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990B1 -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3990B1 KR101503990B1 KR1020127027310A KR20127027310A KR101503990B1 KR 101503990 B1 KR101503990 B1 KR 101503990B1 KR 1020127027310 A KR1020127027310 A KR 1020127027310A KR 20127027310 A KR20127027310 A KR 20127027310A KR 101503990 B1 KR101503990 B1 KR 101503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val
- probe
- probe packets
- packet
- measu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속도 추정 방법은,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에 데이터 패킷과 그 전후에 프로브 패킷을 송출하고,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과, 제1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브 패킷을 이용해서 전송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의 병목으로 되어 있는 링크의 전송 속도를 패킷 분산으로부터 추정하는, 패킷 분산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패킷 분산」이란, 전송 지연에 의해 생기는 패킷의 도착 간격의 시간적인 넓이를 말한다. 특허 문헌 1에는, 패킷 분산법에 의해 병목으로 되는 링크의 속도를 추정하는 기능을 갖춘 속도 산출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병목이 아닌 링크의 대역의 추정 방법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대역의 추정 방법은, 피측정 구간을 공유하는 복수의 경로에 있어서 패킷 군이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후의 패킷 분산을 계측한다. 그에 따라,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대역의 추정 방법은, 피측정 구간의 대역이 경로의 병목이 아닌 경우에도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패킷 분산법에 의해 링크의 전송 속도를 높은 신뢰성으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패킷 분산을 계측할 때에, 복수의 패킷 군의 피측정 구간에의 도착 간격이 충분히 짧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패킷 분산의 측정 결과로부터, 피측정 구간에의 패킷의 도착 간격을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는, 측정한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통신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할 때에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속도 추정 방법은,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에, 데이터 패킷과 그 전후에 프로브 패킷을 송출하고,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과, 제1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속도 추정 장치는,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과,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는, 속도 추정 장치를,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송신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 및 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 및 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 프로브 보조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이, 노드(101-6)를 통과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송신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 및 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 및 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 프로브 보조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이, 노드(101-6)를 통과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대역 추정 방법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1-1∼101-5는 통신 노드, 도면 부호 301-1∼301-4는 노드 간의 통신 구간이다. 통신 구간은 1개 이상의 통신 링크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구간(301-2)이, 전송 속도의 피측정 구간이다. 그리고, 통신 구간(301-3 및 301-4)은 모두 피측정 구간(301-2)보다 저속인 것으로 한다. 이하, 도 2의 각 스텝도 참조하면서,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의 프로브 경로의 기점 노드(101-2)는, 프로브 패킷(201-1),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 프로브 패킷(201-2 및 201-3)의 5개의 패킷을 연속하여 송신한다(스텝 A1). 여기서, 프로브 패킷은, 노드(101-2)를 송신원으로 하고, 노드(101-3)를 거쳐서 노드(101-4)에 송신된다. 그리고, 프로브 패킷의 크기는 전부 동일하다. 또한,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은, 노드(101-2)를 송신원으로 하고, 노드(101-3)를 거쳐서 노드(101-5)에 송신된다.
노드(101-3)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의 도착 시간 차를 T1으로 한다. 또한, 노드(101-3)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도착 시각의 차를 T2로 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드(101-1)가 송신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로브 패킷(201-1∼201-3)은 노드(101-3)를 통과하여 노드(101-4)에서 수신되고,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은 노드(101-3)를 통과하여 노드(101-5)에서 수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1),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 프로브 패킷(201-2 및 201-3)의 5개의 패킷을 연속하여 수신한다(스텝 A2). 그리고,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1∼201-3)을 통신 구간(301-3)으로 출력하고,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을 통신 구간(301-4)으로 출력한다(스텝 A3).
여기서,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을, 충돌 패킷이라고 부른다. 도 1에서는, 프로브 패킷(201-1) 및 프로브 패킷(201-2)이 충돌 패킷으로 된다.
통신 구간(301-4)은, 피측정 구간(301-2)보다 저속이다. 이 때문에,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데이터 패킷(202-1) 과 데이터 패킷(202-2)과의 패킷의 도착 간격(즉 패킷 분산)은, 이들의 패킷이 피측정 구간(301-2)을 통과했을 때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노드(101-5)에서 데이터 패킷(202-1)과 데이터 패킷(202-2)과의 도착 간격을 측정하고, 데이터 패킷(202-1) 및 데이터 패킷(202-2)의 데이터량을 해당 도착 간격으로 제산해도, 피측정 구간(301-2)의 전송 속도를 구할 수는 없다.
한편, 통신 구간(301-3)도 피측정 구간(301-2)보다 저속이므로, 노드(101-4)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201-1∼201-3) 각각의 패킷의 패킷 분산은 도 1의 T2로부터 도 3의 T3로 확대된다. 그러나, 노드(101-4)에 있어서의 충돌 패킷 즉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도착 시각의 차 T1은, 피측정 구간(301-3)에 의한 지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왜냐하면, 통신 구간(301-3)에서는,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신 구간(301-3)에서는 데이터 패킷에 의한 프로브 패킷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통신 구간(301-3)에서는,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에 다른 패킷이 없으므로, 통신 구간(301-3)의 지연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범위 내이면, 패킷의 도착 시각의 차는 T1 이상으로 확대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신 구간(301-3)의 지연에 의해,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도착 시각의 차 T3이 T1을 초과하면,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와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가 충돌한다. 그 결과, 노드(101-4)에서 측정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도착 시간의 차가 피측정 구간(301-2)에 있어서의 T1보다도 커져 버린다. 한편, 노드(101-4)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도착 시각의 차 T3이, 통신 구간(301-3)의 지연에 의해 T1을 초과하지 않으면,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와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는 충돌하지 않는다. 즉, 노드(101-4)에 있어서 T1>T3이면, 통신 구간(301-3)에 있어서의 지연에 의해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는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까지 도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T1>T3이면, 노드(101-4)에 있어서 측정된 T1은, 노드(101-3)에 있어서의 통신 구간(301-2)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도착 시각의 차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즉, 도 2에 있어서의 스텝 A4 이후의 수순은 아래와 같이 된다. 노드(101-4)는, 데이터 패킷(202-1)과 데이터 패킷(202-2)과의 합계의 데이터량을, 노드(101-4)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와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와의 도착 시간 차 T1로 나눔으로써, 피측정 구간(301-2)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스텝 A4). 그리고, T1 및 T3을 비교하여(스텝 A5), T1>T3이면(스텝 A5:YES), 추정된 피측정 구간(301-2)의 전송 속도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추정된 피측정 구간(301-2)의 전송 속도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스텝 A5:NO)는, 추정한 전송 속도가 무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는, 데이터 패킷의 직전과 직후에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 T1과, 연속하여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 T3을 비교한 결과에 의해,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경로(301-3)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202-1 및 202-2)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노드(101-4)에 있어서, 충돌 패킷의 도착 간격이, 데이터 패킷의 지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충돌 패킷의 도착 간격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제1 실시 형태에는, 추정된 전송 속도의 정밀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송신 노드인 노드(10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노드(101-2)는, 송신부(151)와, 패킷 생성부(152)와, 송출 타이밍 생성부(153)와, 제어부(156)를 구비한다. 송신부(151)는, 노드로서의 통상적인 패킷 송신 기능을 갖춘다. 패킷 생성부(152)는, 통신 구간(301-2)으로 송출하는 프로브 패킷(201-1∼201-3) 및 데이터 패킷(202-1, 202-2)을 생성한다. 송출 타이밍 생성부(153)는, 패킷을 통신 구간(301-2)으로 송출하는 타이밍을 생성한다. 제어부(156)는, 노드(101-2)의 전체를 제어하는 회로 부분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157)와 메모리(158)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158)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동시에, 작업용 메모리를 구성한다. CPU(157)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노드(101-2)를 구성하는 각 부를 기능시킨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노드인 노드(10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드(101-4)는, 수신부(161)와, 패킷 수신 버퍼(162)와, 수신 타이밍 측정부(163)와, 데이터 저장부(164)와, 속도 추정부(165)와, 제어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161)는, 노드로서의 통상적인 패킷 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패킷 수신 버퍼(162)는, 통신 구간(301-3)에서 수신하는 프로브 패킷(201-1∼201-3)을 저장한다. 수신 타이밍 측정부(163)는, 수신하는 패킷의 수신 시각을 검출한다. 데이터 저장부(164)는, 수신하는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한다. 속도 추정부(165)는, 도 2의 스텝 A4 및 A5에서 설명한 수순에 의해,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으로 되는 통신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 제어부(166)는, 이 노드(101-4) 전체를 제어하는 회로 부분이며, CPU(167)와 메모리(168)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168)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동시에, 작업용 메모리를 구성하고 있다. CPU(167)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노드(101-4)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기능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수신 노드는, 속도 추정 장치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노드(101-2) 및 도 5에 나타낸 노드(101-4)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노드를 구성하고, 도 1에 나타낸 노드(101-1, 101-2, 101-4 및 101-5)로서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드(101-1, 101-2, 101-4 및 101-5)의 어느 것의 노드로부터라도 프로브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노드(101-1, 101-2, 101-4 및 101-5)의 어느 것의 노드에 있어서도,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 및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노드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노드에, 또한 수신한 패킷의 수신처에 의해 경로를 분류하는 라우팅 기능을 갖게 한 노드를, 도 1의 노드(101-3)로서 배치해도 된다. 패킷의 라우팅 기능은 알려져 있으므로, 라우팅 기능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드(101-1) 및 통신 구간(301-1)은, 네트워크의 구성예로서 기재한 것이다. 도 1∼도 5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는, 노드(101-1) 및 통신 구간(301-1)을 생략한 구성에 의해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노드(101-4)(즉 속도 추정 장치)는, 수신부(161), 수신 타이밍 측정부(163), 데이터 저장부(164) 및 속도 추정부(165)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노드(101-4)에 있어서, 수신부(161)는,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을 수신한다. 데이터 저장부(164)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한다. 수신 타이밍 측정부(163)는, 제1 수신 간격 및 제2 수신 간격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1 수신 간격은,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이다. 또한, 제2 수신 간격은,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이다.
제1 수신 간격 및 제2 수신 간격은, 도 3에 있어서의 각각 T1 및 T3에 상당한다. 따라서, 도 2의 스텝 A5에 있어서의 수순과 마찬가지로, 제1 수신 간격이 제2 수신 간격보다도 큰 경우에는, 속도 추정부(165)에 의해 추정된 전송 속도를 유효한 것으로 판정한다.
즉, 속도 추정부(165)는,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수신 노드는, 적어도 수신부(161), 수신 타이밍 측정부(163), 데이터 저장부(164), 속도 추정부(165)를 구비하고 있으면,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2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6∼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와 노드(101-3)와의 사이, 및, 노드(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피측정 구간은 통신 구간(301-4)이다. 또한, 통신 구간(301-2)은 피측정 구간(301-4)보다 저속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의 경로는 노드(101-2)로부터 노드(101-3)를 거쳐서 노드(101-5)를 수신처로 하는 경로이다. 데이터 패킷(202-1)의 경로는, 노드(101-1)로부터 노드(101-3)를 거쳐서 노드(101-5)를 수신처로하는 경로이다. 이하, 도 7의 각 스텝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프로브 패킷의 기점인 노드(101-2)는, 프로브 패킷(201-1∼201-5)까지의 5개의 패킷을 연속하여 송신하고 있다(도 7의 스텝 B1). 그리고, 통신 구간(301-2)에 있어서의 각 프로브 패킷과 그 직후의 프로브 패킷의 사이의 노드(101-3)에 있어서의 도착 시간 차는 T2인 것으로 한다. 한편, 노드(101-1)는, 노드(101-5)를 향한 데이터 패킷(202-1)을, 노드(101-2)가 프로브 패킷 군을 송신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송신한다(스텝 B2).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프로브 패킷(201-2 및 201-3)이 충돌 패킷이다.
도 8에 있어서,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1∼201-5) 및 데이터 패킷(202-1)을 수신한다(스텝 B3). 그리고,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1∼201-5) 및 데이터 패킷(202-1)을, 피측정 구간인 통신 구간(301-4)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202-1)을 삽입하여 통신 구간(301-4)에 출력한다(스텝 B4).
노드(101-5)는, 노드(101-3)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한다(스텝 B5). 통신 구간(301-4)은 피측정 구간(301-2)보다 고속이므로, 노드(101-5)에 있어서의 각각의 프로브 패킷의 선두의 도착 시각과 말미의 도착 시각과의 시간 차는, 피측정 구간(301-4)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면 작아진다. 그러나, 각 프로브 패킷의 선두와 말미와의 도착 시각의 차의 변화는, 노드(101-5)에 있어서의 프로브 패킷(201-1∼201-5)의 도착 간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충돌 패킷 이외의 프로브 패킷의 도착 간격을 노드(101-5)에서 측정해도, 피측정 구간(301-4)의 전송 속도는 추정할 수 없다.
여기서, 데이터 패킷(202-1)의 직전 및 직후에 송신한 패킷 중의 2개, 예를 들면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노드(101-5)에 있어서의 도착 간격 T3에 대해서 생각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2개의 패킷의 사이에는 데이터 패킷(202-1)이 삽입되어서 전송된다. 따라서, T3은, 데이터 패킷(202-1)의 선두와 말미와의 노드(101-5)에의 도달 시간 차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통신 구간(301-4)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에는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도착 간격 T2는, 데이터 패킷(202-1)의 선두와 말미의 노드(101-5)에의 도달 시간 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T3이 T2보다도 큰 경우에는, T3은 피측정 구간(301-4)의 전송 속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패킷(201-2)과 데이터 패킷(201-3)과의 도착 간격 T3을 데이터 패킷(202-1)의 데이터량으로 나눈 값이, 피측정 구간(301-4)의 전송 속도로서 추정된다(스텝 B6). 그리고, T3이 T2에 비교해서 유의하게 큰지 아닌지가 판정된다(스텝 B7). T3이 T2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큰 경우(스텝 B7:YES)에는, 추정한 피측정 구간(301-4)의 전송 속도는 유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T3이 T2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크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스텝 B7:NO)는, 추정한 피측정 구간(301-4)의 속도는 무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여기서 유의(有意)란, T3과 T2와의 차가,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과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202-1)이 삽입되어서 전송되고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통신 구간에 랜덤한 지연 불안정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불안정 폭에 대한 마진을 가미한 다음, 불안정 폭보다도 T3과 T2의 차가 큰 경우에 유의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데이터 패킷의 직전과 직후에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과, 연속하여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을 비교한 결과에 의해,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노드(101-1, 101-2 및 101-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노드와 동일한 구성의 노드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노드(101-3)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노드를 조합한 구성을 구비한 노드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는 것도 명백하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노드의 구성 및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6에서는, 노드(101-1)가 데이터 패킷(202-1)을 송신하고, 노드(101-2)가 프로브 패킷(201-1∼201-5)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노드(101-3), 통신 구간(301-4) 및 노드(101-5)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더라도, 이상의 설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나타낸 송신 노드를 노드(101-3)로서 배치하고, 데이터 패킷(202-1) 및 프로브 패킷(201-1∼201-5)을 생성하도록 패킷 생성부(152)를 구성한다. 그리고, 송신부(151)는, 데이터 패킷(202-1) 및 프로브 패킷(201-1∼201-5)을 도 8에 나타낸 순서로 통신 구간(301-4)에 연속하여 송신한다. 노드(101-5)는, 도 7의 스텝 B5 이후의 수순을 동일하게 실행함으로써, 통신 구간(301-4)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그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의 네트워크 구성을 노드(101-3)와 노드(101-5)가 통신 구간(301-4)에서 접속된 것만의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데이터 패킷의 직전과 직후에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과, 연속하여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을 비교한 결과에 의해,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9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피측정 구간은 통신 구간(301-5)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1) 및 노드(101-2)와 노드(101-3)와의 사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는, 통신 구간(301-2, 301-3 및 301-4)의 어느 것의 전송 속도보다도 고속인 것으로 한다. 이하, 도 10의 각 스텝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속도 추정 방법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 경로의 기점 노드(101-2)는, 프로브 패킷(201-1∼201-4)과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1-3)을 교대로 배열한 7개의 패킷을 연속하여 통신 구간(301-2)에 송신한다(스텝 C1). 프로브 패킷(201-1∼201-4)의 경로는, 노드(101-2)로부터 노드(101-3), 노드(101-6)을 거쳐서 노드(101-4)에 이르는 경로이다. 또한,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1-3)의 경로는, 노드(101-2)로부터 노드(101-3), 노드(101-6)를 거쳐서 노드(101-5)에 이르는 경로이다.
그리고, 통신 구간(301-2)의 노드(101-3) 측에 있어서는 각 프로브 패킷 간에 T2의 도착 시간 차가 생긴다.
한편, 노드(101-1)는, 노드(101-5)를 향한 데이터 패킷(202-1)을, 노드(101-2)가 프로브 패킷 군을 송신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송신한다(스텝 C2). 데이터 패킷(202-1)의 경로는, 노드(101-1)로부터 노드(101-3), 노드(101-6)를 거쳐서 노드(101-5)에 이르는 경로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킷이 노드(101-3)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1∼201-4) 및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3-3)을 통신 구간(301-2)으로부터 수신한다(스텝 C3). 또한, 노드(101-3)는, 데이터 패킷(202-1)을 통신 구간(301-1)으로부터 수신한다(스텝 C4). 그리고, 노드(101-3)는,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보조 패킷(203-2)과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202-1)을 삽입하고, 피측정 구간인 통신 구간(301-5)에 출력한다(스텝 C5). 그리고, 노드(101-6)는, 노드(101-3)가 출력한 패킷을 수신한다(스텝 C6).
도 11에 있어서, 피측정 구간(301-5)은 통신 구간(301-2)보다 고속이다. 따라서, 각 프로브 패킷 및 프로브 보조 패킷의, 노드(101-6)에 있어서의 선두의 도착 시각과 말미의 도착 시각과의 차는,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가 높아질 수록 작아진다. 그러나, 이들의 패킷의 선두와 말미와의 도착 시각의 차가 작아지는 것은, 데이터 패킷과 충돌하지 않고 있는 프로브 패킷 및 프로브 보조 패킷의 노드(101-6)에의 도착 시각의 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도 11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202-1)의 직전 및 직후에 동시에 송신한 프로브 패킷 또는 프로브 보조 패킷 중의 2개, 예를 들면 도면 부호 201-2와 201-3이 노드(101-6)에 도착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이 2개의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의 노드(101-6)에의 도착 간격 T3은 데이터 패킷(202-1)의 선두와 말미의 노드(101-6)에의 도달 시간 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것이 데이터 패킷과의 충돌 이전에 도착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의 도착 간격 T2보다 넓은 경우에는, T3은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201-1∼201-3),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3-3) 및 데이터 패킷(202-1)이, 노드(101-6)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노드(101-6)는, 프로브 패킷(201-1∼201-4)을 통신 구간(301-3)에 송신한다(스텝 C7). 또한, 노드(101-6)는, 데이터 패킷(202-1) 및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3-3)을 통신 구간(301-4)에 송신한다(스텝 C8).
여기서, 통신 구간(301-3 및 301-4)의 전송 속도는 모두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보다도 저속이다. 따라서, 통신 구간(301-4)에서는, 데이터 패킷(202-1)의 지연의 영향에 의해, 데이터 보조 패킷(203-1 및 203-2)의 노드(101-5)에의 도착 시간 차 T4는, 피측정 구간(301-5)의 통과 시보다 더욱 확대된다. 따라서, 노드(101-5)에서 패킷의 도착 간격을 측정해도,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를 올바르게 추정할 수는 없다.
한편, 노드(101-4)는, 프로브 패킷(201-2∼201-4)을 수신한다. 그리고, 노드(101-4)는,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의 도착 시간 차 T2, 프로브 패킷(201-2)과 프로브 패킷(201-3)의 도착 시간 차 T3 및 프로브 패킷(201-3)과 프로브 패킷(201-4)의 도착 시간 차 T5를 측정한다(스텝 C9).
그리고, 데이터 패킷(202-1)의 데이터 용량을 T3로 나눈 값을,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라고 추정한다(스텝 C10).
여기서, 통신 구간(301-3)의 지연에 의해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와 후속의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가 충돌하지 않는 경우, 즉, T3>T2인 경우에는, T3은,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통신 구간(301-3)의 지연에 의해, 프로브 패킷(201-3)의 말미와 프로브 패킷(201-4)의 선두가 충돌하는 상태로 되어도,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는 후속의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와는 충돌하지 않는다. 이것은, 통신 구간(301-2 및 301-5)에 있어서, 프로브 패킷(201-1)과 프로브 패킷(201-2)과의 사이에서 프로브 보조 패킷(203-1)이 전송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T5가 T2보다 작은, 즉 T5 <T2이면, 프로브 패킷(201-1)의 말미는 프로브 패킷(201-2)의 선두와 충돌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노드(101-4)에서 측정되는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은,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조건을 정리하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송 속도의 추정이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은, T3>T2>T5가 된다. 따라서, 노드(101-4)에 있어서 T3>T2>T5의 관계가 만족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스텝 C11), 만족되는 경우(스텝 C11:YES)에는, 추정한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는 유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노드(101-4)에 있어서 T3>T2>T5의 관계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스텝 C11:NO)는, 추정한 피측정 구간(301-5)의 전송 속도는 무효한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는, 데이터 패킷의 직전과 직후에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과, 연속하여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프로브 보조 패킷의 직전과 직후에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과 연속하여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을 비교한 결과에도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그 결과,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다 올바르게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노드(101-1∼101-6)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노드와 동일한 노드, 혹은 이들을 조합한 기능을 갖춘 노드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노드의 구성 및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송신 노드인 노드(101-1 또는 101-2)를, 데이터 패킷(202-1), 프로브 패킷(201-1∼201-4) 및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3-3)을 생성하도록 패킷 생성부(152)를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송신 노드가, 데이터 패킷(202-1), 프로브 패킷(201-1∼201-4) 및 프로브 보조 패킷(203-1∼203-3)을 도 11에 나타낸 순서로 통신 구간(301-5)에 연속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노드(101-4)는, 도 9의 스텝 C9 이후의 수순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속도 추정 방법은,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경로에 프로브 패킷을 연속하여 송신하고,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2 통신 경로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의 전후에 프로브 패킷이 전송되었을 경우,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과, 제1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제5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속도 추정 방법은,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경로에 복수의 프로브 패킷 및 프로브 보조 패킷을 교대로 연속하여 송신하고,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2 통신 경로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의 직전에 프로브 패킷 및 프로브 보조 패킷의 한쪽이 전송되고, 데이터 패킷의 직후에 프로브 패킷 및 프로브 보조 패킷의 다른 쪽이 전송되었을 경우, 프로브 패킷과 프로브 보조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피측정 구간의 통과 후에 각각 상이한 통신 구간으로 분기하고, 프로브 패킷이 전송되는 분기 후의 통신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과, 프로브 보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3 수신 간격과, 제1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제6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속도 추정 장치는,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과,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7 실시 형태]
본원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은, 속도 추정 장치를,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 제1 수신 간격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이상, 제1, 제2 및 제3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이 적용 가능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 설명에는, 본원 발명의 영역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4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10-09762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 노드
201-1, 201-2, 201-3, 201-4 : 프로브 패킷
202-1, 202-2 : 데이터 패킷
203-1, 203-2, 203-3 : 데이터 보조 패킷
301-1, 301-2, 301-3, 301-4, 301-5 : 통신 구간
151 : 송신부
161 : 수신부
152 : 패킷 생성부
162 : 패킷 수신 버퍼
153 : 송출 타이밍 생성부
163 : 수신 타이밍 측정부
164 : 데이터 저장부
165 : 속도 추정부
156, 166 : 제어부
157, 167 : CPU
158, 168 : 메모리
201-1, 201-2, 201-3, 201-4 : 프로브 패킷
202-1, 202-2 : 데이터 패킷
203-1, 203-2, 203-3 : 데이터 보조 패킷
301-1, 301-2, 301-3, 301-4, 301-5 : 통신 구간
151 : 송신부
161 : 수신부
152 : 패킷 생성부
162 : 패킷 수신 버퍼
153 : 송출 타이밍 생성부
163 : 수신 타이밍 측정부
164 : 데이터 저장부
165 : 속도 추정부
156, 166 : 제어부
157, 167 : CPU
158, 168 : 메모리
Claims (11)
-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에, 데이터 패킷과 그 전후에 프로브 패킷들을 송출하고,
상기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과, 상기 제1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패킷들은 상기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경로에 연속하여 송출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2 통신 경로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는, 상기 데이터량을 상기 제1 수신 간격으로 나눈 값으로서 추정되고,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은, 상기 제1 수신 간격이 상기 제2 수신 간격보다도 큰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패킷들과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후에 각각 상이한 통신 구간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에, 데이터 패킷과 그 전후에 프로브 패킷들을 송출하고,
상기 프로브 패킷들을 구성하는 제1 프로브 패킷들과 제2 프로브 패킷들이, 상기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경로에 교대로 연속하여 송출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및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의 한쪽이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되고, 그 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및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의 다른 쪽이 전송되고,
상기 피측정 구간의 통과 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은 제1 통신 구간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은 제2 통신 구간으로 분기되고,
제1 수신 간격은, 상기 제1 통신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서 산출되고,
상기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가 추정되고,
제2 수신 간격은,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 상기 데이터 패킷 이전에 연속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서 산출되고,
제3 수신 간격은,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 상기 데이터 패킷 이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된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직전 및 직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서 산출되고,
상기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제2 수신 간격과, 상기 제3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는, 상기 데이터량을 상기 제1 수신 간격으로 나눈 값으로서 추정되고,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은, 상기 제1 수신 간격이 상기 제2 수신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2 수신 간격이 상기 제3 수신 간격보다도 큰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방법. - 삭제
- 통신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들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인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피측정 구간에 있어서 연속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인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제2 수신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장치. - 속도 추정 장치로서,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으로부터 프로브 패킷들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제1 수신 간격과, 제2 수신 간격과, 제3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수신 간격과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의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 수신 간격, 상기 제2 수신 간격 및 상기 제3 수신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속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속도 추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 패킷들은, 제1 프로브 패킷들과 제2 프로브 패킷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과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은 상기 피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경로에 교대로 연속하여 송신되고,
상기 피측정 구간의 통과 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은 제1 통신 구간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은 제2 통신 구간으로 분기되고,
상기 속도 추정 장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및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의 한쪽을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하고, 그 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후에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및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의 다른 쪽을 전송하는 제1 노드와,
상기 제1 통신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 타이밍 측정 수단은,
상기 제2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직전 및 직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서 상기 제1 수신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 이전에 연속하여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 상기 제2 수신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제1 프로브 패킷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 이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으로 전송된 상기 제2 프로브 패킷들 중 어느 하나의 직전 및 직후에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과한 제1 프로브 패킷들의 수신 간격으로서 상기 제3 수신 간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추정 장치. - 전송 속도의 측정 대상인 피측정 구간에 프로브 패킷들 및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제1 노드와,
상기 피측정 구간을 통해서 전송된 상기 프로브 패킷들을 수신하는 제8항에 기재된 속도 추정 장치
를 구비하는 속도 추정 시스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97625 | 2010-04-21 | ||
JP2010097625A JP5617324B2 (ja) | 2010-04-21 | 2010-04-21 | 速度推定方法、速度推定装置、速度推定システム及び速度推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PCT/JP2011/059878 WO2011132758A1 (ja) | 2010-04-21 | 2011-04-15 | 速度推定方法、速度推定装置、速度推定システム及び速度推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8054A KR20130008054A (ko) | 2013-01-21 |
KR101503990B1 true KR101503990B1 (ko) | 2015-03-18 |
Family
ID=4483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7310A KR101503990B1 (ko) | 2010-04-21 | 2011-04-15 |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842566B2 (ko) |
EP (1) | EP2562971A4 (ko) |
JP (1) | JP5617324B2 (ko) |
KR (1) | KR101503990B1 (ko) |
CN (1) | CN102859940B (ko) |
WO (1) | WO20111327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69401B2 (en) | 2015-08-10 | 2021-04-06 | Nira Dynamics Ab | Velocity estimation |
KR102318284B1 (ko) * | 2017-03-14 | 2021-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전송 경로의 혼잡 탐지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33159A4 (en) * | 2003-06-12 | 2011-02-23 | Fujitsu Ltd | BASIC STATION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EP1708429B1 (en) * | 2004-01-14 | 2012-08-08 | NEC Corporation | Speed calculation system |
JP2006261755A (ja) * | 2005-03-15 | 2006-09-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測定装置、測定方法および測定プログラム |
US7436772B2 (en) * | 2005-03-23 | 2008-10-14 | Microsoft Corporation | Available bandwidth estimation |
US7450069B2 (en) * | 2006-02-27 | 2008-11-11 | Olympus Corporation Technology Of America | Ranging system and method |
US8929328B2 (en) * | 2007-02-02 | 2015-01-06 | Microsoft Corporation | Decoupling scanning from handoff for reduced delay over wireless LAN |
JP5194562B2 (ja) | 2007-05-28 | 2013-05-08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リンク帯域推定装置およびリンク帯域推定方法 |
KR101020859B1 (ko) * | 2008-08-19 | 2011-03-09 | 광주과학기술원 |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노드간 거리 검출 방법 및 그 시스템 |
JP5311953B2 (ja) | 2008-09-18 | 2013-10-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光ピックアップ装置 |
JP5045624B2 (ja) * | 2008-09-19 | 2012-10-10 | Kddi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のキュー遅延時間及び回線使用率を推定するネットワーク負荷推定方法 |
TW201019649A (en) * | 2008-11-06 | 2010-05-16 | Inst Information Industry | Network system, adjusting method of data transmission rate and computer program procut thereof |
US8593985B2 (en) * | 2009-09-30 | 2013-11-26 | Panasonic Corporation |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
-
2010
- 2010-04-21 JP JP2010097625A patent/JP561732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4-15 WO PCT/JP2011/059878 patent/WO20111327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4-15 EP EP20110772090 patent/EP256297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4-15 CN CN201180020344.3A patent/CN102859940B/zh active Active
- 2011-04-15 KR KR1020127027310A patent/KR1015039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4-15 US US13/580,420 patent/US8842566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Measuring Capacity Bandwidth of targeted path segments, IEEE, Harfoush k et al.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859940B (zh) | 2016-04-13 |
US8842566B2 (en) | 2014-09-23 |
KR20130008054A (ko) | 2013-01-21 |
EP2562971A4 (en) | 2013-11-27 |
CN102859940A (zh) | 2013-01-02 |
EP2562971A1 (en) | 2013-02-27 |
US20120320780A1 (en) | 2012-12-20 |
JP2011228981A (ja) | 2011-11-10 |
JP5617324B2 (ja) | 2014-11-05 |
WO2011132758A1 (ja) | 2011-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94562B2 (ja) | リンク帯域推定装置およびリンク帯域推定方法 | |
CN110505033B (zh) | 执行精确定时协议通信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 |
EP2661048B1 (en) |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ember link in multilink group | |
Atary et al. | Efficient round-trip time monitoring in OpenFlow networks | |
JP5249682B2 (ja) | 保護継電装置用通過時間固定装置 | |
CN112040526B (zh) | 一种通信路径选择方法、设备及通信系统 | |
US9313122B2 (en) | Frame transmission system, frame transmission apparatus, and frame transmission method | |
CN103259696A (zh) | 网络带宽检测方法、装置及网络设备 | |
JP4488256B2 (ja) | 通信方法、ノード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CN115242301B (zh) | 网络链路监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通信设备 | |
KR101503990B1 (ko) | 속도 추정 방법, 속도 추정 장치, 속도 추정 시스템 및 속도 추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 |
CN112825512A (zh) | 负载均衡方法及装置 | |
RU2481718C2 (ru) | Способ оценки остаточн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 |
US8139499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delay differences | |
US8243607B2 (en) | Packet delay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 |
JP4985872B2 (ja) | 経路解析装置 | |
JP2015228541A (ja) |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時刻差測定方法 | |
US20090034429A1 (en) |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line quality analyzing method | |
WO2017126077A1 (ja) |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
JP7547789B2 (ja) | 中継装置 | |
US20120300637A1 (en) |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 |
KR100825748B1 (ko) | 이더넷 망에서의 지연 측정 장치 및 방법 | |
CN118138182A (zh) | 时钟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JP2013141319A (ja) | 保護継電システム及び保護継電システムの通過時間固定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