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342B1 -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342B1
KR101503342B1 KR1020130025060A KR20130025060A KR101503342B1 KR 101503342 B1 KR101503342 B1 KR 101503342B1 KR 1020130025060 A KR1020130025060 A KR 1020130025060A KR 20130025060 A KR20130025060 A KR 20130025060A KR 101503342 B1 KR101503342 B1 KR 10150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ical
graph
item
dat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534A (ko
Inventor
정진엽
백롱민
황희
이기혁
유수영
윤종활
정은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34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임상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그래프에서 발생된 사용자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해당 영역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INICAL DATA SERVICE BASED EMR SYSTEM}
본 발명은 환자별 임상 진료의 추이적 특성을 파악하여 임상진단 결정을 통해 환자별 정확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의무기록(Electro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은 병원 진료 지원 업무 중 의료 기록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EMR 시스템은 신속한 업무 처리와 인력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기록의 신속한 전달과 활용이 가능하고 환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EMR 시스템은 모든 의료 기관의 전자 의료 기록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각 의료 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을 통일하고 시스템 및 서비스의 표준화를 통해 중복 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 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EMR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처방 및 임상 실험, 진료 의사 결정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 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EMR 시스템에서 의료진이 환자별 임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상기 임상 데이터별 전체 흐름을 파악하여 임상 관찰된 항목들의 결과로부터 중요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여 환자번호와 검색기간 등 임상 데이터 호출에 필요한 조건을 입력한 후 해당 임상 파트별 화면으로의 이동 후 각각의 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임상 파트의 결과 및 추이를 한 화면에서 비교,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모드를 통해 선택된 해당 모드에 따라 임상 항목 및 상기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여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 생성을 통해 입력된 입력값을 연결하고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 추이를 단일화면 내에서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임상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과정과,상기 표시된 그래프에서 발생된 사용자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해당 영역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타입별로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 하에 EMR 화면 상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필드별 데이터가 연속되어지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통해 개별 임상 항목별 데이터 추이를 표시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일 화면 내에서 개별 임상 항목별 그래프 간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개별 임상 항목별 연속적인 데이터 추이를 시각적으로 한 번에 조회 가능하며, 이로 인해 환자별 임상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서비스 수행 시 환자별 임상 항목별 변화 추이를 실시간 분석하여 안정적인 진료 서비스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 따른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제공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별 임상 진료의 추이적 특성을 파악하여 임상진단 결정을 통해 환자별 정확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모드를 통해 선택된 해당 모드에 따라 임상 항목 및 상기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여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 생성을 통해 입력된 입력값을 연결하고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별 임상 진료 추이를 실시간 분석 가능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개별 임상 항목별 그래프를 통합하여 단일영역에서 서로 다른 포트를 가지는 각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개별 임상 항목별 그래프 간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개별 임상 항목별 연속적인 데이터 추이를 시각적으로 한 번에 조회 가능하며, 이로 인해 환자별 임상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서비스 수행 시 환자별 임상 항목별 변화 추이를 실시간 분석하여 안정적인 진료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서 환자별 임상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실행한다.
112 과정에서는 환자별 임상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는 도 2 내지 도 12 걸쳐 EMR 화면상의 상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임상 관찰 입력, 임상 관찰 조회, 일자별 I/O, 시간대별 I/O를 포함한다.
114 과정에서는 상기 표시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임상 관찰 입력 서비스 모드 시 화면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R 화면 상단에 표시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임상 관찰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기설정된 임상 항목 즉, 활력 징후(214), 신체계측(216)이 기설정된 영역별로 표시되고,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예컨대, SBP(mmHg), DBP(mmHg), ISBP(mmHg), 키(cm), 몸무게(kg), BMI 등)를 해당 임상 항목의 하단(215, 217)에 각각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는 환자별 수행되는 진료 서비스에 따라 환자별 그 대상이 상이한 특이 시험군으로 정의된 개별 임상 항목으로 본 발명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개별 임상 항목에만 한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116 과정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가 표시된 영역(215, 217)을 도 2의 213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한다.
이때, 도 2의 213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기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 혹은 기간으로 213 영역이 분할될 수 있으며, 211 영역에 표시된 "-", "+" 버튼을 통해 해당 주기 및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118 과정에서는 상기 개별 임상 항목별로 분할된 기간별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 추이를 도 2의 224 영역에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그래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 영역(215, 217)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간에 걸쳐 이동하는 추이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된 것으로,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에 따라 해당 그래프의 타입별 정의된 포트(예컨대, 수평막대, 수직막대, 꺾은선, 띠 등)를 통해 하나의 좌표로 표시하여 실시간 입력된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입력값을 수집, 가공, 분류하여 실시간 환자 상태의 변동의 흐름을 시계열순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프는 225 영역에 표시된 각 설정 조건에 따라 처리 결과가 변동되어 표시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그래프 타입을 개별 임상 항목별로 매핑하여 해당 그래프를 DB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계속해서, 120 과정에서는 상기 표시된 그래프에서 발생된 사용자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해당 영역을 활성화한다.
상기 활성화는 해당 그래프의 소정 범위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함수적으로 변환하여 그래프 요소의 포트별 데이터 흐름을 계산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입력 화면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가 표시된 영역(310)의 일 측(312)에 현재 표시된 그래프가 나타내는 개별 임상 항목이 체크되고, 또 다른 일 측(314)에 현재 표시된 그래프의 그리드(grid)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버튼을 표시하여 해당 버튼 클릭 시 해당 그래프 범위(range)를 벗어난 자동값으로 범위를 계산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확장 버튼은 해당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표시된 그래프의 범위를 성인/소아에 따라 그래프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기본" 및 "소아" 버튼으로 해당 영역(4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610)에서 특정 범위를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 메타 데이터 및 이벤트를 상기 영역(610)의 하단(620, 630)에 각각 연속되어지게 표시된다.
즉,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임상 관찰 조회 서브 모드 시,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610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610)에서 사용자 제1 인터럽트가 발생된 해당 포트와 관련된 그래프를 상기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가 표시된 영역과 다른 제1 위치(620)에 표시하고, 사용자 제2 인터럽트가 발생된 해당 포트와 관련된 그래프를 상기 제1 위치(620) 영역을 분할하여 서브 영역(630)에 표시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일자별 I/O 서브 모드에서 그래프 시리즈 추가를 보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각 영역(11, 12)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그래프가 타입별로 구분되어 13 영역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임상 관찰 입력 모드에서 개별 임상 항목 선택 입력에 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모드 표시 영역(50)에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서 임상 관찰 입력 서브 모드(51)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를 필드별로 입력받는다.
상기 필드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상 항목에 대한 복수의 하위 엔티티(entity)가 종속관계로 정의되어 분류된 테이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514) 형태로 표시하여 하위 엔티티별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엔티티별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해당 필드의 입력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팝업 윈도우 형태의 테이블(5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상 항목 중 처방 혹은 처치에 해당하는 환자의 음식 섭취량을 나타내는 주식, 부식 및 간식에 관한 상위 메뉴가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각 상위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 및 상기 하위 메뉴의 개별 아이템이 트리구조로 계층화되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받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각 상위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 및 개별 아이템에 대한 총합을 계산하여 해당 테이블(514) 내의 일 영역(515)에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해당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필드에 총합이 입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임상 관찰 입력 모드에서 개별 임상 항목 선택 입력 시 그래프 표시 동기화에 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710 영역의 동기 혹은 비동기 버튼을 통해 상기 필드별 입력값을 그래프 생성과 동기화하여 해당 필드 내 입력값의 입력과 동시에 해당 그래프의 입력값별 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값별 포트를 연속되어 지게 연결하여 임상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비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일자 선택이 가능한 기설정된 간격으로 날짜가 표시된 슬라이딩 바(712)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슬라이딩 바의 방향키 스크롤링을 통해 해당 그래프의 그리드가 설정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일자별 I/O 조회 서브 모드 시 그래프 표시에 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EMR 화면 내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811 영역이 일자별 I/O 조회 서브 모드 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에 종속되어 지는 혹은 상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을 종속하는 개별 임상 항목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종속 관계에 해당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그래프를 동시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이 섭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섭취량에 종속되어 지는 배설량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8의 810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환자로부터 플러스(+)에 해당하는 섭취량 및 마이너스(-)에 해당하는 배설량을 막대 포트(85)를 이용하여 포트별 0점(80)을 기준으로 색으로 차별화하여 구분되게 각각 표시한다.
또한, 811 영역이 시간대별 I/O 조회 서브 모드 시 810 영역에 도시된 그래프는 설정된 시간대별 해당 포트(85)에서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최고(81)/최소(82) 값이 소계되어 표시되고, 812 영역에는 810 영역에 표시된 해당 그래프에 대응하는 몸무게 추이를 꺾은선 포트를 이용하여 가이드 한다.
이 밖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를 910 영역에 꺾은선 포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지게 표시하고 상기 910 영역에 표시된 개별 임상 항목과 종속 관계에 해당하는 몸무게에 대한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를 912 영역에 또한 꺾은선 포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지게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프는,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별 각 데이터에 대한 포트를 최적화하여 표시 가능한 해당 그래프 타입이 미리 지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임상 관찰 조회 서브 모드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14 영역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임상 관찰 조회 서브 모드가 선택되어 소정의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이력 조회 시 이전 기록 조회 창을 팝업 형태(15)로 표시하고, 팝업 윈도우(15) 내 일 측에 이벤트가 발생된 해당 날짜가 하이라이트된 캘린더(16)가 표시되고, 또 다른 일 측에 기간별 발생된 이벤트 리스트(17)가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 발생에 따라 해당 기간 내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그래프로 생성하여 18 영역에 표시한다.
그 밖에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일자별 I/O 조회 모드 시 개별 임상 항목별 누적조회에 관한 화면 예시도에 관한 것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19 영역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기간 동안의 개별 임상 항목별 데이터의 각 추이를 개별 임상 항목별 기지정된 최적화된 그래프 타입에 따라 누적하여 표시된다.
또한, 19 영역의 하단(20)에는 상기 19 영역에 표시된 각 그래프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이 마커된 영역을 활성화시켜 해당 그래프에 대한 속성을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장치(100)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장치(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 감지부(32), 제어부(33), 영역 활성화부(34) 및 그래프 생성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은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3)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환자별 진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EMR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EMR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를 EMR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EMR 화면을 통해 입력된 환자별 임상 데이터 값을 상기 EMR 서비스 서버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35)는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타입별로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 하에 EMR 화면상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필드별 데이터가 연속되어지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통해 개별 임상 항목별 데이터 추이를 표시한다.
상기 감지부(32)는 EMR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럽트 및 제스처가 발생된 영역을 판별하여 제어부(33)로 출력하고, 상기 영역 활성화부(34)는 감지부(32)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해당 영역을 활성화하여 단위 별로 제어부(33)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3)는, 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된 영역이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서 임상 관찰 입력 서브 모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를 필드별로 입력받고, 상기 필드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상 항목에 대한 복수의 하위 엔티티(entity)가 종속관계로 정의되어 분류된 테이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을 팝업 윈도우 형태로 표시하여 하위 엔티티별 해당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엔티티별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해당 필드의 입력값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그래프의 소정 범위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함수적으로 변환하여 그래프 요소의 포트별 데이터 흐름을 포트 계산부(36)를 통해 계산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그래프 생성부(35)를 통해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에서 특정 범위를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이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33)은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필드별 입력값을 그래프 생성과 동기화하여 해당 필드 내 입력값의 입력과 동시에 해당 그래프의 입력값별 포트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입력값 별 포트를 연속되어 지게 연결하여 임상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2: 감지부
33: 제어부 34: 영역 활성화부
35: 그래프 생성부 36: 포트 계산부

Claims (16)

  1.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임상적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브 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그래프에서 발생된 사용자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해당 영역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서 임상 관찰 입력 서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를 필드별로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필드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상 항목에 대한 복수의 하위 엔티티(entity)가 종속관계로 정의되어 분류된 테이블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을 팝업 윈도우 형태로 표시하여 하위 엔티티별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엔티티별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해당 필드의 입력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그래프의 소정 범위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함수적으로 변환하여 그래프 요소의 포트별 데이터 흐름을 계산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에서 특정 범위를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이벤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필드별 입력값을 그래프 생성과 동기화하여 해당 필드 내 입력값의 입력과 동시에 해당 그래프의 입력값별 포트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입력값별 포트를 연속되어 지게 연결하여 임상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비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일자 선택이 가능한 기설정된 간격으로 날짜가 표시된 슬라이딩 바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슬라이딩 바의 방향키 스크롤링을 통해 해당 그래프의 그리드가 설정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드 중 일자별 I/O 조회 서브 모드 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에 종속 되어지는 혹은 상기 선택된 개별 임상 항목을 종속하는 개별 임상 항목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종속 관계에 해당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그래프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드 중 시간대별 I/O 조회 서브 모드 시,
    상기 그래프는 설정된 시간대별 해당 포트에서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에 대한 최고/최소 값을 소계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드 중 임상 관찰 조회 서브 모드 시,
    소정의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이력 조회 시 이전 기록 조회 창을 팝업 형태로 표시하고, 팝업 윈도우 내 일측에 이벤트가 발생된 해당 날짜가 하이라이트된 캘린더가 표시되고, 또 다른 일측에 기간별 발생된 이벤트 리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 발생에 따라 해당 기간 내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그래프로 생성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드 중 임상 관찰 조회 서브 모드 시,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에서 사용자 제1 인터럽트가 발생된 해당 포트와 관련된 그래프를 상기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가 표시된 영역과 다른 제1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 제2 인터럽트가 발생된 해당 포트와 관련된 그래프를 상기 제1 위치 영역을 분할하여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임상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 기설정된 임상 항목 및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의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임상 항목별 개별 임상 항목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기간별로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별 임상 항목별 입력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필드별 대응하는 입력값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기간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타입별로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 하에 EMR 화면상 개별 임상 항목에 대한 필드별 데이터가 연속되어지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를 통해 개별 임상 항목별 데이터 추이를 표시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상 데이터 서비스 타입별 서브 모드에서 임상 관찰 입력 서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를 필드별로 입력받고, 상기 필드별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상 항목에 대한 복수의 하위 엔티티(entity)가 종속관계로 정의되어 분류된 테이블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을 팝업 윈도우 형태로 표시하여 하위 엔티티별 해당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엔티티별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해당 필드의 입력값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MR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럽트 및 제스처가 발생된 영역을 판별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해당 영역을 활성화하여 단위별로 제어부에 출력하는 영역 활성화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프의 소정 범위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함수적으로 변환하여 그래프 요소의 포트별 데이터 흐름을 포트 계산부를 통해 계산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임상 항목 선택 시 그래프 생성부를 통해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와 관련된 그래프를 합성하여 항목별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그래프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상이한 포트를 가지는 임상 항목별 그래프가 합성되어 표시된 그래프 표시 영역에서 특정 범위를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이벤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임상 항목 진료 데이터에 대한 필드별 입력과 그래프 표시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모드가 동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필드별 입력값을 그래프 생성과 동기화하여 해당 필드 내 입력값의 입력과 동시에 해당 그래프의 입력값별 포트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입력값별 포트를 연속되어 지게 연결하여 임상 항목별 임상 진료의 추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30025060A 2013-03-08 2013-03-08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0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60A KR101503342B1 (ko) 2013-03-08 2013-03-08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60A KR101503342B1 (ko) 2013-03-08 2013-03-08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34A KR20140110534A (ko) 2014-09-17
KR101503342B1 true KR101503342B1 (ko) 2015-03-18

Family

ID=5175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060A KR101503342B1 (ko) 2013-03-08 2013-03-08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59B1 (ko) 2015-07-03 2016-02-17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차륜 검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340A (ko) * 2008-10-14 2010-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건강정보관리방법
KR20120011583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136087B1 (ko) 2009-11-09 2012-04-17 서울대학교병원 병원 emr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4951216B2 (ja) * 2005-07-05 2012-06-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臨床検査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分析装置、並びに臨床検査情報処理用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216B2 (ja) * 2005-07-05 2012-06-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臨床検査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分析装置、並びに臨床検査情報処理用のプログラム
KR20100041340A (ko) * 2008-10-14 2010-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건강정보관리방법
KR101136087B1 (ko) 2009-11-09 2012-04-17 서울대학교병원 병원 emr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1583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34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10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of retinal changes
KR101468917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4798074A (zh) 产生患者参数数据的用户界面显示的系统和方法
JP4384692B2 (ja) プロジェクト情報表示装置、プロジェクト情報表示方法、プロジェク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カルテ情報表示装置
WO2017059597A1 (zh) 医用监护系统、显示监护数据的方法和监护显示装置
US9646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portions of a waveform
US20150278483A1 (en) System and Technique To Document A Patient Encounter
CN108985483A (zh) 一种药品销量预测的方法
JP2012042225A (ja) 臨床検査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03342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임상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6027B1 (ko)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58555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480427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진료정보 기록 작성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353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ne Or More Waveforms
US20150235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ne Or More Waveforms
JP6087086B2 (ja) 心理データ収集装置、心理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および心理データ収集方法
EP3547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irculatory disease potential
CN116234494A (zh) 血压关联信息显示装置、血压关联信息显示方法、以及程序
JP6812646B2 (ja) 工作機械用操作盤
JP4922644B2 (ja) 時系列分析プログラム、時系列分析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時系列分析装置
KR101480429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04259227A (ja) クリティカルパス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23037616A1 (ja) 経路生成表示装置および経路生成表示方法
US20140324461A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with contextual drill down reports
KR102602465B1 (ko) 순환계질환 발생잠재도 출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