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688A -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688A
KR20090118688A KR1020080044621A KR20080044621A KR20090118688A KR 20090118688 A KR20090118688 A KR 20090118688A KR 1020080044621 A KR1020080044621 A KR 1020080044621A KR 20080044621 A KR20080044621 A KR 20080044621A KR 20090118688 A KR20090118688 A KR 2009011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water
outside
steam generator
steam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035B1 (ko
Inventor
문정욱
유승규
이광희
박혜용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고온의 잔수를 온도를 낮추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고온의 잔수를 온도를 낮추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물을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 잔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 발생을 위하여 가열된 상태의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온도가 저하되는 바, 사용자가 안전하게 잔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assembly}
본 발명은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고온의 잔수를 온도를 낮추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고온의 잔수를 온도를 낮추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의류세탁장치 및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장치 등 많은 기기 등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의류를 세탁하기 위하여 터브, 드럼 및 모터 등을 포함하기도 하고,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하기 위하여 히터 및 팬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스팀을 발생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 착용 및 건조 등에 의해 구김이 생긴 의류를 다림질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고, 고온의 증기로 인하여 삶은 것과 같은 살균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팀분사의 효과는 리프레시 장치에서 집중적으로 구현된다. 상기 리프레시 장치는 내부에 보관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에 발생하는 구김 또는 엉킴 등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류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리프레시 장치는 주로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에 열풍을 공급하여 리프레시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교환부에서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혹은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상기 스팀을 생성한 후에 소정량의 잔수가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잔수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고온의 상태로 배출을 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잔수가 별도의 회수통으로 수집되어 사용자가 이를 직접 배출하는 경우, 잔수의 온도로 인하여 배출이 용이하지 않거나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발생 후 배출되는 고온의 잔수가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물을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 잔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잔수배출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는 인접한 부분에 비하여 협소한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를 흐르는 잔수가 상기 열교환부의 내벽과 인접하여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열교환부는 상온에 비해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기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트폄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외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펌프는 공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증발기, 응축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의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한 섬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섬프로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기 섬프에 공급된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수두차에 의해 잔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섬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회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공급 후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잔수배출관;을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 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인접한 부분에 비해 협소한 단면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외부에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온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회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 발생을 위하여 가열된 상태의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온도가 저하되는 바, 사용자가 안전하게 잔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의할 경우 상기 고온의 잔수를 이용하여 응축수가 수집되는 섬프를 수시로 세척할 수 있는 바, 더욱 개선된 의류처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쉬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기 리프레쉬처리장치를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별도로 사용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도이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캐비넷(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열풍공급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캐비넷(1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40)로부터 스팀 공급이 이루어진 후 상기 스팀발생장치(40)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관(1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잔수배출관(100)과 연결되어 상기 잔수배출관(100)을 통해 흐르는 잔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잔수 회수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비넷(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11)를 일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10)의 외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며,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용량에 따라 히터 또는 열전소자 등을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하고,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열풍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열풍공급장치(50)는 증발기(51), 압축기(미도시), 응축기(52) 및 팽창기(미도시)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50)에 포함된 냉매가 상기 냉동사이클을 따라 상(狀)변화를 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5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2)에서는 상기 냉매가 기체에서 액체로 액화하면서 공기들을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52)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상기 의류가 수용된 공간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51)에서는 상기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하면서 주변의 공기들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가 습기를 포함하고 있고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응축수가 형성되면서 습기가 제거된다.
도 3은 상기 스팀발생장치 및 잔수배출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40) 및 잔수배출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40)는 상기 캐비넷(10) 내부의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스팀발생장치(4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구(41), 상기 급수구(41)를 통해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발생되는 스팀을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관(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구(41)로 공급된 물을 상기 히터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팀을 스팀공급관(42)을 통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팀발생장치(40)에서 공급받은 물은 상기 히터 등의 발열장치로 가열되어 스팀으로 분사되고, 일부는 상기 스팀발생장치(40)에 잔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40)에 물이 잔류하면 내부 부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스팀 분사 후 상기 스팀발생장치(40) 내부의 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잔수배출관(100)은 상기 배수구(43)를 통해 스팀발생장치(40)를 빠져나온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잔수는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당히 고온일 경우가 많다. 특히, 스팀 공급이 종료된 직후에 스팀발생장치(40)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상기 잔수의 수온은 100℃에 근접할 정도로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잔수가 배출되는 경로 중에 내열성이 약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고온의 잔수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잔수가 수집되어 사용자가 직접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회수통(90)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가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화상 등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고온의 잔수가 배출되면서 잔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잔수배출관(1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고온의 잔수가 잔수배출관(100)을 따라 배출되면서 수온이 저하되는 바, 내열성이 약한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잔수회수통(90)을 통해 직접 배출하는 것도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잔수배출관(100)은 내부를 흐르는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1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여기서 외부라 함은 캐비넷(10)의 외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잔수배출관(100)의 외면이 접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110)에서는 내부를 흐르는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 되면서 상기 잔수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110)는 인접한 잔수배출관(100)의 다른 부위보다 열교환이 용이한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열교환부(110)의 외면을 통해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10)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110)는 외면을 통하여 내부에 흐르는 고온의 잔수를 외부와 열교환하기 위한 구성인 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잔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다만, 상기 잔수배출관(100)은 캐비넷(10)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형성되는 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110)는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협소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110)를 통과하는 잔수는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저하되는 바, 상기 열교환부(110)의 벽면에 인접하여 흐를수록 용이하게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부(110)의 단면이 작을수록 내부를 흐르는 잔수가 상기 열교환부(110)의 벽면에 인접하여 흐를 수 있는 바, 단면이 클 때에 비해 용이하게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10)는 소정구간에서 복수번 절곡되면서 사각형의 형상으로 감긴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넓은 면적을 통하여 외부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접한 부분에 비해 가늘게 구성되는바,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잔수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10)가 절곡되어 감긴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감긴 구성도 물론 가능하며,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외부와 접하는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주어진 공간에 적합하게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에서는 잔수배출관(100)에 하나의 열교환부(110)를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열교환부(11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잔수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으로 열풍 을 공급하고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히트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펌프(50)는 증발기(51), 압축기, 응축기(52) 및 팽창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1)와 인접한 부분에서 공기의 습기가 제거되고, 상기 응축기(52)와 인접한 부분에서 공기가 가열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한 섬프(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응축수는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51) 표면에서 응결되면서 먼지 등의 오물 등을 많이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섬프(70)에 집수되는 경우 악취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50)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는 양이 소량이므로 이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출경로를 구성하더라도,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를 따라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40)의 잔수가 배출되는 경로에 상기 섬프(70)를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섬프(70)에서 상기 응축수와 잔수를 희석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잔수를 섬프로 배출하여 상기 응축수와 희석시켜 배출하는 경우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고온의 잔수를 이용하여 상기 섬프(70)를 세척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수가 고온인 상태로 상기 섬프(7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부(110)는 상기 잔수의 배출방향을 따라 상기 섬프(70)를 지난 후 통과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발생장치(40)의 배수구로 빠져나온 잔수는 상기 섬 프(70)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장치(40)는 상기 잔수를 수두차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섬프(7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펌프 등의 별도 구성요소 없이 수두차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40)와 상기 섬프(70)를 연결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유로차폐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로차폐유닛(60)은 밸브 또는 댐퍼 등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유로차폐유닛(60)에 의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40)의 잔수 배출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섬프(70)로 배출된 잔수는 스팀 공급 운전이 종료될 때마다 번거롭게 배출되는 것보다는, 상기 잔수를 수집할 수 있는 별도의 잔수 회수통(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수 회수통(90)은 상기 섬프(70)에 비하여 큰 용량을 갖고,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된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수통(90)은 사용자가 직접 탈거하여 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별도의 배수 구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설치되는 위치를 제한받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잔수 회수통(9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섬프(7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70)와 상기 회수통(90)을 연결하는 잔수배출관(100)의 관로상에 잔수의 배출을 도울 수 있는 펌프(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40)의 잔수는 상기 유로차폐유닛(60)이 개방되면서 고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섬프(70)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고온의 잔수는 상기 섬프(70)를 세척함과 동시에 상기 응축수를 희석시킨다. 그리고 상기 펌프(80)에 의하여 상기 잔수배출관(100)을 타고 상기 잔수 회수통(9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때, 상기 잔수 배출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부(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10)는 복수개의 절곡된 경로를 형성하여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고,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협소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고온의 잔수는 상기 열교환부(110)를 거치면서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 상기 잔수 회수통(90)에 집수된다. 따라서, 상기 잔수 회수통(90)에는 온도가 낮춰진 상태로 잔수가 수집되고 사용자는 상기 잔수 회수통(90)을 탈거하여 상기 잔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잔수배출관(100)의 열교환부(110)에서 상기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잔수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잔수배출관(100)은 내부에 흐르는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110)는 인접한 다른 부분이 접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는 부위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온의 잔수는 열교환부(110)에서 외부와 열교환이 되면서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외부의 공기가 낮으면 낮을수록 상이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잔수의 수온을 저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10)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열교환부(110)의 외면에 수랭식 열교환 장치를 구비하거나, 냉기를 공급해주면서 열교환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 히트펌프의 증발기(51)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히트펌프(5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펌프(50)는 증발기(51), 압축기, 응축기(52) 및 팽창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51)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면서 제습이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기(52)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되는 열풍 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예의 열교환부(110)는 상기 증발기(51)에 의해 냉각되어 주변에 비해 온도가 저하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부(110)의 내부에 흐르는 잔수의 온도와 열교환부(110) 외부의 공기의 온도 차이가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바,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펌프(50)는 공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증발기(51), 응축기(52)가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우선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 후, 이를 가열하여 수용공간(20)으로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때, 공기는 증발기(5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응축기(52)를 통과하기 전까지 구간에서 주변의 온도에 비하여 낮은 온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열교환부(110)는 상기 증발기(51)와 응축기(52)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열교환부(110)가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인접한 다른 잔수 배출관(100)에 비하여 협소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증발기(51)와 응축기(52)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수직 평면상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열교환부(110)가 주변에 비하여 낮은 온도를 형성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바, 외부공기와 잔수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열교환되면서 잔수의 온도를 저하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 및 잔수배출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잔수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그리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잔수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16)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물을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 잔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잔수배출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인접한 부분에 비하여 협소한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를 흐르는 잔수가 상기 열교환부의 내벽과 인접하여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온에 비해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기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트폄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외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는 공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증발기, 응축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의 구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한 섬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섬프로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기 섬프에 공급된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수두차에 의해 잔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섬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회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공급 후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잔수가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잔수배출관;을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인접한 부분에 비해 협소한 단면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외부에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온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는 구간을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회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KR1020080044621A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KR10149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21A KR101498035B1 (ko)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21A KR101498035B1 (ko)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88A true KR20090118688A (ko) 2009-11-18
KR101498035B1 KR101498035B1 (ko) 2015-03-03

Family

ID=4160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621A KR101498035B1 (ko) 2008-05-14 2008-05-14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8440A (zh) * 2018-05-08 2021-02-12 科唯怡株式会社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158B2 (en) 2017-05-11 2022-05-03 Coway Co., Ltd.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KR20220023575A (ko) 2020-08-21 2022-03-02 플라텔 (주)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760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건조기
JP2007190249A (ja) * 2006-01-20 2007-08-02 Taiyo Bensen Kk 衣類クリーニング工場の蒸気循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8440A (zh) * 2018-05-08 2021-02-12 科唯怡株式会社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CN112368440B (zh) * 2018-05-08 2023-10-24 科唯怡株式会社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035B1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39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56532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26561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2206A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181751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KR20080078367A (ko) 건조기
KR10136627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US8973413B2 (en) Laundry refresher unit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1186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KR100716246B1 (ko) 드라이 클리닝 세탁기
KR100741798B1 (ko) 건조기 일체형 세탁기
KR1012953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6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19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98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60B1 (ko)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US20220333291A1 (en) Condensensing system for combination washer/dryer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