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90B1 -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90B1
KR101499090B1 KR1020080097762A KR20080097762A KR101499090B1 KR 101499090 B1 KR101499090 B1 KR 101499090B1 KR 1020080097762 A KR1020080097762 A KR 1020080097762A KR 20080097762 A KR20080097762 A KR 20080097762A KR 101499090 B1 KR101499090 B1 KR 10149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withdrawal
bundled
banknotes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8696A (en
Inventor
김승기
이우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90B1/en
Publication of KR2010003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지폐가 입출금 및 저장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대속 묶음지폐가 입출금 및 저장되기 용이해질 수 있다. Disclosed is a financial automatic teller machine in which bundled banknotes are deposited and deposited and stored. I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once bundle banknotes can be easily deposited and deposited and stored using the transfer means.

계원, 금융자동화기기, 묶음지폐 Bank account,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bundled banknotes

Description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묶음단위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융기관의 계원들의 업무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capable of depositing or withdrawing banknotes on a bundle basi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employees of financial institutions.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or unmanned automation equipment is an automation device that can provide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and without bank staff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계원 등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inside the financial institution as well as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for the customers using the financial institution,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process the settlement work after the end of the business,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are also being introduced.

특허 출원 제10-2005-030838호에 개시되어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의 묶음출금만 가능할 뿐 별도의 묶음지폐 입금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The automated teller machines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30838 are capable of only withdrawing a bundle of cash, but do not have a separate bundle of bank notes.

또한, 특허 출원 제10-2008-0019384호를 참조하면, 묶음지폐를 입금할 수 있는 묶음지폐 입금부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일정 개수의 현 금이 묶이게 된다. 따라서, 묶음지폐의 두께나 무게 등에 따라 출금 또는 입금되는 묶음지폐의 개수가 한정되기 때문에 다량의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Also, referring to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9384, although a bundled bank note depositing portion capable of depositing bundled bank notes is disclosed, a certain number of cash is bundled in such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Therefore, the number of bundled bank notes to be withdrawn or deposited depends on the thickness, weight, etc. of the bundled bank not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posit or withdraw large amounts of bundled bank notes.

본 발명은 묶음지폐가 입출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계원용 금용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machine tool for cash dispenser which minimizes the time required for transferring and collecting the bundled banknotes.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된 묶음지폐 중 최상단에 위치한 묶음지폐만 입출금되는 묶음지폐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reventing the bundle banknotes stored at the top of the stacked banknotes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본체, 묶음지폐가 입출금되기 위한 본체 내부에 형성된 입출금부; 입출금부 일측에 위치하며, 입출금부의 묶음지폐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로 묶음지폐를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전달수단은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 어느 한 곳에 구비되며,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에 적재된 대속 묵음지폐 중 최상부의 묶음지폐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ncluding a main body, a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for depositing and collecting the bundled banknotes; A storage unit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and stores the bundled banknotes of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And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bundled banknotes to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transfer means is provided at any one of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계원이 금융기관의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묶음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각 계원마다 정산해야 할 지폐를 낱장단위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manage the banknotes deposited from the customers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in bundle unit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calculating the banknotes to be settled in units of each bank.

여기서, 상기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 사이에는 묶음지폐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격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달수단은 격벽과 대향하도록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달수단은 묶음지폐의 최상단의 일 단을 통과홀 방향으로 밀어 묶음지폐가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Here, a partition wal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undled bank notes pas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and the transfer means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or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partition. The transfer means pushes one end of the uppermost end of the bundled banknotes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can move to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이때, 전달수단은 리드 스크류로 형성됨으로써, 묶음지폐의 일 단을 밀어주기 용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속(大束) 묶음지폐는 낱장의 지폐를 100장 단위로 묶은 소속(小束) 묶음지폐 몇 단위를 묶어놓은 것이다. 따라서, 대속 묶음지폐는 소속 묶음지폐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대속 묶음지폐의 일 단면을 밀어주면,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ransfer means is formed of a lead screw, it is easy to push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s. In particular, the bundle bundle bankno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ndle of several bundles of banknotes bundled in a unit of 100 sheets. Therefore, since the at-large bundle banknotes are formed to have a larger thickness than the bundled banknotes, the bundle banknotes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s by pushing one end face of the at-large bundle banknotes.

또한, 전달수단은 격벽과 대향하도록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의 일 측에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묶음지폐의 일 단을 밀어주는 복수개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는 리드 스크류가 묶음지폐를 밀어낼 때 리드 스크류와 함께 묶음지폐의 최상부를 밀어냄으로써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for pushing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t one side of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bank. The rotating blade pushes the top of the bundled bill with the lead screw when the lead screw pushes the bundled bill, thereby allowing the bundled bill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more easily.

더불어 전달수단은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 상부에 구비된 묶음지폐 중,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상면과 접하여 묶음지폐 통과를 가이드하는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livery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roller that guides the bundle banknotes through the bundle banknotes provid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ndle banknotes stacked on the uppermost portion.

여기서, 입출금부 및 저장부는 각각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입출금 트레이 및 푸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입출금 트레이 및 푸쉬 플레이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트레이 구동부 및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may include a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nd a push plate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stacked,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tray driving portion and a plate driving portion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nd the push plate.

또한, 통과홀에는 입출금 트레이에 적재된 묶음지폐 중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센서는 발광센서 및 발광센서와 대향하도록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에 제공된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장착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passage hole may be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ndled banknotes stacked on the top of the bundled banknotes stacked on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in the deposit / discharge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light emission sensor and the light emission sensor. Here,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may be mutually exchanged.

수광센서는 입출금 트레이 또는 푸쉬 플레이트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최상부가 통과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수광센서에서 수광되는 신호가 다크(dark)가 되기 때문에 입출금 트레이 또는 푸쉬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묶음지폐의 최상부가 통과홀의 상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 banknote stack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or the push plate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or at a higher position, the light receiving sensor receives a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d banknotes can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더불어, 저장부는 저장부에서 입출금부로 출금되는 묶음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센서는 푸쉬 플레이트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상승하여 묶음지폐의 최상부가 접촉센서와 닿으면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해 출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촉센서는 저장부 롤러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회전 운동에 관계없이 묶음지폐의 최상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capable of sensing bundled bank notes dispens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bundled bank notes stacked on the push plate rises and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d bank notes touches the contact sensor, To be withdrawn through the through hole. Such a contact senso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rage roller, and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roller,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bundle banknote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motion.

특히 묶음지폐는 계원 또는 대속기(지폐를 묶는기계)가 묶음지폐를 묶는 과정에서 생기는 묶음지폐 묶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묶음지폐 묶음부는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묶음지폐의 원활한 통과를 방해할 수 있다. 즉, 묶음부가 통과홀에 걸려 묶음지폐의 전달이 잘 안되거나 묶음부가 파손될 수도 있다.Particularly, the bundled banknotes may include bundled banknotes bundles formed by bundling banknotes in the process of bundling bundled banknotes, and the bundled banknotes bundle may be a bundle of banknotes, . ≪ / RTI > That is, the bundle may be caught by the through-hole and the bundled bill may not be transmitted or the bundle may be broken.

따라서, 통과홀의 하부에는 통과하는 묶음지폐의 묶음부가 통과홀에 걸리지 않도록 묶음지폐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묶음지폐 가이드부는 통과홀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은 아래쪽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can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so that the bundle of bundled banknotes passing therethrough is not caught in the through-hole. The bundle banknot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oth ends may be formed to be bent downward.

여기서 가이드부는 격벽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 및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통과홀을 관통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금 트레이 및 푸쉬 플레이 트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랙기어가 입출금부 및 저장부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further include a rack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the pinion gear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ooperati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and the push plate, the rack gear is interposed between the deposit- Can move.

또한,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원활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홀의 높이가 통과홀을 통과하는 묶음지폐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부는 묶음지폐가 소정 높이에서부터 자유 낙하로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하여 입출금 트레이 또는 푸쉬 플레이트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묶음지폐 묶음부에 의해 묶음지폐가 적재될 위치에 적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through hole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bundle banknot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bundle banknotes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t this time, the guide unit guides the bundle banknote from a predetermined height to a free fall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ndled banknotes from being stack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undled banknotes are stacked by the bundled banknote bundle in the process of being stack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or the push pl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입금 및 출금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계원이 담당한 지폐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낱장 단위로 출금 또는 입금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posit and withdraw bundled bankno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withdrawing or depositing banknotes in units of one sheet.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이동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묶음지폐가 입출금되는 과정에서 묶음부가 파손되거나 통과홀에 묶음부가 걸려서 묶음지폐가 균일하게 적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ransfer means for easil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undled bankno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ndle from being broken or the bundled banknotes to be stacked in the through holes when the bundled banknotes are taken out and deposited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도면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묶음지폐란 낱장의 지폐를 100장 단위로 묶은 소속(小束) 묶음지폐를를 일정 단위로 묶은 대속(大束) 묶음지폐를 의미하며, 대속을 만들기 위해 묶는 소속의 단위는 금융기관에서 사용되는 조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묶음지폐를 대속 묶음지폐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소속 묶음지폐 또한 입출금될 수도 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undle banknote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bundle bundle banknote bundle of small bundle bundle bundles bundled in units of 100 sheets,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used in the financial institution.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dled banknotes are exemplified as the bundled banknotes, but the bundled banknotes belonging to the automated teller machin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deposited and withdraw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제공되는 입출금부 및 저장부에서 묶음지폐가 통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 bundle banknote being passed through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a storage unit provided in 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출금부(140)는 계원이 묶음지폐(50)를 입출금하는 출입구(170), 묶음지폐(50)가 적재되는 입출금 트레이(144) 및 입출금 트레이(144)를 승강시키는 트레이 구동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구(170)에는 셔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묶음지폐(50)의 입출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1 and 2,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includes an entrance / exit port 170 for depositing / withdrawing the bundled banknotes 50, a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50 are stacked, and a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And a tray driving unit 146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ray. Here, a shut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entrance 170 and may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entrance / exit of the bundled banknotes.

한편, 입출금부(140) 일측에는 묶음지폐(50)를 저장하는 저장부(120)가 제공된다. 저장부(120)는 입출금부(140)에 적재되어 있던 묶음지폐(50)를 입금 및 저장하거나, 저장된 묶음지폐(50)를 입출금부(140)로 출금하기도 한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묶음지폐(50)가 적재되는 푸쉬 플레이트(124) 및 푸쉬 플레이트(124)를 승강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the bundled banknotes 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The storage unit 120 deposits and stores the bundled banknotes 50 loaded in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or dispenses the stored bundled banknotes 50 to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push plate 124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50 are loaded and a plate driving unit 126 for moving the push plate 124 up and down.

여기서, 플레이트 구동부(126)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풀리 구동 모터 등으 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 구동부(146)도 마찬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2에서 상기 풀리 및 풀리 구동 모터는 입출금부(140) 및 저장부(120)를 복개하는 플레이트(미도시)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Here, the plate driving unit 126 may be constituted by a timing belt, a pulley, a pulley driving motor, or the like. The tray driving unit 146 may have a similar structure. 1 and 2, the pulley and pulley drive motor is installed in a plate (not shown) for covering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and the storage portion 120, so that the illustration is omitted.

또한, 저장부(120) 측면에는 도어(130)이 형성되어 작업자 내지 금융기관의 계원이 묶음지폐(50)가 수납된 저장부(120)를 꺼내거나 입금을 위해 저장부(120)를 수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20)를 본체에서 꺼내는 경우에는 저장부(120)에 묶음지폐(50)가 최대한 적재된 상태가 될 것이고, 저장부(120)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빈 저장부(120)를 끼우게 될 것이다. 한편, 저장부(120)는 지폐를 저장하는 카세트(미도시)가 장탈착될 수도 있다.A door 1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unit 120 so that the operator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can retrieve the storage unit 120 i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50 are stored or store the storage unit 120 for depositing It is possible.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unit 120 is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the bundled banknotes 50 will be fully loaded in the storage unit 120. When storing the storage unit 120, It will be good. 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not shown) for storing bills can be removed from the storage unit 120.

이때, 입출금부(140)와 저장부(120) 사이에는 격벽(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50)은 입출금부(140)과 저장부(120) 사이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50)에는 묶음지폐(50)가 입출금부(140) 또는 저장부(120)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20, and the partition 150 may spatially separate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from the storage unit 120 . A through hole 155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150 so that the bundled banknote 50 can pass through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or the storage portion 120.

통과홀(155)를 통해 묶음지폐(50)가 통과되기 위해서는 묶음지폐(50)의 통과를 가이드하는 전달수단이 필요하다. 전달수단에 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for the bundled banknote 50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155, a transmission means for guiding passage of the bundled banknote 50 is required. The delivery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시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입출금부(140)의 입출금 트레이(144)는 트레이 구동부(146)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원이 출입구(170)로 묶음지폐(50)를 입금하면 입출금 트레이(144) 상에 묶음지폐(50)가 적재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구동부(146)는 적재된 묶음지폐(50) 중 최상부에 위치한 묶음지 폐(50)가 통과홀(155)과 대향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한다.1 and 2,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of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tray driving unit 146. For example, when a banker deposits the bundled banknotes 50 into the entrance 170, the bundled banknotes 50 can be stacked on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At this time, the tray driving unit 146 allows the bundle waste 50 locat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stacked bundled bank notes 50 to move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opposed to the through hole 155.

입출금부(140) 일측에 제공되는 저장부(120)는 푸쉬 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푸쉬 플레이트(124)는 입출금 트레이(144) 승강에 따라 상대적(즉, 반대로)으로 승강할 수 있다. 즉, 입출금부(140)에 적재된 묶음지폐(50)를 저장부(120)에 적재하기 위해 입출금 트레이(144)가 하강하게 되면, 통과홀(155)을 통해 통과된 묶음지폐(50)를 적재하기 위해 푸쉬 플레이트(124)가 상승하게 된다. The storage unit 1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may include a push plate 124. The push plate 124 can relatively move up and down as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144 is raised and lowered have. That is, when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is lowered to load the bundled banknote 50 loaded in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on the storage unit 120, the bundle banknote 50 passed through the through- The push plate 124 is raised for loading.

이때, 입출금 트레이(144)는 묶음지폐(50)가 입출금부(140)에서 저장부(120)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적재된 묶음지폐(50)의 최상부가 다시 통과홀(155)와 대향될 수 있도록 상승할 수 있다. 이와 상대적으로 푸쉬 플레이트(124)는 묶음지폐(50)를 적재하면서 바닥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d banknote 50 stacked so that the bundled banknote 50 can pass from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to the storage portion 120 can be opposed to the through hole 155 again . The push plate 124 can be lowered in the bottom direction while the bundle banknote 50 is loaded.

도 3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도 3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80)는 통과홀(155)과 입출금부(140)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180)는 발광센서(182) 및 발광센서(182)와 대응되는 수광센서(184)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발광센서(182)는 통과홀(155)에 제공되며, 수광센서(184)는 입출금부(140)의 벽면(W)에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제공되는 위치는 바뀔 수 있다.3, the detection sensor 180 may be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and the detection sensor 180 may receive the light receiving sensor 182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182, May be provided to the sensor 184. Although the light emitting sensor 182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184 i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W of the deposit and exit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re provided may be changed.

수광센서(184)는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에 적재된 묶음지폐(50)의 최상부가 통과홀(155)와 수평한 위치가 되면 수광센서(184)에서 수광되는 신호가 다크(dark)가 될 수 있다. 즉,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 트(124)에 적재된 묶음지폐(50)의 최상부가 발광센서(182) 및 수광센서(184)와 대향되게 위치하면 수광센서(184)는 발광센서(182)의 신호를 수광하지 못해 수광 신호가 다크(dark) 될 수 있다. 수광신호가 다크가 되면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입출금 트레이(144)의 작동이 멈추거나 조금 하강할 수 있으며, 통과된 묶음지폐(50)는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에 적재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sensor 184 detects that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184 is dark whe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 banknote 50 load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is horizontal with the through- (dark). That is, whe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 banknote 50 loaded on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is located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sensor 18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184, 182 can not be received and the light receiving signal can be dark. The operation of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can be stopped or a little lowered so that the bundled banknote 50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when the light receiving signal becomes dark, ) Or the push plate 124, respectively.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접촉센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120)의 상부에는 회전 롤러(122)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122)는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할 때, 통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4, a rotating roller 122 may further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120, and the rotating roller 12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ing part 120, when the bundle banknote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50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155 more easily.

이때, 회전 롤러(122)의 표면에는 접촉센서(128)가 제공될 수 있다. 접촉센서(128)는 저장부(120)에서 입출금부(140)로 묶음지폐(50)가 출금될 때, 묶음지폐(50)의 출금 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At this time, a contact sensor 128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122. The contact sensor 128 enables the dispensing time of the bundled banknotes 50 to be determined when the bundled banknotes 50 are dispensed from the storage unit 120 to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즉, 푸쉬 플레이트(124)에 적재된 묶음지폐(50)가 푸쉬 플레이트(124)가 상승하면서 묶음지폐(50)의 최상부가 회전 롤러(122)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롤러(122)의 표면에 형성된 접촉센서(128)와 묶음지폐(50)의 최상부가 접하면 적재된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할 수 있도록 푸쉬 플레이트(124)의 작동이 멈추거나 조금 하강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 banknote 50 can contact the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122 while the bundle banknote 50 loaded on the push plate 124 is lifted up by the push plate 124. At this time, when the contact sensor 12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122 contacts with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ndle banknote 50, the stacked bundle banknote 50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Operation may be stopped or slightly lowered.

여기서, 접촉센서(128)는 회전 롤러(122)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 으며, 다르게는 회전 롤러(122)의 단부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센서는 적재된 묶음지폐와 접촉하면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지폐류에 반응하는 센서, 묶음지폐와 접촉하면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sensor 128 may be disposed entirely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122, or alternatively may be disposed along the end of the rotating roller 122.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sensor makes it possible for the bundled bill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bundled bundled bill, the contact sensor can be formed as one of various sensors capable of reactin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ndled bill.

도 5은 본 발명의 전달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liver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전달수단(160)은 리드 스크류(166)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광센서(도 3 참조,184)에서 수광되는 신호가 다크(dark)가 되면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50)와 통과홀(155)이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리드 스크류(166)가 묶음지폐(50)의 일 단을 밀어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 방향으로 밀려 나갈 수 있게 한다. 통과홀(155)을 통과한 묶음지폐(50)는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에 적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ransfer means 160 may be formed of a lead screw 166. 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see FIG. 3, 184) becomes dark as described above, the bundle banknote 50 and the through hole 155 stack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t this time, the lead screw 166 pushes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50 to allow the bundled banknote 50 to b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55. The bundle banknote 5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can be load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도 5에서는 전달수단이 입출금부(140)에 제공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저장부(120)에도 동일한 전달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In FIG. 5, although the transfer means is provided in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140, the same transfer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portion 120 as well.

이때, 전달수단(160)은 묶음지폐 묶음부(B)가 통과홀(155)에 걸리지 않도록 묶음지폐 가이드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fer means 160 may include a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8 so that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is not caught in the through hole 155.

묶음지폐 가이드부(168)에 대한 설명에 앞서 묶음지폐 묶음부(B)는 종이나 지폐 등의 가운데를 둘러 감아 매는 종이로써, 소속(小束)을 여러 묶음 묶어 대속(大束)으로 만들 때 사용하는 종이의 매듭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묶음지폐 묶음부(B)는 묶음지폐(50)이 통과홀(155)을 통과할 때 통과홀(155)에 걸려 묶음부(B)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묶음부(B)가 파손되어 묶음지폐(50)이 통과홀(155)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으며, 묶음지폐(50)가 올바른 위치에 적재되지 않을 수도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bundled banknote guide portion 168,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is a paper that winds around the center of a paperclip or a banknote, and is used when bundling a plurality of bundles into a bundle The knot portion of the paper.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may be caught in the through hole 155 when the bundled banknote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to break the bundle B. Also, in some cases, the bundle B may be broken, the bundled banknote 50 may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bundled banknote 50 may not be stacked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묶음지폐 가이드부(168)는 묶음지폐 묶음부(B)가 통과홀(155)에 걸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묶음지폐 가이드부(168)는 통과홀(155)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끝단은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묶음지폐 가이드부(168)의 끝단은 양 끝단 모두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묶음지폐 묶음부(B)가 가이드부(168)에 걸리지 않고, 통과홀(155)을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bundled banknote guide portion 168 serves to prevent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from being caught in the through-hole 155. That is, the bundle banknote guide portion 168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end of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8 may be directed down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8 is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8 are directe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8. This is because the bundled banknote bundling portion B does not catch the guide portion 168, This is because we have to.

또한, 통과홀(155)의 높이(h₁)는 묶음지폐(50)의 높이(h₂)보다 크게 형성되어 묶음지폐(50)가 소정 높이에서부터 자유 낙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묶음지폐(50)는 묶음지폐 묶음부(B)에 의해 매듭부분이 형성된다. 매듭부분은 묶음지폐가 차례로 적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기울어져 있거나, 묶음지폐와 지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하여 묶음지폐 적재 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때, 묶음지폐(50)가 소정 높이에서부터 자유 낙하하게 되면 묶음지폐가 기울어져 적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묶음지폐(50)가 자유 낙하하는 소정의 높이는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height h1 of the through hole 155 is lar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bundled banknote 50 so that the bundled banknote 50 can be guided to fall freely from a predetermined height. As described above, the bundle banknote bundle 50 is formed by the bundle banknote bundle B as a knot portion. Since the knot portion may prevent the bundled banknotes from being stacked one after another, the stacked bundled banknotes may be inclined or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bundled banknotes and the banknotes, thereby reducing the stacking efficiency of the bundled banknotes. At this time, if the bundled banknotes 50 fall freely from a predetermined height, the stacking of the bundled banknotes can be minimized. Here, the predetermined height at which the bundled banknote 50 falls freel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quired in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상기와 같이 전달수단(160)은 입출금부(140) 및 저장부(120) 사이에서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달수단(160)은 묶음지 폐(50)의 일 단을 밀어 묶음지폐(50)를 통과홀(155)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묶음지폐(50)는 전달수단(160)에 의해 통과홀(155)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The transfer means 160 may allow the bundled banknote 50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betwee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140 and the storage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ransfer means 160 can push the bundle banknote 50 toward the through hole 155 by pushing one end of the bundle banknote 50, and the bundle banknote 50 i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means 160 Through holes (155).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ui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69)는 격벽(150)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165) 및 피니언 기어(165)와 맞물리며 통과홀(155)을 관통하는 랙 기어(167)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guide portion 169 may include a pinion gear 165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150 and a rack gear 167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65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

피니언 기어(165) 및 랙 기어(167)는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의 승강에 따라 좌우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입출금 트레이(144)가 하강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165) 및 랙 기어(167)가 입출금부(1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따라 입출금부(140)에서 저장부(120) 방향으로 통과할 때 피니언 기어(165) 및 랙 기어(167)는 저장부(1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묶음지폐 묶음부(B)를 가이드하며, 묶음지폐(50)를 입출금부(140)에서 저장부(12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pinion gear 165 and the rack gear 167 can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For example, whe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is lowered, the pinion gear 165 and the rack gear 167 can move toward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The pinion gear 165 and the rack gear 167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20 when the bundle banknote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20 from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140 Guide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and allow the bundled banknote 50 to move from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toward the storage portion 120.

묶음지폐 가이드부(169)가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의 승강에 따라 좌우 운동을 하면서 묶음지폐 묶음부(B)가 통과홀(155)에 걸리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적절한 위치에 묶음지폐가 적재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guide the bundled banknote bundle B in the through hole 155 while the bundled banknote guide portion 169 moves right and left according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The bundled banknotes can be stacked at appropriate location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묶음지폐 가이드부(169)가 일자형의 랙기어(167)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묶음지폐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랙 기어(167)의 상면이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어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할 때 보다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169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rack gear 167 of a straight type,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gear 167 constituting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may be an arch-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can pass smoothly when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달수단(160)은 복수개의 회전 블레이드(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164)는 전달수단(160)이 묶음지폐(50)의 일 단을 밀어낼 때, 전달수단(160)과 함께 묶음지폐(50)의 일 단을 밀어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transfer means 16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64. The rotating blade 164 can push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50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means 160 when the transmission means 160 pushes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50.

즉,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할 때, 일정 거리 통과해야 입출금부(140) 또는 저장부(120)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블레이드(164)가 묶음지폐(50)를 밀어 일정거리를 밀어낸 뒤, 밀어낸 묶음지폐(50)를 통과홀(155) 방향으로 더 밀어주게 된다. That is, when the bundled banknote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the bundle banknote 50 can pass through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140 or the storage portion 120 after passing through a certain distance. At this time, the rotary blade 164 pushes the bundle banknote 50 to push the bundle banknote 50 a certain distance, and pushes the bundle bundle banknote 50 further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55.

또한, 전달수단(160)은 입출금부(140) 도는 저장부(120) 상부에 구비되어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 지폐 상면과 접하는 롤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means 160 further includes a roller 162 disposed on the deposit unit 120 or the deposit unit 120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ndle banknote stack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plate 124 .

롤러(162)는 회전 블레이드(164)가 묶음지폐(50)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입출금 트레이(144) 또는 푸쉬 플레이트(124)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50)를 통과홀(155)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묶음지폐(50)가 통과홀(155)을 통과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The roller 162 pushes the bundle banknote 50 loaded o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or the push plate 124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55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bundle banknote 50 by the rotating blade 164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bundled banknotes 50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15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출금부(140)에도 롤러(1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롤러(162)는 입출금 트레이(144)와 함께 승강할 수 있고, 롤러(162)와 입출금 트레이(144)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입출금시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승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롤러(162)와 입출금 트레이(144) 간의 거리만큼 입출금 트레이(144)를 승강시킴으로써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The rollers 162 can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162 and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scending / descending distance of the bundled banknotes to be stacked at the time of deposit / withdrawal. That is, by moving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up / down by a distance between the roller 162 and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144, the bundled banknotes stacked on the top can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00)와 동일하다.Prior to description, FIG. 8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to 7,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입출금을 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텔러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0), 텔러 등의 신분증을 입력하는 카드인지부(40), 입력된 텔러 등의 정보 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입출금 내역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60),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00) 내부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는 입출금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8, the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20 for inputting an identification number capable of verifying the identity of an employee of a financial institution or a teller A card holder 40 for inputting an identification card such as a teller or the like, a display unit 60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inputted teller or a deposit / withdrawal to be performed, and a banknote automatic teller 100, And depositing / withdrawing portion 140 for depositing / withdrawing the money.

또한, 입출금부(140)에서 묶음지폐(50)의 입출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60)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저장부(120)에서 묶음지폐(50)가 입금 또는 출금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undled banknotes 50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40. The control unit 60 may receive the bundled banknotes 50 from the storage unit 120, ) May be deposited or withdrawn.

이때, 입출금부(140)를 통해 묶음지폐(50)를 입금 또는 출금되는 묶음지폐(50)은 전달수단(160)을 통해 입금 또는 출금될 수 있으며, 전달수단(160)은 입출금부(140) 또는 저장부(120)로 묶음지폐(50)을 전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ndle banknotes 50 to be deposited or withdrawn from the bundled banknotes 50 through the deposit-and-withdrawal unit 140 can be deposited or withdrawn through the transfer means 160, Or the bundle banknote 50 to the storage unit 120.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묶음지폐(50)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으며, 계원은 보다 용이하게 일정 단위로 묶은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undled banknotes 50 can be deposited or withdrawn, and the banknotes can deposit or withdraw the bundled banknotes more easily on a predetermined unit basi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제공되는 입출금부 및 저장부에서 묶음지폐가 통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 bundle banknote being passed through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a storage unit provided in 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접촉센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tac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전달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liver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ui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50: 묶음지폐 120: 저장부 50: bundle banknote 120: storage part

124: 푸쉬 플레이트 126: 플레이트 구동부124: push plate 126: plate driving part

140: 입출금부 144: 입출금 트레이140: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144: deposit and withdrawal tray

146: 트레이 구동부 155: 통과홀146: tray driving part 155: through hole

160: 전달수단 168: 접촉센서160: transmitting means 168: contact sensor

180: 감지센서180: Detection sensor

Claims (12)

묶음지폐가 입출금 및 저장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A banking automatic teller machine in which bundled banknotes are deposited and deposited and stored, 묶음지폐가 입출금되는 입출금부;A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where the bundled banknotes are deposited and withdrawn; 상기 입출금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입출금부의 묶음지폐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and storing the bundled bill of the deposit / withdrawal unit; And 상기 입출금부에서 상기 저장부로 상기 묶음지폐를 전달하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입출금부로 상기 묶음지폐를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And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bundled banknotes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to the storage portion or transferring the bundled banknotes from the storage portion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입출금부 또는 상기 저장부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며, 상기 입출금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적재된 상기 묶음지폐 중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전달하고,Wherein the transfer means is provided at any one of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and transfers the bundled banknotes stacked on the top of the bundle banknotes stacked in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상기 입출금부 및 상기 저장부 사이에는 상기 묶음지폐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격벽이 제공되고, And a partition wal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undled bank notes pass is provided betwee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격벽과 대향하도록 상기 입출금부 또는 상기 저장부 일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transfer means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part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입출금부 및 상기 저장부 사이에서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묶음지폐의 일 단을 밀어주는 리드 스크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transfer means is formed by a lead screw that pushes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between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격벽과 대향하도록 상기 입출금부 또는 상기 저장부의 일 측에 제공되어 상기 묶음지폐가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묶음지폐의 일 단을 밀어주는 복수개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And the transfer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partition wall to push one end of the bundled banknote so that the bundled banknotes pass through the through- Automated teller machine.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입출금 트레이 및 상기 입출금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트레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푸쉬 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includes a deposit / withdrawal tray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stacked and a tray drive portion for moving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up and down, and the storage portion includes a push plate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stacked and a plate driver for moving the push plate. Automated teller machin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통과홀에는 상기 트레이 및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묶음지폐 중 최상부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passage hole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acked banknotes stacked on the tray and the stacked banknotes stacked on the push pla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센서 및 상기 발광센서와 대향하도록 상기 입출금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제공된 수광센서를 포함하며,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in the deposit / 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face the light emitting sensor, 상기 입출금 트레이 또는 상기 푸쉬 플레이트는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광된 신호가 다크(dark)가 되도록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deposit / withdrawal tray or the push plate ascends and descends so that a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ecomes dark.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입출금부 또는 저장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금 트레이 또는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최상부에 적재된 상기 묶음지폐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묶음지폐를 통과를 가이드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Wherein the transfer means includes a rotatable roller provided on the deposit-and-withdrawal portion or the storage portion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undle banknote stacked on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or the push plate, 상기 회전 롤러의 표면에는 접촉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And a contact senso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통과홀의 하부에는 통과되는 상기 묶음지폐의 묶음부가 상기 통과홀에 걸리지 않도록 묶음지폐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And a bundled banknote guid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bundle of the bundled banknote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not caught by the through hol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묶음지폐 가이드부는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기 묶음지폐 가이드부의 양 단은 아래쪽을 향하여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oth ends of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are bent downwar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통과홀의 높이는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상기 묶음지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묶음지폐가 소정 높이에서부터 자유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a height of the through hole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bundle banknot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guide portion guides the bundle banknote to fall freely from a predetermined heigh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묶음지폐 가이드부는 상기 격벽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금 트레이 및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랙 기어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Wherein the bundle banknote guiding portion includes a pinion gear provided on the partition and a rack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rack gear is interlocked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deposit-and-withdrawal tray and the push plate, And the storage unit.
KR1020080097762A 2008-10-06 2008-10-06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101499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62A KR101499090B1 (en) 2008-10-06 2008-10-06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62A KR101499090B1 (en) 2008-10-06 2008-10-06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96A KR20100038696A (en) 2010-04-15
KR101499090B1 true KR101499090B1 (en) 2015-03-11

Family

ID=4221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62A KR101499090B1 (en) 2008-10-06 2008-10-06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693B1 (en) * 2018-12-13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640134B1 (en) * 2021-10-28 2024-02-2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665A (en) * 1998-03-30 1999-10-12 Glory Ltd Banknote bundle accommodating/discharging device and banknote bundle depositing and payout machine
KR100781802B1 (en) * 2006-06-14 2007-12-06 주식회사 네오테크 Vertical fee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665A (en) * 1998-03-30 1999-10-12 Glory Ltd Banknote bundle accommodating/discharging device and banknote bundle depositing and payout machine
KR100781802B1 (en) * 2006-06-14 2007-12-06 주식회사 네오테크 Vertical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96A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74B1 (en)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101067706B1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KR20090093699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and method for loading bundle note
KR20140030304A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973875B1 (en)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101543468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JPS5842517B2 (en) Automatic cash withdrawal device for counters
JPH0532368A (en) Paper sheet piling device
KR101499090B1 (en)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20170112341A (en)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with variable stopper
KR940003024B1 (en)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KR101467581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1226656B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KR10150826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102093846B1 (en) Cash dispense machine
KR101009172B1 (en) Operating method of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KR101520493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304528B1 (en) Cash dispense machine equipped with batch-emission means
KR20110078203A (en) Appratus for sensing a loading of a bundle note i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JP6194759B2 (en) Medium bundle storage device
JPS6323099B2 (en)
JP6187250B2 (en) Medium loading / unloading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6213141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KR20100052101A (en) Pickup device used i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JPS592607Y2 (en) Madguchini Yushiyutsukinou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