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962B1 -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962B1
KR101500962B1 KR1020107015964A KR20107015964A KR101500962B1 KR 101500962 B1 KR101500962 B1 KR 101500962B1 KR 1020107015964 A KR1020107015964 A KR 1020107015964A KR 20107015964 A KR20107015964 A KR 20107015964A KR 101500962 B1 KR101500962 B1 KR 10150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izophrenia
anxie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ment
diso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670A (ko
Inventor
에마누엘라 이초
라우라 파라벨리
엘레나 바르반티
파트리차 살바티
Original Assignee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0010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약물 요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정신분열증은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를 포함하고, 불안증은 공황 장애, 강박 장애(OCD),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사회 공포증 또는 사회 불안 장애, 특정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GA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다른 치료제와 함께 상기 정신 장애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정신 장애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예: I형 양극성 장애, Ⅱ형 양극성 장애, 조증, 경조증), 비양극성 조증, 뚜렛(Tourette) 증후군, 순환성 장애, 급속 주기, 초일 주기, 인격 장애, 과다 행동을 갖거나 갖지 않는 주의력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일반적 약물 조건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한 정신병적 장애, 물질-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또는 달리 특정되지 않은 정신병적 장애, 범불안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공황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동 조절 장애, 공포 장애 및 해리 상태가 포함된다.
정신분열증 및 관련 장애(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는 가장 심각하고 소모적인 형태의 정신 장애에 속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정신분열증"이라는 용어는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를 포함한다.
정신분열증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인 언어, 사고, 지각, 정서 및 자아감의 심각한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이의 증상으로는, 내부 음성이 들린다거나 확실한 근원과 연관되지 않은 다른 감각을 경험하거나(환각), 평범한 일에 특이한 중요성 또는 의미를 두거나(편집증), 잘못된 개인적 신념을 고집하고(망상증), 현실과 접촉하지 않는 것과 같은 정신적 징후가 종종 포함된다. 단독 증상으로는 진단을 확정하지 않으며, 더 정확히 말해 진단은 여러 징후 및 증상을 직업적 또는 사회적 기능의 손상과 함께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정신분열증의 증상은 양성, 혼란, 음성 및 인지의 범주로 구분한다. 양성 증상은 정상적 기능의 과장 또는 왜곡을 특징으로 하고, 음성 증상은 정상적 기능의 축소 또는 소실을 특징으로 한다. 혼란 증상은 사고 장애 및 기이한 행동을 포함한다.
인지 증상은 정보 처리 및 문제 해결에서의 결함이다. 사람은 하나 또는 모든 범주의 증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정신분열증의 전형적인 치료법은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결함의 치료에 그리 효과적이지 못하다. 더욱 최근에 개발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알려진 정신분열증 치료제는 인지 결함에 대해 약간의 효과를 가질 수는 있지만,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거나 일상적 기능을 개선시키지 못한다.
실제로, 정신분열증을 위해 처방되는 가장 통상적인 치료제인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효능을 입증하는 데이타가 소수 존재하지만, 인지 장애의 치료에서는 여전히 정신사회적 및 인지적 행동 요법이 치료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인지 교란은 다양한 질환(예: 정신분열증, 강박 장애, 정신병, 양극성 장애, 불안증, 우울증,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 자폐증, 난독증, 뚜렛 증후군, 경증 인지 장애(MCI), 및 소아, 청소년 및 성인의 학습 장애,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노화에 따른 인지 감퇴, 알츠하이머병, 다운 증후군, 외상성 뇌 손상, 헌팅턴병, 진행성 핵성 마비(PSP), HIV, 뇌졸중, 혈관 질환, 픽(Pick)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t-Jacob)병, 다발성 경화증(MS) 및 다른 백색 피질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될 수 있지만 질환 자체로는 확립되지 못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다양한 질환에서 공통될 수 있는 특정 증상을 치유 또는 완화시키는 것과 질환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구별하는 것이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심각하고 소모적인 형태의 정신 장애 중 하나를 구성하는 질환인 정신분열증(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 포함)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신분열증의 병인학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가설이 제안되고 있다.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체계가 병리학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난다: 도파민계 회로의 과다활성[참조: Baumeister AA, Francis JL, J. Hist. Neurosci.; 2002 Sep; 11(3): 265-77], 가바계(gabaergic system)의 불균형[참조: Squires RF, Saederup E, Neurochem. Res., 1991 Oct;16(10): 1099-111], NMDA 수용체 기능저하 상태, 및 콜린성 기능의 손상[참조: Woodruff-Pak DS, Gould TJ. Behav. Cogn. Neurosci. Rev. 2002 Mar; 1(1): 5-20].
많은 연구 업적에도 불구하고, 분자적 원인 및 기전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의 근원적 병리생리학은 현재 상당히 불완전하고, 정신분열증 약제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신경 이완제 및 기분 안정제를 사용한 치료에 내성을 갖는 환자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가 높다.
1970년대 말까지, 항정신병 약물의 핵심적인 약물학적 작용은 이들이 도파민계 D2 수용체, 특히 중변연계 도파민 경로 내의 도파민계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병의 양성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되는 이 영역에서의 과다활성을 감소시키는 능력이라는 것이 이미 밝혀져 있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특정 영역에서만 도파민 과다활성을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통상의 항정신병 약물은 운동의 제어를 담당하는 흑질선조체 경로와 같은 다른 영역 내의 D2 수용체의 차단으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을 갖는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과 같은 더욱 최근의 화합물은 D2 수용체 길항작용 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작용을 갖고, 이들 특성 때문에 부작용을 더 적게 일으키면서 질병을 더 잘 억제시킨다. 한편, 항정신병 약물의 작용에서는 도파민 농도의 감소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글루타메이트 전달의 조절도 마찬가지로 중요할 수 있다. 건강한 지원자에서 NMDA 길항제에 의해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증상이 유도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 수년간, 강력한 NMDA 길항제인 펜사이클리딘(PCP)이 남용자들에게 정신분열증과 매우 유사한 정신병적 증상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왔다[참조: Morgan CJ 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2004 Jan; 29(1): 208-18; Large CH, J. Psychopharmacol; 2007 May; 21(3): 283-301].
모든 이들 데이타 및 문헌[참조: Mouri A et al., Neurochem. Int.; 2007 Jul-Sep; 51(2-4): 173-84; Lindsley CW et al., Curr. Top. Med. Chem. 2006; 6(8): 771-85; Thornberg SA, and Saklad SR, Pharmacotherapy.; 1996 Jan-Feb; 16(1): 82-93; Javitt DC. Int. Rev. Neurobiol.; 2007 78:69-108]에 기술된 다수의 다른 데이타는 NMDA 수용체의 기능저하가 질환의 음성 증상의 유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정신분열증, 뚜렛 증후군, 공황 장애 및 강박 장애를 가진 환자는 감각운동 관문의 작동적 측정에서 결함을 나타낸다: 놀람의 전펄스 억제(PPI)[참조: Geyer, Dial. Clin. Neurosci.; 2006 8(1): 9-16; Geyer et al., Psycopharmacology; 2001 Jul; 156(2-3): 117-54]. 부주의, 산만 및 인지 결핍을 포함하는 이들 질환의 특정 징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되는 하나의 특징은 무관한 청각적 자극을 걸러내는 능력의 저하이다. 유사한 PPI의 결함이 래트에서 상이한 약물학적 또는 발달상의 처리에 의해 일어난다. 래트에서 실험적으로 유도된 이러한 PPI 결함은 표면 및 예측 타당성을 갖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감각운동 관문 결함의 모델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설치류에서 놀람의 PPI의 파괴는, 암페타민 또는 아포모르핀에 의해 유도되는 도파민계(DA) 수용체의 자극, 다수의 세로토닌 수용체에서 세로토닌(5-HT) 방출제 또는 직접 작동제에 의해 일어나는 세로토닌 체계의 활성화, 및 펜사이클리딘(PCP)과 같은 약물에 의해 일어나는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NMDA) 수용체의 차단에 의해 일어난다.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기분 안정제, AChE 억제제 및 니코틴은 상이한 처리에 의해 유발된 PPI 파괴를 복구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불안증 또는 불안 장애로 정의되는 정신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불안증 또는 불안 장애는,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병적 불안증, 두려움 및 공포증을 포함한다. 각각의 불안 장애는 서로 다른 증상을 갖지만, 모든 증상은 과도한 비이성적 두려움 및 공포를 갖는다. 불안 장애는 공황 장애, 강박 장애(OCD),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사회 공포증(또는 사회 불안 장애), 특정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GAD)인 것으로 이해된다.
불안 장애를 위해 사용되는 주요 약제로는 항불안 약물(벤조디아제핀 및 바르비투레이트), 항우울증제 및 베타-차단제가 포함되고, 이들은 상이한 작용 기전을 갖는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질환의 치료적 처치와 그와 관련될 수 있는 일부 증상에 대한 효과가 상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불안증과 관련된 인지 장애에 관한 여러 연구 결과는, 불안증 환자에서 디아제팜 투여후 나타나는 불안증의 감소가 인지 장애의 감소를 동반하지 않는 것을 증명한다. 이는 디아제팜이 임상적 불안증 환자에서 불안증-관련 인지 장애를 감소시키지 못함을 제안한다(참조: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ume 15, Number 6/December, 1991, 459-467).
앞서 설명된 정신 장애를 위해 최근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약물들에서는 다수의 부작용이 관찰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병리학에 대해 충족되지 않은 높은 의학적 요구가 인지된다. 예를 들면, 리튬염은 좁은 치료 지수를 갖고,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증가된 QTc 간격 및/또는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항경련제는 진정 및 인지 장애를 일으키고, 항우울증제는 조증으로의 전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각각의 개별적 약물의 부작용 프로파일이 현저하게 다르긴 하지만, 이들 약물의 부작용 프로파일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은 강력한 치료 효과 및 폭넓은 치료 지수를 갖는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정신분열증 및 불안증으로 확인되는 정신 질환의 혁신적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역시 임상적으로 중요한 동반 정신 장애가 빈번하게 존재한다.
역학적 연구는 정신분열증에서 불안 장애의 높은 발병율을 보고하고 있지만, 이들의 임상적 관련성은 아직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정신분열증 환자가 불안증을 가지면, 높은 자살 위험, 부족한 사회적 기능, 및 재발 위험의 증가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일(Bayle) 등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47.5%가 공황 발작의 생애 이력을 가졌고, 31.2%의 증례에서는 정신분열증의 개시에 앞서 공황 장애가 개시되었으며, 공황 장애의 치료가 임상적 및 사회적 결과를 개선시킨다고 보고하였다(참조: Eur Psychiatry 2001; 16-349-353).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동반되는 공황 및 강박 장애에 관한 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신분열증에서의 사회 불안증에는 임상적 관심이 훨씬 덜 모아지고 있다. 사회 불안증을 가진 사람은 일상 생활의 활동, 직업적 역할, 및 사회적 관계에서 상당한 장애를 겪는다. 사회 불안증은 그 자체가 불능 장애이며, 사회 불안증을 동반 장애로 갖는 환자는 더 심각한 정도의 불능을 지닌다. 사회 불안증을 가진 환자는 물질/알코올 남용 또는 의존을 일으킬 위험이 보다 높고, 정신분열증 환자에서는 이것이 보다 높은 충동성과 자살율로 연결된다. 따라서,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동반되는 사회 불안 장애의 평가 및 치료는 임상적 결과 및 사회적 결과 모두를 개선시킬 것이다[참조: Pallanti S. et al. - Am J Psychiatry (2004) 161: 53-58].
정신분열증(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 포함)을 앓고 있는 환자의 상당수가 불안 장애를 동시에 갖는 것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환자에서 두 질환 모두를 동시에 치료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종래 기술
WO 제90/14334호에는, 간질 및 파킨슨병의 치료에 유용하고, 정상적 노화 또는 뇌 허혈 등의 병적 상태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에서의 신경보호제로 유용하며, 항우울증제, 최면제 및/또는 항강직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중추 신경계(CNS)에 작용하는 치환된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참조예: Pevarello P. et al. (1998), "Synthesis and anticonvulsant activity of a new class of 2-[(arylalkyl)amino]alkanamide derivatives", J. Med. Chemistry, 41: 579-590)].
WO 제99/26614호에는, 전뇌 및 국소 허혈 후의 신경 손상의 치료,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과 같은 신경퇴행성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 및 통증의 치료, 예방 또는 완화에 유용하고, 항경련제, 항조증 우울증제, 국소 마취제 및 항부정맥제로서 활성이며,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치환된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WO 제07/071311호에는, 칼슘 및/또는 나트륨 채널 조절제로서 활성이고, 따라서 상기 기전이 병리학적 역할을 하는 신경, 정신, 심혈관, 염증, 눈, 비뇨생식기 및 위장관 질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에 유용한 2-페닐에틸아미노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2007년 12월 26일자로 공개된 EP 제1870097 A호(2007년 12월 21일자로 공개된 WO 제2007/144153호의 상응함)에는, 정신분열증, 강박 장애, 정신병, 양극성 장애, 불안증, 우울증,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 자폐증, 난독증, 뚜렛 증후군, 경증 인지 장애(MCI), 및 소아, 청소년 및 성인의 학습 장애,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노화에 따른 인지 감퇴, 알츠하이머병, 다운 증후군, 외상성 뇌 손상, 헌팅턴병, 진행성 핵성 마비(PSP), HIV, 뇌졸중, 혈관 질환, 픽병 또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다발성 경화증(MS) 및 다른 백색 피질 장애, 파킨슨병과 같은 각종 신경정신 장애와 관련한 인지 장애 증상의 치료를 위한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범위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α-아미노아미드 화합물,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정신분열증은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를 포함하고, 불안증은 공황 장애, 강박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공포증 또는 사회 불안 장애, 특정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를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0046167032-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 존재하고, C3-C6 알킬 또는 벤질옥시(여기서, 벤질옥시 그룹의 페닐 라디칼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이고,
R1은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로 임의로 치환되는 C1-C4 알킬이고,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정신 장애로서의 정신분열증 또는 불안증의 치료, 및 동일 환자에 함께 존재하는 정신 장애로서의 정신분열증 및 불안증(즉, 정신분열증과 함께 불안증이 동반된다)의 치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 따르면, 알킬 그룹은 분지형 또는 선형의 쇄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면, 질산,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및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락트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석신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의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일부는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개별적 광학 활성 이성체(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로서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 및 특허 청구 범위는 모든 가능한 광학 활성 이성체, 및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 이들의 혼합물을 이들의 범위 내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α-아미노아미드의 치료학적 용량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 환자의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여기서, 정신분열증은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를 포함하고, 불안증은 공황 장애, 강박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공포증 또는 사회 불안 장애, 특정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를 포함한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n이 1 또는 2이고,
R은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 존재하고, C3-C6 알킬 또는 벤질옥시(여기서, 벤질옥시 그룹의 페닐 라디칼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이고,
R1이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고,
R2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이 수소, 메틸, 에틸, i-프로필, i-부틸, 하이드록시메틸, 메톡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또는 2-하이드록시에틸, 1-메톡시에틸 또는 2-메톡시에틸이고,
R4 및 R5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 알킬인 화합물들,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유효량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는,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2-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2-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3-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3-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클로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4-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4-플루오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3-플루오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4-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탄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탄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탄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탄아미드,
2-[2-(4-펜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2-[3-(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4-(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3-(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3-(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2-[4-(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2-[3-(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2-[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한 없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n이 1이고,
R은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 존재하고, C3-C6 알킬 또는 벤질옥시(여기서, 벤질옥시 그룹의 페닐 라디칼은 플루오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이고,
R1이 수소 또는 메틸이고,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메틸, i-부틸 또는 하이드록시메틸이고,
R4 및 R5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들,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는,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4-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4-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이소발레르아미드,
2-[3-(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3-(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드,
2-[2-(4-펜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2-[2-[3-(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4-(2-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3-(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2-[2-[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한 없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n이 1이고,
R은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 존재하고, C3-C6 알킬 또는 벤질옥시(여기서, 벤질옥시 그룹의 페닐 라디칼은 플루오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이고,
R1 및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또는 메틸이고,
R4 및 R5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들,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는,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아세트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2-[2-(4-펜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경우에 따라, 이들의 단일 광학 활성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한 없이 포함된다.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특히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들은,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메탄설폰산과의 염이다.
생물학적 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NMDA 길항작용, MAO-B 억제, 글루타메이트 방출 억제, DA 재흡수 억제 및 나트륨 및/또는 칼슘 채널 차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작용 기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랄핀아미드", 즉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로, 이의 메탄설폰산염은 정신분열증(실시예 4 및 5) 및 불안증(실시예 6 및 7) 동물 모델에서 활성으로 밝혀졌다. 이 효과는 도파민계 수용체에 미치는 길항 효과의 결여(실시예 1) 및 도파민 대사를 조절하는 효소인 MAO-B에 대한 이의 유의한 억제 활성(실시예 2)을 고려할 때 놀라운 것이다. 이러한 효소의 억제는 뇌 내의 도파민 수준을 증가시킨다. 실제로, 선택적 MAO-B 억제제는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파킨슨병에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랄핀아미드는 높은 뇌 투과성을 갖는 강력한 MAO-B 억제제이기 때문에, 정신분열증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더욱이, 랄핀아미드는 NMDA 길항제인 것으로 밝혀졌는데(실시예 3), 이는 앞서 설명된 정신분열증에서의 글루타메이트 기능저하의 가설을 고려할 때 정신분열증 치료에 대한 또하나의 부정적인 특징일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든 이유로, 당해 정신분열증 모델에서의 랄핀아미드의 효능은 예기치 못한 발견이다.
랄핀아미드 도파민 수용체(Dl, D2L, D2S, D3, D4.2, D4.4, D4.7 및 D5) 결합은 방사성 리간드 분석으로 측정한다(실시예 1).
랄핀아미드의 MAO-B 활성은 래트의 뇌 미토콘드리아에서의 방사성 효소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한다(실시예 2).
NMDA 수용체 복합체의 랄핀아미드 억제는 실시예 3에 설명된 바와 같이 측정한다.
항정신분열 활성은 "마우스에서의 놀람의 전펄스 억제(PPI)"(실시예 4) 및 "마우스에서의 MK-801 유도된 운동"(실시예 5)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항불안 활성은 래트에서의 "불안증 개방장 시험"(실시예 6) 및 "구슬 감추기 시험"(실시예 7)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래에 설명된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경구, 복강내 또는 정맥내에 0.1 내지 200㎎/㎏ 범위로 투여될 때 생체내에서 활성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정신분열증 및/또는 불안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요법에 적합한 치료제의 예로는 세로토닌 수용체 조절제; AMPA 조절제; 니코틴성 수용체 작동제; 트리사이클릭 항우울증제(예: 아미트립틸린); 모노아민성 흡수 억제제(예: 벤라팍신);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포함하는 항정신병 약물(예: 할로페리돌, 리스페리돈, 클로자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증제; 트리시클릭스 항우울증 약물; 기분 안정화제(예: 리튬, 라모트리긴, 발프로에이트); 불안 완화제(예: 벤조디아제핀, 부스피론,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 다른 칼슘 또는 나트륨 채널 차단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 및 수의학적 약제에 유용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치료"라는 용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으면, 병리학적 질환의 예방, 경감 및 치료를 포함하고, 특히 이들은 확립된 증상의 치료와 예방적 처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앞서 언급된 병리학에서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에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치료학적 용량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 "용량" 또는 "투여량"을 언급할 때 사용되는 "치료학적 용량"이라는 용어는, 상기 병리학적 질환의 확립된 증상의 치료와 예방적 처치 모두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상기 화합물의 "양", "용량" 또는 "투여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즉각적 및 개선된 방출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 캡슐, 당의정 또는 필름 피복 정제, 액체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경구 제형, 좌약 형태의 직장 제형, 근육내 및/또는 데포 조성물 형태의 비경구 제형, 정맥내 주사 또는 주입, 비강내 제형, 패치, 겔 및 크림 형태의 국소 및 경피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치료적 불활성의 적합한 유기 및/또는 무기 담체 물질로는 예컨대 물, 젤라틴, 아라비아 검, 락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식물성유, 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멸균될 수 있으며,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예: 파라핀유), 만니트 모노올레에이트, 삼투압 조정용 염, 완충제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추가의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 경구 제형은 활성 성분과 함께 희석제, 예를 들면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사카로오스, 셀룰로오즈,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 윤활제, 예를 들면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결합제, 예를 들면 전분, 아라비아 검,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붕해제, 예를 들면 전분, 알긴산, 알기네이트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발포성 혼합물; 염료; 감미제; 습윤제, 예를 들면 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및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제형에 사용되는 비독성의 약리학적 불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혼합, 과립화, 정제화, 당-피복 또는 필름-피복 공정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의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경구 제형은 예컨대 정제 및 과립에 장용 피복물을 도포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서방형 제형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용 액체 분산액은 예를 들면 시럽, 유화액 및 현탁액일 수 있다. 시럽은 담체로서 예를 들면 사카로오스, 또는 글리세린 및/또는 만니톨 및/또는 소르비톨과 함께 사카로오스를 함유할 수 있다.
현탁액 및 유화액은 담체로서 예를 들면 천연 검, 한천, 나트륨 알기네이트, 펙틴, 메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근육내 주사용 현탁액 또는 용액은 활성 화합물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면 무균수, 올리브유, 에틸 올레에이트, 글리콜(예: 프로필렌 글리콜), 및 필요에 따라 적당량의 리도카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정맥내 주사 또는 주입용 용액은 담체로서 예를 들면 무균수를 함유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무균의 수성 등장성 염 용액 형태일 수 있다.
좌약은 활성 성분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또는 레시틴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α-아미노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캡슐, 정제, 찻숟가락 분량의 분말 주입제, 좌약 등의 단위 용량에 대해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약 0.1 내지 약 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함유할 수 있다.
치료적으로 유효한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들이 쉽게 결정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제제의 강도, 투여 방식 및 치료하고자 하는 상태 또는 장애의 진행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치료되는 특정 환자와 관련된 인자들, 예를 들면 환자의 연령, 체중, 식이 및 투여 시간에 따라 용량을 적합한 치료적 유효 수준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을 이의 바람직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양태들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도파민 수용체 결합 분석
- 방사성 리간드 결합 분석
당해 분석은 하기 참조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표준 조건하에 수행한다(참조: Dearry A et al., Nature; 1990; 347: 72-76; Bunzow JR et al., Nature; 1988; 336: 783-787; Sokoloff P. et al., Nature; 1990; 347: 146-151; Van Tol HHM et al., Nature; 1991; 350: 610-614; Van Tol HHM et al., Nature; 1992; 358: 149-152; Sibley DR et al., Trend Pharmacol. Sci.; 1992; 13:61-69).
생화학적 분석 결과는 단일 화합물 농도에서의 특정 결합의 억제 백분율로서 표시한다. 반응은 50%를 초과하는 결합 활성에 대해 유의한 것으로 간주한다.
메탄설포네이트염으로서 랄핀아미드는 표 1에서 보듯이 도파민 수용체에 대해 유의한 결합을 나타내지 않는다.
표 1
Figure 112010046167032-pct00002
실시예 2
시험관내 MAO-B 효소 활성 분석
- 막 제조(조대한 미토콘드리아 분획)
수컷 위스터 래트(Harlan, Italy, 체중 175 내지 200g)를 가벼운 마취하에 희생시키고, 뇌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0.1M EDTA를 함유하는 8용적의 빙냉 0.32M 수크로오스 완충액(pH 7.4) 중에서 균질화한다. 조대한 균질화물을 +4℃에서 2,22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회수한다. 펠릿을 균질화하고 다시 원심분리한다. 두 상등액을 풀링(pooling)하고 9,25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다. 펠릿을 새로운 완충액에 재현탁시키고 +4℃에서 11,25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다. 생성된 펠릿을 -80℃에서 저장한다.
- 시험관내 효소 활성 분석
효소 활성을 MAO-B에 대한 기질 14C-페닐에틸아민(PEA)을 사용하여 방사성 효소 분석으로 평가한다.
미토콘드리아 펠릿(500㎍ 단백질)을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에 재현탁시킨다. 이 현탁액 500㎕를 50㎕의 시험 화합물 용액 또는 완충액에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배양(예비배양)한 후 기질(50㎕)을 첨가한다. 배양은 37℃에서 10분간 수행한다(14C-PEA, 0.5μM).
37% HCl 또는 과염소산 0.2㎖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다. 원심분리 후, 탈아민화된 대사물을 톨루엔(PEA) 3㎖로 추출하고, 방사성 유기상을 90% 효율에서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계에 의해 측정한다. 용출액의 방사성을 측정함으로써, MAO 활성의 결과로서 형성된 중성 및/또는 산성 대사물의 양을 수득한다.
억제제 부재하의 대조군 활성과 비교한 방사능의 백분율에 상응하는, 시료 중의 MAO의 활성을 전환된 기질(nmole)/단백질(㎎)/분으로서 나타낸다.
약물 억제 곡선을 8개 이상의 상이한 농도점(10-10 내지 10-5M)으로부터 각각 2회씩 수득한다. IC50 값(효소 활성을 50%로 억제하는 약물 농도)은 비선형 회귀 분석(최적합 보조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한 신뢰 구간으로 산출한다.
래트의 뇌 미토콘드리아를 사용한 시험관내 효소 연구에서,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염은 MAO-B를 132nM의 IC50으로 강력하게 억제한다.
실시예 3
NMDA 수용체 복합체의 억제
NMDA 수용체에 대한 패치 클램프 실험을 위한 재료 및 방법
세포 제조 및 배양
동물 및 이들의 관리를 포함한 프로세스는 국가(D.L. n.116, G.U., suppl.40, Feb. 18, 1992) 및 국제 법률 및 정책(EEC Council directive 86/609, OJL358.1, Dec.12 1987;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U.S.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에 따른 제도적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한다.
피질 뉴런을 태아 위스터 래트(E17-E19)로부터 제조한다. 임신 17 내지 19일째의 암컷 래트를 마취하고 희생시킨다. 태아(n=4-5)를 절개하고 빙냉 행크 용액[Hank's solution(Life tech.14170-088) + 글루코스 30% + 펜-스트렙(Pen-Strep) 100x(Life Tech. 15140-122) 100U-100㎍/㎖ 및 Hepes-NaOH 5mM]에 넣는다.
태아의 뇌를 반으로 자르고, 각각의 피질을 가위로 더 잘게 자르고, 이 조각들을 5㎖ 피펫을 사용하여 15㎖ 원심관으로 옮기고 행크 용액으로 2회 세척한다.
용액을 1 내지 2㎖를 제외하고 제거하고, 조직을 먼저 5㎖ 피펫으로 분리한 후 2개의 불꽃 연마된 파스퇴르(Pasteur) 피펫(각각 중간 및 작은 구멍)으로 분리한다.
기계적 분리 후, 5㎖의 완전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Gibco 41966-029) + FBS(Hyclone) 10% + 글루타민(Life Tech. 25030-024) 2mM + 펜-스트렙 100U-100㎍/㎖를 첨가하고, 세포 현탁액을 5분간 1,000rpm에서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5㎖의 완전 NB 배지(Neurobasal medium)를 첨가한다[NB 배지(Life tech.21103-049) + B27(Life tech.17504-044) 2% + 글루타민 2mM + 펜-스트렙 100U-100㎍/㎖)].
세포를 계수하고 폴리-D-리신 5㎍/㎖ 처리된 페트리 접시 1개당 400,000세포의 농도로 NB 배지에 희석시킨다.
피질 뉴런을 평판 배양 후 6일째로부터 11일째까지 패치 클램프 실험에 사용한다.
전세포 패치 클램프 기록
피질 뉴런에 대한 실험을 표준 전세포 패치 클램프 방법(참조: Hamill et al., 1981. Pfugers Archiv. European Journal of Physiology 391(2): 85-100)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막 전류를 Axon Axopatch 200B 증폭기로 5kHz에서 기록 및 여과하고, 데이터를 악손 디지데이타(Axon Digidata) 1322 A(Axon Instruments, CA, USA)로 디지털화한다. 프로토콜 수행 및 데이터 획득은 악손(Axon) pClamp8 소프트웨어로 온라인 제어된다. 측정 및 기준 전극은 AgCl-Ag 전극이다. 수터 인스트루먼트(Sutter Instrument) P-87 풀러(Puller)(CA, USA)를 하워드(Harward) 보로실리케이트 유리관으로부터 저항 2-3MΩ을 갖는 패치 클램프 피펫을 당기기 위해 사용한다. 세포를 용액 교체기 바이오로직(Biologic) RSC-200을 사용하여 세포외 용액으로 계속해서 과융해시킨다.
용액 및 약물
외부 대조군 용액(MgCl2 무함유)는 NaCl 155, KCl 2, CaCl2 0.5, HEPES 10, 글루코오스 10(mM)로 이루어진다. MgCl2는 이의 전압 의존성 차단을 피하기 위해 배제시킨다.
NMDA 전류를 자극하기 위해, 외부 욕 용액(N-메틸-d-아스파르트산 Sigma M-3262; 글리신 Bio Rad 161-07118) 중에 NMDA 및 글리신을 각각 작동제 및 보조-작동제로서 사용한다. 결과 챕터(RESULTS chapter)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험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농도를 사용한다. TTX 1μM(TTX Sigma T-8024) 및 스트리시닌 5μM(Strychnine Sigma S-8753)도 각각 Na 채널 및 글리신 수용체 활성을 차단하기 위해 존재한다.
내부 용액은 CsCl 65, CsF 65, NaCl 10, CaCl2 1.3, MgCl2 2, HEPES 10, EGTA 10, MgATP 1(mM)을 함유한다.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의 스톡 용액(10mM)은 Milli-Q H2O 중에서 제조하고, 외부 용액 중에 최종 농도로 희석한다.
데이타 분석
데이타는 클램프피트(Clampfit) 9(Axon Instruments, CA) 및 오리진(Origin) 7.5(Microcal Inc., Northampton, MA,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데이타 포인트 및 결과는 산술 평균±S.E.로 표시한다.
모든 실험에서, -70mV를 유지 전위로 사용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대조군 NMDA 전류는 NMDA 100μM + 글리신 10μM에 의해 활성화된다. 랄핀아미드 차단은 화합물의 1분-예비배양 후의 NMDA 전류를 약물이 없는 대조군 조건에서 동시에 얻어진 NMDA 전류에 비교한 감소량으로서 산출한다. 분획 차단을 약물 농도에 대해 플로팅하여 약물 농도-억제 곡선을 수득한다. 용량-반응 곡선은 다음의 로지스틱 방정식에 따라 적합시킨다: y = A2 + (A1 - A2) / [1 + (x/IC50)p]. A1 및 A2는 0 및 100% 전류 억제에 상응하는 0 및 1의 고정값이고, x는 약물 농도이며, IC50는 50% 전류 억제를 제공하는 약물 농도이고, p는 상응하는 기울기 인자이다.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염은 래트의 일차 피질 뉴런에서 NMDA-유도 전류를 7.3μM의 IC50로 억제한다.
실시예 4
NMDA 수용체 길항작용에 의한 파괴를 갖는 마우스에서의 놀람의 전펄스 억제
전펄스 억제(PPI)는 종을 뛰어넘는 현상(즉, 마우스로부터 사람에 이르는 포유동물에 존재하는 현상)이지만, 정신분열증 환자에서는 비교적 결여되어 있다. PPI 절차는 환자가 환경적 정보를 "차단"하거나 걸러내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감각운동 관문의 청각 (놀람 모델)에서, 약한 청각적 자극(전펄스)은 두 번째의 보다 강한 자극(펄스)에 의해 일어나는 반사적 움찔함 반응(놀람)을 감소시킨다. 디조실핀(MK-801) 또는 암페타민과 같은 약물은 PPI를 파괴시키고 정신분열증의 동물 모델을 나타낸다. 항정신병 약물은 PPI 결핍을 막을 수 있다. 당해 시험은 잠재적인 항정신병 약물을 선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방법: 체중 200 내지 300g의 수컷 위스터 래트를 사용한다. 장치: 모든 놀람 및 PPI 시험은 4개의 놀람 챔버 안에서 수행한다. 각각의 챔버는 통풍이 되고 조명 장치가 있으며 방음이 되고, 플랫폼 위에 놓인 투명한 비제한적 플렉시유리(Plexiglas) 실린더를 함유한다. 챔버 내부의 고주파수 확성기는 70dB의 연속적 배경 잡음과 각종 청각적 자극을 발생시킨다. 동물의 전신 놀람 반응에 의해 유발된 플렉시유리 실린더의 진동은 플랫폼에 부착된 압전 장치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들 신호는 이어서 컴퓨터로 디지털화되고 저장된다. 자극 개시에서 출발하여 1ms 간격으로 65회의 기록을 수행하고, 평균 진폭을 사용하여 청각적 놀람 반응을 측정한다. 소리 수준은 dB로 주어진다.
전펄스 억제 세션: 5분간의 순응(배경 백색 잡음, 70dB) 후, 두 가지 유형의 청각적 자극을 사용한다: 청각적 자극 단독(120dB, 40ms), 또는 자극 100ms 전에 가해진 전펄스(76, 79, 82dB, 40ms)에 의해 진행되는 자극. 각 실험 세션 동안 각 유형의 20회 시도를 20초의 자극간 간격으로 수행한다. 각각의 개별적 동물에 대해 두 가지 유형의 시도(자극 단독 또는 전펄스에 의해 진행되는 자극)에 대한 진폭을 따로따로 평균낸다. 전펄스 억제의 정도는 펄스 단독의 크기(P)와 전펄스+펄스 시도의 크기(PP+P)의 차이를 펄스 단독 시도의 크기로 나누고 100을 곱한 값, 즉 ([(PP+P)/P]×100)로 산출되는 백분율 점수(PPI(%)))로 나타낸다. 산출된 PPI(%) 값이 높으면 전펄스가 펄스 자극에 대한 반응을 억제한 것을 나타내고, 값이 낮으면 전펄스에 의한 억제가 보다 약함을 나타낸다. 물질 및 처리: MK-801 0.2㎎/㎏을 염수에 용해시키고 복강내 투여한다. 각 실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부형제의 투여를 위해 마우스를 배정하고, PPI 세션에서 개체간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시험한다. 첫 번째 실험을 위한 약물 처리 순서는 시험 화합물 및 이어서 MK-801이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시험 화합물 및 이어서 암페타민을 래트에 투여한다.
통계적 분석: 다원 ANOVA 후에 던넷(Dunnett) 사후 검증을 수행한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 실험 모델에서 경구 투여된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염은 90㎎/㎏의 용량에서 PPI에 대한 MK-801의 파괴 효과를 역전시키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2
MK-801-유도된 PPI 파괴에 대한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의 효과
Figure 112010046167032-pct00003
모든 데이타는 산술 평균±SEM로 표시한다.
#는 부형제 및 부형제 처리된 동물과 MK-801이 주사된 동물 사이의 억제 백분율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는 부형제 + MK-801 처리된 동물과 랄핀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처리된 동물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변량 분석은 던넷 검정을 따른다.
실시예 5
마우스에서의 MK-801 유도된 과잉운동
펜사이클리딘(PCP) 또는 MK-801과 같은 글루타메이트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NMDA) 수용체 길항제는 사람의 정신분열증-유사 증상 및 동물의 과다행동과 같은 거동 이상을 일으킨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마우스에서 MK-801 또는 PCP에 의해 일어나는 과다행동을 감소시키고, 이는 정신분열증 증상의 억제 효능을 예측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물 모델을 나타낸다. 동물을 활동 챔버에 넣기 30 내지 35분 전에 부형제 또는 화합물을 주사한다. 동물을 활동 챔버에 넣기 15분 전(즉, 부형제 또는 화합물 투여 후 20 내지 45분째)에 MK-801(0.3㎎/㎏)을 투여하여 마우스에게 과다행동을 일으키고, 15 내지 30분의 세션 동안 총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활성 화합물은 MK-801에 의해 유도되는 총 이동 거리의 증가를 감쇄시킨다.
실시예 6
불안증 개방장 시험
개방장 시험은 래트 및 마우스의 운동, 탐구 및 불안-유사 행동을 평가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 시험은 불안해소 및 불안유발 약물의 효과, 약물에 대한 운동 반응, 및 새로운 것에 대한 행동 반응을 평가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개방장 시험 과제는 새롭거나 불을 환하게 밝힌 개방장의 중앙 영역에서 래트가 갖는 선천적 공포와, 새로운 환경을 탐구하고자 하는 이들의 열망 사이의 충돌에 접근한다. 불안할 때 설치류가 보이는 선천적 경향은 벽 가까이에 머물러 있으려는 것이다(접촉 주성). 이 점에서, 불안증-관련 행동은 래트가 개방장 시험의 중앙을 벗어나는 정도로 측정한다.
개방장 무대는 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벽으로 둘러싸인 비어있는 밝은 사각형 무대로 구성된다. 무대(90㎝×90㎝×40㎝ 높이)를 검정 테이프를 사용하여 크기가 같은 사각형의 6×6 격자로 나눈다.
벽에 인접한 모든 사각형의 총합(즉, 36개의 사각형 중 4개의 모서리를 제외한 16개의 사각형)을 상자의 외부 영역으로 정의한다. 상자의 중앙 영역(16개의 사각형)을 각각 12개 및 4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대중앙(LC) 및 소중앙(SC)으로 구분한다.
래트를 무대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의 행동을 선택된 기간(5 내지 15분)에 걸쳐 비디오로 기록하고 점수를 매긴다.
각각의 사각형 범주 안에서 소요한 시간을 기록한다. 추가로, 15분의 개방장 시험을 5분으로 된 3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총 운동 활성을 각 5분 블록에서의 사각형 진입의 횟수로서 점수 매긴다. 추가로, 다음과 같은 행동의 빈도수를 기록한다: 뻗치는 자세(앞다리를 늘리면서 앞으로 뻗치기, 종종 낮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등을 구부린다), 앞다리를 들어올리며 서기(무대의 측면에 대거나 대지 않고서 뒷다리로 서기), 털 다듬기(몸을 깨끗이하거나 긁기 위해 발 또는 혀를 사용한다) 및 모서리 향하기(즉, 얼굴을 상자의 모서리 쪽으로 향해 서있거나 앉아있기). 마지막으로, 대중앙 및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를 찾아가기 위한 잠복기를 수동으로 점수 매긴다.
벽을 따라 머물러 있으려는 대조군 래트에 비해, 항불안 화합물이 투여된 래트는 개방장의 중앙을 탐구한다.
실시예 7
구슬 감추기 시험
불안증/강박 장애(OCD)의 동물 모델로서 구슬 감추기 시험을 고찰한다. 여러 개의 유리 구슬이 담긴 우리 안에 각각 따로 넣어진 마우스는 무의식적으로 유리 구슬을 감추려는 경향이 있다.
불안증, 우울증, 정신병 또는 강박 장애를 완화시키는 몇 가지 화합물은 이러한 행동에 영향을 미쳐 감춰진 구슬의 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당해 시험은 항불안 및 항-OCD 잠재성 화합물에 대한 예측 타당성을 갖는다.
CD1 마우스에 10, 30, 60 및 80㎎/㎏ 용량(po)의 랄핀아미드, 10㎎/㎏ 용량(sc)의 플루옥세틴(FLX), 또는 염수를 주사하고 이들의 우리로 돌려보낸다. 30분(랄핀아미드) 또는 60분(플루옥세틴) 후, 마우스를 고르게 간격을 둔 12개의 유리 구슬이 담긴 새로운 우리 안에 각각 따로 넣는다. 30분 후 우리에서 마우스를 꺼내고 톱밥 안에 2/3 이상 감춰진 유리 구슬의 수를 센다. 도 1은 다음의 조건하에 측정된 구슬 감추기 시험에서의 랄핀아미드의 효과 및 통계적 평가를 보여준다.
일원 ANOVA 후의 본페로니(Bonferroni) 다중 비교 시험; 그룹당 n= 6 내지 8마리의 마우스, 대조군에 대해 *p<0.05; p***<0.001
CTR: 대조군
FLX: 플루옥세틴 투여군(10㎎/㎏, sc.)
도 1은 랄핀아미드가 80㎎/㎏의 용량(po)에서 감춰진 구슬의 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Claims (30)

  1.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S)-(+)-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R)-(-)-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및
    (R)-(-)-2-[4-(3-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정신분열증이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 장애, 분열정동 장애 및 정신분열형 장애와 같은 정신분열증 관련 장애를 포함하고,
    상기 불안증이 공황 장애, 강박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공포증 또는 사회 불안 장애, 특정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S)-(+)-2-[4-(2-플루오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또는 이의 메탄설폰산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안증인 정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과 함께 불안증이 동반된 정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 또는 불안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기분 안정화제, 세로토닌 수용체 조절제, 니코틴성 수용체 작동제 및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안 완화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다른 치료제가 할로페리돌 또는 리스페리돈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할로페리돌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리튬, 라모트리긴 및 발프로에이트로부터 선택된 기분 안정화제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벤조디아제핀, 부스피론 및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로부터 선택된 불안 완화제인,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량 단위당 활성 성분 0.1 내지 500mg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용량 단위당 활성 성분 1 내지 10mg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2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기분 안정화제, 세로토닌 수용체 조절제 및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불안 완화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다른 치료제가 할로페리돌 또는 리스페리돈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할로페리돌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리튬, 라모트리긴 및 발프로에이트로부터 선택된 기분 안정화제인,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가 벤조디아제핀, 부스피론 및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로부터 선택된 불안 완화제인, 불안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동반하는 불안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2항에 있어서, 용량 단위당 활성 성분 0.1 내지 500mg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3. 제2항에 있어서, 용량 단위당 활성 성분 1 내지 10mg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07015964A 2007-12-19 2008-12-05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KR101500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24584 2007-12-19
EP07024584.0 2007-12-19
PCT/EP2008/066884 WO2009080470A1 (en) 2007-12-19 2008-12-05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670A KR20100102670A (ko) 2010-09-24
KR101500962B1 true KR101500962B1 (ko) 2015-03-10

Family

ID=393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964A KR101500962B1 (ko) 2007-12-19 2008-12-05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445539B2 (ko)
EP (1) EP2222290B1 (ko)
JP (1) JP5736175B2 (ko)
KR (1) KR101500962B1 (ko)
CN (1) CN101903021B (ko)
AR (1) AR071278A1 (ko)
AU (1) AU2008340552B2 (ko)
BR (1) BRPI0821026A2 (ko)
CA (1) CA2707646C (ko)
EA (1) EA019529B1 (ko)
ES (1) ES2878063T3 (ko)
HK (1) HK1146221A1 (ko)
IL (1) IL206107A (ko)
NZ (1) NZ586182A (ko)
TW (1) TWI441631B (ko)
WO (1) WO2009080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8062B1 (en) * 2003-08-25 2010-02-17 Newron Pharmaceuticals S.p.A.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DK2474521T3 (en) 2006-06-19 2016-10-31 Newron Pharm Spa High-purity 2- [4- (3- and 2-fluorobenzyloxy) benzylamino] propanamides for use as pharmaceuticals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thus
AU2011246707B2 (en) 2010-04-27 2014-11-20 Newron Pharmaceuticals S.P.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alfinamide methanesulfonate salts or their R-enantiomers
US10464896B2 (en) 2015-06-11 2019-11-05 Basilea Pharmaceutica International AG Efflux-pump inhibitor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10407315B2 (en) * 2016-04-14 2019-09-10 Seoul Semiconductor Co., Ltd. Method and/or system for synthesis of zinc oxide (ZnO)
WO2019170115A1 (en) 2018-03-08 2019-09-12 Sunshine Lake Pharma Co., Ltd. Pyrrolidineam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112704678B (zh) * 2020-12-02 2024-02-23 江苏恩华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丙酰胺衍生物在制备治疗精神分裂症药物中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614A1 (en) * 1997-11-21 1999-06-03 Euro-Celtique S.A. Substituted 2-aminoacetamides and the use thereof
KR20060010745A (ko) * 2003-04-11 2006-02-02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파킨슨병의 치료방법
KR20070061863A (ko) * 2004-09-10 2007-06-14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선택적 나트륨 및/또는 칼슘 채널 조절제로서의(할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4466A (en) * 1989-05-25 1995-01-24 Erba Carlo Spa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 history of A-amino carboxamide N-phenylalkyl are converted into such new compounds and their preparation
EP1533295A1 (en) * 2003-11-24 2005-05-25 Newron Pharmaceuticals S.p.A. Cyclopentyl Derivatives
EP1588704A1 (en) * 2004-04-22 2005-10-26 Newron Pharmaceuticals S.p.A.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and addictive disorders
GB0517740D0 (en) * 2005-08-31 2005-10-12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CN101309909B (zh) 2005-12-22 2012-11-14 纽朗制药有限公司 作为钙和/或钠通道调节剂的2-苯基乙基氨基衍生物
EP1870097A1 (en) 2006-06-15 2007-12-26 Newron Pharmaceuticals S.p.A.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614A1 (en) * 1997-11-21 1999-06-03 Euro-Celtique S.A. Substituted 2-aminoacetamides and the use thereof
KR20060010745A (ko) * 2003-04-11 2006-02-02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파킨슨병의 치료방법
KR20070061863A (ko) * 2004-09-10 2007-06-14 뉴론 파마슈티칼즈 에스. 피. 에이. 선택적 나트륨 및/또는 칼슘 채널 조절제로서의(할로벤질옥시)벤질아미노-프로판아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6175B2 (ja) 2015-06-17
EA019529B1 (ru) 2014-04-30
EA201070753A1 (ru) 2010-12-30
NZ586182A (en) 2012-02-24
TW200934478A (en) 2009-08-16
IL206107A (en) 2013-10-31
IL206107A0 (en) 2010-11-30
JP2011506518A (ja) 2011-03-03
CA2707646A1 (en) 2009-07-02
AR071278A1 (es) 2010-06-09
AU2008340552A2 (en) 2010-07-29
AU2008340552A1 (en) 2009-07-02
CA2707646C (en) 2016-09-13
HK1146221A1 (en) 2011-05-20
US8445539B2 (en) 2013-05-21
BRPI0821026A2 (pt) 2015-06-16
TWI441631B (zh) 2014-06-21
CN101903021A (zh) 2010-12-01
ES2878063T3 (es) 2021-11-18
EP2222290A1 (en) 2010-09-01
KR20100102670A (ko) 2010-09-24
WO2009080470A1 (en) 2009-07-02
EP2222290B1 (en) 2021-06-16
CN101903021B (zh) 2012-11-14
AU2008340552B2 (en) 2013-08-22
US20110014304A1 (en)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962B1 (ko) 정신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KR101221505B1 (ko) 카나비노이드의 새로운 용도
EP2052251B1 (en) Combination 5-ht7 receptor antagonist and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therapy
TWI494293B (zh) 用於治療認知障礙之α-胺基醯胺衍生物
JP6337255B2 (ja) 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の阻害剤
KR20070089151A (ko) 카나비노이드의 새로운 용도
KR101545124B1 (ko) 치환된 2-[2-(페닐)에틸아미노]알칸아미드 유도체들 및 나트륨 및/또는 칼슘 채널 조절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101802726B1 (ko)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로서의 프롤린 술폰아미드 유도체
EP1707202A1 (de) Organische Verbindungen
Park et al. Chimeric agents derived from the functionalized amino acid, lacosamide, and the α-aminoamide, safinamide: evaluation of their inhibitory actions on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and antiseizure and antinociception activities and comparison with lacosamide and safinamide
WO2010126527A1 (en) Methods of treating cns disorders
KR20050109971A (ko)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 또는 관리를 위한 선택적사이토카인 억제 약물의 사용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조성물
JPWO2008050600A1 (ja) 酸化ストレス性細胞死を分子背景とする難治性疾患の治療または予防剤
US20110184018A1 (en) Method for treating peripheral neuropathic 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