0.19b 19.65±0.71b 12.09±0.05b
2-3. 환원력 측정
인삼씨 배유 추출박 메탄올 추출물(25~1,000 ㎍/㎖) 250㎕에 인산나트륨 버퍼(0.2M, pH 6.6) 250㎕과 1% 페리시안화 칼륨(K3Fe(CN)6) 250㎕을 가하여 50℃의 항온수조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0% TCA (trichloroacetic acid) 250㎕을 가하여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 500㎕을 취하여 증류수 500㎕와 0.1% 페릭클로라이드(FeCl3) 100㎕를 넣어 혼합하였다. 반응액의 흡광도는 분광광도계로 700㎚에서 측정하였고, 시료 간의 농도별 흡광도 값과 비타민 C 이퀴밸런트 안티옥시던트 캐퍼시티 (mg VCEAC/㎖)로 나타내었다.
인삼씨 배유 추출박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는 도 3과 같으며, 이를 비타민 C 이퀴밸런트 안티옥시던트 캐퍼시티(VCEAC)로 계산한 결과는 상기 표 4와 같았다. 실험 결과 700nm에서의 흡광도는 인삼씨박 종류에 상관없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ABTS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압착추출박의 환원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추출박과 초임계추출박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또한 DPPH, ABTS 자유기 라디칼 소거활성능 및 환원력을 VCEAC로 계산한 결과,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압착추출박의 환원력의 경우 20.71mg VCEAC/g로 나타났으며, 이는 압착추출박 1g당 vitamin C 20.71 mg과 동일한 항산화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세가지 항산화 활성 실험을 통해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얻은 인삼씨 배유 추출박 중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은 압착추출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150~180℃, 1~5kg/cm2에서 가열압착하여 오일이 제거된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9. 삭제
KR1020130037026A 2013-04-04 2013-04-04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KR10150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26A KR101504891B1 (ko) 2013-04-04 2013-04-04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26A KR101504891B1 (ko) 2013-04-04 2013-04-04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57A KR20140120757A (ko) 2014-10-14
KR101504891B1 true KR101504891B1 (ko) 2015-03-23

Family

ID=5199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26A KR101504891B1 (ko) 2013-04-04 2013-04-04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8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801A (ko) * 2008-06-16 2009-12-2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801A (ko) * 2008-06-16 2009-12-2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57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7821C2 (ru) Состав, содержащий экстракт actinidia arguta (актинидии острой) и растений родственного вид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леч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их болезней и неаллергических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US8741362B2 (en) Phytocomplex from bergamot fruit,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 as dietary supplement and in the pharmaceutical field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JPWO2006014028A1 (ja) サツマイモ茎葉抽出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1617590B1 (ko)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JP6778026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KR102236392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04891B1 (ko) 인삼씨 배유 추출박 분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력이 증가된 조성물
KR20190035139A (ko) 곤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31611B1 (ko) 감귤 추출물 및 꿩의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286035B1 (ko) 인삼 지상부에서 초단파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010077956A (ko) 하수오에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수오 추출물및 하수오 추출물 또는 하수오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9664B1 (ko) 진세노사이드 Rd, Rg3 및 Rg5 함량이 강화된 효소처리 백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560445B2 (ja) 飲食用組成物及び薬用組成物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7236169B2 (ja) 組成物
KR102533040B1 (ko) 황백나무 껍질, 삼백초, 굴피나무 열매 및 감잎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412743B2 (ja) 涙液量改善用組成物、便秘改善用組成物、及び、肌質改善用組成物。
KR101980624B1 (ko) 발효 누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42079B2 (ja) テロメラーゼ発現増強剤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