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163B1 - 화장실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화장실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163B1
KR101504163B1 KR20130125707A KR20130125707A KR101504163B1 KR 101504163 B1 KR101504163 B1 KR 101504163B1 KR 20130125707 A KR20130125707 A KR 20130125707A KR 20130125707 A KR20130125707 A KR 20130125707A KR 101504163 B1 KR101504163 B1 KR 10150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door
he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헌
Original Assignee
(주)영광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광씨엠씨 filed Critical (주)영광씨엠씨
Priority to KR2013012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단 중앙에는 축홀(101)을 형성하고 축홀(101)의 바닥면은 경사면(102)을 형성하며 경사면(102)의 하부 중앙에는 축공(103)을 형성하고 외주연의 하단에는 굴곡지지턱(104)을 형성하며 굴곡지지턱(104)의 하부 중앙에는 각형고정봉(105)을 돌출시킨 암닫힘조절축(1); 및 암닫힘조절축(1)의 축홀(101)에 결합하고 하단에는 축홀(101)의 경사면(102)과 대응하는 경사면(201)을 형성하며 경사면(201)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축공(103)에 힌지 결합되게 돌출시킨 축봉(202)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결합돌기(203)를 형성한 수닫힘조절축(2); 으로 구성되는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과; 수닫힘조절축(2)의 결합돌기(203)가 결합되는 결합공(301)을 하부 중앙에 형성하고 도어(7)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고정부재(3)와;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이 결합되는 안착홀(401)을 형성하고 안착홀(401)의 바닥면은 암닫힘조절축(1)의 굴곡지지턱(104)과 대응하는 굴곡걸림턱(402)을 형성하며 굴곡걸림턱(402)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관통되는 통공(403)을 형성하고 통공(403)의 내주연에는 암나사(404)를 형성한 높이조절축(4)과;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결합되는 각형고정홀(501)을 형성하고 상부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축(4)의 암나사(404)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502)를 형성하며 수나사(502)의 하부에는 수직대(503)와 수평판(504)을 형성한 받침대(5)와; 받침대(5)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6); 로 구성함으로써 받침대(5)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축(4)에 의해 문틀(8)의 높낮이에 맞추어 도어(7)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도어(7)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도어용 힌지{HINGE FIXING APPARATUS FOR RESTROOM DOOR}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장실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힌지의 높이조절축에 의해 문틀의 높낮이에 맞추어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화장실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도어용 힌지는 화장실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는 일정한 각도로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설치시에는 문틀 하단의 높낮이에 맞춰 도어 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힌지의 수직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데,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힌지의 수직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장볼트(10)에 결합된 너트(10a)를 조절하여 장볼트(10)에 결합되어 너트(10a)의 상면에 놓여진 힌지 받침대(9)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설치가 불편하고 작업량이 증가하며 그에 따른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힌지의 높이조절축을 회전시켜 문틀의 높낮이에 맞추어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아울러, 도어의 설치 후에는 높이조절축의 굴곡걸림턱과 암닫힘조절축의 굴곡지지턱의 굴곡면의 잇물림이 도어의 하중에 의해 강한 결착력을 가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높이조절축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실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중앙에는 축홀(101)을 형성하고 축홀(101)의 바닥면은 경사면(102)을 형성하며 경사면(102)의 하부 중앙에는 축공(103)을 형성하고 외주연의 하단에는 굴곡지지턱(104)을 형성하며 굴곡지지턱(104)의 하부 중앙에는 각형고정봉(105)을 돌출시킨 암닫힘조절축(1); 및
암닫힘조절축(1)의 축홀(101)에 결합하고 하단에는 축홀(101)의 경사면(102)과 대응하는 경사면(201)을 형성하며 경사면(201)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축공(103)에 힌지 결합되게 돌출시킨 축봉(202)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결합돌기(203)를 형성한 수닫힘조절축(2); 으로 구성되는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과;
수닫힘조절축(2)의 결합돌기(203)가 결합되는 결합공(301)을 하부 중앙에 형성하고 도어(7)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고정부재(3)와;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이 결합되는 안착홀(401)을 형성하고 안착홀(401)의 바닥면은 암닫힘조절축(1)의 굴곡지지턱(104)과 대응하는 굴곡걸림턱(402)을 형성하며 굴곡걸림턱(402)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관통되는 통공(403)을 형성하고 통공(403)의 내주연에는 암나사(404)를 형성한 높이조절축(4)과;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결합되는 각형고정홀(501)을 형성하고 상부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축(4)의 암나사(404)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502)를 형성하며 수나사(502)의 하부에는 수직대(503)와 수평판(504)을 형성한 받침대(5)와;
받침대(5)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6)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힌지의 높이조절축에 의해 문틀의 높낮이에 맞추어 도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실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단면도로서 높이조절축을 조절하여 힌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의 단면도로서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에 의해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 도어(7)를 일정한 각도로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과, 도어(7)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고정부재(3)와, 도어(7)의 설치높낮이를 조절가능케 해주는 높이조절축(4)과, 높이조절축(4)과 나사결합하고 지지하는 받침대(5)와, 케이스(6)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은 암닫힘조절축(1)과 수닫힘조절축(2)으로 구성된다.
암닫힘조절축(1)은 상단 중앙에는 축홀(101)을 형성하고 축홀(101)의 바닥면은 경사면(102)을 형성하며 경사면(102)의 하부 중앙에는 축공(103)을 형성하고 외주연의 하단에는 굴곡지지턱(104)을 형성하며 굴곡지지턱(104)의 하부 중앙에는 각형고정봉(105)을 돌출시킨다.
또한, 수닫힘조절축(2)은 암닫힘조절축(1)의 축홀(101)에 결합하고 하단에는 축홀(101)의 경사면(102)과 대응하는 경사면(201)을 형성하며 경사면(201)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축공(103)에 힌지 결합되게 돌출시킨 축봉(202)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결합돌기(203)를 형성한다.
따라서, 암닫힘조절축(1)과 수닫힘조절축(2)으로 구성되는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은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 도어(7)를 일정한 각도로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어고정부재(3)는 수닫힘조절축(2)의 결합돌기(203)가 결합되는 결합공(301)을 하부 중앙에 형성하고 도어(7)의 하단 일측에 결합된다.
한편, 높이조절축(4)은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이 결합되는 안착홀(401)을 형성하고 안착홀(401)의 바닥면은 암닫힘조절축(1)의 굴곡지지턱(104)과 대응하는 굴곡걸림턱(402)을 형성하며 굴곡걸림턱(402)의 하부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관통되는 통공(403)을 형성하고 통공(403)의 내주연에는 암나사(404)를 형성한다.
또한, 받침대(5)는 상단 중앙에는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결합되는 각형고정홀(501)을 형성하고 상부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축(4)의 암나사(404)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502)를 형성하며 수나사(502)의 하부에는 수직대(503)와 수평판(504)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설치할 경우에 문틀 하단의 높낮이에 맞춰서 도어 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축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받침대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축을 회전시키면 높이조절축의 굴곡걸림턱과 암닫힘조절축의 굴곡지지턱의 굴곡면의 잇물림을 극복하여 높이조절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도어 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의 설치 후에는 높이조절축의 굴곡걸림턱과 암닫힘조절축의 굴곡지지턱의 굴곡면의 잇물림이 도어의 하중에 의해 강한 결착력을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높이조절축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5)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축(4)에 의해 문틀(8)의 높낮이에 맞추어 도어(7)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도어(7)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케이스(6)는 받침대(5)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 1 : 암닫힘조절축
101 : 축홀 102, 201 : 경사면
103 : 축공 104 : 굴곡지지턱
105 : 각형고정봉 2 : 수닫힘조절축
202 : 축봉 203 : 결합돌기
3 : 도어고정부재 301 : 결합공
4 : 높이조절축 401 : 안착홀
402 : 굴곡걸림턱 403 : 통공
404 : 암나사 5 : 받침대
501 : 각형고정홀 502 : 수나사
503 : 수직대 504 : 수평판
6 : 케이스

Claims (1)

  1. 상단 중앙에는 축홀(101)을 형성하고 상기 축홀(101)의 바닥면은 경사면(102)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102)의 하부 중앙에는 축공(103)을 형성하고 외주연의 하단에는 굴곡지지턱(104)을 형성하며 상기 굴곡지지턱(104)의 하부 중앙에는 각형고정봉(105)을 돌출시킨 암닫힘조절축(1); 및
    상기 암닫힘조절축(1)의 축홀(101)에 결합하고 하단에는 상기 축홀(101)의 경사면(102)과 대응하는 경사면(201)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201)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암닫힘조절축(1)의 축공(103)에 힌지 결합되게 돌출시킨 축봉(202)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결합돌기(203)를 형성한 수닫힘조절축(2); 으로 구성되는 열림각도조절용 힌지축(A)과;
    상기 수닫힘조절축(2)의 결합돌기(203)가 결합되는 결합공(301)을 하부 중앙에 형성하고 도어(7)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고정부재(3)와;
    상단 중앙에는 상기 암닫힘조절축(1)이 결합되는 안착홀(40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홀(401)의 바닥면은 암닫힘조절축(1)의 굴곡지지턱(104)과 대응하는 굴곡걸림턱(402)을 형성하며 상기 굴곡걸림턱(402)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관통되는 통공(40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403)의 내주연에는 암나사(404)를 형성한 높이조절축(4)과;
    상단 중앙에는 상기 암닫힘조절축(1)의 각형고정봉(105)이 결합되는 각형고정홀(501)을 형성하고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높이조절축(4)의 암나사(404)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502)를 형성하며 상기 수나사(502)의 하부에는 수직대(503)와 수평판(504)을 형성한 받침대(5)와;
    상기 받침대(5)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20130125707A 2013-10-22 2013-10-22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101504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707A KR101504163B1 (ko) 2013-10-22 2013-10-22 화장실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707A KR101504163B1 (ko) 2013-10-22 2013-10-22 화장실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163B1 true KR101504163B1 (ko) 2015-03-19

Family

ID=5302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707A KR101504163B1 (ko) 2013-10-22 2013-10-22 화장실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1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91Y1 (ko) 1997-04-17 1999-09-01 최동순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200165605Y1 (ko) 1999-08-02 2000-02-15 정기웅 칸막이 받침구
KR200291394Y1 (ko) 1999-03-19 2002-10-11 정대헌 출입문의 회전축 지지구
KR101233204B1 (ko) 2006-10-18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91Y1 (ko) 1997-04-17 1999-09-01 최동순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200291394Y1 (ko) 1999-03-19 2002-10-11 정대헌 출입문의 회전축 지지구
KR200165605Y1 (ko) 1999-08-02 2000-02-15 정기웅 칸막이 받침구
KR101233204B1 (ko) 2006-10-18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9524A (en) Surveillance camera mount with adjustable base plate and pivotable table
RU2543419C1 (ru) Шкивной механизм
TWI522287B (zh) 具有樞轉裝置之盒
EP3654474A3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assembly
KR102019192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1504163B1 (ko) 화장실 도어용 힌지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KR2019011622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CN204227361U (zh) 投光灯支架和可调角度式投光灯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197052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배선장치
CN103953828A (zh) 平板电视机支架的自由停调节机构
KR101565283B1 (ko) 여닫이문 열림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스토퍼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US1719638A (en) Door
RU2016107795A (ru) Система душевой двери и узел для неё
KR20070044425A (ko) 천정폴행거의 천정지지구
KR101506954B1 (ko) 조명장치
CN115822403A (zh) 制冷器具
JP3204430U (ja) ヒンジ機構
KR20130098599A (ko) 사물함의 경첩
KR20190002972U (ko) 볼베어링이 구비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형 방화문용 플레그 힌지
CN102322193A (zh) 一种掩门五金件及掩门
JP3936325B2 (ja) ドアのヒンジ装置
KR101252711B1 (ko) 가구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