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809B1 - 다중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809B1
KR101501809B1 KR1020120104691A KR20120104691A KR101501809B1 KR 101501809 B1 KR101501809 B1 KR 101501809B1 KR 1020120104691 A KR1020120104691 A KR 1020120104691A KR 20120104691 A KR20120104691 A KR 20120104691A KR 101501809 B1 KR101501809 B1 KR 10150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main
driving
power
mai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595A (ko
Inventor
오성택
정석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8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세 구동 대상물을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원의 최소화를 통한 원가 상승의 방지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중 동력 배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메인 동력원; 상기 메인 동력원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메인 드라이빙 휠; 서로 별개의 구동 대상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보조 드라이빙 휠;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을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동작되는 연동 조작부; 그리고,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축 방향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 대상물을 구동시키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동력 전달장치{device for transmitting of power to multi direction}
본 발명은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복수의 구동 대상물 중 적어도 어느 한 구동 대상물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 전달장치라 함은 모터 등의 동력원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구동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 중 단일의 동력원으로 복수의 구동 대상물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통상적으로는 전자클러치가 제공되고 있다. 즉, 전자클러치에 의해 각 구동 대상물로의 구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구동 대상물로만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2방향 동력 전달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동력 전달장치는 전자클러치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동력원(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상기 전자클러치를 이루는 디스크/허브 조립체(21)를 통해 상기 전자클러치에 연결된 어느 한 구동 대상물(1)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클러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기어(22)를 통해 다른 한 구동 대상물(2)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2방향 동력 전달장치는 단지 두 구동 대상물(1,2)에 대한 구동력 전달만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셋 이상의 구동 대상물을 갖는 장치에는 그 적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셋 이상의 구동 대상물을 갖는 장치에는 상기한 2방향 동력 전달장치에 부가하여 별도 동력원(예컨대, 전기모터)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한 것이다.
특히, 최근에 들어 자동차 부품들의 연결구조가 전동화 및 지능화가 되면서 많은 모터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은 2방향 동력 전달장치로는 상기한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추가로 필요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한 원가 상승이 초래된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차량에 사용되는 각 구동 대상물 중 일부의 구동 대상물의 경우는 사용 빈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추가적인 동력원이 사용됨에 따라 원가의 상승뿐 아니라 설치 공간의 손실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 역시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세 구동 대상물을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원의 최소화를 통한 원가 상승의 방지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중 동력 배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메인 동력원; 상기 메인 동력원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메인 드라이빙 휠; 서로 별개의 구동 대상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보조 드라이빙 휠;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을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동작되는 연동 조작부; 그리고,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축 방향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 대상물을 구동시키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의 둘레면에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각 마찰부재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 조작부는 조작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의 직경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플런저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에는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측 부위는 회전 중심을 이루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는 볼 스크류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플런저 간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디스크 조립체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 조립체와, 상기 풀리 조립체에 고정되면서 전원 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상기 풀리 조립체가 상기 디스크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필드코일 및 필드코어로 이루어진 필드코일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단일의 모터(메인 동력원)를 통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셋 혹은, 그 이상의 구동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음에 따라 각 구동 대상물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은 모터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른 원가의 저감 및 공간 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추가로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동력 전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중 동력 전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차량의 틸티/텔레 기능이 포함된 모터 구동 조향장치 또는, 전동 차량 시트와 같이 복수의 모터를 이용하여 각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후술될 실시예에서는 그 적용 부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배분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을 토대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배분장치는 크게 메인 동력원(100)과,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복수의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과, 연동 조작부(400) 및 클러치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 동력원(100)은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구동원으로써, 전기모터가 될 수도 있고, 차량의 엔진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 동력원(100)이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은 상기 메인 동력원(1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부위로써,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 드라이빙 휠(200)이 상기 메인 동력원(100)에 축결합됨으로써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 동력원(100)과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 간을 복수의 기어나 벨트 등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구동되는 부위로써,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측 부위 중 서로 간의 이동 및 동작에 간섭받지 않는 부위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의 둘레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과 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이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 양측에 각각 인접된 상태로 후술될 연동 조작부(400)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의 회전 중심에는 서로 다른 구동 대상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311,321)이 각각 구비되며, 이때 상기 출력축(311,321)은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실시예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의 둘레면에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202,312,322)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각 마찰부재(202,312,322)는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 모두를 고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 조작부(400)는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을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동작되는 부위로써, 조작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410)와, 상기 액츄에이터(410)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직경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플런저(420)와, 상기 플런저(420)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로 전달하여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연결 로드(430,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420)는 볼 스크류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10)와 상기 플런저(420) 간은 벨트 혹은, 기어 등의 연결부재(411)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양로드 실린더(double rod cylinder)로 구성하여 두 로드 중 어느 한 로드는 상기 어느 한 보조 드라이빙 휠(310)에 연결되도록 함과 더불어 다른 한 로드는 상기 다른 한 보조 드라이빙 휠(320)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플런저가 양측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 로드(430,440)는 일단이 상기 플런저(42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bar)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로드(430,440)의 중앙측 부위는 본 발명의 다중 동력 전달장치가 설치되는 기기의 어느 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회전 중심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각 연결 로드(430,440)에는 별도의 조작력 전달이 없을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410)의 플런저(42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복원부재(도시는 생략됨)가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클러치부(500)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에 접촉되면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 대상물을 구동시키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클러치부(500)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축 방향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 대상물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러치부(500)는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조립체(510)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 조립체(520)와, 상기 풀리 조립체(520)에 고정되면서 전원 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상기 풀리 조립체(520)가 상기 디스크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필드코일(531) 및 필드코어(532)로 이루어진 필드코일 조립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필드코일(531)로의 전원 인가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풀리 조립체(520)가 디스크 조립체(5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상기 풀리 조립체(520)로도 전달됨과 더불어 상기한 풀리 조립체(520)의 회전에 의해 이 풀리 조립체(520)와 연결된 별도의 구동 대상물 역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의 동작에 의한 각 구동 대상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어느 한 보조 드라이빙 휠(이하, “제1보조 드라이빙 휠”이라 함)(3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대상물은 제1구동 대상물이라 하고, 다른 한 보조 드라이빙 휠(이하, “제2보조 드라이빙 휠”이라 함)(3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대상물은 제2구동 대상물이라 하며, 클러치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대상물은 제3구동 대상물이라 한다.
우선, 최초의 상태에서는 클러치부(50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클러치부(500)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510)와 풀리 조립체(520)가 서로 이격되어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차단됨과 더불어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 간의 접촉 역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다.
특히, 상기의 상태에서는 메인 동력원(10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메인 드라이빙 휠(200) 및 이에 결합된 디스크 조립체(510)만이 회전될 뿐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과,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 및 클러치부(500)의 풀리 조립체(520)는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제1구동 대상물과 제2구동 대상물 및 제3구동 대상물로의 구동력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전술된 바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구동 대상물, 제2구동 대상물 혹은, 제3구동 대상물에 대한 구동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구동 대상물을 구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클러치부(500)로는 계속해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연동 조작부(400)를 이루는 액츄에이터(410)의 동작 제어를 통해 플런저(420)가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에 연결된 연결 로드(이하, “제1연결 로드”라 함)(430)의 일측 끝단을 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연결 로드(430)는 중앙측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 로드(43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과 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과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각 마찰부재(312,202)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상기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은 그의 출력축(311)을 통해 제1구동 대상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 대상물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2구동 대상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음과 더불어 클러치부(500)를 이루는 풀리 조립체(520)는 디스크 조립체(51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3구동 대상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2구동 대상물을 구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클러치부(500)로는 계속해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연동 조작부(400)를 이루는 액츄에이터(410)의 동작 제어를 통해 플런저(420)가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에 연결된 연결 로드(이하, “제2연결 로드”라 함)(440)의 일측 끝단을 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연결 로드(440)는 중앙측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연결 로드(44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과 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과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각 마찰부재(322,202)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상기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은 그의 출력축(321)을 통해 제2구동 대상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2구동 대상물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1구동 대상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음과 더불어 클러치부(500)를 이루는 풀리 조립체(520)는 디스크 조립체(51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3구동 대상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3구동 대상물을 구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클러치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의 경우, 상기 클러치부(500)의 필드코일 조립체(530)를 이루는 필드코일(531)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풀리 조립체(520)가 디스크 조립체(510)에 접촉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와 같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부(500)의 풀리 조립체(520)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와 함께 회전되면서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상기 풀리 조립체(52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은 제3구동 대상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3구동 대상물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보조 드라이빙 휠(310) 및 제2보조 드라이빙 휠(320)은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1구동 대상물 및 제2구동 대상물로는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단일의 메인 동력원(10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세 개의 구동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로 따라 모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원가의 저감 및 공간 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구동 대상물로만 메인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력 배분장치에 별도의 두 보조 드라이빙 휠 및 상기 두 보조 드라이빙 휠의 선택적인 조작을 위한 별도의 연동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총 다섯 개의 구동 대상물에 대한 선택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다중 동력 전달장치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메인 동력원 200. 메인 드라이빙 휠
310. 제1보조 드라이빙 휠 320. 제2보조 드라이빙 휠
311,321. 출력축 202,312,322. 마찰부재
400. 연동 조작부 410. 액츄에이터
411. 연결부재 420. 플런저
430. 제1연결 로드 440. 제2연결 로드
500. 클러치부 510. 디스크 조립체
520. 풀리 조립체 530. 필드코일 조립체
531. 필드코일 532. 필드코어

Claims (6)

  1.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메인 동력원(100);
    상기 메인 동력원(10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 동력원(1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메인 드라이빙 휠(200);
    서로 별개의 구동 대상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을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동작되는 연동 조작부(400); 그리고,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축 방향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 대상물을 구동시키는 클러치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조작부(400)는
    조작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410)와,
    상기 액츄에이터(410)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의 직경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플런저(420)와,
    일단은 상기 플런저(42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에는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측 부위는 회전 중심을 이루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로드(430,4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상기 각 보조 드라이빙 휠(310,320)의 둘레면에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202,312,32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각 마찰부재(202,312,322)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420)는 볼 스크류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10)와 상기 플런저(420) 간은 연결부재(411)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500)는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드라이빙 휠(200)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조립체(510)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로부터 선택적인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 조립체(520)와,
    상기 풀리 조립체(520)에 고정되면서 전원 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상기 풀리 조립체(520)가 상기 디스크 조립체(51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필드코일(531) 및 필드코어(532)로 이루어진 필드코일 조립체(5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동력 전달장치.
KR1020120104691A 2012-09-20 2012-09-20 다중 동력 전달장치 KR10150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691A KR101501809B1 (ko) 2012-09-20 2012-09-20 다중 동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691A KR101501809B1 (ko) 2012-09-20 2012-09-20 다중 동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595A KR20140038595A (ko) 2014-03-31
KR101501809B1 true KR101501809B1 (ko) 2015-03-11

Family

ID=5064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691A KR101501809B1 (ko) 2012-09-20 2012-09-20 다중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710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동력 전달장치용 전자 클러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68A (ko) * 1999-08-23 2002-04-04 주일환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JP2012162222A (ja) * 2011-02-09 2012-08-30 Denso Corp 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68A (ko) * 1999-08-23 2002-04-04 주일환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JP2012162222A (ja) * 2011-02-09 2012-08-30 Denso Corp 動力伝達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710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동력 전달장치용 전자 클러치
KR101925547B1 (ko) 2012-12-26 2019-02-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동력 전달장치용 전자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595A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051B2 (en) Motor drive unit
CN103660907B (zh) 用于机动车的具有电机和离合器的驱动单元
US20170313181A1 (en) Drive unit
US20170313182A1 (en) Drive unit
CN107735926B (zh) 具有内置速度变换器的旋转电机
US10203029B2 (en) Motor drive unit
US20170227104A1 (en) Torque vectoring device
DE112019003448T5 (de) Kupplungsvorrichtung
WO2014196420A1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109642654A (zh) 用于机动车辆的差速器
CN104583626A (zh) 用于离合器的补偿磨损的操纵元件
KR101501809B1 (ko) 다중 동력 전달장치
US11555538B2 (en) Disconnector apparatus
JP2011185398A (ja) 変速機駆動装置
KR20220088482A (ko) 조향 시스템 및 차량
KR101190229B1 (ko) 전동 모터
CN110311509A (zh) 一种单电机多路输出机构
CN106165274A (zh) 磁耦合组件
CN104919687B (zh) 具有减少齿槽磁滞的磁性制动器
CN106195057A (zh) 农业机械发动机电磁离合器
DE102016203285A1 (de) Drehungstrennanordnung für einen antriebsstrang
JP6696271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5432408B1 (ja) 互いに逆回転する複数の大口径薄型の回転電機を電気自動車の駆動用モーターとして使う場合に適する変速装置
CN102882336B (zh) 牵引系统以及适用于牵引系统的电磁作动装置
JP2005282640A (ja) 電磁式カップ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