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49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49B1
KR101499149B1 KR1020147010669A KR20147010669A KR101499149B1 KR 101499149 B1 KR101499149 B1 KR 101499149B1 KR 1020147010669 A KR1020147010669 A KR 1020147010669A KR 20147010669 A KR20147010669 A KR 20147010669A KR 101499149 B1 KR101499149 B1 KR 10149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group
carbon atoms
pigment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173A (ko
Inventor
신지 오가와
요시노리 이와시타
아키라 기무라
세이지 후나쿠라
가츠노리 시마다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42Mixtures of liquid crystal compound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preceding groups C09K19/06 - C09K19/40
    • C09K19/44Mixtures of liquid crystal compound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preceding groups C09K19/06 - C09K19/40 containing compounds with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at least two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e.g. biphenyls
    • C09K2019/121Compounds containing phenylene-1,4-diyl (-Ph-)
    • C09K2019/122Ph-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at least two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e.g. biphenyls
    • C09K2019/121Compounds containing phenylene-1,4-diyl (-Ph-)
    • C09K2019/123Ph-Ph-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09K2019/3004Cy-C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09K2019/3009Cy-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09K2019/301Cy-Cy-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09K2019/3016Cy-Ph-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03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rings in which the different rings are directly linked (covalent bond)
    • C09K2019/3027Compounds comprising 1,4-cyclohexylene and 2,3-difluoro-1,4-phen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2019/523Organic solid p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의 액정 조성물과 특정의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흰빠짐(白拔), 배향 불균일, 소부(燒付) 등의 표시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용의 VA 모드, PSVA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 유용하며, 액정TV, 모니터,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시계, 전자계산기를 비롯하여, 가정용 각종 전기 기기, 측정 기기, 자동차용 패널, 워드프로세서, 전자수첩, 프린터, 컴퓨터,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액정 표기 방식으로서는, 그 대표적인 것에 TN(트위스티드 네마틱)형, STN(수퍼 트위스티드 네마틱)형, DS(동적 광산란)형, GH(게스트 호스트)형, IPS(인플레인 스위칭)형, OCB(광학 보상 복굴절)형, ECB(전압 제어 복굴절)형, VA(수직 배향)형, CSH(컬러 수퍼 호메오트로픽)형, 혹은 FLC(강유전성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동 방식으로서도 종래의 스태틱 구동으로부터 멀티플렉스 구동이 일반화되고, 단순 매트릭스 방식, 최근에는 TFT(박막 트랜지스터)나 TFD(박막 다이오드) 등에 의해 구동되는 액티브 매트릭스(AM) 방식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일반적인 컬러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배향막(4)을 갖는 2매의 기판(1)의 한쪽의 배향막과 기판 사이에, 공통 전극이 되는 투명 전극층(3a) 및 컬러 필터층(2)을 구비하고, 다른 한쪽의 배향막과 기판 사이에 화소 전극층(3b)을 구비하고, 이들의 기판을 배향막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액정층(5)을 협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은, 블랙 매트릭스와 적색 착색층(R), 녹색 착색층(G), 청색 착색층(B), 및 필요에 따라 황색 착색층(Y)으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에 의해 구성된다.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는, 재료 중에 불순물이 잔류하면 표시 장치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불순물에 대한 고도의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배향막을 형성하는 재료에 관해서도 배향막은 액정층이 직접 접촉하고, 배향막 중에 잔존한 불순물이 액정층에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액정층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배향막 재료 중의 불순물에 기인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컬러 필터층에 사용되는 유기 안료 등의 재료에 대해서도, 배향막 재료와 같이 함유하는 불순물에 의한, 액정층에의 영향이 상정된다. 그러나, 컬러 필터층과 액정층의 사이에는, 배향막과 투명 전극이 개재하기 때문에, 액정층에의 직접적인 영향은 배향막 재료와 비교하여 대폭 적은 것이라고 생각되어 있었다. 그러나, 배향막은 통상 0.1㎛ 이하의 막두께에 지나지 않고, 투명 전극도 컬러 필터층 측에 사용되는 공통 전극은 도전율을 올리기 위하여 막두께를 올린 것이어도 통상 0.5㎛ 이하이다. 따라서, 컬러 필터층과 액정층은 완전히 격리된 환경에 두어져 있다고는 할 수 없고, 컬러 필터층이, 배향막 및 투명 전극을 개재하여 컬러 필터층에 포함되는 불순물에 의해,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에 의한 흰빠짐(白拔), 배향 불균일, 소부(燒付) 등의 표시 불량을 발현할 가능성이 있다.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안료에 포함되는 불순물에 기인한 표시 불량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안료의 포름산에틸에 의한 추출물의 비율을 특정치 이하로 한 안료를 사용하여, 불순물의 액정에의 용출을 제어하는 방법(특허문헌 1)이나 청색 착색층 중의 안료를 특정함으로써 불순물의 액정에의 용출을 제어하는 방법(특허문헌 2)이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안료 중의 불순물을 단순히 저감하는 것과 큰 차이는 없고, 최근, 안료의 정제 기술이 진보하고 있는 현상에 있어서도 표시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개량으로서는 불충분한 것이었다.
한편, 컬러 필터 중에 포함되는 유기 불순물과 액정 조성물의 관계에 착목하여, 이 유기 불순물의 액정층에의 용해하기 어려움을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의 소수성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고, 이 소수성 파라미터의 값을 일정치 이상으로 하는 방법이나 이 소수성 파라미터와 액정 분자 말단의 -OCF3기에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액정 분자 말단에 -OCF3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을 일정 비율 이상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로 하는 방법(특허문헌 3)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인용 문헌의 개시에 있어서도 안료 중의 불순물에 의한 액정층에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발명의 본질로 되어 있으며,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안료 등의 색재의 구조와 액정 재료의 구조와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검토가 행해지고 있지 않고, 고도화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불량 문제의 해결에는 이르지 않고 있었다.
일본국 특개2000-1932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9-10954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192040호 공보
본 발명은, 특정의 액정 조성물과 특정의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흰빠짐, 배향 불균일,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컬러 필터를 구성하기 위한 염안료 등의 색재 및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의 구조의 조합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액정 재료의 구조 및 특정의 구조의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가,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흰빠짐, 배향 불균일,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원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간에 협지된 액정 조성물층과, 블랙 매트릭스 및 적어도 RGB 삼색 화소부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 조성물층이 일반식(I)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A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5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2
(식 중, R3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2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3
(식 중, R5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B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5∼45질량%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RGB 삼색 화소부가, 색재로서, G화소부 중에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으며, 그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특정의 액정 조성물과 특정의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흰빠짐, 배향 불균일,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배향막(4)을 갖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2매의 기판(1)의 한쪽의 배향막과 기판 사이에, 공통 전극이 되는 투명 전극층(3a) 및 특정의 안료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층(2a)을 구비하고, 다른 한쪽의 배향막과 기판 사이에 화소 전극층(3b)을 구비하고, 이들의 기판을 배향막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특정의 액정 조성물을 함유하는 액정층(5a)을 협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2매의 기판은, 주변 영역에 배치된 씰재 및 봉지재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그 사이에는 기판 간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입상 스페이서 또는 포트리소그래피법이 의해 형성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기둥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일반식(I)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4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A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5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5
(식 중, R3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2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6
(식 중, R5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B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5∼45질량%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50질량% 함유하지만, 35∼4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8∼42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4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1이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탄소 원자수 1, 3 또는 5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지만, 다른 것이 바람직하고, R1 및 R2가 모두 알킬기인 경우, 서로 다른 원자수의 탄소 원자수 1, 3 또는 5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의 치환기가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기인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의 치환기가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인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지만,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일반식(Ia)∼일반식(Ik)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7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지만, 일반식(I)에 있어서의 R1 및 R2와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a)∼일반식(Ik)에 있어서, 일반식(Ia), 일반식(Ib) 및 일반식(Ig)이 바람직하고, 일반식(Ia) 및 일반식(Ig)이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Ia)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응답 속도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일반식(Ib)도 바람직하고, 보다 응답 속도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일반식(Ib), 일반식(Ie), 일반식(If) 및 일반식(Ih)이 바람직하고, 일반식(Ie) 및 일반식(If)의 디알케닐 화합물은 특히 응답 속도를 중시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들 점에서, 일반식(Ia) 및 일반식(Ig)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I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일반식(Ⅱ-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20질량% 함유하지만, 10∼1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14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Ⅱ-1)에 있어서, R3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4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Ⅱ-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일반식(Ⅱ-1a) 및 일반식(Ⅱ-1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8
(식 중, R3은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4a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식(Ⅱ-1a)에 있어서 R3은, 일반식(Ⅱ-1)에 있어서와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R4a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Ⅱ-1b)에 있어서 R3은, 일반식(Ⅱ-1)에 있어서와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R4a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또는 3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Ⅱ-1a) 및 일반식(Ⅱ-1b) 중에서도, 유전율 이방성의 절대치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일반식(Ⅱ-1a)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일반식(Ⅱ-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5∼45질량% 함유하지만, 30∼4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1∼36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Ⅱ-2)에 있어서, R5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6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지만, 무치환의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가 바람직하고,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Ⅱ-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일반식(Ⅱ-2a)∼일반식(Ⅱ-2d)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09
(식 중, R5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6a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식(Ⅱ-2a) 및 일반식(Ⅱ-2b)에 있어서 R5는, 일반식(Ⅱ-2)에 있어서와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R6a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Ⅱ-2c) 및 일반식(Ⅱ-2d)에 있어서 R5는, 일반식(Ⅱ-2)에 있어서와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R6a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또는 3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Ⅱ-2a) 내지 일반식(Ⅱ-2d) 중에서도, 유전율 이방성의 절대치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일반식(Ⅱ-2a)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Ⅱ-2)에 있어서, B가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 B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각각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또한, 일반식(Ⅲ)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0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D, E, F 및 G는 각각 독립하여,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고, Z2는 단결합, -OCH2-, -OCO-, -CH2O- 또는 -COO-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내는, 단,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Z2는 -OCH2-, -OCO-, -CH2O- 또는 -COO-를 나타내거나 또는, D, E 및 G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2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1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3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에 있어서, R7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D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는 경우,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D가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경우,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4 또는 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4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R8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지만,
G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는 경우,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3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G가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경우,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4 또는 5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4의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4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R7 및 R8이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결합하는 D 또는 G가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경우, 탄소 원자수 4 또는 5의 알케닐기로서는 이하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1
(식 중, 환구조에는 우단에서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탄소 원자수 4의 알케닐기가 더 바람직하다.
D, E, F 및 G는 각각 독립하여,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지만, 2-플루오로-1,4-페닐렌기, 2,3-디플루오로-1,4-페닐렌기,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2-플루오로-1,4-페닐렌기 또는 2,3-디플루오로-1,4-페닐렌기, 1,4-페닐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2,3-디플루오로-1,4-페닐렌기 또는 1,4-페닐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Z2는 단결합, -OCH2-, -OCO-, -CH2O- 또는 -COO-를 나타내지만, 단결합, -CH2O- 또는 -COO-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n은 0 또는 1을 나타내지만, Z2가 단결합 이외의 치환기를 나타내는 경우, 0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일반식(Ⅲ-1a)∼일반식(Ⅲ-1h)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2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지만,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R7 및 R8과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이 1을 나타내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일반식(Ⅲ-2a)∼일반식(Ⅲ-2l)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3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5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지만,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R7 및 R8과 같은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Ⅱ-1) 및 일반식(Ⅱ-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모두, 유전율 이방성이 음이며 그 절대치가 비교적 큰 화합물이지만, 이들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30∼65질량%가 바람직하고, 4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43∼5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전율 이방성에 대해서는 양의 화합물도 음의 화합물도 포함하고 있지만, 유전율 이방성이 음이며, 그 절대치가 0.3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35∼70질량%가 바람직하고, 45∼6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0∼6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50질량% 함유하고, 또한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5∼7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5∼45질량% 함유하고, 또한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45∼65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8∼42질량% 함유하고, 또한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0∼60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80∼100질량%가 바람직하고, 90∼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5∼10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네마틱상-등방성 액체상 전이 온도(Tni)를 폭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6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70∼85℃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전율 이방성은, 25℃에 있어서, -2.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3.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굴절률 이방성은, 25℃에 있어서, 0.08∼0.13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0.09∼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하면, 얇은 셀 갭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0.1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꺼운 셀 갭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0.08∼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점도(γ1)는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에 있어서는, 회전 점도와 굴절률 이방성의 함수인 Z가 특정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4
(식 중, γ1은 회전 점도를 나타내고, Δn은 굴절률 이방성을 나타낸다)
Z는, 13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소자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1012(Ω·m) 이상의 비저항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1013(Ω·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14(Ω·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층은, 상술의 화합물 이외에, 용도에 따라, 통상의 네마틱 액정, 스멕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성 모노머 등을 함유해도 된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일반식(V)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5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Sp1 및 Sp2는 각각 독립하여, 단결합,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렌기 또는 -O-(CH2)s-(식 중, s는 2∼7의 정수를 나타내고, 산소 원자는 방향환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를 나타내고,
Z1은 -OCH2-, -CH2O-, -COO-, -OCO-, -CF2O-, -OCF2-, -CH2CH2-, -CF2CF2-,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2CH2-, -OCO-CH2CH2-, -CH2CH2-COO-, -CH2CH2-OCO-, -COO-CH2-, -OCO-CH2-, -CH2-COO-, -CH2-OCO-, -CY1=CY2-(식 중, Y1 및 Y2는 각각 독립하여,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C는 1,4-페닐렌기,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의 모든 1,4-페닐렌기는,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으로 표시되는 2관능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X1 및 X2는, 모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두 메틸기를 갖는 디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두 바람직하고, 한쪽이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메틸기를 나타내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화합물의 중합 속도는,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가장 빠르고, 디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가 늦고, 비대칭 화합물이 그 중간이며, 그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태양을 사용할 수 있다. PSA 표시 소자에 있어서는, 디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Sp1 및 Sp2는 각각 독립하여, 단결합,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렌기 또는 -O-(CH2)s-를 나타내지만, PSA 표시 소자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이 단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단결합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한쪽이 단결합이며 다른 한쪽이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렌기 또는 -O-(CH2)s-를 나타내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s는 1∼4가 바람직하다.
Z1은, -OCH2-, -CH2O-, -COO-, -OCO-, -CF2O-, -OCF2-, -CH2CH2-, -CF2CF2- 또는 단결합이 바람직하고, -COO-, -OCO- 또는 단결합이 보다 바람직하고, 단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C는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1,4-페닐렌기 또는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C가 단결합 이외의 환구조를 나타내는 경우, Z1은 단결합 이외의 연결기도 바람직하고, C가 단결합인 경우, Z1은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이들 점에서, 일반식(V)에 있어서, Sp1 및 Sp2의 사이의 환구조는,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기재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V)에 있어서, C가 단결합을 나타내고, 환구조가 두 개의 환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 식(Va-1)∼식(Va-5)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Va-1)∼식(Va-3)을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Va-1)을 표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6
(식 중, 양단은 Sp1 또는 Sp2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의 골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 후의 배향 규제력이 PSA형 액정 표시 소자에 최적이며, 양호한 배향 상태가 얻어지므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되거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일반식(V-1)∼일반식(V-4)이 특히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일반식(V-2)이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7
(식 중, Sp2는 탄소 원자수 2∼5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중합성 모노머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중합은 진행하지만, 중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류, 아세토페논류, 벤질케탈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정제를 첨가해도 된다.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로퀴논류, 히드로퀴논모노알킬에테르류, 제3부틸카테콜류, 피로갈롤류, 티오페놀류, 니트로 화합물류, β-나프틸아민류, β-나프톨류, 니트로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액정층은, 액정 표시 소자에 유용하며,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용 액정 표시 소자에 유용하며, PSA 모드, PSVA 모드, VA 모드, IPS 모드 또는 ECB 모드용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액정층은, 이것에 포함되는 중합성 모노머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액정 배향능이 부여되고, 액정 조성물의 복굴절을 이용하여 광의 투과 광량을 제어하는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된다. 액정 표시 소자로서, AM-LCD(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 소자), TN(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 표시 소자), STN-LCD(수퍼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 표시 소자), OCB-LCD 및 IPS-LCD(인플레인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에 유용하지만, AM-LCD에 특히 유용하며, 투과형 혹은 반사형의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컬러 필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는, 블랙 매트릭스 및 적어도 RGB 삼색 화소부로 구성되지만,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G화소부 중에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으며, 그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한다. 또한,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및/또는 음이온성 적색 유기 염료를, B화소부 중에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 및/또는 양이온성 청색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화소부)
G화소부 중의 상기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는, 다음 2개의 군의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들 수 있다.
(제1군)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고,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프탈로시아닌 분자의 벤젠환에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SO3H)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으며,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
(제2군)
Al, Sc, Ga, Y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가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 하고,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프탈로시아닌 분자의 벤젠환에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의 2분자를 구성 단위로 하고, 이들 구성 단위의 각 중심 금속이 산소 원자, 황 원자, 설피닐(-SO-) 및 설포닐(-SO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가 원자단을 개재하여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2량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 벤젠환에 결합하는 할로겐 원자는, 모두 동일해도, 각각 달라도 된다. 또한, 한 개의 벤젠환에 다른 할로겐 원자가 결합하여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8∼16개의 할로겐 원자 중 9∼15개의 브롬 원자가 프탈로시아닌 분자의 벤젠환에 결합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황미(黃味)를 띤 밝은 녹색을 나타내고, 컬러 필터의 녹색 화소부에의 사용에 최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물이나 유기 용매에 불용 또는 난용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에는, 후술하는 마감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안료(조안료(粗顔料)라고도 함)도, 마감 처리가 행해진 안료도, 모두 포함된다.
상기 제1군 및 제2군에 속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하기 일반식(PIG-1)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8
제1군에 속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상기 일반식(PIG-1)에 있어서, 다음과 같다.
일반식(PIG-1)에 있어서, X1∼X16은, 수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한 개의 벤젠환에 결합한 4개의 X의 원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4개의 벤젠환에 결합한 X1∼X16 중, 8∼16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M은 중심 금속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Y 및 그것의 개수 m이 동일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범위에 있어서, 16개의 X1∼X16 중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의 합계가 8 미만의 안료는 청색이며, 마찬가지로 16개의 X1∼X16 중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의 합계가 8 이상의 안료이며 상기 합계치가 클수록 황미가 강해진다. 중심 금속 M에 결합하는 Y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어느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수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가 원자단이며, m은 중심 금속 M에 결합하는 Y의 수를 나타내고, 0∼2의 정수이다.
중심 금속 M의 원자가에 의해, m의 값이 결정된다. 중심 금속 M이, Al, Sc, Ga, Y, In과 같이 원자가가 3가인 경우, m=1이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수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의 하나가 중심 금속에 결합한다. 중심 금속 M이, Si, Ti, V, Ge, Zr, Sn과 같이 원자가가 4가인 경우에는, m=2이며, 산소의 하나가 중심 금속에 결합하거나, 또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수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의 두 개가 중심 금속에 결합한다. 중심 금속 M이, Mg, Fe, Co, Ni, Zn, Zr, Sn, Pb와 같이 원자가가 2가인 경우에는, Y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2군에 속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상기 일반식(PIG-1)에 있어서 다음과 같다.
상기 일반식(PIG-1)에 있어서, X1∼X16에 대해서는, 상기 정의와 동의이며, 중심 금속 M은 Al, Sc, Ga, Y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가 금속을 나타내고, m은 1을 나타낸다. Y는 다음 원자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19
또, 원자단 Y의 화학 구조 중, 중심 금속 M은 상기한 정의와 동의이며, X17∼X32에 대해서는, 일반식(PIG-1)에 있어서 상기한 X1∼X16의 정의와 동의이다. A는, 산소 원자, 황 원자, 설피닐(-SO-) 및 설포닐(-SO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가 원자단을 나타낸다. 일반식(PIG-1) 중의 M과 원자단 Y의 M은, 2가 원자단 A를 개재하여 결합하여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제2군에 속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의 2분자를 구성 단위로 하고, 이들이 상기 2가 원자단을 개재하여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2량체이다.
일반식(PIG-1)으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음 (1)∼(4)를 들 수 있다.
(1) 할로겐화주석프탈로시아닌 안료, 할로겐화니켈프탈로시아닌 안료,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같은, Mg, Fe, Co, Ni, Zn, Zr,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가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고, 또한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4개의 벤젠환에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 또, 이 중에서, 염소화브롬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는, C.I. Pigment Green 58이며, 특히 바람직하다.
(2) 할로겐화클로로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과 같은, Al, Sc, Ga, Y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가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고,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를 갖고, 또한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4개의 벤젠환에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
(3) 할로겐화옥시티타늄프탈로시아닌, 할로겐화옥시바나듐프탈로시아닌과 같은, Si, Ti, V, Ge, Zr 및 S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4가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고,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를 갖고, 또한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4개의 벤젠환에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
(4) 할로겐화된 μ-옥소-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2량체, 할로겐화된 μ-티오-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2량체와 같은, Al, Sc, Ga, Y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가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 하고,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4개의 벤젠환에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의 2분자를 구성 단위로 하고, 이들 구성 단위의 각 중심 금속이 산소 원자, 황 원자, 설피닐 및 설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가 원자단을 개재하여 결합한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2량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R화소부)
R화소부 중에는,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및/또는 음이온성 적색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C.I. Pigment Red 254, 동(同)255, 동264, 동272, Orange 71, 동73이 바람직하고, Red 254, 동255, 동264, 동272가 보다 바람직하고, C.I. Pigment Red 254가 특히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적색 유기 염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C.I. Solvent Red 124, Acid Red 52, 동289가 바람직하고, C.I. Solvent Red 124가 특히 바람직하다.
(B화소부)
B화소부 중에는,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 및/또는 양이온성 청색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는, C.I. Pigment Blue 15:6이다. 양이온성 청색 유기 염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C.I. Solvent Blue 2, 동3, 동4, 동5, 동6, 동7, 동23, 동43, 동72, 동124, C.I. Basic Blue 7, 동26이 바람직하고, C.I. Solvent Blue 7, Basic Blue 7이 보다 바람직하고, C.I. Solvent Blue 7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C.I. Solvent Red 124를, G화소부 중에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으며,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B화소부 중에 C.I. Solvent Blue 7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C.I. Pigment Red 254를, G화소부 중에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으며,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B화소부 중에 C.I. Pigment Blue 15:6을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또한, C.I. Pigment Red 177, 동242, 동166, 동167, 동179, C.I. Pigment Orange 38, 동71, C.I. Pigment Yellow 150, 동215, 동185, 동138, 동139, C.I. Solvent Red 89, C.I. Solvent Orange 56, C.I. Solvent Yellow 21, 동82, 동83:1, 동33, 동16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G화소부 중에 또한, C.I. Pigment Yellow 150, 동215, 동185, 동138, C.I. Solvent Yellow 21, 동82, 동83:1, 동3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GB 삼색 화소부는, 색재로서, B화소부 중에 또한, C.I. Pigment Blue 1, C.I. Pigment Violet 23, C.I. Basic Blue 7, C.I. Basic Violet 10, C.I. Acid Blue 1, 동90, 동83, C.I. Direct Blue 86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컬러 필터가, 블랙 매트릭스와 RGB 삼색 화소부와 Y화소부로 구성되고, 색재로서, Y화소부에, C.I. Pigment Yellow 150, 동215, 동185, 동138, 동139, C.I. Solvent Yellow 21, 82, 동83:1, 동33, 동16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황색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부의 C광원하의 XYZ 표색계에서의 색도 x 및 색도 y는,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흰빠짐, 배향 불균일,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문제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이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R화소부의 C광원하의 XYZ 표색계에서의 색도 x는 0.58∼0.69인 것이 바람직하고, 0.62∼0.6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y는 0.30∼0.36인 것이 바람직하고, 0.31∼0.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58∼0.69이며, 또한 색도 y는 0.30∼0.3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62∼0.68이며, 또한 색도 y는 0.31∼0.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G화소부의 C광원하의 XYZ 표색계에서의 색도 x는 0.19∼0.32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0.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y는 0.60∼0.76인 것이 바람직하고, 0.68∼0.7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19∼0.32이며, 또한 색도 y는 0.60∼0.7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20∼0.26이며, 또한 색도 y는 0.68∼0.7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화소부의 C광원하의 XYZ 표색계에서의 색도 x는 0.11∼0.16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y는 0.04∼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11∼0.16이며, 또한 색도 y는 0.04∼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12∼0.15이며, 또한 색도 y는 0.05∼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Y화소부의 C광원하의 XYZ 표색계에서의 색도 x는 0.46∼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47∼0.4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y는 0.48∼0.53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0.5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46∼0.50이며, 또한 색도 y는 0.48∼0.5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색도 x는 0.47∼0.48이며, 또한 색도 y는 0.50∼0.5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XYZ 표색계란, 1931년에 CIE(국제 조명 위원회)에 있어서 표준 표색계로서 승인된 표색계를 말한다.
상기의 각 화소부에 있어서의 색도는, 사용하는 염안료의 종류나 그들의 혼합 비율을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화소인 경우에는 적색 염안료에 황색 염안료 및/또는 등색(橙色) 안료를, G화소인 경우에는 녹색 염안료에 황색 염안료를, B화소인 경우에는 청색 염안료에 자색 염안료를 적당량 첨가하는 것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료의 입경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컬러 필터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컬러 필터 화소부를 형성할 수 있다. 화소부의 형성 방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는, 포트리소그래피법이며, 이것은, 후기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컬러 필터용의 투명 기판의 블랙 매트릭스를 마련한 측의 면에 도포, 가열 건조(프리베이킹)한 후,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패턴 노광을 행하여, 화소부에 대응하는 개소의 광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후, 미노광 부분을 현상액으로 현상하고, 비화소부를 제거하여 화소부를 투명 기판에 고착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착색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화소부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다.
R화소, G화소, B화소, 필요에 따라 Y화소 등의 다른 색의 화소마다, 후기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여, 상기한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R화소, G화소, B화소, Y화소의 착색 화소부를 갖는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후기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슬릿 코팅법, 롤 코팅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기판에 도포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도막의 건조 조건은, 각 성분의 종류, 배합 비율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50∼150℃에서, 1∼15분간 정도이다. 또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에 사용하는 광으로서는, 200∼500㎚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 혹은 가시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장 범위의 광을 발하는 각종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현상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액성법(液盛法), 딥핑법, 스프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노광, 현상 후에, 필요한 색의 화소부가 형성된 투명 기판은 수세하여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컬러 필터는, 핫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에 의해, 90∼280℃에서, 소정 시간 가열 처리(포스트베이킹)하는 것에 의해, 착색 도막 중의 휘발성 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착색 피막 중에 잔존하는 미반응의 광경화성 화합물이 열경화하여, 컬러 필터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색재는,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액정층의 전압 유지율(VHR)의 저하, 이온 밀도(ID)의 증가를 방지하고, 흰빠짐, 배향 불균일, 소부 등의 표시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염료 및/또는 안료 조성물과, 유기 용제와 분산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균일해지도록 교반 분산을 행하여, 우선 컬러 필터의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안료 분산액을 조제하고 나서, 거기에, 광경화성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나 광중합 개시제 등을 가하여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로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자일렌, 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에틸이나 아세트산프로필이나 아세트산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계 용제,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제,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γ-부티로락탐, N-메틸-2-피롤리돈, 아닐린, 피리딘 등의 질소 화합물계 용제,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제, 카르밤산메틸과 카르밤산에틸의 48:52의 혼합물과 같은 카르밤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빅케미사의 디스퍼빅130, 디스퍼빅161, 디스퍼빅162, 디스퍼빅163, 디스퍼빅170, 디스퍼빅171, 디스퍼빅174, 디스퍼빅180, 디스퍼빅182, 디스퍼빅183, 디스퍼빅184, 디스퍼빅185, 디스퍼빅2000, 디스퍼빅2001, 디스퍼빅2020, 디스퍼빅2050, 디스퍼빅2070, 디스퍼빅2096, 디스퍼빅2150, 디스퍼빅 LPN21116, 디스퍼빅 LPN6919, 에프카사의 에프카46, 에프카47, 에프카452, 에프카 LP4008, 에프카4009, 에프카 LP4010, 에프카 LP4050, LP4055, 에프카400, 에프카401, 에프카402, 에프카403, 에프카450, 에프카451, 에프카453, 에프카4540, 에프카4550, 에프카 LP4560, 에프카120, 에프카150, 에프카1501, 에프카1502, 에프카1503, 루브리졸사의 솔스퍼스3000, 솔스퍼스9000, 솔스퍼스13240, 솔스퍼스13650, 솔스퍼스13940, 솔스퍼스17000, 18000, 솔스퍼스20000, 솔스퍼스21000, 솔스퍼스20000, 솔스퍼스24000, 솔스퍼스26000, 솔스퍼스27000, 솔스퍼스28000, 솔스퍼스32000, 솔스퍼스36000, 솔스퍼스37000, 솔스퍼스38000, 솔스퍼스41000, 솔스퍼스42000, 솔스퍼스43000, 솔스퍼스46000, 솔스퍼스54000, 솔스퍼스71000,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의 아지스퍼 PB711, 아지스퍼 PB821, 아지스퍼 PB822, 아지스퍼 PB814, 아지스퍼 PN411, 아지스퍼 PA111 등의 분산제나,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우드 로진, 검 로진, 톨유 로진 등의 천연 로진, 중합 로진, 불균화 로진, 수첨 로진, 산화 로진, 말레화 로진 등의 변성 로진, 로진 아민, 라임 로진, 로진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로진 알키드 부가물, 로진 변성 페놀 등의 로진 유도체 등의, 실온에서 액상이며 수불용성의 합성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분산제나, 수지의 첨가는, 플로큘레이션의 저감, 안료의 분산 안정성의 향상, 분산체의 점도 특성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분산 조제로서, 유기 안료 유도체의, 예를 들면, 프탈이미드메틸 유도체, 동(同)설폰산 유도체, 동N-(디알킬아미노)메틸 유도체, 동N-(디알킬아미노알킬)설폰산아미드 유도체 등도 함유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유도체는, 다른 종류의 것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말레산계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에톡시)비스페놀A, 3-메틸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파톤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다관능 모노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비교적 분자량이 큰 다관능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벤질디메틸케탄올, 벤조일퍼옥사이드, 2-클로로티오잔톤,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2'-설폰산, 4,4'-디아지드스틸벤-2,2'-디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시판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BASF사제 「이르가큐어(상표명)-184」, 「이르가큐어(상표명)-369」, 「다로큐어(상표명)-1173」, BASF사제 「루시린-TPO」, 니혼가야쿠사제 「카야큐어(상표명) DETX」, 「카야큐어(상표명) OA」, 슈타우퍼사제 「바이큐어10」, 「바이큐어55」, 아크조사제 「트리고날PI」, 산도사제 「산도레1000」, 업존사제 「뎁프」, 구로가네가세이사제 「비이미다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에 공지 관용의 광증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민류, 요소류, 황 원자를 갖는 화합물, 인 원자를 갖는 화합물, 염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 또는 니트릴류 혹은 그 외의 질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배합률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질량 기준으로, 광중합성 혹은 광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에 대하여 0.1∼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1% 미만에서는, 광경화 시의 감광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며, 30%를 초과하면, 안료 분산 레지스트의 도막을 건조시켰을 때에, 광중합 개시제의 결정이 석출하여 도막 물성의 열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재료를 사용하여, 질량 기준으로,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염료 및/또는 안료 조성물 100부당, 300∼1000부의 유기 용제와, 1∼100부의 분산제를, 균일해지도록 교반 분산하여 상기 염안료액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이 안료 분산액에,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안료 조성물 1부당, 열가소성 수지와 광경화성 화합물의 합계가 3∼20부, 광경화성 화합물 1부당 0.05∼3부의 광중합 개시제와,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를 더 첨가하고, 균일해지도록 교반 분산하여 컬러 필터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현상액으로서는, 공지 관용의 유기 용제나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적어도 한쪽이 산가를 갖고, 알칼리 가용성을 나타낸 경우에는, 알칼리 수용액으로의 세정이 컬러 필터 화소부의 형성에 효과적이다.
포트리소그래피법에 의한 컬러 필터 화소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기(詳記)했지만,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안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된 컬러 필터 화소부는, 그 외의 전착법, 전사법, 미셀 전해법, PVED(Photovoltaic Electrodeposition)법, 잉크젯법, 반전 인쇄법, 열경화법 등의 방법으로 각색 화소부를 형성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해도 된다.
(배향막)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의 액정 조성물과 접하는 면에는 액정 조성물을 배향시키기 위해서, 배향막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컬러 필터와 액정층 간에 배치하는 것이지만, 배향막의 막두께가 두꺼운 것이어도 100㎚ 이하로 얇고,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안료 등의 색소와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과의 상호 작용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안료 등의 색소와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과의 상호 작용은 보다 커진다.
배향막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BCB(벤조시클로부텐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투명성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p-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 등의 디아민 및 부탄테트라카르복시산 무수물이나 2,3,5-트리카르복시시클로펜틸아세트산 무수물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테트라카르복시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등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무수물로 합성되는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한, 폴리이미드 배향막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배향 부여 방법은, 러빙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직 배향막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향을 부여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배향막 재료로서는, 칼콘, 신나메이트, 신나모일 또는 아조기 등을 화합물 중에 함유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의 재료와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되며, 이 경우 배향막은 러빙을 사용해도 되며 광배향 기술을 사용해도 된다.
배향막은, 기판 상에 상기 배향막 재료를 스핀 코팅법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하여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1축 연신법, 랭뮤어·블로우젯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투명 전극)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의 재료로서는, 도전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인듐(In2O3),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산화인듐주석(In2O3-SnO2), 산화인듐아연(In2O3-ZnO), 니오븀 첨가 이산화티타늄(Ti1 - xNbxO2), 불소 도프 산화주석, 그라펜 나노 리본 또는 금속 나노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산화아연(ZnO), 산화인듐주석(In2O3-SnO2) 또는 산화인듐아연(In2O3-ZnO)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투명 도전막의 패터닝에는, 포토·에칭법이나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액정 표시 장치와, 백라이트를 조합시켜, 액정 텔레비전,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전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된다. 백라이트로서는, 냉음극관 타입 백라이트, 무기 재료를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2파장 피크의 유사 백색 백라이트와 3파장 피크의 백라이트 등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의 일부를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는 『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중, 측정한 특성은 이하와 같다.
Tni : 네마틱상-등방성 액체상 전이 온도(℃)
Δn : 25℃에 있어서의 굴절률 이방성
Δε : 25℃에 있어서의 유전율 이방성
η : 20℃에 있어서의 점도(mPa·s)
γ1 : 25℃에 있어서의 회전 점도(mPa·s)
dgap : 셀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갭(㎛)
VHR : 70℃에 있어서의 전압 유지율(%)
(셀 두께 3.5㎛의 셀에 액정 조성물을 주입하고, 5V 인가, 플레임 타임 200ms, 펄스 폭 64㎲의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의 측정 전압과 초기 인가 전압과의 비를 %로 나타낸 값)
ID : 70℃에 있어서의 이온 밀도(pC/㎠)
(셀 두께 3.5㎛의 셀에 액정 조성물을 주입하고, MTR-1(가부시키가이샤 도요테크니카제)로 20V 인가, 주파수 0.05㎐의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의 이온 밀도치)
소부 :
액정 표시 소자의 소부 평가는, 표시 에어리어 내에 소정의 고정 패턴을 1000시간 표시시킨 후에, 전화면 균일한 표시를 행했을 때의 고정 패턴의 잔상의 레벨을 목시로 이하의 4단계 평가로 행했다.
◎ 잔상 없음
○ 잔상 매우 약간 있으나 허용할 수 있는 레벨
△ 잔상 있음 허용할 수 없는 레벨
× 잔상 있음 상당히 열악
또, 실시예에 있어서 화합물의 기재에 대하여 이하의 약호를 사용한다.
(측쇄)
-n -CnH2n +1 탄소 원자수n의 직쇄상 알킬기
-On -OCnH2n +1 탄소 원자수n의 직쇄상 알콕시기
(환구조)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0
[컬러 필터의 제작]
[착색 조성물의 조제]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
적색 염료1(C.I. Solvent Red 124) 10부를 폴리병에 넣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5부, 0.3-0.4㎜φ SEPR 비드를 가하고, 페인트 컨디셔너(도요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로 4시간 분산한 후, 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염료 착색액을 얻었다. 이 염료 착색액 75.00부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아로닉스(상표명) M7100, 도아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5.50부, 디펜타에리스톨헥사아크릴레이트(KAYARAD(상표명) DPHA, 니혼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5.00부, 벤조페논(KAYACURE(상표명) BP-100, 니혼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1.00부, 유카에스테르 EEP 13.5부를 분산 교반기로 교반하고, 공경 1.0㎛의 필터로 여과하여,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2]
상기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염료1 10부 대신에, 적색 염료1(C.I. Solvent Red 124) 8부와 황색 염료1(C.I. Solvent Yellow 21) 2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3]
상기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염료1 10부 대신에, 적색 염료2(C.I. Solvent Red 1)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3을 얻었다.
[녹색 염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염료1 10부 대신에, 녹색 염료1(C.I. Solvent Green 7)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녹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염료1 10부 대신에, 청색 염료1(C.I. Solvent Blue 7)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2]
상기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청색 염료1 10부 대신에, 청색 염료1(C.I. Solvent Blue 7) 7부, 자색 염료1(C.I. Basic Violet 10) 3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3]
상기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2의 청색 염료1 7부, 자색 염료1 3부 대신에, 청색 염료2(C.I. Solvent Blue 12)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청색 염료 착색 조성물3을 얻었다.
[황색 염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염료1 10부 대신에, 황색 염료1(C.I. Solvent Yellow 21)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황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황색 염료 착색 조성물2]
상기 황색 염료 착색 조성물1의 황색 염료1 10부 대신에, 황색 염료4(C.I. Solvent Yellow 2)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황색 염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
적색 안료1(C.I. Pigment Red 254, BASF사제 「IRGAPHOR RED BT-CF」) 10부를 폴리병에 넣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5부, 디스퍼빅 LPN21116(빅케미 가부시키가이샤제) 7.0부, Saint-Gobain사제 0.3-0.4㎜φ 지르코니아 비드 「ER-120S」를 가하고, 페인트 컨디셔너(도요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로 4시간 분산한 후, 1㎛의 필터로 여과하여 안료 분산액을 얻었다. 이 안료 분산액 75.00부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아로닉스(상표명) M7100, 도아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5.50부, 디펜타에리스톨헥사아크릴레이트(KAYARAD(상표명) DPHA, 니혼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5.00부, 벤조페논(KAYACURE(상표명) BP-100, 니혼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1.00부, 유카에스테르 EEP 13.5부를 분산 교반기로 교반하고, 공경 1.0㎛의 필터로 여과하여,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2]
상기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안료1 10부 대신에, 적색 안료1 6부와 적색 안료2(C.I. Pigment Red 177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FASTOGEN SUPER RED ATY-TR) 2부, 황색 안료2(C.I. Pigment Yellow 139) 2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안료1 10부 대신에, 녹색 안료1(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AlClPcBr14ClH))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2]
상기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녹색 안료1 10부 대신에, 녹색 안료2(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ZnPcBr14ClH))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3]
상기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녹색 안료1 10부 대신에, 녹색 안료3(C.I. Pigment Green 58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FASTOGEN GREEN A110) 6부와 황색 안료1(C.I. Pigment Yellow 150, LANXESS사제 FANCHON FAST YELLOW E4GN) 4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3을 얻었다.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4]
상기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3의 녹색 안료3 6부, 황색 안료1 4부 대신에, 녹색 안료4(C.I. Pigment Green 58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FASTOGEN GREEN A310) 4부와 황색 안료3(C.I. Pigment YELLOW 138) 6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녹색 안료 착색 조성물4를 얻었다.
[청색 안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안료1 10부 대신에, 청색 안료1(C.I. Pigment Blue 15:6,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FASTOGEN BLUE EP-210」) 9부와 자색 안료1(C.I. Pigment ⅥOLET 23) 1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청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청색 안료 염료 착색 조성물2]
상기 청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자색 안료1 대신에, 자색 염료1(C.I. Basic Violet 10) 1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청색 안료 염료 착색 조성물2를 얻었다.
[황색 안료 착색 조성물1]
상기 적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의 적색 안료1 10부 대신에, 황색 안료1(C.I. Pigment Yellow 150, LANXESS사제 FANCHON FAST YELLOW E4GN) 10부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황색 안료 착색 조성물1을 얻었다.
[컬러 필터의 제작]
미리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는 유리 기판에, 적색 착색 조성물을 스핀 코팅에 의해 막두께 2㎛가 되도록 도포했다. 70℃에서 20분간 건조 후, 초고압 수은 램프를 구비한 노광기로 자외선을,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스트라이프상의 패턴 노광을 했다. 알칼리 현상액으로 90초간 스프레이 현상,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풍건했다. 또한, 클린 오븐 중에서, 230℃에서 30분간 포스트베이킹을 행하고, 스트라이프상의 착색층인 적색 화소를 투명 기판 상에 형성했다.
다음으로, 녹색 착색 조성물도 마찬가지로 스핀 코팅으로 막두께가 2㎛가 되도록 도포한다. 건조 후, 노광기로 스트라이프상의 착색층을 상술의 적색 화소와는 어긋난 장소에 노광하여 현상함으로써, 상술한 적색 화소와 인접한 녹색 화소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청색 착색 조성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스핀 코팅으로 막두께 2㎛로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와 인접한 황색 화소를 형성했다. 이것으로, 투명 기판 상에 적, 녹, 청 3색의 스트라이프상의 화소를 가지는 컬러 필터가 얻어졌다.
필요에 따라, 황색 착색 조성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스핀 코팅으로 막두께 2㎛로 적색 화소, 녹색 화소와 인접한 청색 화소를 형성했다. 이것으로, 투명 기판 상에 적, 녹, 청, 황의 4색의 스트라이프상의 화소를 가지는 컬러 필터가 얻어졌다.
표 1에 나타낸 염료 착색 조성물 또는 안료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1∼4 및 비교 컬러 필터1을 제작했다.
[표 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1
당해 컬러 필터의 각 화소부에 대해서, 올림푸스제 현미경 MX-50과 오츠카덴시제 분광 광도계 MCPD-3000 현미 분광 측광 장치를 사용하여, CIE1931 XYZ 표색계의 C광원에 있어서의 x치와 y치를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4038265711-pct00106
(실시예1∼4)
전극 구조를 제1 및 제2 기판에 제작하고, 각각의 대향 측에 수직 배향성의 배향막을 형성한 후 약(弱)러빙 처리를 행하고, VA셀을 제작하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이하에 나타내는 액정 조성물1을 협지했다. 액정 조성물1의 물성치를 표 3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실시예1∼4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dgap=3.5㎛, 배향막 SE-5300).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의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3
[표 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4
[표 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5
액정 조성물1은, TV용 액정 조성물로서 실용적인 81℃의 액정층 온도 범위를 갖고, 큰 유전율 이방성의 절대치를 갖고, 낮은 점성 및 최적인 Δn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1∼4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5∼12)
실시예1과 같이 표 5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5∼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6 및 7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6
[표 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7
[표 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8
실시예5∼12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13∼24)
실시예1과 같이 표 8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13∼24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11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29
[표 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0
[표 1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1
[표 1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2
실시예13∼24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25∼36)
실시예1과 같이 표 12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25∼36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3∼15에 나타낸다.
[표 1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3
[표 1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4
[표 1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5
[표 1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6
실시예25∼36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37∼48)
실시예1과 같이 표 16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37∼48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7∼19에 나타낸다.
[표 1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7
[표 1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8
[표 1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39
[표 1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0
실시예37∼48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49∼60)
실시예1과 같이 표 20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49∼60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23에 나타낸다.
[표 2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1
[표 2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2
[표 2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3
[표 2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4
실시예49∼60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61∼72)
실시예1과 같이 표 24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61∼72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5∼27에 나타낸다.
[표 2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5
[표 2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6
[표 2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7
[표 2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8
실시예61∼72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73∼84)
실시예1과 같이 표 28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73∼84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9∼31에 나타낸다.
[표 2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49
[표 2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0
[표 3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1
[표 3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2
실시예73∼84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85∼96)
실시예1과 같이 표 32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85∼96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33∼35에 나타낸다.
[표 3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3
[표 3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4
[표 3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5
[표 3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6
실시예85∼96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97∼108)
실시예1과 같이 표 36에 나타낸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실시예97∼108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37∼39에 나타낸다.
[표 3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7
[표 3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8
[표 3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59
[표 3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60
실시예97∼108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109∼112)
액정 조성물1에 2-메틸-아크릴산4'-{2-[4-(2-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녹시카르보닐]-에틸}-비페닐-4-일에스테르 0.3질량%를 혼합하여 액정 조성물28로 했다. 실시예1에서 사용한 VA셀에 이 액정 조성물28을 협지하고, 전극 간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채, 자외선을 600초간 조사(3.0J/㎠)하여, 중합 처리를 행하고,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실시예109∼1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0에 나타낸다.
[표 4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61
실시예109∼112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113∼116)
액정 조성물13에 비스메타크릴산비페닐-4,4'-디일 0.3질량%를 혼합하여 액정 조성물29로 했다. 실시예1에서 사용한 VA셀에 이 액정 조성물29를 협지하고, 전극 간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채, 자외선을 600초간 조사(3.0J/㎠)하여, 중합 처리를 행하고,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실시예113∼116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1에 나타낸다.
[표 4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62
실시예113∼116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실시예117∼120)
액정 조성물19에 비스메타크릴산3-플루오로비페닐-4,4'-디일 0.3질량%를 혼합하여 액정 조성물30으로 했다. 실시예1에서 사용한 VA셀에 이 액정 조성물30을 협지하고, 전극 간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채, 자외선을 600초간 조사(3.0J/㎠)하여, 중합 처리를 행하고,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실시예117∼120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2에 나타낸다.
[표 4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63
실시예117∼120의 액정 표시 장치는, 높은 VHR 및 작은 ID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이 없거나, 또는 있어도 매우 약간이어서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비교예25∼36)
실시예1과 같이 표 52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25∼36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53∼55에 나타낸다.
[표 5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4
[표 5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5
[표 5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6
[표 5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7
비교예25∼36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37∼48)
실시예1과 같이 표 56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37∼48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57∼59에 나타낸다.
[표 5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8
[표 5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79
[표 5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0
[표 5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1
비교예37∼48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49∼60)
실시예1과 같이 표 60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49∼60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61∼63에 나타낸다.
[표 6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2
[표 6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3
[표 6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4
[표 6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5
비교예49∼60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61∼72)
실시예1과 같이 표 64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61∼72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65∼67에 나타낸다.
[표 6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6
[표 6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7
[표 66]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8
[표 67]
Figure 112014038125255-pct00089
비교예61∼72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73∼84)
실시예1과 같이 표 68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73∼84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69∼71에 나타낸다.
[표 68]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0
[표 69]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1
[표 70]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2
[표 71]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3
비교예73∼84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85∼88)
실시예1과 같이 표 72에 나타낸 비교 액정 조성물을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1∼4를 사용하여 비교예85∼88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3에 나타낸다.
[표 72]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4
[표 73]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5
비교예85∼88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89∼96)
실시예1에서 사용한 VA셀에 액정 조성물1, 2, 8, 13, 14, 19, 20 및 26을 각각 협지하고, 표 1에 나타내는 비교 컬러 필터1을 사용하여 비교예89∼96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그 VHR 및 ID를 측정했다. 또한,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부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4 및 75에 나타낸다.
[표 74]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6
[표 75]
Figure 112014038125255-pct00097
비교예89∼96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VHR은 낮고, ID도 커져버렸다. 또한, 소부 평가에 있어서도 잔상의 발생이 인정되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었다.
1…기판
2…컬러 필터층
2a…특정의 안료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층
3a…투명 전극층(공통 전극)
3b…화소 전극층
4…배향막
5…액정층
5a…특정의 액정 조성물을 함유하는 액정층

Claims (17)

  1.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간에 협지된 액정 조성물층과, 블랙 매트릭스 및 적어도 RGB 삼색 화소부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 조성물층이 일반식(I)
    Figure 112014116271973-pct00107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A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5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1)
    Figure 112014116271973-pct00108

    (식 중, R3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20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Ⅱ-2)
    Figure 112014116271973-pct00109

    (식 중, R5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4∼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B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5∼45질량% 함유하고, 일반식(Ⅲ)
    Figure 112014116271973-pct00110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8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내고, D, E, F 및 G는 각각 독립하여,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고, Z2는 단결합, -OCH2-, -OCO-, -CH2O- 또는 -COO-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단,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Z2는 -OCH2-, -OCO-, -CH2O- 또는 -COO-를 나타내거나 또는, D, E 및 G는 불소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20질량%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RGB 삼색 화소부가, 색재로서, G화소부 중에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및 P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이며, 그 중심 금속이 3가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거나, 또는 옥소 또는 티오 가교하고 있으며, 그 중심 금속이 4가 금속인 경우에는, 그 중심 금속에는 1개의 산소 원자 또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설폰산기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하여 있는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GB 삼색 화소부가,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및/또는 음이온성 적색 유기 염료를, B화소부 중에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 및/또는 양이온성 청색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GB 삼색 화소부가,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C.I. Solvent Red 124를, B화소부 중에 C.I. Solvent Blue 7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GB 삼색 화소부가, 색재로서, R화소부 중에 C.I. Pigment Red 254를, B화소부 중에 C.I. Pigment Blue 15:6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화소부 중에 프탈로시아닌 분자 1개당 8∼16개의 할로겐 원자가 프탈로시아닌 분자의 벤젠환에 결합한 Zn을 중심 금속으로서 갖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화소부 중에 C.I. Pigment Green 58을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화소부 중에 또한, C.I. Pigment Yellow 150, 동(同)215, 동185, 동138, C.I. Solvent Yellow 21, 동82, 동83:1, 동3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컬러 필터가, 블랙 매트릭스와 RGB 삼색 화소부와 Y화소부로 구성되고, 색재로서, Y화소부에, C.I. Pigment Yellow 150, 동(同)215, 동185, 동138, 동139, C.I. Solvent Yellow 21, 82, 동83:1, 동33, 동16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황색 유기 염안료를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 있어서, A가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 A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각각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Ⅱ-2)에 있어서, B가 1,4-페닐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 B가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각각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Ⅱ-1), 일반식(Ⅱ-2) 및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5∼70질량%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층을 구성하는 액정 조성물의,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Z
    Figure 112014116271973-pct00102

    (식 중, γ1은 회전 점도를 나타내고, Δn은 굴절률 이방성을 나타낸다)가 13000 이하이며, γ1이 150mPa·s 이하이며, Δn이 0.08∼0.13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층을 구성하는 액정 조성물의, 네마틱상-등방성 액체상 전이 온도(Tni)가 60∼120℃인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층을 구성하는 액정 조성물의 비저항이 1012(Ω·m)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층이 일반식(V)
    Figure 112014038265711-pct00103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Sp1 및 Sp2는 각각 독립하여, 단결합,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렌기 또는 -O-(CH2)s-(식 중, s는 2∼7의 정수를 나타내고, 산소 원자는 방향환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를 나타내고, Z1은 -OCH2-, -CH2O-, -COO-, -OCO-, -CF2O-, -OCF2-, -CH2CH2-, -CF2CF2-,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2CH2-, -OCO-CH2CH2-, -CH2CH2-COO-, -CH2CH2-OCO-, -COO-CH2-, -OCO-CH2-, -CH2-COO-, -CH2-OCO-, -CY1=CY2-(식 중, Y1 및 Y2는 각각 독립하여,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C는 1,4-페닐렌기, 트랜스-1,4-시클로헥실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의 모든 1,4-페닐렌기는,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에 의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일반식(V)에 있어서, C가 단결합을 나타내고 Z1이 단결합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
  17. 삭제
KR1020147010669A 2012-10-03 2012-10-03 액정 표시 장치 KR101499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5660 WO2014054133A1 (ja) 2012-10-03 2012-10-03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173A KR20140062173A (ko) 2014-05-22
KR101499149B1 true KR101499149B1 (ko) 2015-03-05

Family

ID=493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669A KR101499149B1 (ko) 2012-10-03 2012-10-03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93906B2 (ko)
EP (1) EP2733529B1 (ko)
JP (1) JP5299593B1 (ko)
KR (1) KR101499149B1 (ko)
CN (1) CN103858049B (ko)
WO (1) WO2014054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1985A1 (ja) * 2012-09-11 2014-03-20 Di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4057578A1 (ja) * 2012-10-12 2014-04-17 Dic株式会社 液晶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素子
WO2014196527A1 (ja) * 2013-06-06 2014-12-11 Di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9809752B2 (en) * 2013-06-18 2017-11-07 D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36083B (zh) * 2013-09-11 2016-06-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WO2015045441A1 (ja) * 2013-09-24 2015-04-02 Di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888477B2 (ja) * 2014-02-27 2016-03-22 Di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083492B2 (ja) * 2014-08-06 2017-02-22 Di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13484386B (zh) * 2021-05-21 2024-02-13 郑州轻工业大学 一种金属聚酞菁纳米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适配体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040A (ja) * 1998-12-25 2000-07-1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309255A (ja) * 2001-02-09 2002-10-23 Chisso Corp 液晶uvシャッター用液晶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321A (ja) 1998-06-29 2000-01-21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カラーペースト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US6826001B2 (en) * 2001-02-23 2004-11-30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Color filter
TWI296639B (en) * 2003-02-07 2008-05-11 Mitsubishi Chem Corp Colored resin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ed crystal display
JP2008139858A (ja) * 2006-11-08 2008-06-19 Fujifilm Corp 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およびccdデバイス
JP2009109542A (ja) 2007-10-26 2009-05-21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横電界方式の液晶表示装置
JP2009163014A (ja) * 2008-01-07 2009-07-23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JP5446423B2 (ja) * 2009-04-23 2014-03-19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EP3075816B1 (en) 2009-01-22 2018-05-23 JNC Corporation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0095506A1 (ja) * 2009-02-19 2010-08-26 チッソ株式会社 テトラヒドロピランおよび2,2',3,3'-テトラフルオロビフェニルを有する4環液晶性化合物、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
WO2011055643A1 (ja) 2009-11-09 2011-05-12 Jnc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液晶組成物及び配向剤並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TWI482839B (zh) * 2010-01-26 2015-05-01 Jnc Corp 液晶組成物及液晶顯示元件
JP5919698B2 (ja) 2010-11-08 2016-05-18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JP5895844B2 (ja) 2010-11-19 2016-03-30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表示素子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EP2670818B1 (de) 2011-02-05 2016-10-05 Merck Patent GmbH Flüssigkristallanzeigen mit homöotroper aus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040A (ja) * 1998-12-25 2000-07-1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309255A (ja) * 2001-02-09 2002-10-23 Chisso Corp 液晶uvシャッター用液晶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54133A1 (ja) 2016-08-25
JP5299593B1 (ja) 2013-09-25
US9193906B2 (en) 2015-11-24
EP2733529B1 (en) 2016-09-21
US20140211139A1 (en) 2014-07-31
EP2733529A1 (en) 2014-05-21
CN103858049B (zh) 2016-05-11
EP2733529A4 (en) 2015-01-07
WO2014054133A1 (ja) 2014-04-10
US20150042930A1 (en) 2015-02-12
US9298033B2 (en) 2016-03-29
CN103858049A (zh) 2014-06-11
KR20140062173A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0203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991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522950B1 (ko) 액정 표시 장치
EP291616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9512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9810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8608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616775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462997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99594B1 (ja) 液晶表示装置
WO2014141438A1 (ja) 液晶表示装置
TWI476270B (zh) 液晶顯示裝置
TWI460260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68498B (zh) 液晶顯示裝置
TWI542667B (zh) 液晶顯示裝置
TWI439538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