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46B1 -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46B1
KR101500146B1 KR20130112754A KR20130112754A KR101500146B1 KR 101500146 B1 KR101500146 B1 KR 101500146B1 KR 20130112754 A KR20130112754 A KR 20130112754A KR 20130112754 A KR20130112754 A KR 20130112754A KR 101500146 B1 KR101500146 B1 KR 10150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voltage
drive
controlling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은 양방향 컨버터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압차가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정하고,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과 컨버터의 허용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컨버터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전압 변화율의 증감 여부에 따라,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여 전압차가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컨버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컨버터 구동 이전에 컨버터 외부 버스단의 전압을 이용하여 컨버터 내부의 센서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하여 차량의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operating bi-directional converter}
본 발명은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컨버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차량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차량에서 승압형 양방향 컨버터(이하, 컨버터)의 입력은 고전압 배터리이고, 출력은 연료전지의 출력, 인버터의 입력 및 저전압 직류 컨버터(LDC, Low-voltage DC-DC Converter)에 연결되어 있는 버스단이다.
차량을 시동하면, 먼저 차량 제어기는 컨버터에 구동 명령을 전송하며, 컨버터는 전송된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입력단에는 고전압 배터리 전압을 충전하고, 입출력 전압 센서의 오차를 보정한다. 컨버터 회로의 출력단에는 입력단과 동일한 전압이 나타나며, 초기 시동시에 버스단과 컨버터 출력단의 전압은 동일하다. 다만, 컨버터 내부 부품의 저항 성분에 의해 입력과 출력간 전압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한다.
이때, 이러한 오차가 외부 요인 등에 의해 커질 경우 컨버터 구동 이전에 내부를 흐르는 전류가 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컨버터를 구동하게 되면 순간적인 역전류에 의해 내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연료전지 차량에서 양방향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 차이가 발생할 경우 구동 대기 상태로 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 차이를 검출하여 컨버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즉, 컨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차가 일정 오차 이내라면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여 버스단에 공급하며, 이 전압으로 연료전지를 구동하여 차량을 시동하게 되며, 컨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차가 일정 오차 이상이면 컨버터 구동을 하지 않게 되고, 차량의 시동도 되지 않는다.
한편, 컨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차는 입력단과 출력단 전압 센서 오차와 버스단 이상 전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출력단은 버스단에 연결되어 인버터와 저전압 직류 컨버터 등 다양한 고전압 부품들과 연결되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재시동 시간 간격이 짧은 경우, 버스단에 남아 있는 전압이 소모되지 않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버스단 잔존전압이 소모되지 않는 경우에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성을 확보할 수 없고 버스단의 이상 유무 또한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양방향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컨버터 양단간의 전압차를 감지하여 컨버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은 양방향 컨버터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과 상기 컨버터의 허용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의 증감 여부에 따라,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여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컨버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고, 상기 방법의 수행 시간의 시점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허용 전류량은 상기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허용 가능한 전류량이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허용 전류량보다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이 더 작으면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컨버터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전류량보다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이 더 큰 경우 수행된다.
방법은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점검 후,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부품에 걸리는 전압 및 상기 컨버터 출력단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 입출력 오프셋 기준값을 계산하여 상기 컨버터로 전송한다.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밖인 경우, 상기 부품의 제어기를 리셋하고 상기 점검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계산된 오프셋 기준값을 기초로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한다.
리셋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부품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킨다.
반복 횟수가 소정 횟수 초과인 경우, 상기 부품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킨다.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고,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고,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한 후,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한다.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여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수행 시간의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수행 시간과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보다 상기 수행 시간이 더 길다면 상기 컨버터를 구동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행 시간이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더 길다면 상기 전압차를 다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은, 컨버터 양단 간의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류량을 확인하여 컨버터 양단 전압차를 감지하는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버터 양단간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압 변화율을 개선하여 능동적으로 반응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컨버터 구동 실패를 방지할 수 있고, 재시동시 차량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의 전류량과 출력단 전압 변화율로 버스단 전압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로 하여금 시동시 버스단 전압 이상 원인 파악 및 컨버터 입력 출력 전압 센서 오차 보정을 할 수 있게 하여 차량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 구동 이전에 컨버터 외부 버스단의 전압을 이용하여 컨버터 내부의 센서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하여 차량의 시동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내부 파워넷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내부 파워넷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와 고전압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은 주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차량의 구동계에 동력을 공급하는 연료 전지(10), 연료 전지(10) 단에 역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연결된 다이오드(12), 연료 전지(10)를 버스단(16)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14), 연료 전지(10)와 고전압 배터리(20)를 인버터(42), LDC(34), 부품(22) 등과 연결시키는 버스단(16), 연료 전지(1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양방향 컨버터(24), 양방향 컨버터(24)에 의해 다운된 전압을 공급받는 고전압 배터리(20), 고전압 배터리(20)의 전압을 변환시키는 LDC(34), LDC(34)에서 변환된 저전압으로 충전되는 저전압 배터리(30), 저전압 배터리(30)로부터 파워를 공급받는 저전압 전자부하(32), 모터(40)를 구동하기 위해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 전지(10)와 고전압 배터리(20)는 버스단(16)을 통해 인버터(42) 및 모터(40) 등의 부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며, 고전압 배터리(20)에 연결된 양방향 컨버터(24)는 연료 전지(10)의 출력측인 버스단(16)에 연결되어, 버스단(16)으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함에 의해 연료 전지(10)의 출력과 고전압 배터리(2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14)는 연료 전지(10)가 정상 주행시 뿐만 아니라 아이들 스탑, 재시동 상태에서도 항상 온(on)상태이며, 차량의 키 오프 시 또는 비상 셧 다운시에만 오프(off)된다.
인버터(42)는 모터(40)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료 전지(10) 또는 고전압 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변환시켜 모터(40)에 공급한다. 모터(40)의 구동은 연료 전지(10)의 출력만을 이용하는 연료 전지 모드, 고전압 배터리(20)의 출력만을 사용하는 EV 모드, 연료 전지(10)와 고전압 배터리(20)의 출력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버터(24)를 구동하기 위해 컨버터(24)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되고(S201), 차량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미도시)는 컨버터 양단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수행 시간의 시점을 측정한다. 즉, 차량 제어부에서 컨버터(24)로 구동 명령을 인가하면서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고 수행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S203)
컨버터(24) 양단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양방향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밖인 경우 한계 반응 시간을 조정한다.(S207) 반면, 양방향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컨버터(24)를 그대로 구동한다.(S209) 한계 반응 시간은 컨버터(24)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이후 컨버터(24)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한계 반응 시간을 조정한 뒤, 컨버터(24)에 흐르는 전류량과 컨버터(24)의 허용 전류량을 비교한다.(S211) 허용 전류량은 컨버터(24)의 초기 구동시에 컨버터(24)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전류량이다. 컨버터(24)에 흐르는 전류량이 허용 전류량보다 큰 경우, 컨버터(24)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출력단 전압 변화율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3), 계산된 출력 전압 변화율이 감소되는 경우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한다.(S217) 컨버터(24)에 흐르는 전류량이 허용 전류량보다 작은 경우와 계산된 출력단 전압 변화율이 감소되지 않는 경우, 즉 증가 또는 유지되는 경우엔 버스단(16)을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로 하여금 버스단(16)을 점검하도록 한다. 버스단(16)을 점검하여 그 결과로 컨버터(24)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재조정한다.(S219)
계산된 출력 전압 변화율이 감소되어 다시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를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비교 판단하고, 양단의 전압차가 오차 범위보다 크다면, 측정된 수행 시간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로직을 수행한 시간과 한계 반응 시간을 다시 비교한다.(S223) 반면에, 재판단 결과 양단의 전압차가 오차 범위 이내라면, 한계 반응 시간을 초기화 시키고(S221), 컨버터(24)를 구동한다.(S209)
수행 시간과 한계 반응 시간을 비교하여 수행 시간보다 한계 반응 시간이 더 길다면, 다시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를 기설정된 오차 범위와 비교해보는 단계로 돌아간다. 즉, 현재 로직 수행시간이 한계 반응 시간보다 짧다면 다시 컨버터(24) 양단의 전압차를 비교해보는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에 수행 시간과 한계 반응 시간을 비교하여 한계 반응 시간보다 수행 시간이 더 길다면, 컨버터 전압 센서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하고(S225), 컨버터(24)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S227)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단 점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버스단(16) 점검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S215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의 일부분으로서 버스단 점검을 위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먼저 버스단(16) 점검의 횟수를 최초에는 디폴트로 0으로 놓고(n=0)(S301), 점검 횟수가 0회, 1회, 2회인 경우에는(S303) 부품(22)에 걸리는 전압과 컨버터(24)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가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5) 점검 반복 횟수가 2회를 초과하는 경우엔 부품(22)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S317),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킨다.(S319)
부품(22)에 걸리는 전압과 컨버터(24)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밖인 경우 부품(22)의 제어기를 리셋하고(S307), 카운터 횟수(n)를 하나 증가시킨 후(S311), 리셋 대기(S313) 이후, 리셋 완료가 되는지를 판단하여(S315) 리셋이 완료되면 다시 점검 반복 횟수(n)가 2회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03), 2회 이하라면 부품(22)에 걸리는 전압과 컨버터(24)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가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S305)하고, 2회 초과라면 부품(22)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S317),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킨다. 리셋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부품(22)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S317),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 시킨다.(S319)
부품(22)에 걸리는 전압과 컨버터(24)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가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부품(22)들의 전압과 컨버터(24) 출력단의 전압을 참조하여 오프셋 기준값을 계산, 설정하고(S309), 계산, 설정된 오프셋 기준값을 컨버터(24)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컨버터 양단 간의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압 뿐만 아니라 전류량을 확인하여 컨버터 양단 전압차를 감지함으로써, 컨버터(24) 양단간의 전압차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컨버터(24) 양단간에 전압차가 발생하더라도 컨버터(24) 출력단의 전압 변화율을 개선하여 능동적으로 반응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컨버터 구동 실패를 방지할 수 있고, 재시동시 차량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24)의 전류량과 출력단 전압 변화율로 버스단(16) 전압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 제어기로 하여금 시동시 버스단(16) 전압 이상 원인 파악 및 컨버터 입력/출력 전압 센서 오차 보정을 할 수 있게 하여 차량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24) 구동 이전에 컨버터(24) 외부 버스단(16)의 전압을 이용하여 컨버터 내부의 센서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하여 차량의 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연료 전지 16 : 버스단
20 : 고전압 배터리 22 : 부품
24 : 양방향 컨버터 30 : 저전압 배터리
32 : 저전압 전자부하 34 : LDC
40 : 모터 42 : 인버터

Claims (16)

  1. 양방향 컨버터 양단의 전압차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과 상기 컨버터의 허용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의 증감 여부에 따라,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여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컨버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고, 상기 방법의 수행 시간의 시점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전류량은 상기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허용 가능한 전류량이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허용 전류량보다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이 더 작으면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전류량은 상기 컨버터의 초기 구동시 허용 가능한 전류량이며,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전류량보다 상기 컨버터에 흐르는 전류량이 더 큰 경우 수행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후,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단을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부품에 걸리는 전압 및 상기 컨버터 출력단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 입출력 오프셋 기준값을 계산하여 상기 컨버터로 전송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단에 연결된 부품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오차 한계 범위 밖인 경우, 상기 부품의 제어기를 리셋하고 상기 점검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오프셋 기준값을 기초로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부품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키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가 소정 횟수 초과인 경우, 상기 부품의 고장 코드를 저장하고,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키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고, 상기 계산된 전압 변화율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된 버스단을 점검하고, 상기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오프셋을 조정한 후,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재판단하여 상기 전압차가 상기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수행 시간의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수행 시간과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보다 상기 수행 시간이 더 길다면 상기 컨버터를 구동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시간이 상기 컨버터에 구동 명령 신호가 인가된 후 상기 컨버터가 구동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더 길다면 상기 전압차를 다시 검출하는,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KR20130112754A 2013-09-23 2013-09-23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KR10150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754A KR101500146B1 (ko) 2013-09-23 2013-09-23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754A KR101500146B1 (ko) 2013-09-23 2013-09-23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46B1 true KR101500146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754A KR101500146B1 (ko) 2013-09-23 2013-09-23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70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엔드셀 히터 고장 진단 방법
KR20240027932A (ko) 2022-08-23 202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방향 컨버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27933A (ko) 2022-08-23 202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전원 부하를 위한 전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316A (ko) * 1998-01-23 1999-08-16 윤종용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2006325339A (ja) * 2005-05-19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回路
JP2009032615A (ja) * 2007-07-30 2009-02-12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タクタ故障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057342A (ja) * 2008-08-29 2010-03-11 Toyota Motor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316A (ko) * 1998-01-23 1999-08-16 윤종용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2006325339A (ja) * 2005-05-19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回路
JP2009032615A (ja) * 2007-07-30 2009-02-12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タクタ故障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057342A (ja) * 2008-08-29 2010-03-11 Toyota Motor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70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엔드셀 히터 고장 진단 방법
KR102664093B1 (ko) 2018-12-12 202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엔드셀 히터 고장 진단 방법
KR20240027932A (ko) 2022-08-23 202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방향 컨버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27933A (ko) 2022-08-23 202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전원 부하를 위한 전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742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825236B2 (ja) 組電池制御装置
JP2006320176A (ja) インバータの診断方法及び装置
JP6139794B2 (ja) 電力変換装置
CN105450139B (zh) 电动机驱动装置
KR101500146B1 (ko) 양방향 컨버터 구동 제어 방법
JP5230786B2 (ja) 二次電池の状態検知装置、二次電池の状態検知装置のための故障診断方法
WO2017013934A1 (ja) 車載制御装置、車載制御システム
JP2013074724A (ja) 電力変換装置
KR102063733B1 (ko) 공급 회로의 검사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점화 회로를 위한 관련 공급 회로
US10012703B2 (en) Battery charger module for charging a vehicle battery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n AC power supply at a battery charger module
JP4556918B2 (ja) 回生エネルギー消費回路を備える電源装置
JP6969505B2 (ja) 車載用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車載用電源システム
US9531286B2 (en) Control of a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JP4496206B2 (ja) Lcdバックライト用デジタルインバータのlcc
JP5979055B2 (ja) 電源装置
CN110884558B (zh) 用于向车辆中的eps供应电力的控制装置和方法
CN114301032B (zh) 开关控制装置、开关控制方法、及车载电源系统
JP2011017546A (ja) 車両用鉛バッテリの劣化診断装置及び劣化診断方法
KR101896719B1 (ko) 환경차량용 부스트 컨버터 전원 출력전압 속응화 장치 및 방법
US9515481B2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compressor housing
US11299115B2 (en) Power storage unit control device
JP6362794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WO2023228508A1 (ja) 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の診断方法
KR20070092402A (ko) 자동차 보조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