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03B1 -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03B1
KR101501103B1 KR1020110037661A KR20110037661A KR101501103B1 KR 101501103 B1 KR101501103 B1 KR 101501103B1 KR 1020110037661 A KR1020110037661 A KR 1020110037661A KR 20110037661 A KR20110037661 A KR 20110037661A KR 101501103 B1 KR101501103 B1 KR 10150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advertisement
cod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607A (ko
Inventor
이원주
박준선
주병선
임민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장치는 카트(cart)에 구비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소비자별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for Car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대형 할인 마트 내 소비자의 상황 정보(context)에 따라 선택적인 광고를 제공하고, 제공한 광고를 통해 상품에 관련되는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아 상품 제조사와 소비자 간 상품 구매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부분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대형 할인 마트 등에서는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대량으로 거래되고 있는데, 사람들은 이러한 대형 할인 마트에서 각종 생활용품 등을 일반 소매점에서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할인 마트 등에서 쇼핑을 할 경우 상품을 진열 매장에서 선택하여 계산대 및 주차장까지 운반하기 위한 고객용 손수레, 즉 카트가 쇼핑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소비자들은 카트를 끌고 다니면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적재하여 쇼핑을 하며, 최종적으로 상품이 적재된 카트를 계산대로 운반하여 정산을 하고, 이를 주차장 등으로 운반하여 자신의 자동차 트렁크 등에 적재하게 된다.
한편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광고하는 광고주들은 상품의 광고에 따른 판매 효과가 극대화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종래에는 매장 내의 모든 고객에게 획일적으로 동일한 광고가 제공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에서의 상품에 대한 광고는 이벤트성 행사를 통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매장 입구 또는 특정 품목이 진열된 가판대에 설치된 광고판을 통해 그 주위를 이동하는 고객들에게 일방적으로 광고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구매 가능성이 거의 없는 고객에게까지 일률적으로 광고가 전달되기 때문에, 광고주는 상품의 광고를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함에도 불구하고 상품의 구매 개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아울러 광고에 따른 상품의 매출 증가와 같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광고의 직접적인 효과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로 인해 이후의 광고 전략 등을 수립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트마다 구비되는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의 상황에 맞는 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고, 제조사 즉 광고주에게는 카트의 단말기를 통해 피드백되는 구매 혜택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 주어 가령 상품 제조시 활용하거나 타겟 광고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장치는 카트(cart)에 구비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소비자별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는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온라인 접속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비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선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풀 광고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소비자별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는 카트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의 AP 정보를 취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제공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및 상기 광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풀 광고의 수신시 상기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은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풀 광고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소비자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구동 방법은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온라인 접속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비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선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풀 광고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별로 상기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카트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의 AP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풀 광고의 수신시 상기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형 할인 마트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자신의 상황에 맞는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광고 시청에 따른 혜택을 줌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서는 많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할인 혜택에 따른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광고로부터 피드백되는 소비자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상품 제조사 입장에서는 타겟 광고가 가능하게 되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이 특정 연령대에 호의적인 반응이 있었다면 그 연령대에 맞는 광고 전략을 집중적으로 수립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광고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10) 및 광고 서비스 장치(120)를 포함하며, 카트용 단말기(100) 및 광고주 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용 단말기(100)는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 마트 등에 구비되는 카트에 장착되는 단말기로서, 광고 서비스 장치(12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망인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등도 함께 사용하여 무선 초고속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트용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에 사용되는 클라우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100)는 대형 할인 마트 내 소비자의 위치 및 개인정보 등의 상황 정보(context)에 따라 제공되는 푸쉬(push)/풀(pull) 광고를 제공받아 소비자가 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푸쉬 광고란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소비자의 위치 및 개인정보에 근거해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품 광고 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풀 광고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가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소비자로부터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피드백 받고자 하는 스탬프(stamp), 쿠폰, 서베이, 샘플 응모 등에 관련되는 할인 혜택 관련 광고를 나타낸다.
이러한 푸쉬/풀 광고를 제공받기 위하여 소비자는 가령 카트용 단말기(100)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카트에 대한 이용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또한 카트를 매장 내 상품 진열대로 진입시 지그비(Zig bee)나 초광대역(Ultra WideBand)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한 소비자의 위치 파악을 통해 상품 카테고리별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을 위하여는 소비자가 입력한 회원번호(Membership number)나 주민등록번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회원 카드를 삽입하거나 카드의 스와이핑(Swiping)을 통해 제공되는 회원 정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소비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해 무선 비접촉 방식으로 제공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련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 관련 정보로는 심(SIM) 또는 유심(USIM) 카드에 저장된 모바일카드정보나 계좌번호와 같은 금융정보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인증을 통해서는 카트의 구동을 위하여 카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다양한 방식에 따라 인증이 완료되면, 다시 말해 소비자가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해 자신에게 해당되는 광고 등의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카트용 단말기(100)는 통신사 또는 대형 할인 마트 등에서 운용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푸시/풀 광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해 준다. 이때 푸시/풀 광고를 제공받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100)는 상품의 바코드 정보 또는 상품군의 태그 정보를 판독한 판독 정보를 이용하거나 상품 진열대마다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의 AP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카트용 단말기(100)가 상품 진열대마다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해 AP 정보를 취득하여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게 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수신한 AP 정보에 근거하여 카트용 단말기(100)로 푸시/풀 광고를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이때 카트용 단말기(100)는 AP 정보로서 단순히 장치 ID(Identification)만이 아니라, 맥 어드레스나 신호 세기 정보 등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각 상품 진열대마다 더욱 세분화하여 진열되는 상품들을 구별하여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가령 특정 AP가 구비되는 상품 진열대가 생활 용품 코너이고, 생활 용품 코너에는 샴프, 화장품 및 세제 등 다양한 상품들이 진열된다면 이와 같은 세부 상품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신호 세기 등의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어떤 상품이 어느 신호 세기의 범위에 해당되는지와 관련해서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의 운용자가 별도의 설정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100)는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의 바코드 등을 판독하고 판독한 상품의 카운팅 또는 통계를 이용함으로써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에 근거하는 푸시/풀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판독되는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 카트용 단말기(100)가 자체적으로 통계를 내어 대표 상품정보를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함으로써 푸시/풀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판독되는 바코드 정보를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바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화장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다른 상품에 비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카트용 단말기(100)는 화장품에 관련되는 푸시/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며, 예컨대 무선통신망으로서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110)은 동기식(CDMA) 및 비동기식(WCDMA)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가령 서버로서 광고정보 DB(120a)를 포함하며,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카트용 단말기(100) 및 광고주 장치(130)에 연동한다. 카트용 단말기(100)와의 연동에 따라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AP 정보 또는 태그와 바코드 정보와 같은 상품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AP 정보 또는 상품 코드 관련 정보에 근거하는 푸시/풀 광고를 광고정보 DB(120a)로부터 추출하여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해 준다. 이의 과정에서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를 이용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선행함으로써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광고 제공 여부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AP 정보가 취득되어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 제공되었다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복수의 AP 정보 중 가장 신호 세기가 큰 AP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AP 정보에 근거한 광고를 제공해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선택된 AP 정보로부터 신호 세기를 구분해 냄으로써 현재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마트 내 어느 상품 진열대에 위치하고 있고, 또 특정 상품 진열대 중에서도 어느 상품군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별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최적의 광고를 선별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외에 만약 카트용 단말기(100)가 RFID 리더기를 가동하여 주변에 취득되는 태그 또는 바코드 관련 정보를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 제공하였다면 각각의 코드 관련 정보가 어떤 상품군에 해당되는지, 만약 다양한 상품군의 코드 관련 정보가 제공되었다면 가장 많이 검출된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로 선정하여 해당 상품군에 해당되는 광고를 제공해 주게 된다.
또한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된 푸시/풀 광고를 통해 피드백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별로 포인트, 할인 혜택 등을 광고정보 DB(120a)에 구분하여 저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에 제공해 줌으로써 상품 제조사, 즉 광고주로부터 타겟 광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특정 화장품 회사의 신상품에 대한 광고 보기, 샘플 응모 등의 과정을 수행한 연령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해 주었다면, 광고주 장치(1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연령대를 타겟으로 하는 광고를 제작하여 다시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처리부(200) 및 광고정보 처리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래픽 처리부(200)는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처리되는 정보 전반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카트용 단말기(100) 및 광고주 장치(130) 등과 연동하기 위하여 정보 변환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정보 처리부(210)는 상품정보 분석부(211), 푸시/풀 광고 처리부(213) 및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215)를 포함한다.
상품정보 분석부(211)는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취득하여 제공하는 AP 정보 또는 코드 관련 정보를 트래픽 처리부(200), 더 정확하게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수신하여 해당 AP 정보 또는 코드 관련 정보를 분석해 상품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AP 정보가 제공된 경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정보를 카트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상품 진열대의 상품군에 대한 카테고리별 상품정보로 선택한다. 이를 위하여 상품정보 분석부(211)는 AP 정보로부터 신호 세기를 계산하여 신호 세기가 제일 큰 AP 정보를 추출하고, 더 나아가 추출한 AP 정보로부터 신호 세기가 얼마인지를 계산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RFID 리더기가 가동되어 상품의 바코드 또는 태그 정보가 상품정보 분석부(211)로 제공되었다면 상품정보 분석부(211)는 다수의 바코드 또는 태그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은 상품 종류에 해당되는 상품을 대표 상품 정보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생활용품 코너에서 10개의 바코드 정보가 제공되었는데 그 중 5개가 화장품에 대한 정보였고 2개는 세제, 나머지 3개는 샴프에 대한 정보였다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대표 상품 정보로 산출하게 된다.
푸시/풀 광고 처리부(213)는 상품정보 분석부(211)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에 근거해 광고정보 DB(120a)를 검색하여 관련 푸시/풀 광고를 추출하고, 추출한 해당 광고들을 정렬하여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해 준다. 또한 광고주 장치(130)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광고 정보를 처리하여 광고주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푸시/풀 광고를 광고정보 DB(120a)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215)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213)에서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한 광고를 통해 피드백되는 스탬프, 쿠폰, 포인트, 샘플 응모와 같이 해당 소비자가 향후 상품구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할인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한다. 가령 A라는 소비자로부터 포인트 정보만이 수신되었다면 해당 소비자의 포인트를 확인하여 적립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215)에서 처리된 정보는 다시 광고정보 DB(120a)에 저장된다. 더 나아가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215)는 서베이 등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베이의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해 주거나, 별도의 분석 과정을 수행한 경우라면 분석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광고주 장치(130)는 특정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서버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대형 할인 마트 등에 공급되어 판매되는 다양한 상품에 대한 특정 제조사의 상품 광고를 제작해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 제공한다. 또한 광고주 장치(130)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마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한 풀/푸시 광고를 통해 피드백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전달받아 특정 상품이 타겟으로 하는 연령대나 계층 등에 대한 광고를 다시 준비하거나 제작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카트용 단말기(100)로 광고 제공시 신상품에 대한 서베이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한 경우 광고주 장치(130)는 서베이 등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향후 제품의 개발 방향을 예측하거나 새로운 판매 촉진 프로그램을 강구해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광고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카트용 단말기(100)는 가령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취득되는 주변 AP 정보 또는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마트 내에 위치하는 자신의 위치정보로서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한다(S301). 이때 AP 정보는 상품 진열대마다 구비되는 AP에 대한 장치 ID, 맥 어드레스 또는 신호 세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코드 관련 정보는 상품마다 부착된 바코드 정보이거나 상품군마다 표시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제공한 AP 정보 또는 코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정보를 근거로 광고정보 DB(120a)를 검색하여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하기 위한 광고를 추출한다(S303). 이와 관련해 광고 서비스 장치(120)의 운용자는 실질적으로 AP 정보와 상품군을 서로 매칭시켜 광고정보 DB(120a)에 기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상품정보에 근거하는 광고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코드 관련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AP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상품의 바코드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에는 세부 상품군을 구별하기 위하여 수신된 바코드 정보의 카운팅 또는 통계를 통해 대표 상품군을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광고정보 DB(120a)로부터 추출한 푸시/풀 광고를 카트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며(S305), 전송한 푸시/풀 광고에 포함되는 스탬프, 포인트, 샘플 응모와 같이 할인 혜택이 부여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피드백 받게 된다(S307). 여기서 푸시 광고는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서 카트용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동영상 형태로 반복 상영되는 제품 광고라면, 풀 광고는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피드백 받기 위한 정지영상 형태의 광고를 나타낸다.
상품구매 관련정보가 수신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수신한 상품구매 관련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309). 여기서 "분석을 수행한다"는 것은 어떤 소비자로부터 어떤 상품구매 관련정보가 피드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소비자들에게 어떤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반영해 주어야 할지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소비자는 제품 광고를 시청한 후에 쿠폰만을 모으기를 원한다면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쿠폰만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서베이에 참여한 후 포인트 모으기를 추가로 수행하였다면 이를 확인하여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가령 서베이에 대한 결과가 수신된 경우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여 해당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해 주거나, 별도의 분석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S311). 이와 같이 소비자의 서베이 등에 대한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해 주면 특정 상품의 제조사들은 결과를 분석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가령 마트 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광고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라면 광고주 장치(130)는 새로운 타겟 광고를 제작하여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S313).
결국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시청한 광고, 소비자의 구매 정보 및 광고 시청 시점 등을 연결해 줌으로써 광고주, 즉 제조사들에게 타겟 광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광고 효과 분석, 광고와 상품 구매 연계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소비자에게는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키고 동시에 광고 시청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카트용 단말기(100)로 푸시/풀 광고가 제공될 때,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화면의 좌측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푸시 광고로서 특정 제품에 대한 동영상이 반복 상영되고, 그 우측에는 동영상으로 광고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기 위한 풀 광고가 표시된다. 이때 푸시 광고 내에는 광고가 다 상영된 후 화면에 스탬프를 클릭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된다.
광고 시청 후 스탬프를 클릭하게 되면 카트용 단말기(100)는 도 4b에서와 같이 지금까지 해당 할인 마트에서 특정 소비자가 제공받은 스탬프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탬프 정보는 소비자가 광고 시청 후 나타내는 스탬프를 클릭하여 소비자의 DB에 해당 스탬프를 누적시키고 일정 스탬프가 모이면 사은품 증정과 같이 스탬프에 해당되는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a에서 볼 때 좌측의 풀 광고는 예컨대 동영상 보고 쿠폰 모으기, 서베이하고 포인트 모으기, 신상품의 샘플 응모와 같이 소비자들이 할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향후 상품구매에 관련되는 항목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샘플 응모와 같은 광고는 신상품의 판매 위치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4e는 도 4a의 화면에서 풀 광고의 각 항목들을 선택했을 때 카트용 단말기(100)에 나타내는 서브 화면으로서 쿠폰 모으기를 클릭하게 되면 도 4c에서와 같이 내 쿠폰함에 쿠폰이 저장됨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포인트 모으기를 클릭하면 도 4d에서와 같이 신상품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소비자들의 반응을 체크하고, 기타 의견도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베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베이에 참여한 후 완료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4a의 화면에서 샘플 응모를 클릭하게 되면 도 4e에서와 같이 신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 및 판매 장소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여 샘플 증정 행사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샘플 응모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a의 화면 좌측 상단에는 가령 개인정보의 입력을 통해 인증이 완료되었을 때 "안녕하세요. 신민아님."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그만큼 소비자와의 친근함을 강조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 도 4a의 화면 우측 상단에는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 권한을 부여받은 소비자에 대한 포인트 정보와 쿠폰 정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이 형성된다. 소비자는 필요시마다 자신의 포인트 및 쿠폰을 확인하여 제품 구매시 할인 혜택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소비자별 개인정보 및 대형 할인 마트 내에 위치하는 카트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501). 이때 위치정보는 카트용 단말기(100)가 주변에 인식되는 AP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 후 취득하여 제공하는 AP 정보이거나 상품 진열대에 부착된 상품의 태그 또는 상품의 바코드 정보와 같은 코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정보를 정확히 이용하느냐의 문제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설계자가 AP 정보를 이용하도록 설계하느냐 또는 코드 관련 정보를 이용하도록 설계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카트용 단말기(100)에서 소비자가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수신한 AP 정보 또는 코드 관련 정보로부터 카트용 단말기(100)가 상품 진열대에 위치한 곳의 상품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503). 예를 들어 복수의 AP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정보를 이용하여 DB에 기저장된 상품정보를 추출해 내거나, 더 나아가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라 하더라도 신호 세기가 어느 범주에 있느냐에 따라 더욱 세부적인 상품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가령 어떤 소비자가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 진열대에 진입했을 때, 해당 카트용 단말기(100)는 이웃하는 상품 진열대에 설치되어 있는 AP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여 AP 정보를 취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신호 세기를 통해 1차적으로 상품 진열대를 구분해 내고, 이어 하나의 상품 진열대라 하더라도 다양한 상품군에 해당하는 상품들이 진열되게 되므로 신호 세기의 범주를 구분하여 상품군을 더욱 정확하게 구별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AP의 전파가 미치는 커버리지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문제이다. 한편 태그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진열대에 상품군별로 부착되어 있는 상품별 태그 정보를 간편하게 이용하거나, 바코드 정보는 수집된 바코드에 대한 횟수 또는 통계 정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AP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다.
이후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해당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카트용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인데, 만약 일정 시간 내에 새로운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카트용 단말기(100)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겠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새로운 위치정보가 해당 카트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지 않는다면 소비자가 상품을 고르기 위해 진열대 앞에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카트용 단말기(100)에 대한 위치, 더 나아가 현재 상태가 정확하게 판단되면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상품정보에 근거하는 푸시/풀 광고를 광고정보 DB(120a)로부터 검색한 후 카트용 단말기(100)로 전송해 준다(S505). 이의 과정에서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푸시 광고와 풀 광고를 정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형태의 푸시 광고를 앞 단에 두고, 풀 광고를 형성하는 정지영상의 쿠폰 정보, 포인트 정보, 샘플 응모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카트용 단말기(100)로 광고를 제공한 후,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광고를 통해 피드백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며(S507). 피드백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확인 또는 분석한다(S509). 다시 말해, 특정 소비자가 어떤 세부 항목에 해당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피드백하였는지 확인하여 개인별 DB에 반영해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인트 모으기에 대한 정보가 피드백되었다면 해당 소비자의 포인트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서베이 정보를 피드백 받은 경우 해당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하거나 분석 수행 후 분석 결과를 광고주 장치(13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비스 장치(120)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광고주 장치(130)에서 새로이 제작하여 제공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정보 DB(120a)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는 제어부(600) 및 광고정보 처리부(6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카트용 단말기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의 전반을 제어하며,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을 위한 AP와의 연계를 위하여 특정 정보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기능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광고정보 처리부(61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611), 근거리 통신부(613), 상품정보 분석부(615) 및 디스플레이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카트용 단말기는 상품정보 분석부(615)를 포함함으로써 도 1의 카트용 단말기(100)와 대조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1을 참조한 광고 서비스 장치(120)의 기능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위치정보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정보를 광고 서비스 장치(120)에 전송해 줌으로써 통신망(110)의 정보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애플리케이션 구동부(611)는 푸시/풀 광고를 실행하기 위한 일종의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유통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교체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구동부(611)는 해당 칩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게 모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칩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한 후 재저장 또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함으로써 유통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근거리 통신부(613)는 가령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인증이 완료된 후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주변 AP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AP 정보를 취득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613)는 주변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그비 통신 및 초광대역 통신(UWB) 이외에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부(613)는 RFID 리더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는 상품의 바코드 또는 태그 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 결과를 상품정보 분석부(615)로 제공할 수 있다.
상품정보 분석부(615)는 근거리 통신부(613)로부터 복수의 AP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정보를 카트용 단말기가 위치한 상품 진열대의 상품군에 대한 카테고리별 상품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품정보 분석부(615)는 AP 정보로부터 신호 세기를 계산하여 신호 세기가 제일 큰 AP 정보를 추출하고, 더 나아가 추출한 AP 정보로부터 신호 세기가 얼마인지를 계산하는 별도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품정보 분석부(615)는 근거리 통신부(613)에서 RFID 리더기가 가동되어 상품의 바코드 또는 태그 정보가 제공된 경우라면 다수의 바코드 또는 태그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은 상품 종류에 해당되는 상품을 대표 상품정보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생활용품 코너에서 10개의 바코드 정보가 제공되었는데 그 중 5개가 화장품에 대한 정보였고 2개는 세제, 나머지 3개는 샴프에 대한 정보였다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대표 상품정보로 산출한다.
디스플레이부(617)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푸시/풀 광고가 카트용 단말기로 제공될 때 구동되는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측 화면은 특정 제품에 대한 동영상 광고가 반복 상영되고, 좌측 화면은 정지영상으로 우측의 제품 광고에 연계되는 쿠폰 모으기, 포인트 모으기, 샘플 응모와 같이 소비자에게 할인 혜택을 주거나 서베이를 수행하기 위한 상품구매 관련정보를 표시해 준다. 그리고 동영상 광고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탬프 찍기나 정지영상의 상품구매 관련정보의 각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617)는 세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서브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710),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를 포함하며, 카트용 단말기(700) 및 클라우드 제공자(7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용 단말기(700)는 대형 할인 마트 등에 구비되는 카트에 장착되는 단말기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에 적용되는 최소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가짐으로써 인터넷 접속과 기본적인 연산 기능만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700)는 구름과 같이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 예컨대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로부터 제공받아 구동 후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로 다시 제공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서 해당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카트용 단말기(700)는 해당 결과만을 제공받아 처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한다.
가령 카트용 단말기(700)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카탈로그의 일종으로서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는 경우, 소비자가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카트용 단말기(700)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 간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카트용 단말기(700)는 자신이 요청한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로부터 제공받아 처리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카트용 단말기(700)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고 카트용 단말기(700)가 처리한 정보를 다시 제공받아 저장하는 읽기/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카트용 단말기(700)의 요청이 있는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카트용 단말기(700)로 제공함으로써 처리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거나, 카트용 단말기(700)의 요청시 내부에서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카트용 단말기(700)에서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이의 과정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카트용 단말기(700)의 소비자가 요청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광고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가상 편성(Virtual Organization) 기술을 이용해 통신망(710)을 경유하여 클라우드 제공자(730)와 접속하고, 클라우드 제공자(730)가 제공하는 자원(resource)을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음부터 개발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자 즉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신속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고, 이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서는 클라우드 제공자(730)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API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제외한 기타 본 발명의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700), 통신망(710),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용 단말기(100), 통신망(110), 광고 서비스 장치(120) 및 광고주 장치(130)의 내용과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트래픽 처리부(800) 및 클라우드 컴퓨팅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픽 처리부(800)는 제어부(미도시) 및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서 처리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페이스부는 통신망(710) 및 DB(720a)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그 과정에서 가령 인터페이스부는 정보 변환 등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부(810)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 상품정보 분석부(813), 푸시/풀 광고 처리부(815) 및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8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 상품정보 분석부(813), 푸시/풀 광고 처리부(815) 및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817)는 트래픽 처리부(800), 더 정확하게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클라우드 제공자(730)가 신속하게 개발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급을 설정하거나 가격을 결정할 수 있고, 등급 및 가격 등을 포함하는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카트용 단말기(700)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 온라인 접속하여 예컨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경우, 트래픽 처리부(800)의 제어 하에 해당 목록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의 상품정보 분석부(813), 푸시/풀 광고 처리부(815) 및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817)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품정보 분석부(211), 푸시/풀 광고 처리부(213) 및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215)의 기술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카트용 단말기(700)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에 접속하여 특정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는 소비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목록을 제공해 주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811)는 소비자가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카트용 단말기(700)와 이루어진 처리 정보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정보를 DB (720a)에 저장한다.
이후 카트용 단말기(700)를 이용해 소비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재사용하고자 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DB(720a)의 검색 등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재구동하는 절차를 진행하여 광고 서비스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카트용 단말기(700)로부터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일환으로서 위치정보, 즉 AP 또는 코드 관련 정보가 제공되었다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의 상품정보 분석부(813)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며, 푸시/풀 광고 처리부(815)는 상품정보를 근거로 푸시/풀 광고를 DB(720a)로부터 검색한 후 카트용 단말기(700)로 제공해 준다.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는 카트용 단말기(700)로 제공한 푸시/풀 광고에 포함되는 스탬프, 포인트, 쿠폰, 샘플 응모와 같은 할인 혜택 등의 정보를 피드백 받아 관련 정보를 확인 또는 분석한 후 소비자별로 DB(720a)에 저장하거나, 서베이 정보 등의 경우에는 관련 정보를 제조사로 제공해 줄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카트용 단말기(700),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720)의 기능에 대한 설명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형 할인 마트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자신의 상황에 맞는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광고 시청에 따른 혜택을 줌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서는 많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할인 혜택에 따른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광고로부터 피드백되는 소비자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상품 제조사 입장에서는 타겟 광고가 가능하게 되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이 특정 연령대에 호의적인 반응이 있었다면 그 연령대에 맞는 광고 전략을 집중적으로 수립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700: 카트용 단말기 110, 710: 통신망
120: 광고 서비스 장치 130: 광고주 장치
200, 800: 트래픽 처리부 211, 615, 813: 상품정보 분석부
213, 815: 푸시/풀 광고 처리부 215, 817: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
600: 제어부 611: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720: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730: 클라우드 제공자
811: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Claims (23)

  1. 카트(cart)에 구비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소비자별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광고정보 DB(DataBase)에 연동하며, 상기 광고정보 DB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품의 상품 진열대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의 AP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상기 AP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신호 세기가 큰 AP 정보를 대표 AP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광고 처리부는 상기 푸시 광고 내에 스탬프(stamp)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며, 상기 스탬프 정보는 상기 푸시 광고의 상영이 완료될 때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광고 처리부는 상기 풀 광고의 제공시 쿠폰 모으기, 포인트 모으기, 신상품의 샘플 응모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모으기는 상기 푸시 광고를 모두 시청한 후에 혜택이 부여되며, 상기 포인트 모으기는 상기 신상품에 대한 서베이(survey)를 완료한 후에 혜택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는 상기 푸시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 장치에 연동하며,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의 분석 결과를 상기 광고주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11. 카트(cart)에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온라인 접속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비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선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풀 광고 처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소비자별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상품구매 관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광고정보 DB(DataBase)에 연동하며, 상기 광고정보 DB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는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는 상기 DB에 연동하며, 상기 목록 정보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14. 카트(cart)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의 AP 정보를 취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제공하는 상품정보 분석부;
    상기 광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의 수신시 상기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푸시 광고 또는 풀 광고가 카트용 단말기로 제공될 때 구동되는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를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AP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지그비(Zig bee) 통신, 초광대역(UWB)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는 상기 풀 광고로 제공되는 쿠폰 모으기, 포인트 모으기, 신상품의 샘플 응모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
  18. 카트(cart)에 구비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소비자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광고정보 DB(DataBase)에 연동하며, 상기 광고정보 DB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19.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온라인 접속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비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선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카트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가 위치한 곳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근거로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별로 상기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광고정보 DB(DataBase)에 연동하며, 상기 광고정보 DB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구동 방법.
  20. 카트(cart)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의 AP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형태의 푸시(push) 광고와 상기 상품의 구매 혜택 관련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기 위한 풀(pull) 광고의 수신시 상기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푸시 광고 또는 풀 광고가 카트용 단말기로 제공될 때 구동되는 광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관련되는 태그(tag)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관련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카운팅하여 횟수가 가장 많은 상품의 코드 관련 정보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새로운 코드 관련 정보 또는 AP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판단 결과 추가로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코드 종류별로 카운팅하고, 횟수가 가장 높은 코드를 대표 코드 정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AP 정보가 복수 개 수신될 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상기 A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20110037661A 2011-04-22 2011-04-22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150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61A KR101501103B1 (ko) 2011-04-22 2011-04-22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61A KR101501103B1 (ko) 2011-04-22 2011-04-22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07A KR20120119607A (ko) 2012-10-31
KR101501103B1 true KR101501103B1 (ko) 2015-03-11

Family

ID=4728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661A KR101501103B1 (ko) 2011-04-22 2011-04-22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51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7573A (zh) * 2017-06-12 2017-10-20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视频广告投放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87A (ko) * 2008-08-20 2010-03-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매장용카트를 이용한 위치기반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20100030736A (ko) * 2008-09-11 2010-03-19 (주)아이하트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87A (ko) * 2008-08-20 2010-03-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매장용카트를 이용한 위치기반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20100030736A (ko) * 2008-09-11 2010-03-19 (주)아이하트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51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07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964B2 (en) Marketing system and marketing method
KR100988506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쌍방향 광고방법과 광고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광고장치
JP7336747B2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CN107291732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装置
JP5216192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出力システム
CN104170519A (zh) 智能设备辅助的商务
US201301590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JP200701844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80056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20220043003A (ko) 무인매장의 상품 자동발주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160010756A (ko) 쇼핑 분석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분석 방법
US201701617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Offers Based on Real-Time Data Collected By a Location-Detecting Network
CN110119961A (zh) 基于定位在商场内进行精准销售的商业方法、装置及场内电商平台
KR101501103B1 (ko)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US10657561B1 (en) Zone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20140136564A (ko) 공동 구매 지원 단말 및 방법
Apanasevic Obstacles to investments in mobile payments: The perspective of merchants: Work in progress
KR20180058525A (ko) 매장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4237B1 (ko) 냉장고를 이용한 지역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1964320B1 (ko) 브랜드 클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브랜드 클럽 관리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단말 장치
US20140297406A1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to consumers during a buying decision
KR101748586B1 (ko)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9993A (ko) 영수증을 이용한 광고 및 마케팅 정보 관리 방법
JP6037191B1 (ja) 広告提示システム及び広告提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