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044B1 -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44B1
KR101498044B1 KR1020070002916A KR20070002916A KR101498044B1 KR 101498044 B1 KR101498044 B1 KR 101498044B1 KR 1020070002916 A KR1020070002916 A KR 1020070002916A KR 20070002916 A KR20070002916 A KR 20070002916A KR 101498044 B1 KR101498044 B1 KR 10149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 macroblock
block
average value
macroblock
pred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802A (ko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44B1/ko
Priority to US11/776,031 priority patent/US8265147B2/en
Priority to EP07116460A priority patent/EP1944979A3/en
Publication of KR2008006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6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for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축소영상 생성방법은,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단계,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과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도,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축소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연산량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H.264, 축소영상, AFF 부호화, 슈퍼 매크로 블럭

Description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generating small image of compressed image adaptivly encoded macro block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2는 화소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축소영상 생성부의 상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영상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소영상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축소영상 생성부 210 : 추출부
220 : 합산부 242 : H-예측성분 산출부
244 : V-예측성분 산출부 246 : 예측블럭 평균값 산출부
본 발명은 축소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지털 동영상 처리 관련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고화질 디지털 방송(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P TV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HDTV 방송은 고화질의 대형화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HDTV용 셋톱박스(Set Top Box)나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과 같은 제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이나 프로그램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썸네일(thumbnail) 영상이라고 불리는 축소영상을 통해 제공함이 일반적이다.
썸네일 영상 추출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로 표현된 공간 주파수(spatial frequency) 영역에서 블럭의 평균 값을 나타내는 성분인 DC 성분을 이용하여 썸네일 영상을 추출하는 DC 영상 추출 방법이 있다.
DC 영상 추출 방법은 DCT 계수로 표현된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각 블럭을 독립적으로 압축하여 부호화하는 기술을 이용한 MPEG-4에서는 사용가능하다.
하지만,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을 통해 블럭들을 부호화하는 H.264의 경우는, 현재 블럭이 이전 블럭에 종속되어 부호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DC 영상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블럭들로 구성되는 압축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려면,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 후에 얻어지는 원영상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축소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연산량과 시간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특히, H.264는 적응형 프레임/필드(Adaptive Frame/Field : AFF) 부호화 방식을 지원하는 바,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도,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소영상 생성방법은,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홀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짝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 상부 및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합산하여 상기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및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주파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영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 을 생성하는 합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홀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짝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 상부 및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합산부는,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합산하여 상기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및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주파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영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압축영상으로부터 축소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을 통해 부호화된 블럭들로 구성되는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도,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압축영상이 적응형 프레임/필드(Adaptive Frame/Field :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경우에도,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압축영상 제공부(110), 디코딩부(120), 영상 출력부(130) 및 축소영상 생성부(200)를 구비한다.
압축영상 제공부(110)는 후술할 디코딩부(120)와 축소영상 생성부(200)에 압축영상을 제공한다. 압축영상 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압축영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해 AFF 부호화된 압축영상일 수 있다.
압축영상 제공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영상은 i)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압축영상, ii)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압축영상, 또는 iii)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압축영상일 수 있다.
디코딩부(120)는 압축영상 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블럭들을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된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출력부(130)는 디코딩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축소영상 생성부(200)에서 출력되는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축소영상 생성부(200)는 현재 영상을 구성하는 블럭들 각각에 대한 평균값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들로 구성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한다.
블럭에 대한 평균값은 압축블럭의 평균값과 예측블럭의 평균값의 합에 해당한다. 즉, "블럭의 평균값 = 압축블럭의 평균값 + 예측블럭의 평균값"이다. 여기서, 압축블럭이란 압축영상 제공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블럭이며, 예측블럭이란 주변블럭들의 성분들을 통해 성분이 예측되는 블럭이다. 압축블럭의 평균값은 압축블럭의 성분을 이용하여 추출되지만, 예측블럭의 평균값은 주변블럭들의 성분들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이하에서는,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화소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화소와 화소값은 동일한 문자를 사용하기로 한다. 즉, 화소 "A"에 대한 화소값은 "A"로 표기하기로 한다.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인접블럭들(x1, x2, x3, x4)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1) 좌측/상부 인접블럭인 x1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A, B, C, D)), 2) 상부 인접블럭인 x2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E, F, G, H)), 3) 우측/상부 인접블럭인 x3의 "V-성분" (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I, J, K ,L)), 및 4) 좌측 인접블럭인 x4의 "H-성분"(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M, N, O, P))을 이용하여 산출되며, 산출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1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2
여기서, M(ypred ,ave)는 ypred ,ave의 최좌측/최상부인 (0,0)의 계수이며, 이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이 된다. 그리고, xV는 블럭 x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Vertical Matrix)로서, 블럭 x의 V-성분을 수직으로 나열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방형 행렬이다. 예를 들어, 블럭 x2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인 x2,V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3
또한, xH는 블럭 x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Horizontal Matrix)로서, 블럭 x의 H-성분을 수평으로 나열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방형 행렬이다. 예를 들어, 블럭 x4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인 x4,H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4
또한, c1, c2, c3, 및 c4는 계수행렬로서 압축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4X4 블럭의 경우 압축모드는 수직방향 예측모드, 수평방향 예측모드, DC 예측모드 및 대각선 좌하향 예측모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공지된 내용에 해당하기에 각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음 예측블럭들의 평균값들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이 필요한데,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y41, y42, y43, y44)과 H-예측성분(y14, y24, y34, y44)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과 H-예측성분을 미리 산출하여 야 하는데, 이들에 대한 산출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5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6
여기서, ypred ,V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에 대한 수직행렬이고, ypred,H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H-예측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이다. 또한, c1 ,V, c2,V, c3,V, c4 ,V, c1 ,H, c2 ,H, c3 ,H, c4 ,H는 계수행렬로서 압축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지금까지,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M(ypred ,ave))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화소 도메인 상에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에 대한 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 V-예측성분 및 H-예측성분을 산출하는 산출식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주파수 변환하여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7
... (1)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8
... (2)
Figure 112007002576618-pat00009
... (3)
Figure 112007002576618-pat00010
... (4)
한편, 압축영상은 다수의 슈퍼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된다. 슈퍼 매크로 블럭은 2개의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되는데, 매크로 블럭의 크기는 16X16이다. 따라서, 매크로 블럭은 16개의 4X4 블럭들로 구성되며, 슈퍼 매크로 블럭은 32개의 4X4 블럭들로 구성되게 된다.
압축영상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슈퍼 매크로 블럭은 2개의 프레임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되는데,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 매크로 블럭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pper frame macro block)으로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 매크로 블럭은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ower frame macro block)으로 지칭된다.
또한, 압축영상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슈퍼 매크로 블럭은 2개의 필드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되는데, 상부에 위치한 필드 매크로 블럭은 탑-필드 매크로 블럭(Top field macro block)으로 하부에 위치한 필드 매크로 블럭은 바텀-필드 매크로 블럭(Bottom field macro block)으로 지칭된다.
한편, 압축영상이 AFF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슈퍼 매크로 블럭은 2개의 프레임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되거나, 2개의 필드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된다.
압축영상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나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에는 전술한 산출과정을 적용하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축영상이 AFF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에는 AFF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압축영상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측에 위치한 슈퍼 매크로 블럭인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며, 우측에 위치한 슈퍼 매크로 블럭인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다.
따라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과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탑-필드 매크로 블럭(T-MB)과 바텀-필드 매크로 블럭(B-M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b는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최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화소와 화소값은 동일한 문자를 사용하기로 한다. 즉, 화소 "a"에 대한 화소값은 "a"로 표기하기로 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인접블럭들(x1, x2, x3)과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x4)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1) 좌측/상부 인접블럭인 x1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a, b, c, d)), 2) 상부 인접블럭인 x2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e, f, g, h)), 3) 우측/상부 인접블럭인 x3의 "V-성분" (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i, j, k ,l)), 및 4)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인 x4의 "H-성분"을 이용하여 산출되며, 산출식은 상기한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m,o)과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n,p))로 구성되며, 이때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인 x4,H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11
한편, 다음 예측블럭들의 평균값들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이 필요한데,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과 H-예측성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과 H-예측성분을 미리 산출하여야 하는데, 이들에 대한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과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BM)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성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두 번째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세 번째와 네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과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세 번째와 네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 성된다.
마찬가지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세 번째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과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성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네 번째 예측블럭 내지 여덟 번째 예측블럭의 평균값들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들 역시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에 위치하지 않은 예측블럭들에 대한 평균값은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되며, 산출방식은 도 2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에는 AFF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압축영상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 4a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측에 위치한 슈퍼 매크로 블럭인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며, 우측에 위치한 슈퍼 매크로 블럭인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다.
따라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탑-필드 매크로 블럭(T-MB)과 바텀-필드 매크로 블럭(B-MB)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과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인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b는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최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화소와 화소값은 동일한 문자를 사용하기로 한다. 즉, 화소 "a"에 대한 화소값은 "a"로 표기하기로 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인접블럭들(x1, x2, x3)과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x4)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은, 1) 좌측/상부 인접블럭 인 x1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a, b, c, d)), 2) 상부 인접블럭인 x2의 "V-성분"(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e, f, g, h)), 3) 우측/상부 인접블럭인 x3의 "V-성분" (최하부에 마련된 화소들의 화소값들(i, j, k ,l)), 및 4)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인 x4의 "H-성분"을 이용하여 산출되며, 산출식은 상기한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m,n,o,p)로 구성되며, 이때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인 x4,H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2576618-pat00012
한편, 다음 예측블럭들의 평균값들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이 필요한데, 현재 블럭의 V-성분과 H-성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과 H-예측성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예측블럭(ypred)의 V-예측성분과 H-예측성분을 미리 산출하여야 하는데, 이들에 대한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첫 번째 예측블럭(ypred)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및 일곱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성된다.
또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두 번째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아홉 번째, 열한 번째, 열세 번째 및 열다섯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의 다섯 번째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화소들 중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및 여덟 번째 화소들의 화소값들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U-MB)의 최좌측에 위치한 예측블럭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홀수 번째 화소들 중 일부에 대한 화소값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L-MB)의 최좌측에 위치한 예측블럭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 분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마련된 짝수 수 번째 화소들 중 일부에 대한 화소값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좌측에 위치하지 않은 예측블럭들에 대한 평균값은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되며, 산출방식은 도 2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압축영상이 AFF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경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화소 도메인 상에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에 대한 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현재 예측블럭의 평균값, V-예측성분 및 H-예측성분을 산출하는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3에 따르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축소영상 생성부(200)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산출된 예측블럭들의 평균값들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축소영상 생성부(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영상 생성부(200)는 추출부(210), 합산부(220), 계수 테이블(230), 산출부(240) 및 메모리(250)를 구비한다.
추출부(210)는 '압축영상 제공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영상을 구성하는 블럭'(이하, '압축블럭'으로 약칭)의 H-압축성분, V-압축성분 및 평균값을 추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추출부(210)는 H-압축성분 추출부(212), V-압축성 분 추출부(214) 및 압축블럭 평균값 추출부(216)를 구비한다.
H-압축성분 추출부(212)는 "압축블럭의 H-압축성분"(압축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압축블럭의 H-압축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인 YC ,H를 출력한다.
V-압축성분 추출부(214)는 "압축블럭의 V-압축성분"(압축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압축블럭의 V-압축성분에 대한 수직행렬인 YC ,V를 출력한다.
압축블럭 평균값 추출부(216)는 압축블럭의 최좌측/최상부인 (0,0)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인 DC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DC 값을 압축블럭의 평균값(M(YC ,ave))으로 출력한다.
계수 테이블(230)은 압축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계수행렬들을 후술할 산출부(240)로 출력한다.
산출부(240)는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 V-예측성분 및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산출부(210)는 H-예측성분 산출부(242), V-예측성분 산출부(244) 및 예측블럭 평균값 산출부(246)를 구비한다.
H-예측성분 산출부(242)은 '메모리(250)에 저장된 인접블럭들의 H-성분들에 대한 수평행렬(YH)들을 통해 구해진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이하,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로 약칭)과 메모리(250)에 저장된 인접블럭들의 V-성분들에 대한 수직행렬(YV)들 및 계수 테이블(230)에서 출력되는 계수행렬들을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에 대한 수평행렬인 Ypred ,H를 산출하며, 구체적인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3의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V-예측성분 산출부(244)은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과 메모리(250)에 저장된 인접블럭들의 V-성분들에 대한 수직행렬(YV)들 및 계수 테이블(230)에서 출력되는 계수행렬들을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V-예측성분에 대한 수직행렬인 Ypred ,V를 산출하며, 구체적인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3의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예측블럭 평균값 산출부(246)는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과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V) 및 계수 테이블(230)에서 출력되는 계수행렬들을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평균값(M(Ypred ,ave))을 산출하며, 구체적인 산출식은 전술한 수학식 3의 (1),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합산부(220)는 추출부(210)의 출력과 산출부(240)의 출력을 이용하여,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과 블럭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V) 및 블럭의 평균값(M(Yave))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합산부(220)는 H-성분 합산부(222), V-성분 합산부(224) 및 평균값 합산부(226)를 구비한다.
H-성분 합산부(222)는 H-압축성분 추출부(212)에서 출력되는 압축블럭의 H- 압축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C ,H)과 H-예측성분 산출부(242)에서 산출된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pred ,H)을 합산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을 메모리(250)에 저장한다. 이는, 다음 예측블럭의 평균값, H-예측성분 및 V-예측성분을 산출하는데 이용하기 위함이다.
V-성분 합산부(224)는 V-압축성분 추출부(214)에서 출력되는 압축블럭의 V-압축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C ,V)과 V-예측성분 산출부(244)에서 산출된 예측블럭의 V-예측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pred ,V)을 합산한 블럭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V)을 메모리(250)에 저장한다. 이 역시, 다음 예측블럭의 평균값, H-예측성분 및 V-예측성분을 산출하는데 이용하기 위함이다.
평균값 합산부(226)는 압축블럭 평균값 추출부(216)에서 출력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M(YC ,ave))과 예측블럭 평균값 산출부(246)에서 산출된 예측블럭의 평균값(M(Ypred ,ave))을 합산한 블럭의 평균값(Yave)을 영상 출력부(130)로 출력하는데, 이 평균값들로 이루어진 영상이 축소영상이다. 만약, 블럭의 크기가 4X4인 경우, 생성되는 축소영상의 면적은 현재 영상의 면적의 1/16이 된다. 16개의 화소가 1개의 화소로 대체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가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영상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추출부(210)에 마련된 H-압축성분 추출부(212), V-압축성분 추출부(214) 및 압축블럭 평균값 추출부(216)는 압축블럭의 H-압축성분, V-압축성분 및 평균값을 각각 추출한다(S410).
추출결과로, 추출부(210)에서는 압축블럭의 H-압축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C ,H), 압축블럭의 V-압축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C ,V) 및 압축블럭의 평균값(M(YC ,ave))이 출력된다.
그리고, 산출부(240)에 마련된 H-예측성분 산출부(242), V-예측성분 산출부(244) 및 예측블럭 평균값 산출부(246)는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과 메모리(250)에 저장된 인접블럭들의 V-성분들에 대한 수직행렬(YV)들 및 계수 테이블(230)에서 출력되는 계수행렬들을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 V-예측성분 및 평균값을 각각 산출한다(S420).
산출결과로, 산출부(240)에서는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pred ,H), 예측블럭의 V-예측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pred ,V) 및 예측블럭의 평균값(M(Ypred ,ave))이 출력된다.
이후, 합산부(220)에 마련된 H-성분 합산부(222)와 V-성분 합산부(224)는 압축블럭의 H-압축성분과 예측블럭의 H-예측성분을 합산한 '블럭의 H-성분'과 압축블럭의 V-압축성분과 예측블럭의 V-예측성분을 합산한 '블럭의 V-성분'을 메모리(250)에 저장한다(S430).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50)에는 블럭의 H-성분에 대한 수평행렬(YH)과 블럭의 V-성분에 대한 수직행렬(YV)이 저장되게 된다.
또한, 합산부(220)에 마련된 평균값 합산부(226)는 압축블럭의 평균값(M(YC ,ave))과 예측블럭의 평균값(M(Ypred ,ave))을 합산한 블럭의 평균값(Yave)을 영상 출력부(130)로 출력한다(S440).
그러면, 영상 출력부(130)는 평균값 합산부(226)에서 출력되는 평균값들로 구성되는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450).
지금까지, 인트라 예측을 통해 AFF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H.264 압축방식과 같이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압축된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는데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을 구성하는 블럭의 크기는 4X4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블럭의 크기가 8X8이나 16X16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추출부(510), 산출부(520) 및 합산부(530)를 구비한다.
추출부(510)는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 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한다.
산출부(520)는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합산부(530)는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한다.
도 8에 도시된 축소영상 생성방법에 따르면, 먼저 추출부(510)는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한다(S610).
그리고, 산출부(520)는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620).
그러면, 합산부(530)는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한다(S630).
이에 의해서도, 인트라 예측을 통해 AFF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의 블럭들에 대한 디코딩 없이도, 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축소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연산량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 방식은,
    필드 부호화 또는 프레임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홀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짝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 상부 및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합산하여 상기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및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주파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영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Adaptive Frame/Field : 적응형 프레임/필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영상 생성방법.
  7.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포함된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압축블럭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과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의 좌측에 위치한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방식이 다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압축블럭에 대응하는 예측블럭의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 방식은,
    필드 부호화 또는 프레임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상-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하-프레임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현재 슈퍼 매크로 블럭이 프레임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고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은 필드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슈퍼 매크로 블럭이면,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홀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한 짝수 번째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 상부 및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들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와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합산부는,
    상기 압축블럭의 평균값 및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합산하여 상기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예측블럭의 좌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예측블럭의 우측/상부에 마련된 인접블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주파수 값들 및 상기 이전 슈퍼 매크로 블럭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주파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블럭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영상은,
    인트라 예측을 통한 AFF(Adaptive Frame/Field : 적응형 프레임/필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압축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70002916A 2007-01-10 2007-01-10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49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16A KR101498044B1 (ko) 2007-01-10 2007-01-10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11/776,031 US8265147B2 (en) 2007-01-10 2007-07-11 Method for generating reduced image of original image comprising adaptively encoded macroblocks, and image apparatus thereof
EP07116460A EP1944979A3 (en) 2007-01-10 2007-09-14 Method for generating reduced image of original image comprising adaptively encoded macroblocks, and image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16A KR101498044B1 (ko) 2007-01-10 2007-01-10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02A KR20080065802A (ko) 2008-07-15
KR101498044B1 true KR101498044B1 (ko) 2015-03-05

Family

ID=3924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16A KR101498044B1 (ko) 2007-01-10 2007-01-10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65147B2 (ko)
EP (1) EP1944979A3 (ko)
KR (1) KR101498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301B1 (ko) * 2007-12-17 2010-04-02 한국과학기술원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화면간/화면내 예측 부호화 방법
US8666182B2 (en) * 2008-08-13 2014-03-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Hee University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in image frame of the H.264 standard
KR101148044B1 (ko) * 2010-12-03 2012-05-24 에이스텔 주식회사 초고화질 영상 서비스에서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12797B2 (en) * 2018-02-05 2020-10-20 Tencent America LLC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decoding or encoding using a low-complexity transform
CN116708794A (zh) 2019-03-18 2023-09-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分量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以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448A (en) * 1997-06-12 2000-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spatially reduced image sequences in a motion compensated compressed format
JP2006148615A (ja) * 2004-11-22 2006-06-08 Hitachi Ltd 復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60227871A1 (en) * 2005-03-31 2006-10-12 Madhukar Budagavi Video thumbnai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828B1 (en) * 1998-09-28 2002-09-03 Thomson Licensing S.A. Transform domain resizing of an image compressed with field encoded blocks
US7471834B2 (en) * 2000-07-24 2008-12-30 Vmark, Inc. Rapid production of reduced-size images from compressed video streams
US6928186B2 (en) * 2002-06-21 2005-08-09 Seiko Epson Corporation Semantic downscaling and cropping (SEDOC) of digital images
CN100534192C (zh) * 2003-10-28 2009-08-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帧内预测编码方法
US7430336B2 (en) * 2004-05-06 2008-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hancement for low bit rate video compression
US7436281B2 (en) * 2004-07-30 2008-10-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to improve inductance with a high-permeability slotted plate core in an integrated circuit
JP4510702B2 (ja) * 2005-05-31 2010-07-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速画像縮小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448A (en) * 1997-06-12 2000-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spatially reduced image sequences in a motion compensated compressed format
JP2006148615A (ja) * 2004-11-22 2006-06-08 Hitachi Ltd 復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60227871A1 (en) * 2005-03-31 2006-10-12 Madhukar Budagavi Video thumbnai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4979A3 (en) 2008-12-03
KR20080065802A (ko) 2008-07-15
EP1944979A2 (en) 2008-07-16
US20080165846A1 (en) 2008-07-10
US8265147B2 (en)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9958B2 (ja) 動画像符号化データ
TWI577179B (z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707118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装置のイントラ予測方式
JP4773966B2 (ja) ビデオ圧縮の方法と装置
TWI489837B (zh) A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 image coding apparatus, an image decoding method, and an image coding method
US20090110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ensated Picture Rate Up-Conversion of Digital Video Using Picture Boundary Processing
JP2007201558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KR101380843B1 (ko) 인트라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 블럭들을 포함하는압축영상에 대한 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기기
KR101498044B1 (ko) 매크로 블럭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 압축영상에 대한축소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2013150164A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並びに、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KR20110133554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95320A (ko)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US201002466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bi-directional intra-prediction in a video encoder
EP2063637A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ensated picture rate up-conversion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compressed video stream
KR101004562B1 (ko) H.264 표준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JP2005184525A (ja) 画像処理装置
JP5236088B2 (ja) 画像の符号化/復号化装置、符号化/復号化プログラム及び符号化/復号化方法
KR100928272B1 (ko)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JP5380594B2 (ja) 画像の復号化方法
JP5055419B2 (ja) 画像の復号化装置、復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復号化方法
JP2004159316A (ja) トランスコーダ
JPH11252561A (ja) 動画像復号化方法
KR20060080294A (ko) 화면내 예측에서의 예측값 계산 장치
JPH11243550A (ja) 動画像復号化方法
JP2010246021A (ja) 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26

Effective date: 2014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