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167B1 - 선박용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선박용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167B1
KR101498167B1 KR1020130085214A KR20130085214A KR101498167B1 KR 101498167 B1 KR101498167 B1 KR 101498167B1 KR 1020130085214 A KR1020130085214 A KR 1020130085214A KR 20130085214 A KR20130085214 A KR 20130085214A KR 101498167 B1 KR101498167 B1 KR 10149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ont panel
panel
doo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339A (ko
Inventor
장연욱
지황
허재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4Air-catching equipment related to windows or por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3Ventilating devices for inserting under upwardly-slid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방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울 때,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서로 연통시켜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체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선박용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시키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로서, 상기 후면패널에 천공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전면패널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기공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통공의 개방시 상기 방의 외부와 내부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통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용 도어 구조체{DOOR STRUCTUR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갖는 도어의 개폐구조에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울 때,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서로 연통시켜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선박용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도어결합체는 방수효과를 가질 것이 요구되는 바, 도어패널부재과 도어프레임이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도어패널부재과 도어프레임을 결합시킨다.
종래의 선박용 도어결합체의 경우, 도어패널부재을 닫을 때에는 도어패널부재을 도어프레임에 접촉시킨 후,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잠금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소기의 방수효과를 만족시켜왔다.
이러한 종래의 선박용 도어결합체의 경우, 독립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잠금장치를 차례로 체결하여야 하였는 바, 잠금장치의 개수 만큼 잠금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잠금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힘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 반대의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시간과 힘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군함과 같이 해상에서 신속한 작전 수행을 하는 경우, 선박용 도어결합체의 개폐에 많은 시간이 소모됨은, 도어결합체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함이 되는 바, 잠금장치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선박용 도어 개폐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25251호 "선박용 수밀 도어"(등록일자 : 2003.08.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핸들을 작동시켜 제 1작동간이 운동하면 제 2작동간, 6개의 걸고리들이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원터치로 도어가 닫히도록 된 것이다.
기존 선박용 도어 개폐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67422호 "선박용 도어의 잠금 장치"(등록일자 : 2013.06.0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고 잠금 구멍을 갖춘 록킹 플레이트,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잠금구멍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추고서 도어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이 플레이트, 상기 아이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끼워지는 크로스 바아, 상기 크로스 바아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아이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외부로 개방시켜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트임부를 구비한 것이다.
종래 선박용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의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와 엔진제어실(Engine Control Room) 내의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엔진제어실 내에 배치된 에어 흡기 및 배기설비가 있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의 경우 상대적으로 에어의 흡기보다 배기압이 크기 때문에 엔진제어실 내부가 엘리베이터 내부의 압력보다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엔진제어실과 엘리베이터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출입문의 개폐가 어려우며, 이러한 구조는 다른 선박에서 방 내부를 고압 상태로 유지하고 외부를 저압으로 유지시키기 구조에서도 압력 차이에 의한 출입문 개폐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25251호 "선박용 수밀 도어"(등록일자 : 2003.08.2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67422호 "선박용 도어의 잠금 장치"(등록일자 : 2013.06.0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의 구조에서 방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도어가 원활하게 개방되지 않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도어에 방의 내,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연통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압력 차이가 있는 방에 마련된 도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선박용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선박용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시키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를 구비하되,
상기 후면패널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전면패널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기공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통공의 개방으로 상기 방의 외부와 내부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수단은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과, 단부에 핸들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회전시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플런저와, 상기 이동플런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런저의 전진동작시 상기 통공에 밀착되면서 상기 통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이동플런저의 후진동작시 상기 통공을 개방시키는 패킹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수단은 상기 통공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구성된 고정패킹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전면패널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런저의 후진 동작시 상기 패킹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이동플런저의 후진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패킹과 패킹부재는 상호 밀착성을 위해 고무소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과, 단부에 핸들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회전시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플런저와, 상기 통공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런저의 단부가 진입되어 체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패널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은 일측에 상기 이동플런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입구측 직경이 상기 연결공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진입 가이드를 구비한다.
첫째, 본 발명은 선박용 방 외부와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0)의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에 통기공(12b)과 통공(14a)을 천공시키고, 통공(14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연통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방 내부에 있던 고압의 에어가 통공(14a)을 통해 흘러나오면서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통기공(12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방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줄어들게 되고, 점차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도어(10)의 개방시 작은 힘으로도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탄력성을 갖는 패킹부재와 고정패킹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밀착성으로 통공(14a)을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이동플런저(110)의 후진동작시 패킹부재(210)와 간섭되는 스톱퍼(230)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플런저(110)의 이동거리를 쉽게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플런저(110)의 후진동작을 위한 핸들(112)의 조작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통공(14a)의 테두리에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단부가 진입되어 체결되는 연결공(255a)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패널(250)가 결합됨에 따라, 이동플런저(1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방 내,외부를 용이하게 연통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선박의 방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울 때,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서로 연통시켜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선박용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시키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로서, 상기 후면패널(14)에 천공 형성되는 통공(14a)과, 상기 전면패널(12)에 상기 통공(14a)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기공(12b)과, 상기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공(14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통공(14a)의 개방시 상기 방의 외부와 내부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통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패널(12)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a)에 체결된 이동플런저(11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단부에 배치된 패킹부재(210)가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전진동작시 상기 통공(14a)에 밀착되면서 상기 통공(14a)을 폐쇄시키고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후진동작시 상기 통공(14a)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10)의 전면패널(12) 중앙에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체결공(12a)에 단부에 핸들(112)이 마련된 이동플런저(110)가 결합된다.
또한, 전면패널(12)은 핸들(112)의 주위에 복수의 통기공(12b)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후면패널(14)에 통공(14a)이 형성되고, 통공(14a)에 패킹부재(210)가 밀착되어 통공(14a)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동플런저(110)는 일단부에 전면패널(12)의 전면으로 돌출된 핸들(112)이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패킹부재(21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블록(115)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이동플런저(110)는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체결공(12a)의 암나사산이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로 후면패널(14)을 향해 전진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후면패널(14)의 통공(14a)을 패킹부재(210)로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동플런저(110)는 핸들(112)의 회전 동작시 체결공(12a)에 나선 회전되면서 전,후로 이동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플런저(110)는 핸들(112)을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플런저(110)가 체결공(12a) 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 동작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플런저(110)가 체결공(12a) 내에서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진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통공(14a)은 테두리에 배치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구성된 고정패킹(22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패킹부재(210)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패널(12)은 체결공(12a)이 형성된 주위의 배면에 이동플런저(110)의 후진 동작시 패킹부재(210)와 간섭되어 이동플런저(110)의 후진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2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112)을 이용하여 이동플런저(1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플런저(110)가 체결공(12a) 내에서 나선 회전되어 후진동작되고, 이로 인해 패킹부재(210)가 고정패킹(22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통공(14a)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방 내부에 있던 고압의 에어가 통공(14a)을 통해 흘러나오면서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통기공(12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방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줄어들게 되고, 점차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도어(10)의 개방시 작은 힘으로도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도어(10) 구조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에 적용할 경우, 고압의 엔진제어실(Engine Control Room)의 에어를 통공(14a)과 통기공(12b)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압력 불균형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도어(10)를 닫는 것보다 핸들(112)을 조작하여 이동플런저(110)를 이동시켜 통공(14a)을 신속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전면패널(12)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2a)과, 단부에 핸들(112)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12a)에 체결되어 회전시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플런저(110)와, 상기 통공(14a)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단부가 진입되어 체결되는 연결공(255a)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패널(250)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통공(14a), 통기공(12b), 체결공(12a) 및 이동플런저(110)의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선 실시예의 고정패킹과 패킹부재가 생략된다.
이동플런저(110)의 단부가 고정패널(250)의 연결공(255a)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선 실시예보다 길이가 연장된다.
또한, 고정패널(250)은 테두리부위가 통공(14a)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며, 일측에 이동플런저(110)의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된 진입가이드(255)가 형성된다.
진입가이드(255)는 이동플런저가 진입되는 일측의 직경이 연결공(255a)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동플런저(110)가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 연통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핸들(112)을 이용하여 이동플런저(1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플런저(110)가 체결공(12a) 내에서 나선 회전되어 후진동작되고, 이로 인해 이동플런저(110)가 연결공(255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진입가이드(255)의 입구측으로 빠져나오게 됨과 아울러, 연결공(255a)이 개방되면서 방 내부에 있던 고압의 에어가 연결공(255a)을 통해 흘러나오면서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통기공(12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방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줄어들게 되고, 점차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도어(10)의 개방시 작은 힘으로도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구조체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엔진제어실과 엘리베이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차를 갖는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하는 다른 도어 구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10 : 도어 12 : 전면패널
12a : 체결공 12b : 통기공
14 : 후면패널 14a : 통공
110 : 이동플런저 112 : 핸들
115 : 고정블록 210 : 패킹부재
220 : 고정패킹 230 : 스톱퍼
250 : 고정패널 255 : 진입가이드
255a : 연결공

Claims (7)

  1.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선박용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시키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4)에 형성된 통공(14a)과,
    상기 전면패널(12)에 상기 통공(14a)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기공(12b)과,
    상기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공(14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통공(14a)의 개방으로 상기 방의 외부와 내부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수단은 상기 전면패널(12)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2a)과,
    단부에 핸들(112)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12a)에 체결되어 회전시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플런저(110)와,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전진동작 시 상기 통공(14a)에 밀착되면서 상기 통공(14a)을 폐쇄시키고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후진동작시 상기 통공(14a)을 개방시키는 패킹부재(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수단은 상기 통공(14a)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구성된 고정패킹(2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2)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후진 동작시 상기 패킹부재(210)와 간섭되어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후진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2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220)과 패킹부재(210)는 밀착성을 위해 고무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6.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선박용 방의 외부와 내부를 개폐시키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4)에 형성된 통공(14a)과,
    상기 전면패널(12)에 상기 통공(14a)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기공(12b)과,
    상기 전면패널(12)과 후면패널(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통공(14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통공(14a)의 개방으로 상기 방의 외부와 내부 압력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수단은 상기 전면패널(12)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2a)과,
    단부에 핸들(112)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12a)에 체결되어 회전시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플런저(110)와,
    상기 통공(14a)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단부가 진입되어 체결되는 연결공(255a)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패널(2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250)은 일측에 상기 이동플런저(110)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입구측 직경이 상기 연결공(255a)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진입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체.
KR1020130085214A 2013-07-19 2013-07-19 선박용 도어 구조체 KR10149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14A KR101498167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용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14A KR101498167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용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39A KR20150010339A (ko) 2015-01-28
KR101498167B1 true KR101498167B1 (ko) 2015-03-03

Family

ID=5248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214A KR101498167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용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9794B (zh) * 2015-06-02 2017-03-22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用于船舶安全舱室的门板结构
KR101930136B1 (ko) * 2015-10-20 2018-12-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프탈로시아닌 하이브리드 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20170001903U (ko) 2015-11-23 2017-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
KR102448819B1 (ko) * 2018-09-19 2022-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도어 조립체
KR20220041514A (ko) 2020-09-25 2022-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080A (ja) * 2007-12-19 2009-07-09 Itoki Corp 差圧扉
KR20100008179U (ko) * 2009-02-09 2010-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JP2011067400A (ja) * 2009-09-25 2011-04-07 Koyo Steel Kk 収納棚用扉および収納棚
KR20110123117A (ko) * 2010-05-06 2011-1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080A (ja) * 2007-12-19 2009-07-09 Itoki Corp 差圧扉
KR20100008179U (ko) * 2009-02-09 2010-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JP2011067400A (ja) * 2009-09-25 2011-04-07 Koyo Steel Kk 収納棚用扉および収納棚
KR20110123117A (ko) * 2010-05-06 2011-1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39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167B1 (ko) 선박용 도어 구조체
CN103233634B (zh) 锁装置和安装锁装置的设备
CN104235398B (zh) 节流调节蝶阀
ATE548255T1 (de) Flugzeugtür mit druckausgleichsöffnung
MX2017003336A (es) Puertas de vehiculo de motor que funcionan de manera independiente con una interfaz de puerta articulada.
US9427877B2 (en) Operation box and method for replacing gloves thereof
US20140201900A1 (en) Walk-In Tub Door Assembly
ATE445067T1 (de) Schloss mit einer zuziehilfe für klappen oder tür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ein handschuhfach-schloss
US10458884B2 (en) Vehicle closure cycling device and method
KR20110009635U (ko) 인출회전형 핸들의 손잡이 구조
CN205577753U (zh) 一种用于脱硫塔的人孔门
CN203996866U (zh) 一种用于无人机壳体间固定的锁闭装置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20120106024A (ko)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CN108123730A (zh) 对讲装置壳体及对讲装置
CN205046993U (zh) 一种防止儿童开启柜门的磁性锁扣
KR20100008179U (ko)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KR20160032612A (ko) 가스 유입 방지용 개폐문
CN107575629A (zh) 阀门
WO2009074958A8 (en) Cleaning and/or unblocking of process equipment
KR20130104030A (ko) 선박용 도어
CN205116983U (zh) 锁扣结构
CN109778492B (zh) 一种洗衣机门体及洗衣机
CN209603684U (zh) 自动中控插梢锁
ATE374919T1 (de) Ein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s lukendeckels, insbesondere einer schiebeluke an einem kampf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