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575A -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575A
KR20220023575A KR1020200105485A KR20200105485A KR20220023575A KR 20220023575 A KR20220023575 A KR 20220023575A KR 1020200105485 A KR1020200105485 A KR 1020200105485A KR 20200105485 A KR20200105485 A KR 20200105485A KR 20220023575 A KR20220023575 A KR 2022002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am generator
steam
water stor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균
김근하
이동우
이영국
Original Assignee
플라텔 (주)
김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텔 (주), 김근하 filed Critical 플라텔 (주)
Priority to KR102020010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575A/ko
Publication of KR2022002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30Electrode boi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관리장치용 스팀발생장치를 개시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장치용 스팀발생장치는,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고, 의류 관리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Steam generator using surfac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장치라 함은 의류를 보관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 건조, 의류를 재생처리 하는 리프레쉬(refresh) 등 여러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의류 관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운전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스팀을 발생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스팀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스팀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 착용 및 건조 등에 의해 구김이 생긴 의류를 다림질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고, 고온의 증기로 인하여 삶은 것과 같은 살균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장치는 열풍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에 열풍을 공급하여 스팀 공급장치와 함께 리프레쉬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류 관리장치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10-1498035호에는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 어셈블리를 소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스팀발생장치는 의류 관리장치의 캐비넷 내부에 설치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이를 위한 스팀발생장치(10)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1)와,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저수조 일측에 구비되는 급수구(12), 발생되는 스팀을 의류 수용공간으로 배출하는 스팀배출관(13),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팅모듈(14) 및 저수조의 잔류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히팅모듈(14)은 씨즈 히터(sheath heater)로 구성되어, 히팅 파이프가 저수조(11)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14a,14b)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저수조 내부에 히팅 파이프가 배치되므로 저수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적어도 히팅 파이프가 잠기는 수량의 물이 저장되어야 하므로, 소형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실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저수조가 2000mL 내외의 용량을 갖고, 1260mL의 저수량을 갖도록 설계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저수조 내부의 물을 증기 발생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저수조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물을 가열시키므로, 그만큼 오랜 시간동안 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저수조 내부의 물을 모두 증발시킬 수 없으므로, 스팀 발생 후 저수조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별도로 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물의 공급과 증발이 별도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스팀 발생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스팀 발생 및 중단 즉, 스팀 발생량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팀발생장치는 의류관리장치 외에도 세탁기, 식기 세척기, 스마트 오븐, 스마트 밥솥 등 다양한 종류의 가전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98035호(2015.02.25.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여 저수조 용량을 최소로 하여 소형화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과 동시에 스팀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팀 발생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발생 후 잔여하는 물의 양을 최소로 하여, 잔여하는 물을 별도로 처리하기 않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의 발생과 그 중단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배면 영역에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3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여,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절연 소재의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되는 발열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발열 전극이 형성된 절연 필름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저수조 배면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여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물의 공급과 동시에 스팀 발생이 가능하므로, 저수 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SUS 소재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인서트 몰딩으로 히팅모듈과 사출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히팅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저류하는 제 1 하우징(110)과, 제 1 하우징(11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되면서 제 1 하우징(110)에서 발생되는 스팀 배출을 가이드 하는 제 2 하우징(120)과, 제 1 하우징(11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히팅모듈(130)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10)은 소정 용량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을 이루어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류조로 기능한다. 이를 위한 제 1 하우징(11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10)은 열전도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테인리스 소재(SUS:Steel use Stainless)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은 일 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어 가열된 물이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증발하도록 구성된다. 유입구(111)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저수탱크(미도시)의 물이 공급되기 위한 유수 공급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의 타 측 저면에는 드레인구(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드레인구(112)에는 인위적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은 원형 또는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100)가 장착되는 의류 관리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의 상부는 개구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하우징(120)이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하우징(110)은 작은 용량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00)에 있어서 제 1 하우징(110)은 스팀발생장치 전체 크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하우징(110)은 저수량을 최소로 하도록 구성되어 스팀발생장치(100)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제 1 하우징(110)의 외부 일 측에는 제 1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온도감지부재는 일 예로, 바이메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히팅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10)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10)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가이드 한다. 제 2 하우징(120)은 내열성이 우수한 절연 소재로 구성되며, 일 예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하단부가 개구되며 제 1 하우징(110)에 대응하는 원형 또는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제 1 하우징(110)에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와 제 2 하우징(120)의 플랜지(122)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적용될 수 있는 체결 구조(1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의 플랜지(113,122) 사이에는 패킹 부재(114)가 개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단부의 중앙 영역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하우징(120)은 갓 또는 고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100)의 상부 캡으로도 기능한다.
히팅모듈(130)은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결합되어 순간적인 고열을 가하여 제 1 하우징(11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구성이다. 히팅모듈(130)은 면상 발열체로 구성되고, 면상 발열체는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접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직접 형성되는 면상 발열체의 예로는 루테녹스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접착되는 면상 발열체의 예로는 히터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로 이루어진 히딩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소재의 베이스 기재(131)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히팅모듈(130)은 베이스 기재(131)와,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연결되는 한 쌍의 패드 전극(132), 패드 전극(132)에 연결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 기재(131)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리드 전극(133)과, 양 단부가 각 리드 전극(133)에 연결되어 리드 전극(133)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발열 전극(134)을 포함한다. 이러한 면상 발열체는 발연 전극(134)을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열 전극(134)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을 이루며, 각 발열 전극(134)은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한 전원이 공급될 때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온도로 발열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특정 발열 전극에서 과도하게 발열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 전극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 발열체로 구성되는 히팅모듈(130)은 고온의 열을 제 1 하우징(110) 배면의 전체 영역에 동시에 전달하여 내부에 저류되는 물을 넓은 면적으로 가열하므로, 가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저류조로 기능하는 제 1 하우징(110)이 저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180mL의 저수량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 내부에 소량을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물의 공급과 스팀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제 1 하우징(110) 내부에 물을 얕은 깊이로 저장하면서 넓은 면적의 배면 전체 영역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스팀발생장치(100)에서 제 1 하우징(110)은 약 180mL의 적은 저수용량을 가지면서도, 물의 공급과 동시에 스팀을 발생시키므로 많은 양의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에서 물은 외부의 저수탱크로부터 계속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제 1 하우징(110)의 저수용량에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이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제 2 하우징(120)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결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면서 바닥면의 일 측 저면에는 드레인구(112)가 형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에는 제 2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플랜지(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어 저수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제 2 하우징(120)에 의하여 저수 공간(S)이 확보된다. 즉, 제 2 하우징(120)은 측벽이 하측으로 더 연장되고, 그 가장자리에 플랜지(122)를 형성하여 제 1 하우징(110)의 플랜지(113)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 사이의 제 2 하우징 내부에 물이 저류되는 저수 공간(S)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180mL 정도의 적은 저수 용량을 가지므로 제 1 하우징(110)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더라도 제 2 하우징(120)의 형상에 의하여 충분한 저수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4)는 제 2 하우징(120)에 형성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SUS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1 하우징(110)의 소비량을 최소로 할 수 있어, 제조비 절감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판 상의 플레이트를 제 1 하우징(110)으로 구성하고, 플라스틱 사출물인 제 2 하우징(120)이 저수 공간(S)을 확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 스팀발생장치(100)에서 제 1 하우징(110)이 차지하는 영역을 최소로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3 하우징(140)을 더 포함한다. 제 3 하우징(140)은 소정 용량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을 이루어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류조로 기능한다. 이를 위한 제 3 하우징(14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S)을 형성한다.
제 3 하우징(140)은 일 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41)가 형성되고, 타 측 저면에는 드레인구(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가열된 물이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증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3 하우징(140)은 원형 또는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하우징(120)이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하우징(140)은 내열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절연 소재로 구성되며, 일 예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하우징(140)은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우징(110)과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3 하우징(140)은 제 1 하우징(110)을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몰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히팅모듈(130)을 갖는 제 1 하우징(110)이 플라스틱 소재의 제 3 하우징(140)에 인서트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히팅모듈(130)을 보호할 수 있다. 히팅모듈(130)은 제 1 하우징(110)의 표면에 절연성 베이스 부재(131)를 매개로 전극이 직접 형성되거나, 전극이 형성된 절연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조립 등의 과정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히팅모듈(130)이 제 3 하우징(140)에 인서트 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간섭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이 제 3 하우징(140)에 인서트됨으로써, 제 1 하우징(110)에 접촉되는 히팅모듈(1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히팅모듈(130)이 히터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접착되어 열을 전달한다. 이때, 히터필름은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어야 열이 손실 없이 전달되지만, 이들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면 열 전달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 1 하우징(110)이 제 3 하우징(140)에 인서트될 때, 제 2 하우징(120)은 히팅모듈(130)을 제 1 하우징(110) 배면에 밀착하여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이 제 3 하우징(140)에 인서트됨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하우징은 단열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히팅모듈(1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최소로 하면서 제 1 하우징(110)을 통하여 내부로 전달하므로,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2 하우징(120)과 제 3 하우징(140)은 별도의 부품으로 서로 조립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형을 이루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순간적인 가열로 물의 공급과 동시에 스팀 발생이 가능하므로, 저수 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SUS 소재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는 인서트 몰딩으로 히팅모듈과 사출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히팅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스팀발생장치는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세탁기, 식기 세척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1100 : 스팀발생장치
110 : 제 1 하우징
111,141 : 유입구 112,142 : 드레인구
113,122,143 : 플랜지
120 : 제 2 하우징 121 : 배출구
130 : 히팅모듈
131 : 베이스 부재 132 : 패드 전극
133 : 라인 전극 134 : 발열 전극
140 : 제 3 하우징

Claims (7)

  1.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는, 스팀발생장치.
  2.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는, 스팀발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
  4.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우징;
    일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면 영역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배면 영역에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3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고,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증발시키는, 스팀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절연 소재의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되는 발열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직접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발열 전극이 형성된 절연 필름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KR1020200105485A 2020-08-21 2020-08-21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KR20220023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85A KR20220023575A (ko) 2020-08-21 2020-08-21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85A KR20220023575A (ko) 2020-08-21 2020-08-21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575A true KR20220023575A (ko) 2022-03-02

Family

ID=8081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485A KR20220023575A (ko) 2020-08-21 2020-08-21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35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277A1 (ko) * 2021-11-04 2023-05-11 플라텔 주식회사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WO2024014603A1 (ko)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디에스더블유 식기 세척기 및 의류 관리기용 가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35B1 (ko) 2008-05-14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35B1 (ko) 2008-05-14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277A1 (ko) * 2021-11-04 2023-05-11 플라텔 주식회사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WO2024014603A1 (ko)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디에스더블유 식기 세척기 및 의류 관리기용 가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728B1 (en) Water level sensor for steam generator
US20230277031A1 (en)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8424346B2 (en) Structure of water level sensor for steam generator in drum washing machine
KR20220023575A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US9689109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90139550A1 (en) Steam generator
US9683323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70199353A1 (en) Steam genera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US9074311B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1970743A (zh) 用于处理衣服的设备
EP2467526B1 (en) Steam generator for use in a laundry appliance, and laundry appliance
EP3372141B1 (en)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KR101537641B1 (ko)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US20080006224A1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7930909B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23080277A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
KR20018231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습구조
KR102367321B1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102367315B1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102635740B1 (ko) 의류 관리기용 발열 장치
KR102635739B1 (ko) 세탁 행정시간 단축 프로세스를 구비하는 세탁기
WO2022179381A1 (zh) 一种高温蒸汽加热模块及应用其的洗衣机或干衣机
KR20240009666A (ko) 식기 세척기 및 의류 관리기용 가열 장치
KR20230160543A (ko) 의류 관리기용 가열 장치
KR20110007916U (ko) 전기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