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548B1 -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548B1
KR101498548B1 KR20140051400A KR20140051400A KR101498548B1 KR 101498548 B1 KR101498548 B1 KR 101498548B1 KR 20140051400 A KR20140051400 A KR 20140051400A KR 20140051400 A KR20140051400 A KR 20140051400A KR 101498548 B1 KR101498548 B1 KR 10149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ft
data
design
fabric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디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디소프트
Priority to KR2014005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9/00Methods or devices concerned with designing or making pattern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D03C19/005Electr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직물 분해설계 또는 조직 설계방법과는 달리 오브젝트 디자인 밑에 조직이 매칭된 후에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직물의 제직 구조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설계할 수 있고, 정교하고 섬세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하며, 직물의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조직을 경사와 위사의 한 올 단위로 편집할 수 있고, 직물 제직시 발행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용이하게 예측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직물 제직 후에도 디자인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THE METHOD OF TEXTILE STRUCTURE DESIGN USING TEXTILE STRUCTURAL DATA}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직물 분해설계 또는 조직 설계방법과는 달리 오브젝트 디자인 밑에 조직이 매칭된 후에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직물의 제직 구조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설계할 수 있고, 정교하고 섬세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하며, 직물의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조직을 경사와 위사의 한 올 단위로 편집할 수 있고, 직물 제직시 발행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용이하게 예측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직물 제직 후에도 디자인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textile)은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되면서 짜여져 어떤 넓이의 평면체가 된 천으로 이러한 직물을 짜는 것을 제직 또는 직조라고 하고, 이와 같이 제직되는 가장 간단한 직물의 조직으로는 평직과 능직, 수자직(주자직)이 있으며, 이를 삼원조직이라고 한다.
그리고 직물의 밀도란 직물 1인치 또는 5cm 내에 들어 있는 경사와 위사의 올 수를 말하며, 위사 밀도, 경사 밀도로 표시하거나 또는 그 합으로 표시한다.(예: 52 × 52 또는 104로 표시) 직물의 밀도가 높으면 실이 가늘고 섬세한 직물이며, 밀도가 낮으면 실이 굵고 두꺼운 직물이다.
상기 직물에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은 직물을 제직한 상태에서 그 위에 날염 또는 기타 방법들을 이용하여 문양을 나타내는 후염방식이 있고, 실을 미리 염색하여 직물 조직에 색사 배열만의 방법으로 문양을 나타내는 선염장식과 직물에 바탕조직과 문양조직을 다르게 하면서 제직하는 문직물이 있다.
한편 직물을 직조하는 방식으로는 도비 제직방식과 자카드 제직방식의 두가지 제직방식이 있는데, 도비 제직방식은 직기의 도비장치(dobby machine)을 사용하여 비교적 직물의 무늬가 간단하고, 작은 무늬를 반복하여 직조하는 방식이다. 도비직물은 도비직기의 종광틀(잉아)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작동하여 경사를 상하로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반복하면서 중간에 위사를 끼워넣는 형태로 직물의 문양을 표현하게 되는데 보통 2~48장의 종광틀을 사용하게 되며, 비교적 단순한 패턴무늬의 반복단위(1 repeat)로 설계한 후 그 패턴무늬를 반복하여 직조하는 형태로 직물의 문양을 단순하나 제직속도가 빠르고, 제직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되어 널리 활용되는 직물 제직방식이다.
그리고 자카드 제직방식은 복잡한 무늬의 직믈을 제직하는 방식으로 도비 제직기와 근본적인 차이점은 도비직기의 종광틀(잉아)처럼 경사를 들어올리는 장치를 경사 한올 단위로 설계(통사)하여 자카드 통사의 개수(=경사실 개수, 보통 10,000가닥 이상) 만큼 다양한 경우의 수로 무늬를 표현할 수 있어 복잡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제직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카드 제직방식은 복잡한 무늬의 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도비 제직기에 비해 제직속도가 느리고, 제직장치의 설계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비 및 자카드 직물의 제직공정은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직물 데이터 입력-조직매칭-펀칭 데이터 생성-직물 제품 제직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정 중 직물 데이터 입력-조직매칭-펀칭 데이터 생성까지의 단계를 직물 조직설계라고 칭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제직공정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하였고, 최근에는 컴퓨터를 활용한 설계방식을 도입하여 작업 번거로움을 어느 정도 해소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직물의 제직을 위한 직물 조직 설계방식은 그 과정이 복잡하고 난해하여 오랜기간 작업 경력이 있는 숙련된 기술자에 의존하여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숙련된 기술자라 하더라도 기존의 직물 조직 설계 방식으로는 복잡하고 다양한 패턴의 직물을 설계하는 데 상당한 애로점이 있어 좀 더 쉬운 형태로의 직물 조직 설계 방식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직물 조직 설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에 표현할 오브젝트 디자인을 작성하여 그 디자인에 직물 데이터를 입력하고, 직물의 삼원조직 또는 변형조직을 매칭하는 작업을 통해 경사와 위사의 짜임(얽힘)조직을 설정한 후, 그 데이터를 기계구동데이터(펀칭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생성된 펀칭 데이터를 기계에 입력하여 직물 제품을 제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때 비교적 간단한 디자인의 표현은 조직매칭 과정이 크게 어렵지 않아 수작업의 문지천공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CAD 데이터를 활용하는 자동 조직매칭 기법으로 해결해왔으며, 이를 통해 제직에 필요한 펀칭데이터(CAM 데이터)를 생성해왔다.
그러나 직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와 위사의 얽힘 구조로 이루어진 3차원 형태를 갖고 있어 종래의 직물 조직 설계 방식으로는 복잡한 형태의 다층직 직물 또는 정교한 디자인을 설계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했다.
그리고 종래의 직물 설계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디자인에 경사와 위사 데이터를 대입한 후 수작업 또는 설계프로그램으로 직물의 표면조직층에 나타나는 문양 또는 패턴을 설계하게 된다. 기존의 설계방식에서는 직물의 얽히는 구조, 즉 다층 구조 또는 직물의 뒷조직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종래의 설계방식으로는 단순히 직물 표면조직만의 배치(조직 매칭)를 통해 오브젝트 디자인을 표현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차원의 구조를 갖는 직물의 특성을 감안할 때 직물의 앞(표면)조직만을 콘트롤할 수 있는 설계프로그램은 단순한 조직, 단순한 표현을 넘어 복잡한 조직 또는 정교한 문양을 설계하는 데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직물 설계 방식은 직물의 뒷조직 또는 다층조직의 구조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한 조직 또는 정교한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오랜 경혐을 가진 숙련공의 능력이 매우 중효했고, 그러한 숙련공은 복잡한 조직의 다층구조 또는 정교한 디자인의 표현을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여 조직의 구조를 상상하여 실행하거나 혹은 직물의 구조를 분해경을 활용하여 한올 한올 뜯어 다시 문지에 그려냄(직물조직 분해 설계)으로써 해결해야 했다.
그러나 숙련공조차도 복잡한 조직 또는 정교한 문양을 설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오브젝트 디자인을 좀 더 쉬운 형태로 변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직물 제직시 발생하게 되는 문제들은 직물 조직이 엉켜서 원하는 조직 또는 문양의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제직시 경사와 위사간 압력이 증가해 디자인의 모양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대표적이었으며, 이렇게 직물의 조직설계가 잘못된 경우에는 제직기가 구동 중간에 멈춰버리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제직기에 심각한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가져오기도 했다.
또한 종래의 직물 조직 설계방식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매칭 후 생성된 데이터(CAD data)를 직기구동이 가능한 펀칭데이터(CAM data)로 변환시켜서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상기 펀칭데이터는 직기에서 경사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단순한 신호로만 이루어져 있고, 데이터의 표현방식이 경사를 들어올려 위사가 들어가도록 하는 흑색점 또는 경사를 밑으로 하고 위사가 위로 표현되도록 하는 백색점(간혹 상기 흑색점과 백색점은 거꾸로 바뀌기도 함)의 표현으로 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직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펀치데이터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직시 문제가 발생되면 조직매칭 데이터(CAD data)를 수정해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직물 조직 설계방식에서 제공되는 조직매칭 데이터(CAD)는 표면층의 조직만을 조정할 수 있어 직물의 표면층 밑의 뒷조직에서 발생되는 문제(조직이 엉키는 문제와 압이 차거나, 오브젝트 디자인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 문제 또는 제직 자체가 안되는 문제 등)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오랜 경험이 있는 숙련공의 능력으로 해결하거나 또는 오브젝트 디자인의 난이도를 낮추는 형태로 제직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해왔다.
한편 근래 직물의 경쟁력이 디자인의 차별성에 의해 좌우되는 추세에서 개선된 직물조직 설계능력은 곧 디자인의 경쟁력 강화를 의미하며, 이는 직물 산업 전체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직물 조직 설계방식의 개선은 느리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 부분에 있어서의 새로운 기술개발은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브젝트 디자인을 작성하고, 경사와 위사 직물 데이터를 입력한 후 조직매칭 작업을 거친 이후의 단계에서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얽힘 구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자인의 표현력이 떨어지는 부분의 직물 조직을 편집, 새로운 직물의 변형조직의 생성 및 적용, 제직불가 조건의 탐색 및 편집, 조직간의 간섭 해소를 위한 편집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직물의 다층 구조 및 직물의 보이지 않는 뒷조직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젝트 디자인에 조직매칭 후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 분리 설계된 조직을 하나로 합칠 수 있음으로써 복잡하고 난해한 조직을 단순하게 구분하여 분리 설계한 후 하나로 합치거나, 분리된 형태로 제직가능(다층직) 하도록 하여 복잡하고 정교한 디자인과 다층직 직물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는 직물의 경사와 위사가 서로 얽히는 구조 데이터를 256컬러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의 종류와 얽힘 구조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고, 경사와 위사의 조직 구조를 직물이 얽히는 한올 한올 수정할 수 있음으로써 직물 조직 구조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의 샘플링 제직단계에서 제직된 직물의 결과에 따라 편집 및 수정작업 시 처음의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에서 디자인을 수정하지 않고, 조직매칭 이후에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 편집 및 수정작업을 함으로써 직물 구조 설계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직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타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는 직물의 뒷면 구조를 표시하여 직물의 뒷면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어 뒷조직이 밀집되어 직물을 제직시 조직이 얽히는 구조를 파악하여 제직시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압력이 차게 함으로써 제직시 실이 휘도록 하여 디자인의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직물의 디자인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작성하는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S100);
상기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각종 메타 데이터(200)를 입력하는 직물 데이터 입력단계(S200);
상기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직물로 제직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직물 조직을 매칭(300)하는 조직매칭단계(S300);
상기 단계(S300)에서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조직을 매칭하면 조직매칭된 데이터를 경사와 위사 구조데이터로 변환하여 직물의 구조에 대한 직물 구조데이터(400)를 생성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
상기 단계(S400)에서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이용하여 펀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펀칭 데이터 생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다수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하여 다수의 표시칸(411)이 구획된 디자인지(410)에 오브젝트 디자인(100)에서 표면에 다수의 위사 사용 개수(n)로 구성된 1줄의 위사(420) 정보를 위사 사용 개수(n1~)별로 각각 분리하여 위사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1~)대로 순차적으로 배정되어 표시칸(411)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디자인지(410)에 백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경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표시되고, 유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위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표시줄(430)에 위사의 색상으로 설정된 고유의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의 표면에 표현되는 위사이고,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의 뒷조직에 얽히는 경사와 위사의 구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에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표시된 위사의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과 위사 표시줄(430) 사이에 새로운 위사 표시줄(430)을 삽입할 수 있고, 위사 표시줄(430)을 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위사 정보의 위사 표시줄(430)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부분적으로 위사 표시줄(430)을 분리하거나, 위사 표시줄(430)과 위사 표시줄(430)을 합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직물 구조 전체의 데이터 형태를 256컬러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별로 표시된 데이터에서 표면 조직에 표시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추출 위사 표시줄(440)만 합쳐서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에 표현되는 디자인의 도안을 확인하고(직물의 표면층 표시), 추출 위사 표시줄(440)을 다시 분리하면 경사와 위사가 얽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400)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설정하여 위사 표시줄(430)을 뒤집어서 직물의 뒷면 구조를 위사표시줄(430)로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의 뒷면으로 제직되는 직물 구조를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은 오브젝트 디자인을 작성하고, 경사와 위사의 직물 데이터를 입력한 후 조직매칭 작업을 거친 이후의 단계에서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얽힘 구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자인의 표현력이 떨어지는 부분의 직물 조직을 편집, 새로운 직물의 변형조직의 생성 및 적용, 제직불가 조건의 탐색 및 편집, 조직간의 간섭 해소를 위한 편집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직물의 다층 구조 및 직물의 보이지 않는 뒷조직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젝트 디자인에 조직매칭 후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 분리 설계된 조직을 하나로 합칠 수 있음으로써 복잡하고 난해한 조직을 단순하게 구분하여 분리 설계한 후 하나로 합치거나, 분리된 형태로 제직가능(다층직) 하도록 하여 복잡하고 정교한 디자인과 다층직 직물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는 직물의 경사와 위사가 서로 얽히는 구조 데이터를 256컬러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의 종류와 얽힘 구조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고, 경사와 위사의 조직 구조를 직물이 얽히는 한올 한올 수정할 수 있음으로써 직물 조직 구조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의 샘플링 제직단계에서 제직된 직물의 결과에 따라 편집 및 수정작업 시 처음의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에서 디자인을 수정하지 않고, 조직매칭 이후에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 편집 및 수정작업을 함으로써 직물 구조 설계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직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 구조 데이터는 직물의 뒷면 구조를 표시하여 직물의 뒷면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어 뒷조직이 밀집되어 직물을 제직시 조직이 얽히는 구조를 파악하여 제직시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압력이 차게 함으로써 제직시 실이 휘도록 하여 디자인의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직물의 디자인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 설계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직물의 조직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직매칭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 설계방법에서 CAM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서 직물 구조 데이터가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서 오브젝트 디자의 위사정보가 직물 구조 데이터의 위사표시줄로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서 위사표시줄의 위사 사용개수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서 직물 구조 데이터의 직물 앞조직과 뒷조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서직물 구조 데이터의 직물 표면에 표시되는 위사 데이터만 추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설계 시스템 및 설계 방법에서 직물 구조 데이터의 뒤집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설계 시스템 및 설계 방법에 의해 실이 휘어지게 제직된 상태를 나타낸 직물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구조 설계 시스템 및 설계 방법에 의해 실의 압박이 해소된 샹태로 제직된 상태를 나타낸 직물 사진.
도 14는 직물 구조 설계 시스템 및 설계 방법에 의해 조직간 간섭이 해결된 상태로 제직된 직물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n은 위사 사용 개수이고, Wt(Weft)는 위사, Wp(Warp)는 경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작성하는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S100)와 작성된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각종 메타 데이터(200)를 입력하는 직물 데이터 입력단계(S200),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직물로 제직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직물 조직을 매칭(300)하는 조직매칭단계(S300),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조직을 매칭하면 조직매칭된 데이터를 경사와 위사 구조데이터 변환하여 직물의 구조에 대한 직물 구조데이터(400)를 생성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와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이용하여 펀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펀칭 데이터 생성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펀칭 데이터 생성단계(S500) 이후에는 펀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샘플 직물을 제직하고, 샘플 직물이 이상없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제직되면 직물 제품을 제직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S100)에서는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작성할 수 할 수도 있고, 오브젝트 디자인을 스캔하여 이미지로 디자인을 작성할 수도 있으며,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의 그리기 툴과, 색상표 등을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에 표현될 오브젝트 디자인을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데이터 입력단계(S200)는 경사의 각종 정보와 위사의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데, 경사의 메타 데이터는 각각의 경사에 경사 인덱스(index)와 레이어 인덱스(Layer index), 경사의 굵기와 원사정보, 경사빔정보를 포함한 경사실 데이터가 입력되고, 위사 메타 데이터는는 위사의 위사배열정보와 정지장치정보, 변사처리정보 등이 입력된다.
또한 조직매칭단계(S300)는 직물 데이터 입력단계(S200) 이후에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S100)에 의해 작성된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직물의 조직을 매칭하여 직물이 제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하여 다수의 표시칸(411)이 구획된 디자인지(410)에 오브젝트 디자인(100)에서 표면에 다수의 위사 사용 개수(n)로 구성된 1줄의 위사(420) 정보를 위사 사용 개수(n1~)별로 각각 분리하여 위사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1~)대로 순차적으로 배정되어 표시칸(411)에 표시된다. 즉 표면에 표시되는 위사(n1)부터 그 뒤에 숨어있는 위사 사용 개수(n1~)만큼 표시되면 그 다음 표면 위사가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표시된 n개수로 구성된 한줄의 위사에 제 1, 2, 3번 위사로 구성되어 있다면 직물 구조 데이터(4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표시줄(9430)이 제 1번 위사표시줄(n1)과 제 2번 위사 표시줄(n2), 제 3번 위사 표시줄(n3)로 분리되어 n개의 칸에 순차적으로 위사 표시줄(430)의 공간이 배정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1번 위사(n1)의 위사 표시줄(430)에서는 1번 위사의 색상으로 설정된 고유의 컬러로 표시되는 부분은 제직시 직물의 표면에 표현되는 위사를 나타내고,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부분은 제직시 직물의 뒷조직에 얽히는 경사와 위사의 구조를 표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사용 개수(n)에 따라 위사 표시줄(430)의 경사와 위사 얽힘 구조를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에는 위사 사용 개수(n)별로 색상을 지정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 디자인지(410)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하여 생성된 각각의 표시칸(411)은 직물을 제직시 경사(Wp)와 위사(Wf)가 교차되는 한 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에서 디자인지(410)에 백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을 제직시 경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제직되는 것을 표시하고, 유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위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제직되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에서 위사표시줄(430)에 위사의 색상으로 설정된 고유의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제직시 직물의 표면에 표현되는 위사를 표시하게 되고,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의 뒷조직에 얽히는 경사와 위사의 구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색으로 위사 표시줄(430)의 표시칸(411)에 표시되는 1번 위사(Wt)는 직물에 표현되는 앞조직을 나타내고, 같은 위사 표시줄(430)에 회색이 아닌 다른 컬러로 표시칸(411)에 표시된 1번 위사(Wt')는 직물 앞조직에 표현안되는 뒷조직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위사의 수(n1~) 만큼 위사 배열이 가로줄로 표시되면 세로줄의 경사와 표면층(n1)부터 맨 아래층(가장 뒤쪽에 자리하는) 위사(n1~)까지의 각각 위사가 얽히는 형태를 한올 단위로 수정할 수 있으며, 직물의 표면층에 표시되는 조직뿐만 아니라 맨 하단층의 조직까지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된 직물 구조 데이터를 펼치게 되면 직물 전체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표면층만 표시되도록 하면 기존의 방식과 같은 형태로 직물의 앞조직, 즉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표시된 위사의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위사 표시줄(430)의 데이터가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표시된 위사의 색상과 동일함으로써 위사 표시줄이 용이하게 구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과 위사 표시줄(430) 사이에 새로운 위사 표시줄(430)을 삽입할 수 있고, 특정한 위사 표시줄(430)을 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위사 정보의 위사 표시줄(430)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통해 직물의 설계 구조를 작업자가 원하는대로 용이하게 위사를 편집 및 삭제,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부분적으로 위사 표시줄(430)을 분리하거나, 위사 표시줄(430)과 다른 위사 표시줄(430)을 합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직물 구조 전체의 데이터 형태를 256컬러를 이용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256컬러를 이용하여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표현하기 때문에 직물의 구조 형태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직물 제직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음으로써 제직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애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어 오브젝트 디자인을 쉬운 형태로 수정하거나 제직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을 사전에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별로 표시된 데이터에서 직물의 표면 조직에 표시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추출 위사 표시줄(440)만 합쳐지도록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에 표현되는 디자인(500)의 도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물을 제직하기 전에 직물에 실제로 제직되는 디자인(500)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 위사 표시줄(440)을 다시 분리하면 경사와 위사가 얽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400)가 다시 생성된다. 따라서 제직시 직물에 제직되는 디자인(500)을 확인할 결과 디자인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다시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편집하여 디자인의 문제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표시줄(43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설정하여 설정된 위사 표시줄(430)을 뒤집으면 직물의 뒷조직 구조를 위사표시줄로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의 뒷면으로 제직되는 직물 구조를 확인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직물의 뒷면 구조를 표시하여 뒷면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어 뒷조직이 밀집되어 직물을 제직시 조직이 얽히는 구조를 파악하여 제직시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압력이 차게 함으로써 제직시 실이 휘도록 하여 디자인의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으로 직물 구조에 압력을 조절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직시 실이 휘도록 하여 선명하게 곡선을 표현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으로 인해 발생한 굴곡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간의 간섭으로 인해 표현이 불분명했던 것을 명확한 경계선 처리를 통해 오브젝트 디자인의 명확한 표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물 구조를 설계하면 제직시 직물의 뒷조직이 엉켜서 디자인의 표현에 문제가 되는 부분을 식별할 수 있고, 조직간에 간섭이 생겨 압력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가 제대로 얽히지 않아 느슨하게 위사가 처지는 부분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직물 구조 데이터는 작업자가 직물 제직 형태의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함으로써 제직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을 바로 수정할 수 있고, 조직 간섭과 표현력의 왜곡, 압력 해소, 제작 불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극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직물 구조 데이터는 다층을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어 다층직 직물의 구조 설계와 복작한 디자인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층별 분리설계 기술을 활용하면 직물의 각 층별 직물 구조의 확인 및 수정하기 쉬우며, 층이 합쳐진 경우에는 전체 직물의 구조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직의 간섭 및 제직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되고 편집된 직물 구조 데이터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씨디롬 등)에 저장되어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직물 구조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100 : 오브젝트 디자인
200 : 메타데이터
300 : 조직매칭
400 : 직물 구조 데이터
410 : 디자인지 411 : 표시칸
420 : n개수로 구성된 한올의 위사
430 : 위사 표시줄 440 : 추출 위사 표시줄
500 : 제직시 직물에 표현되는 디자인

Claims (10)

  1.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작성하는 오브젝트 디자인 작성단계(S100);
    상기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각종 메타 데이터(200)를 입력하는 직물 데이터 입력단계(S200);
    상기 오브젝트 디자인(100)을 직물로 제직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직물 조직을 매칭(300)하는 조직매칭단계(S300);
    상기 단계(S300)에서 오브젝트 디자인(100)에 조직을 매칭하면 조직매칭된 데이터를 경사와 위사 구조데이터로 변환하여 직물의 구조에 대한 직물 구조데이터(400)를 생성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
    상기 단계(S400)에서 생성된 직물 구조 데이터(400)를 이용하여 펀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펀칭 데이터 생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 생성단계(S400)의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다수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하여 다수의 표시칸(411)이 구획된 디자인지(410)에 오브젝트 디자인(100)에서 표면에 다수의 위사 사용 개수(n)로 구성된 1줄의 위사(420) 정보를 위사 사용 개수(n1~)별로 각각 분리하여 위사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1~)대로 순차적으로 배정되어 표시칸(411)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디자인지(410)에 백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경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표시되고, 유색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위사가 직물의 표면 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표시줄(430)에 위사의 색상으로 설정된 고유의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의 표면에 표현되는 위사이고,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표시칸(411)은 직물의 뒷조직에 얽히는 경사와 위사의 구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에 오브젝트 디자인에 표시된 위사의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과 위사 표시줄(430) 사이에 새로운 위사 표시줄(430)을 삽입할 수 있고, 위사 표시줄(430)을 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위사 정보의 위사 표시줄(430)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부분적으로 위사 표시줄(430)을 분리하거나, 위사 표시줄(430)과 위사 표시줄(430)을 합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직물 구조 전체의 데이터 형태를 256컬러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에 위사 사용 개수(n)별로 표시된 데이터에서 표면 조직에 표시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추출 위사 표시줄(440)만 합쳐서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에 표현되는 디자인의 도안을 확인하고, 추출 위사 표시줄(440)을 다시 분리하면 경사와 위사가 얽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직물 구조 데이터(400)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 데이터(400)는 위사 표시줄(43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설정하여 위사 표시줄(430)을 뒤집어서 직물의 뒷면 구조를 위사표시줄(430)로 표시하여 제직시 직물의 뒷면으로 제직되는 직물 구조를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KR20140051400A 2014-04-29 2014-04-29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KR101498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400A KR101498548B1 (ko) 2014-04-29 2014-04-29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400A KR101498548B1 (ko) 2014-04-29 2014-04-29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548B1 true KR101498548B1 (ko) 2015-03-04

Family

ID=5302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1400A KR101498548B1 (ko) 2014-04-29 2014-04-29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567A (zh) * 2017-06-21 2017-08-11 江阴芗菲服饰有限公司 格子型色织物纹样优选方法
KR20210014273A (ko) * 2019-07-30 2021-02-09 정성훈 3차원의 니트를 디지털 편직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924A (ja) * 2000-05-11 2001-11-16 Nec Software Niigata Ltd 織物組織検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織物組織検索システム並びに織物組織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924A (ja) * 2000-05-11 2001-11-16 Nec Software Niigata Ltd 織物組織検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織物組織検索システム並びに織物組織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567A (zh) * 2017-06-21 2017-08-11 江阴芗菲服饰有限公司 格子型色织物纹样优选方法
WO2018233166A1 (zh) * 2017-06-21 2018-12-27 江阴芗菲服饰有限公司 格子型色织物纹样优选方法
KR20210014273A (ko) * 2019-07-30 2021-02-09 정성훈 3차원의 니트를 디지털 편직하기 위한 방법
KR102290790B1 (ko) * 2019-07-30 2021-08-17 정성훈 3차원의 니트를 디지털 편직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67723B (zh) 刺绣数据生成装置、刺绣数据的生成方法
JP5940528B2 (ja) 織布に追加の緯糸エフェクトで製織パターン形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787163B (zh) 纺织用花型文件的生成系统及生成方法
US6611730B1 (en) Device and method of designing knit products to be manufactured on a knitting machine
KR101498548B1 (ko) 직물 구조 데이터를 이용한 직물 구조 설계방법
CN101109121A (zh) 一种具有不同材质和风格的提花织物的制作方法
US8655474B2 (en) Embroidery data generating apparatus, embroidery data gener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embroidery data generating program
CN105426598A (zh) 一种利用计算机辅助设计和制作手工栽绒毯的方法
Holyoke Digital jacquard design
JP4921845B2 (ja) 織機における開口パターン設定装置
WO2007058123A1 (ja) ニットデザイン装置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30010926A1 (en) Variable Density Tufting Patterns
KR100403332B1 (ko) 패션물의 디자인 삼차원입체 매핑 기능을 갖는 디자인 방법
Chen et al. CAD/CAM for complex woven fabrics. Part I: Backed cloths
Sundaram et al. Study on impact of CAD/CAM tools on production of punched cards by Indian silk saree designers for handloom industry
CN108138413B (zh) 准备簇绒过程的方法
EP3535448B1 (en) Method of preparing a tufting process for tufting a fabric, in particular carpet, and method of tufting a fabric
JPH0762852B2 (ja) 織物デザイン装置
JP2002302843A (ja) 装飾用紋紙図柄作成方法とその装飾製品
Walters A role for industrial looms in craft research
CN1110763C (zh) 织物设计装置
JP5013716B2 (ja) 織機における製織関連装置に関する作動選択状態の表示設定装置
MANCAȘI et al. CAD/CAM FOR JACQUARD WEAVING-THE PATH FROM DESIGN TO WOVEN FABRIC.
JPH11212473A (ja) 織物デザイン計画用の織物製カラーパレット
JP2836761B2 (ja) 表面柄パターン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