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00B1 -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4200B1 KR101504200B1 KR1020080025579A KR20080025579A KR101504200B1 KR 101504200 B1 KR101504200 B1 KR 101504200B1 KR 1020080025579 A KR1020080025579 A KR 1020080025579A KR 20080025579 A KR20080025579 A KR 20080025579A KR 101504200 B1 KR101504200 B1 KR 101504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information
- navigation
- user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TBT화면에 필요한 정보 즉, 사용자가 쉽게 턴 할 수 있도록 실제로 턴을 해야 하는 양쪽(왼쪽 및 오른쪽)의 건물과 턴했을 때의 건물의 정면 사진(또는 모양)을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를 좀더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네비게이션, TBT화면, 이동체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추가 및 개량도 포함한다.
최근 이동 단말기에서는 운전자에게 도로나 지형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이용하여 관측점(이동체 또는 고정시설)까지의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써 상기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상기 GPS위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정확한 3차원 위치, 고도 및 시간정보를 제공하며, 24시간 연속 서비스는 물론 어떤 기상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네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는 건물이 밀집된 지역이나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회전할) 위치의 정보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 위치의 정보들을 화면에 보여주어, 사용자가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정보모듈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네비이션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주행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동체의 위치와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턴할 위치가 감지되면 실제로 턴할 위치의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별도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은, 주행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모드에서 이동체의 위치와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주행 중에 턴할 위치가 감지되면 실제로 턴할 위치의 세부 정보를 별도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별도의 화면은 TBT화면이다.
상기 세부정보는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배치된 건물 전면 사진과; 정면 중앙에는 표시된 이동방향과 턴할 위치까지의 거리와; 사용자가 턴할 건물들과 사용자가 턴하면 보이는 정면 건물 사진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체가 턴할 위치에 근접하면 상기 세부정보의 크기가 커지거나 깜박거린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동체가 턴할 위치에 근접하면 턴할 건물들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사운드 또는 진동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TBT화면에 필요한 정보 즉, 사용자가 쉽게 턴 할 수 있도록 실제로 턴을 해야 하는 양쪽(왼쪽 및 오른쪽)의 건물과 턴했을 때의 건물의 정면 사진(또는 모양)을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 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 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 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 (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 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그리고, 폴더폰의 경우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 (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 (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 (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은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 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 (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 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 (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110)에 포함된 위치정보모듈(115)은 GPS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차량, 차량에 탑재한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네비게이션 기능의 설정, 변경 및 해제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를 네비게이션 정보(주변의 도로 및 지형정보)와 함께 표시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TBT(ToolsButton Texture) 화면에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 위치의 정보(건물 또는 식별 가능한 물체)들을 보여준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도로 및 지형정보에 관련된 음성안내(음성 지역정보) 및 턴할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 사운드를 출력하며, 상기 알람부(153)는 음성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에 관련된 진 동이외에 턴할 위치를 나타내는 진동 또는 특정 목적지의 도착을 나타내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지도정보을 기능에 관련된 화면 정보, 음성 지역정보, 특정 도로 및 지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및 화상 통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모듈(115)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주변의 도로 및 지형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 위치의 정보들이 TBT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체의 주행과 함께 네비게이션 장치(e.g., 이동 단말기)가 파워-온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를 주행모드로 설정한다(S10).
상기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의 위치정보모듈 (115)로부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그래픽 데이터 즉,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지도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 다(S11, S12). 이때,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성 지역정보(즉, 등록된 음성메모)를 음향출력모듈(152)을 통하여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네비게이션 모드 또는 경로를 변경하여 원하는 네비게이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주행 중에 턴할(회전할)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예를들면 100M이내)(근접되었는지) 체크하여(S13), 턴할(회전할)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면, 제어부(180)는 네비게이션의 수치화된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예를들면 사용자가 좁은 골목길을 갈 때 정량적인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 (회전할) 위치의 정보들을 화면에 보여준다(S14). 반면에 턴할(회전할)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후술할 단계(S15)로 진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턴할 위치의 정보는 사용자가 턴할 건물 및 턴하면 보이게 될 정면 건물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TBT화면으로서, 그 TBT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을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기본 화면에는 전면에 보이는 건물들의 사진을 배치하고, 하단부에는 턴을 해야 하는 건물과 턴하면 보일 정면 건물의 사진을 상세히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기본 화면에는 전면에 보이는 건물들의 사진을 배치하고, 상단부에 턴을 해야 하는 건물과 턴하면 보일 정면 건물의 사진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이동체의 위치와 지도정보를 제1화면에 표시하고, 주행 중에 턴할 위치가 감지되면 실제로 턴할 위치의 세부 정보들을 제2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제1화면은 메인 화면을 나타내고, 제2화면은 TBT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BT화면의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턴을 해야 할 상황에서의 UI(User Interface) 배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TBT화면에 기본적으로 전면에 보이는 건물들의 사진 또는 형상을 그래픽적으로 표시하며, 화면의 정면부(50)에는 이동체가 이동해 갈 방향과 턴할 위치까지의 거리, 예를들면 턴 표시와 그 턴표시 아래에 "약 100M 전방"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약 100M전방에 턴할 위치가 존재함을 알린다. 또한, 하단부(51)에는 사용자가 턴할 건물들과 턴하면 보일 정명 건물의 사진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도 7은 TBT화면에 모든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부분의 정보는 메인 화면에 표시되고 일부 정보만이 상기 하단부(5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BT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BT화면의 구성도는 기본적으로 도 7과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TBT화면은 턴할 위치가 아주 근접한 경우 이동해야 할 화살표의 애니메이션과 색을 바꾸어 줌으로써 사용자가 턴해야 함을 강조한 형태이다.
또한, 사용자가 턴해야 할 시점을 더 강조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화면의 정면부(50)에 표시된 건물들중에서, 턴을 해야할 건물(60, 61)들을 줌인하여 크게 하거나 사용자가 턴 해야하는 길을 넓히고 그 사이에 턴했을 때 정면 건물을 확 인할 수 있도록 깜박임(Blink)를 두어 강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향출력모듈(152) 또는 알람부(153)를 제어하여, 사운드나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턴할 시점임을 한번 더 강조할 수 있다.
일단 TBT화면에 턴할 위치에 관련된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면, 제어부 (180)는 전술한 위치정보모듈 (115)로부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체가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 체크한다(S15). 체크결과, 이동체가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동작을 종료하고, 아직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S11)로 진행하여, 단계(S11~S15)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51)의 TBT화면에 사용자가 쉽게 턴 할 수 있도록 실제로 턴을 해야 하는 양쪽(왼쪽 및 오른쪽)의 건물과 턴했을 때의 건물의 정면 사진(또는 모양)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네비게이션의 수치화된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턴할 위치의 정보들을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를 좀더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네비게이션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BT화면의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턴을 해야 할 상황에서의 UI(User Interface)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BT화면의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턴을 해야 할 상황에서의 UI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통신부 115 : 위치정보모듈
130 : 사용자 입력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52 : 음향출력모듈
153 : 알람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1)
- 주행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주행 모드에서 이동체의 위치와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주행 중에 턴할 위치가 감지되면 실제로 턴할 위치의 세부 정보를 별도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세부 정보는기본적으로 배치되는 건물 전면 사진, 정면 중앙에 표시된 이동방향과 턴할 위치까지의 거리, 사용자가 턴할 건물들 및 사용자가 턴하면 보이는 정면 건물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화면은TBT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할 위치에 근접하면 세부 정보를 변화시켜 턴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정보는이동체의 턴이 임박한 경우 크기가 커지거나 깜박거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턴이 임박한 경우사용자가 턴할 건물들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사운드 또는 진동을 통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방법.
- 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정보모듈;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네비이션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주행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동체의 위치와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턴할 위치가 감지되면 실제로 턴할 위치의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세부 정보는기본적으로 배치되는 건물 전면 사진, 정면 중앙에 표시된 이동방향과 턴할 위치까지의 거리, 사용자가 턴할 건물들 및 사용자가 턴하면 보이는 정면 건물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화면은TBT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이동체가 턴할 위치에 근접하면 턴할 건물들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깜박거리게 하여 턴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이동체가 턴할 위치에 근접하면 턴할 건물들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사운드 또는 진동을 통해 턴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579A KR101504200B1 (ko) | 2008-03-19 | 2008-03-19 |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579A KR101504200B1 (ko) | 2008-03-19 | 2008-03-19 |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150A KR20090100150A (ko) | 2009-09-23 |
KR101504200B1 true KR101504200B1 (ko) | 2015-03-19 |
Family
ID=413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579A KR101504200B1 (ko) | 2008-03-19 | 2008-03-19 |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42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996B1 (ko) | 2014-07-23 | 2016-04-11 | 주식회사 아이비스 | 경로 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2459A (ko) * | 1997-11-24 | 1999-06-15 | 윤종용 | 전자 지도상의 이미지 파일 표시방법 |
KR20030030453A (ko) * | 2001-10-11 | 2003-04-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턴 바이 턴 네비게이션 시스템 |
KR20060078812A (ko) * | 2004-12-31 | 2006-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비게이션 장치에서의 경로 유도용 화살표 표시 방법 |
KR20070097312A (ko) * | 2006-03-28 | 2007-10-04 |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 관심 위치 저장 및 시각화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
-
2008
- 2008-03-19 KR KR1020080025579A patent/KR101504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2459A (ko) * | 1997-11-24 | 1999-06-15 | 윤종용 | 전자 지도상의 이미지 파일 표시방법 |
KR20030030453A (ko) * | 2001-10-11 | 2003-04-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턴 바이 턴 네비게이션 시스템 |
KR20060078812A (ko) * | 2004-12-31 | 2006-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비게이션 장치에서의 경로 유도용 화살표 표시 방법 |
KR20070097312A (ko) * | 2006-03-28 | 2007-10-04 |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 관심 위치 저장 및 시각화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150A (ko) | 2009-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4429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 |
KR101467767B1 (ko) |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수행 방법 | |
KR101387504B1 (ko) | 위치 정보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 |
KR101430467B1 (ko) |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 |
KR20090053605A (ko) |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 |
KR20150019792A (ko) | 이동 단말기 | |
KR20090043373A (ko) | 태양광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 |
KR10143259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지오태깅 방법 | |
KR10140475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 |
KR10147442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 |
KR101435835B1 (ko) |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 |
KR10095224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 |
KR20090053319A (ko) |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1504200B1 (ko) |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표시방법 | |
KR101578000B1 (ko) |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
KR10195268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90055408A (ko) |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1455985B1 (ko) |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 |
KR101341521B1 (ko) | 이미지 변환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 |
KR101474417B1 (ko) | 이동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461937B1 (ko) |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090019223A (ko) | 이미지를 이용한 경로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 |
KR10147442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 |
KR101435819B1 (ko) |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 |
KR101405940B1 (ko) |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