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736A -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736A
KR20100030736A KR1020080089589A KR20080089589A KR20100030736A KR 20100030736 A KR20100030736 A KR 20100030736A KR 1020080089589 A KR1020080089589 A KR 1020080089589A KR 20080089589 A KR20080089589 A KR 20080089589A KR 20100030736 A KR20100030736 A KR 20100030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wireless terminal
service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호
김형철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주)아이하트
이주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하트, 이주헌 filed Critical (주)아이하트
Priority to KR102008008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736A/ko
Publication of KR2010003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5Surv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와 함께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광고반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택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광고를 수신하거나, 상기 광고에 반응하여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신호들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광고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와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택시, 광고, 단말기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WIRELESS TERMINAL AND METHOD OF OFFERING AN ADVERTISEMENT USING IT}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무선 단말기)(이하, 간단히 '무선 단말기'라 함)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음성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기기로서, 최근에는 음성 뿐만 아니라, 동영상, 이미지, 문자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와는 달리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양호한 품질의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동성을 완벽하게 보장하는 전파를 통신 매체로 사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가 제공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란 이동통신망이나 GPS용 인공위성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는, 무선 단말기 속에 기지국이나 GPS용 인공위성과 연결되는 칩을 부착하여,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과 인공위성을 활용한 GPS 방식이 있다. 셀 방식은 2000년을 전후해 개발 및 보급되기 시작한 방식으로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수km까지 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은 있으나, 중계기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 안이나 지하 등의 위치도 찾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GPS 방식은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내장된 칩이 읽어 알려주는 방식으로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작아 거의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 통신망과 정보 기술(IT)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정보기반의 서비스로서 IMT-2000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등 이동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라 교통, 물류, 전자 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각광받기 시작한 기술로서, 공공 안전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항법 서비스, 정보제공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위치기반서비스는 택시와 같은 공공 교통수단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택시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택시기사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쉽게 찾아갈 수 있다. 그러나, 경력이 많은 택시기사의 경우에는 자신의 영업지역 내에 있는 대부분의 지역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받을 필요가 거의 없으며, 따라서, 고가의 무선 단말기를 이 용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대부분의 택시회사들 또는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택시를 운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의 무선 단말기를 택시에 장착하고 있다.
즉, 택시에 장착된 위치기반서비스 제공용 고가의 무선 단말기는 단순히 택시기사를 인증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을 뿐 그 활용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TV, 라디오, 핸드폰,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들이 활성화됨에 따라 자신의 상품 등에 대한 광고를 하고자 하는 기업가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매체들을 통한 광고는 그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높지 않으며, 광고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주들이 광고효과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와 함께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광고반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택시에 장착되어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광고를 수신하거나, 상기 광고에 반응하여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신호들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광고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와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택시에 장착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함께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광고반응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광고주들이 광고효과를 직접적으로 실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방송 매체(TV, 라디오, 인터넷, 신문 등) 또는 옥외 광고들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수익을 택시업체에게 할당해 줌으로써, 열악한 환경에 놓여져 있는 택시업체들을 지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10)에 장착되어 위치정보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20), 무선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거나 무선 단말기로부터 광고에 반응한 광고반응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50),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광고주들이 이용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40), 무선 단말기를 통해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60) 및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 정보 등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택시(10)의 위치정보를 기본적으로 출력하는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0)은 광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를 전송받아 택시에 장착된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한편,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광고반응신호에 따라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처리하는 각종 정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기(60)는 택시에 승차한 승객이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인증정보 또는 각종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문자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휴대폰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70)은 이동통신 사업자(예를 들어, KTF, SKT, LGT 등)들이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특히,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된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번호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고 제공 시스템(40)은 광고주들이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택시(1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가 택시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20)는 택시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인공위성(3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21),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광고반응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부(22),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거나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4), 위치정보와 광고 정보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5), 택시에 승차한 사용자(승객)가 광고를 열람하거나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이용부 (28), 위치정보와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택시요금 산정을 위해 택시에 장착되어 있는 미터기가 동작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21)는 무선 단말기(20)가 장착되어 있는 택시(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택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정보 수신 기능은 현재 GPS 단말기 또는 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능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송수신부(22)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거나 또는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4)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25)는 위치정보와 광고정보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이용부(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의 조수석 또는 뒷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어부(23)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승객)는 무선 단말기의 출력부(26)를 통해 광고를 시 청할 수도 있으나, 택시의 조수석 또는 뒷자석에 착석한 후, 사용자 이용부(28)를 통해 광고를 시청할 수도 있으며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출력부(26)는 택시의 위치정보와 광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LCD, PDP 등과 같은 평판표시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0)은 광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광고를 택시에 장착된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무선 단말기로부터 광고반응정보가 수신된 경우, 광고반응정보에 따른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1),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운영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53), 광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광고정보와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광고반응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54),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5) 및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2)를 포함한다.
특히, 인터페이스(51)는 무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단말기로 광고를 제공하는 한편, 무선 단말기로부터 광고반응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정보 또는 서비스정 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우선 무선 단말기가 택시에 장착되어 있어야 하며, 무선 단말기는 최소한 대기 모드로 유지되어야 한다(502). 여기서, 대기모드란 무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고는 있으나, 어떠한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택시기사는 대기모드에서 위치정보 또는 광고 요청 버튼을 선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무선 단말기는 대기모드에서 서비스모드로 전환된다. 즉, 서비스모드란, 무선 단말기가 위치정보 또는 광고 등을 제공하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서 무선 단말기가 반드시 대기모드로 존재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무선 단말기는 서비스모드일 수도 있다.
사용자(승객)(이하, 간단히 '사용자'라 함)가 택시에 승차하면, 택시기사는 미터기를 구동시키게 되며, 미터기의 구동 정보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송수신부, 출력부 및 사용자 이용부를 동작시켜 무선 단말기를 광고제공 서비스모드로 전환시킨다(504). 즉, 무선 단말기가 대기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무선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무선 단말기가 광고제공 서비스 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가 위치정보 서비스모드 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는 위치정보 서비스모드를 광고제공 서비스 모드로 전환시킨다.
무선 단말기가 광고제공 서비스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를 출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의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506). 즉,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출력부를 통해 광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조수석 또는 뒷자석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이용부의 화면을 통해서도 광고를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첫째, 무선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광고를 단순히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날짜와 시간 등을 고려하여 광고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심식사 시간에는 식당과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일에는 여행과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둘째, 무선 단말기는 택시의 위치정보와 연동하여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택시기사에 의해 위치정보 연동 광고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택시의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1Km 이내의 업체가 제공하는 광고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셋째,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 또는 택시기사로부터 위치정보와 연계된 특정 대상에 대한 광고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택시의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1Km 이내 의 업체가 제공하는 광고들 중 상기 요청에 따라 선택 되어진 대상에 대한 광고만을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와 연계된 식당 광고만을 출력하도록 요청된 경우,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정보와 연계된 식당 광고만을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넷째,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 또는 택시기사로부터 요청된 대상에 대한 광고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당 광고를 출력하도록 요청된 경우, 제어부는 위치정보와 상관없이 식당과 관련된 광고만을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광고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광고에 반응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508). 또한, 필요한 경우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무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반응정보란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첫째, 광고반응정보는 광고에서 요청하는 질의에 답변하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조사를 요구하는 광고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설문조사에 응하기 위해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광고에서 출력되는 설문조사입력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둘째, 광고반응정보는 사용자가 광고에서 출력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품 구매 신청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에 관한 광고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광고화면에서 출력되는 티켓 구매 신청 메뉴를 선택함으로 써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셋째, 광고반응정보는 사용자가 광고에서 제공되는 쿠폰을 얻고자 하는 경우, 쿠폰 요청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 등에서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광고화면에서 출력되는 쿠폰 요청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광고반응정보가 입력되면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510). 이때, 제어부는 입력된 광고반응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 번호 및 상기 광고반응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광고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반응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512). 즉, 광고반응정보가 설문조사에 응대한 것이든, 상품 구매에 응대한 것이든, 또는 쿠폰 요청에 응대한 것이든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우선 사용자를 인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증번호 전송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에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번호를 전송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인증번호를 무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하게 되며(514),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인증번호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516).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증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는 인증번호 전송과정(512)에서 전송한 인증번호와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번호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마치게 된다(518).
상기 과정에 따라 인증과정이 종료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520).
첫째, 사용자가 설문조사에 답변한 경우에는 설문조사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하거나 광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광고주가 설문조사 내용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설문조사에 응대한 사용자에게 보답하는 의미로, 다양한 형태의 쿠폰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요청한 경우, 상기 인증과정(512 내지 518)을 통해 또는 상기 인증과정과 같은 형태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품 비용을 결제한 후, 상품 구매 완료 정보를 최종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티켓 구매를 요청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과정을 통해 비용 결재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티켓 비용을 사용자 단말기의 요금결재와 함께 결재할 수도 있으며, 카드 번호 등을 입력하여 결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겠으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무선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품 구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원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셋째, 사용자가 쿠폰을 요청한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증과정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자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은 실물형태의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쿠폰번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쿠폰을 이용할 수 있는 업체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되어 있는 이미지 형태의 쿠폰을 보여주든지 또는 쿠폰번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업체에서 쿠폰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한편,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가 입력한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가 택시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택시 20 : 무선 단말기
30 : 인공위성 40 : 광고제공시스템
50 : 서비스 제공 시스템 60 : 사용자 단말기
70 : 통신 시스템

Claims (9)

  1. 택시에 장착되어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광고를 수신하거나, 상기 광고에 반응하여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신호들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광고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와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고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이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이용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용부는,
    상기 택시의 보조석 또는 뒷 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4. 택시에 장착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택시에 장착된 미터기가 작동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광고제공 서비스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광고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와 관련된 광고반응정보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입력된 광고반응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절차 수행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정보 입력 메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반응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수신정보들을 상기 출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상기 수신정보들에 반응하여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 이용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정보들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7. 택시에 장착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에 반응한 광고반응정보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 번호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번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상기 사용자 인증번호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번호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는,
    상품 구매 서비스, 쿠폰 제공 서비스, 설문 조사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한 광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0080089589A 2008-09-11 2008-09-11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00030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89A KR20100030736A (ko) 2008-09-11 2008-09-11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89A KR20100030736A (ko) 2008-09-11 2008-09-11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36A true KR20100030736A (ko) 2010-03-19

Family

ID=421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89A KR20100030736A (ko) 2008-09-11 2008-09-11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03B1 (ko) * 2011-04-22 2015-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03B1 (ko) * 2011-04-22 2015-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카트용 단말기 및 카트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88B1 (ko) 이동 계산 및 통신 방법
US9646326B2 (en) Advertising-integrated car
US10176517B2 (en) Advertising-integrated car
US2010032497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motional information to a mobile asset
US20030115098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EP1346484A1 (en) Pocket concierge and multimedia, wireless call center system and method
JP2003503918A (ja) 移動端末をデータベースと接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0224658A (ja) 携帯電話端末を用いた広告提供システム
CN102301387A (zh) 用于转发广告产品的内容和在线选购广告产品的基于网络的系统及其方法
AU2013309676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object
KR20160094694A (ko)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3884A (ko) 무인 콜 택시 호출 시스템
KR20140133048A (ko)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주문 서비스 방법
KR20160121688A (ko)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스캔 보상 서비스 시스템
KR20100030736A (ko) 무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20076639A (ko)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고객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06146952A (ja)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
EP2190169A1 (en) Personal broadcast service transmitter and mobile terminal
GB2596110A (en) Vehicular multimedia platform
WO200200747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messages including location dependant targeted advertisement in a cellular network
US20130054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
KR20090101523A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업체광고가 가능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JP200200786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2247045A (ja) 限定的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移動情報端末、移動情報端末を用いた集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72395B1 (ko) 게이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