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45B1 -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45B1
KR101500145B1 KR20130112680A KR20130112680A KR101500145B1 KR 101500145 B1 KR101500145 B1 KR 101500145B1 KR 20130112680 A KR20130112680 A KR 20130112680A KR 20130112680 A KR20130112680 A KR 20130112680A KR 101500145 B1 KR101500145 B1 KR 10150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xed
case body
seating unit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탁
허윤제
황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1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은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바디 및 전후좌우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되며, 유동롤을 지지하는 롤초크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고정롤, 상기 고정롤과 수평하게 안착되어 용강을 공급받아 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롤과의 간격을 조정하게 제공되는 유동롤 및 외부 프레임과 상기 유동롤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유동롤안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Adjusting joint unit and twin roll strip caster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롤의 안착시의 위치를 특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에 부착된 침지노즐을 통해 용강을 한 쌍의 주조롤 사이로 공급하며, 공급된 용강은 상기 주조롤과 에지댐에 의해 둘러싸인 용강풀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조롤과 접촉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상기 주조롤 표면에 응고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주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상기 주조롤에 의해 박판을 형성하며 빠져나오게 된다.
특히, 상기 주조롤은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게 제공되는 고정롤(5')과 상기 고정롤(5')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동롤(3')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조롤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롤(5')에 접하여 유동롤(3')이 제공되기 위해서, 상기 유동롤(3')은 롤초크(4')에 의해서 회전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롤초크(4')는 외부 프레임(2')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초크(4')는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해서 외부 프레임(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얼라이먼트 볼트(2a)는 정위치에 안착되지 못한 상기 유동롤(3')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조롤 교환시에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된 주조롤은 먼저 상기 고정롤(5')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롤(5')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롤(3')이 안착되는데, 상기 주조롤의 중량은 한 개가 약 25톤을 넘으며, 크레인에서 운반되어 일단 안착된 고정롤(5')은 작업자가 볼트를 이용하여 외부 프레임(2')과 일치하도록 정렬한다.
이러한 고정롤(5') 정렬이 끝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롤(5')을 중심으로 다시 유동롤(3')을 안착시키는데, 이때 작업자에 따라서 크레인이 유동하므로 외부 프레임(2')과 일치되도록 유동롤(3')을 안착시키는 것은 크레인의 흔들림으로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프레임(2')과 일치시키지 않고 안착된 유동롤(3')은 작업자가 얼라이먼트 볼트(2a)로 당겨서 조정하게 되는데 약 25톤의 중량을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당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제로 얼라이먼트 볼트(2a)를 당겨서 조정하더라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롤(3')의 좌우측 롤초크(4')만 틀어지게 되어, 고정롤(5')과 유동롤(3')의 양끝단 간격이 일시적으로는 일치하나 시간이 경과 되거나 재가동할 경우 다시 유동롤(3')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의해, 주조 중 주조롤의 끝단부로 용강이 누출되어 설비 사고의 원인이 되며, 주조 중단의 문제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롤의 안착시의 위치를 특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은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바디 및 전후좌우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되며, 유동롤을 지지하는 롤초크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롤초크와 결합되는 조정판, 상기 조정판에 형성된 측면홈에 삽입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측면홈에 삽입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의 상기 조정볼트는 상기 케이스바디의 일측면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접하며, 상기 조정판의 하면부에 제공되는 롤링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의 상기 롤링볼은 상기 조정판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고정롤, 상기 고정롤과 수평하게 안착되어 용강을 공급받아 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롤과의 간격을 조정하게 제공되는 유동롤 및 외부 프레임과 상기 유동롤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유동롤안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연결부가 케이스바디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조정할 수 있어, 유동롤의 안착시에 항상 동일한 안착 위치의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은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유동롤의 안착 후의 조정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롤이 안착된 후에 조정볼트에 의해 위치 조정시에, 롤링볼에 의해서 쉽게 상기 유동롤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롤의 교환 시간이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롤을 재조정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량 향상 및 안정적인 설비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의한 유동롤의 조정시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1)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유동롤(3)의 안착시의 위치를 특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1)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연결부(20)가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조정할 수 있어, 유동롤(3)의 안착시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 안착 위치의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유동롤(3)의 안착 후의 조정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롤(3)이 안착된 후에 조정볼트(23)에 의한 위치 조정시에, 롤링볼(24)에 의해 쉽게 상기 유동롤(3)을 조정할 수 있어, 상기 유동롤(3)의 교환 시간이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롤(3)을 재조정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작업시간 단축하여 생산량 향상 및 안정적인 설비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조롤은 한 쌍이 제공되어,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래들에 저장된 용강이 턴디쉬에 공급되고, 상기 턴디쉬에 부착된 후술할 침지노즐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주조롤 사이로 용강이 공급되면, 상기 용강을 냉각시키며 주편을 제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후술할 에지댐과 함께 용강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주조롤과 접촉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상기 주조롤 표면에 응고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응고쉘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주조롤에 의해 박판을 형성하며 빠져나오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조롤은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하는 고정롤(5)과 상기 고정롤(5)과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제공되는 유동롤(3)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주조롤에 의해서 생산된 주편을 가이드하거나, 압연 등을 실시할 수 있는 핀치롤 또는 압연롤 등도 제공될 수 있으며, 공정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탕면 감시카메라, 루프 카메라, 사행 제어카메라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조롤과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위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위어는 상기 용강이 상기 침지노즐에서 공급되는 경우에 용강이 유동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용강의 탕면 상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상기 주조롤에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지댐은 상기 주조롤과 용강풀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주조롤의 양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주조롤 양단부에서 상기 용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에지댐이 상기 주조롤이 제공되는 양단부 이외의 양측부에 제공되어 용강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에지댐은 한 쌍의 상기 주조롤 즉, 고정롤(5)과 유동롤(3)의 양단부가 일치하게 제공되어야만 양측을 막아서 용강풀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롤(5)과 유동롤(3)의 양단부를 맞추기 위한 유동롤안착유닛(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에지댐은 내화물로서 알루미나, 뮬라이트, 스피넬, 지르코니아, 탄화규소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되며, 외부에는 내열강으로 제작된 틀이 상기 내화물을 구속하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지댐은 상기 주조롤과 밀착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에 마모 등에 의해서, 틈이 발생하여 상기 용강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지댐과 상기 주조롤 사이에는 밀봉판이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1)은 외부 프레임(2)에 고정되는 케이스바디(10) 및 전후좌우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되며, 유동롤(3)을 지지하는 롤초크(4)와 결합되는 연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고정롤(5), 상기 고정롤(5)과 수평하게 안착되어 용강을 공급받아 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롤(5)과의 간격을 조정하게 제공되는 유동롤(3) 및 외부 프레임(2)과 상기 유동롤(3)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유동롤안착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10)는 상기 외부 프레임(2)에 고정되어 제공되는 바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후술할 연결부(20)가 탄성력에 의해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는 나사홀(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바디(10)는 상기 외부 프레임(2)에 볼팅,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홀(11)이 형성된 측면에서 돌출되어 제공되는 나사결합부 또는 용접부 등의 돌출탭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롤초크(4)가 결합될 때, 기준이 되는 위치를 항상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로 조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게 4개의 측면에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20)는 조정판(21), 가압스프링(22), 조정볼트(23)를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20)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1)을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박판주조를 위한 한 쌍의 주조롤의 위치조정을 위하여 고정롤(5), 유동롤(3), 유동롤안착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롤(5)은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어 회전되게 제공되는 주조롤로써, 상기 유동롤(3)이 안착되기 위한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롤(3)은 안착된 상기 고정롤(5)과의 간격을 조정하게 제공되어, 생산되는 박판의 두께 등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롤(3)은 안착된 상기 고정롤(5)을 중심으로 안착된 후에 위치 조정을 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롤(3)은 초기 안착시에 상기 고정롤(5)과 수평하지 않고 틀어져 안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유동롤안착유닛(1)을 제공한 것이다.
상기 유동롤(3)이 상기 유동롤안착유닛(1)과 연계되어 외부 프레임(2)에 안착되면, 상기 외부 프레임(2)은 상기 고정롤(5)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유동롤(3)을 이동시킬 수 있게 제공되어, 상기 고정롤(5)과 상기 유동롤(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프레임(2)은 가이드되는 탭이 제공된 상측프레임과 상기 탭이 가이드되는 홈이 형성된 하측프레임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동롤(3)은 롤초크(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초크(4)는 상기 유동롤안착유닛(1)에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롤초크(4)는 상기 외부 프레임(2)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연결된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해서 밀려지거나 당겨져서 상기 롤초크(4)가 틀어져 제공된 것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롤안착유닛(1)에 대하여는 전술하였으며, 그밖에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1)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1)의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롤초크(4)와 결합되는 조정판(21), 상기 조정판(21)에 형성된 측면홈(21a)에 삽입되는 가압스프링(22) 및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11)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스프링(22)을 지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측면홈(21a)에 삽입되는 조정볼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1)의 상기 조정볼트(23)는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일측면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롤초크(4)가 결합될 때, 기준이 되는 위치를 항상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로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판(21), 가압스프링(22), 조정볼트(23)를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롤초크(4)의 결합시에, 상기 롤초크(4)가 안착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롤초크(4)가 안착된 후에도 상기 롤초크(4)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롤(3)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정판(21)은 상기 롤초크(4)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은 볼팅,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나, 탈착이 가능하게 볼팅에 의한 결합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정판(21)은 외부 프레임(2)과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판(21)에 안착된 롤초크(4)가 틀어져서 안착되는 경우에, 후술할 가압스프링(22)에 의하여 틀어짐을 보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해서 틀어짐을 보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한 틀어짐의 조정시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링볼(24)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판(21)에는 측면홈(21a)이 형성되어, 후술할 가압스프링(22)이 삽입되어 조정볼트(23)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스프링(22)은 상기 조정판(2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22)은 상기 조정판(21)의 측면홈(21a)에 삽입된 후에, 상기 조정볼트(23)가 삽입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정볼트(23)는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11)과 나사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판(21)의 측면홈(21a)에서는 나사결합하지 않고 그냥 삽입되어, 상기 가압스프링(2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정판(21)이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홈(21a)에 삽입되는 가압스프링(22)의 탄성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상기 조정볼트(23)는 동일한 삽입 위치를 제공하게 상기 케이스바디(10)의 나사홀(11)에 나사결합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정볼트(23)는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일측면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얼라이먼트 볼트(2a)와 같은 원리로써, 상기 조정판(21)을 일측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조정판(21)의 틀어짐을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탄성력에 의해서 밀려지는 힘을 조정하여 상기 조정판(21)이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조정판(21)에 상기 롤초크(4)가 틀어져 결합되면, 그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정판(21)이 틀어지도록, 상기 조정볼트(23)를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정볼트(23)가 상기 조정판(21)을 틀어지게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정볼트(23)를 최소한 두 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조정볼트(23)만이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일측면에 제공되면, 상기 조정판(21)을 미는 지점이 일 지점만 형성되어 상기 조정판(21)을 틀어지게 보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정판(21)에는 롤링볼(24)이 제공되어, 상기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한 상기 롤초크(4)의 틀어짐 조정시에 상기 외부 프레임(2)과의 마찰을 줄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롤안착유닛(1)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1)의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외부 프레임(2)과 접하며, 상기 조정판(21)의 하면부에 제공되는 롤링볼(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롤안착유닛(1)의 상기 롤링볼(24)은 상기 조정판(21)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한 틀어짐의 조정시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링볼(24)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롤링볼(24)은 상기 조정판(21)의 하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2)과의 마찰을 줄여 상기 조정판(21)이 움직일 수 있게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정판(21)에 안착된 롤초크(4)가 상기 유동롤(3)에 의해서 틀어져 안착되면, 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20)의 가압스프링(22)에 의해 탄성력으로 조정하는 것에 더하여, 얼라이먼트 볼트(2a)에 의한 조정시에 상기 롤초크(4)를 밀거나 당길 때, 상기 롤링볼(24)이 상기 롤초크(4)와 연결된 상기 조정판(2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링볼(24)은 상기 조정판(21)의 하면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어, 상기 조정판(21)을 움직일 때 고른 분포로 마찰을 감소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정판(21)의 이동을 훨씬 수월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1 : 유동롤안착유닛 2 : 외부 프레임
3 : 유동롤 4 : 롤초크
5 : 고정롤 10: 케이스바디
11: 나사홀 20: 연결부
21: 조정판 22: 가압스프링
23: 조정볼트 24: 롤링볼

Claims (6)

  1. 삭제
  2.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바디; 및
    전후좌우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바디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조정되며, 유동롤을 지지하는 롤초크와 결합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롤초크와 결합되는 조정판;
    상기 조정판에 형성된 측면홈에 삽입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측면홈에 삽입되는 조정볼트;
    를 포함하는 유동롤안착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는 상기 케이스바디의 일측면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유동롤안착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접하며, 상기 조정판의 하면부에 제공되는 롤링볼;
    을 더 포함하는 유동롤안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볼은 상기 조정판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유동롤안착유닛.
  6.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고정롤;
    상기 고정롤과 수평하게 안착되어 용강을 공급받아 박판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롤과의 간격을 조정하게 제공되는 유동롤; 및
    외부 프레임과 상기 유동롤 사이에 제공되는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동롤안착유닛;
    을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KR20130112680A 2013-09-23 2013-09-23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KR10150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80A KR101500145B1 (ko) 2013-09-23 2013-09-23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80A KR101500145B1 (ko) 2013-09-23 2013-09-23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45B1 true KR101500145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680A KR101500145B1 (ko) 2013-09-23 2013-09-23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A (ja) * 1992-06-18 1994-01-11 Nippon Steel Corp ロール等回転機の軸受分解組立用装置
JP3074948B2 (ja) * 1992-07-09 2000-08-0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圧延機
KR100650563B1 (ko) * 2005-12-27 2006-11-30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연속박판 주조공정의 주조롤 무빙장치
KR100825331B1 (ko) * 2006-11-10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공정의 주조롤 신속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A (ja) * 1992-06-18 1994-01-11 Nippon Steel Corp ロール等回転機の軸受分解組立用装置
JP3074948B2 (ja) * 1992-07-09 2000-08-0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圧延機
KR100650563B1 (ko) * 2005-12-27 2006-11-30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연속박판 주조공정의 주조롤 무빙장치
KR100825331B1 (ko) * 2006-11-10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공정의 주조롤 신속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4816B2 (ja) 金属ストリップ連続鋳造装置
KR101500145B1 (ko)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SK145995A3 (en) Device for supporting a side wall for continuous casting strip
US4669526A (en) Remotely adjustable continuous casting mold
KR19990029956A (ko) 금속 스트립의 연속 주조장치
US8176970B2 (en) Twin-belt cast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inuous slab casting
JP4913979B2 (ja) ストリップ鋳造
US60448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gap in a strip caster
KR20150033109A (ko) 유동롤안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KR101482423B1 (ko) 침지노즐 정렬장치
US3921706A (en) Starter bar for use in continuous casting plants
KR101510531B1 (ko) 보정결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KR20120032842A (ko) 압연롤러용 지그장치
JP4227247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の双ロール鋳造装置
KR101243249B1 (ko) 박판 사행 방지용 로울러 테이블 및 사행방지 방법
CN110788291A (zh) 多断面铸坯弧段导向装置
KR101908486B1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H0434995Y2 (ko)
KR101109488B1 (ko) 압연장치
WO2018119333A1 (en) Adjustable side dam holder
KR20110059454A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장착 장치
KR100961336B1 (ko) 레벨러의 롤 베이스 셋팅장치
JPH0324270Y2 (ko)
JPS61115651A (ja) 金属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5192348B2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機および圧延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