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03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36B1
KR101498036B1 KR1020080044622A KR20080044622A KR101498036B1 KR 101498036 B1 KR101498036 B1 KR 101498036B1 KR 1020080044622 A KR1020080044622 A KR 1020080044622A KR 20080044622 A KR20080044622 A KR 20080044622A KR 101498036 B1 KR101498036 B1 KR 10149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upplied
plate
open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689A (ko
Inventor
이광희
문정욱
박혜용
최창규
유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36B1/ko
Priority to US12/733,028 priority patent/US8484861B2/en
Priority to EP17151820.2A priority patent/EP3176310B1/en
Priority to EP08793026.9A priority patent/EP2188433B1/en
Priority to EP17151825.1A priority patent/EP3176311B1/en
Priority to PCT/KR2008/004512 priority patent/WO2009020321A2/en
Publication of KR2009011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열풍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열풍분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열풍이 고르게 분산되면서, 의류가 직접 열풍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의류세탁장치 및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장치 등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그 밖의 처리를 위한 각종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종래의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뿐만 아니라 의류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재생처리를 수행하는 리프레쉬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상기 리프레쉬장치는 의류의 세탁 또는 착용 이후,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에 발생하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의류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의 건조 또는 의류의 상태 개선을 위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상기와 같이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열풍은 상기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한 방향만으로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열풍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부분에 수용되는 의류는, 의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건조 또는 재생 등의 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열풍이 의류를 수용되는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의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필터 등의 각종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열풍이 토출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미관을 해치고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열풍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여 수용되는 의류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열풍이 토출되는 부위가 의류를 수납/수거하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열풍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열풍분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분산부재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가 열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는 상기 덕트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풍분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으로 이격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플레이 트에 부딪히면서 모든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일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덕트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열풍이 상기 수용공간의 아랫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풍의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덕트의 내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갖으면서 상기 개구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덕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열풍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후벽에 형성된 개구부까지 열풍이 공급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후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 중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열풍의 경로를 유도하는 분산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이격되어 층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열풍이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열풍이 고르게 분산되면서 공급되어,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의류처리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한 바, 열풍의 편중 공급으로 인하여 불균일하게 의류가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의류가 고온에 의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풍이 공급되는 토출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미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 및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리프레쉬처리장치에 대하여 본원발명을 적용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모든 의류처리장치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 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 및 하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 내부에는 재생처리 등이 요구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0)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공급장치(50) 및 기타 의류의 상태를 개선시키는데 사용되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0) 내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열풍분산부재(100)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재생처리 등이 요구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전면이 커버로 둘러싸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0)으로 의류 수납시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면에 도어(11)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캐비넷(10)의 외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0)에 열풍을 공급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용량에 따라 히터 또는 열전소자 등을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열풍공급과 동시에 제습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 장치(50)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열풍공급장치(50)는 히트펌프로서,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한다. 또한, 압축기를 거쳐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와 응축기가 열교환기의 기능하며,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제습 및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캐비넷(10)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0)과 격벽 등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교환부 등 고열이 발생하는 부분에 의류가 직접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50)의 운전 중 발생하는 응축수 등이 의류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에 걸리는 무게중심을 고려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의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10)의 하측에 격벽(40) 등에 의해 수용공간(20)과 분리되는 전장실(30)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실(30) 내측에 열풍공급장치(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열풍공급장치(50)의 설치위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열풍공급장치(50)가 상기 수용공간(20)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풍공급장치(50)에서 가열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20)으로 공급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공급장치(50)의 열 교환부 및 상기 수용공간(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60)를 연결하는 덕트(8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풍공급장치(50)로 유출될 수 있는 배출구(70) 등의 통로를 구비하여 순환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덕트(80)는 상기 수용공간(20)의 후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될 수 있는 의류의 용량은, 상기 수용공간(20)의 가로방향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상기 수용공간의 충분한 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벽에 개구부(60)가 형성되고, 덕트(80)는 열풍공급장치(50)와 상기 개구부(60)를 연결하여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다만, 상기 덕트(80)의 설치위치는 바람직한 일예에 불과할 뿐, 다른 위치에 덕트(80)를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열풍분산부재(100)는 덕트(80)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개구부(60)에 인접하도록 상기 수용공간(20)의 내측에 설치되 수 있다. 상기 열풍분산부재(100)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이 분산되는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열풍공급장치(50)에서 가열된 열풍은 송풍장치(90)에 의하여 상기 덕트(80)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수용공간(20)의 개구부(60)를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열풍은 상기 덕트(80)를 통과하면서 덕트(80)의 형상에 따라 일정방향의 속도 성분을 갖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60)를 통과하여 개방된 공간으로 토출되면서 특정한 방향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이처럼 열풍이 상기 수용공간(20)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공급되면서, 수용공간(20) 내부의 환경이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60)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수평방향의 속도 성분을 강하게 보유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20)의 후측 부분, 그 중에서도 개구부(60)의 좌우측 및 하측으로는 열풍이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곳에 위치하는 의류는 열풍으로 인한 의류 개선의 효과를 전혀 보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이 특정한 방향을 중심으로 공급되는 경우 고온의 열풍에 직접 적으로 의류가 노출되어 의류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개구부(60)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 수용되는 의류의 경우 상기 열풍이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의류의 손상이 심각하게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6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수용공간(20)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열풍분산부재(1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즉, 상기 열풍분산부재(100)는 열풍이 보유하고 있는 속도성분을 약화시켜 수용공간(20)의 특정 부분을 중심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열풍분산부재(100)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6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 2 참조)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분산부재(100)에 부딪히면서 보유하고 있던 속도성분을 잃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풍은 상기 플레이트(110)에 부딪히면서 이동경로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즉 모든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60)를 통해 토출된 열풍은 플레이트(110)에 부딪히면서 분산되어, 상기 플레이트(110)의 상하좌우 모든 경계부분을 따라 토출되는 바 상기 수용공간(20)으로 고르게 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6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직접 의류에 공급되지 않고, 일차적으로 상기 열풍분산부재(100)에 부딪힌 후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수용공간(20)에 수용되는 의류가 강한 열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갖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열풍분산부재(100)는 소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용공간의 후벽에 개구부와 인접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도록 고정리브(120)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수용공간(20)의 후벽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관이 수려하고, 모든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특정 부분으로 열풍을 유도하고자 하는 경우 수용공간의 후벽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풍분산부재(100)의 플레이트(110)는 미관 등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레이트(110)는 개구부(60)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60)의 전방에 개구부(60)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60)를 통해 공급되는 모든 열풍이 부딪히는 것이 가능하며, 의류에 열풍이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의 수납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60)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60)가 이물질 등이 삽입되어 발생되는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 또한 갖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60)를 통해 수용공간의 하측방향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리브(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풍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는 바, 상기 열풍분산부재(100)에 부딪힌 후 모든 방향으로 분산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110)의 상측 테두리를 통하여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하측 테두리를 통하여 공급되는 양보다 많을 수 있다.(도 3b참조)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리브(130)를 구비하여 열풍이 수용공간(20)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우, 플레이트(110)의 하측 테두리를 통하여 열풍이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이후에 상승이 이루어지는 바, 수용공간의 하측부터 상측까지 고르게 열풍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리브(130)는 개구부(60)와 인접하도록 상기 덕트(8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공간(20)의 후벽에 설치하는 경우 가이드리브(13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10)와 수용공간(20) 후벽과의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리브(130)는 상기 덕트(80)의 내벽에서 개구부(60)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브로 구성되어 단부가 하향으로 원만하게 절곡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열풍의 경로를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20)으로 열풍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의류가 고온의 열풍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열풍분산부재(100)는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변형된 일 예로서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열풍분산부재(1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열풍분산부재(10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산부재(100)의 플레이트(110)는 소정부위에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의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 )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관통홀(140)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0)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열풍분산부재(100)는 열풍이 특정 방향을 중심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바, 상기 관통홀(140)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작은 형상으로 복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의 열풍분산부재(100)는 개구부(60)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140)이 형성된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140)을 통과하여 열풍의 진행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분산리브(150)를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20)의 원하는 방향으로 열풍의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열풍분산부재(1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11,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111,112)는 각각 이격되어 층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풍분산부재(100)는 제1플 레이트(111) 및 제2플레이트(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플레이트(111)는 제2플레이트(112)에 설치되는 고정리브(120)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2플레이트(112)는 수용공간 후벽에 설치되는 고정리브(120)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이 제1플레이트(111)에 부딪혀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플레이트(112)는 후벽의 개구부(6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개구홀(16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의 일부는 제2플레이트(112)와 부딪혀 제2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플레이트(112)의 개구홀(160)을 통해 제1플레이트(111)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11) 방향으로 진행한 열풍은 제1플레이트(111)와 부딪히면서 제1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를 통해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될 수 있고, 본실시예와 같이 제1플레이트(111)의 전방에 관통홀(140) 및 분산리브(150)가 구비되는 경우 열풍의 일부는 상기 분산리브(150)를 따라 상기 관통홀(140)을 통해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수용공간(20)으로 열풍이 진행하는 경로를 더욱 다변화시킴으로서, 열풍을 수용공간(20)으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의 분산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열풍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열풍분산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풍분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으로 이격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모든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산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가 열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갖으면서 상기 개구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일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아랫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열풍의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굴곡되면서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열풍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후벽에 형성된 개구부까지 열풍이 공급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후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 중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열풍의 경로를 유도하는 분산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이격되어 층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열풍이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80044622A 2007-08-03 2008-05-14 의류처리장치 KR10149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22A KR101498036B1 (ko)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US12/733,028 US8484861B2 (en) 2007-08-03 2008-08-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17151820.2A EP3176310B1 (en) 2007-08-03 2008-08-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08793026.9A EP2188433B1 (en) 2007-08-03 2008-08-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17151825.1A EP3176311B1 (en) 2007-08-03 2008-08-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08/004512 WO2009020321A2 (en) 2007-08-03 2008-08-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22A KR101498036B1 (ko)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89A KR20090118689A (ko) 2009-11-18
KR101498036B1 true KR101498036B1 (ko) 2015-03-03

Family

ID=4160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622A KR101498036B1 (ko) 2007-08-03 2008-05-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05B1 (ko) * 2012-03-20 2018-06-1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052373B1 (ko) * 2013-02-28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743B1 (ko) * 2015-07-14 2017-02-21 신승환 원단 증열장치
KR101709070B1 (ko) * 2016-07-20 2017-02-22 신승환 원단 증열장치
WO2024065930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的箱体组件以及衣物护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694A1 (en) * 1995-07-25 1997-02-19 Chan Chou Ou A multipurpose dryer
JP2006336874A (ja) * 2003-10-15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694A1 (en) * 1995-07-25 1997-02-19 Chan Chou Ou A multipurpose dryer
JP2006336874A (ja) * 2003-10-15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89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705B1 (en) Clothes dryer with heat pump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17631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0008025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0072376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49803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60355965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00021359A (ko) 의류관리장치
KR20230155400A (ko) 의류처리장치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4127358A (zh) 衣物护理装置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995554B2 (ja) 乾燥機
KR20040025139A (ko)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배수구조
KR101498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537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31258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90131259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133473A (ko) 의류 건조기
KR200901186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KR200901023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0512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