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81B1 -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 Google Patents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81B1
KR101497681B1 KR20130111637A KR20130111637A KR101497681B1 KR 101497681 B1 KR101497681 B1 KR 101497681B1 KR 20130111637 A KR20130111637 A KR 20130111637A KR 20130111637 A KR20130111637 A KR 20130111637A KR 101497681 B1 KR101497681 B1 KR 10149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late
touch panel
print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훈
Original Assignee
남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훈 filed Critical 남경훈
Priority to KR2013011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숫자를 터치패널에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광원의 개수를 줄여 제작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력 및 작업 생산성을 높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가 인쇄되되, 180도 뒤집힌 상태에서도 숫자 배열이 원 상태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1개의 인쇄 영역에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인쇄된 터치패널;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터치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 터치패널의 센싱을 감지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창이 형성된 감지패널;상기 감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상기 각각의 광원을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광원의 둘레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폐쇄시키되, 한 쌍의 숫자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각 광원의 빛이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게 하는 광원 변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 변경판은, 몸체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며, 몸체의 양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바;상기 이동바의 양측으로부터 몸체의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되 각 광원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텐션을 갖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되 저면에는 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A outbody of digital door lock device for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광원의 소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문은 여닫이 방식에 의해 그 개폐관계가 단속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 및 각 건물 내에 구획된 공간의 실내외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으로 사용된다.
유리문은 출입문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는 미려한 특징과 더불어, 유리문 개폐시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리문 개폐시 상대방에 부딪히는 일 없이 원활한 개폐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유리문의 개폐작용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 즉, 잠금장치는 여러 종류가 제공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잠금장치로서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로서,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통한 전자적인 반응에 의해 유리문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유리문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록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 록은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유리문(1)은 편의에 따라 좌수(左手)로 잡고 여는 좌수형과 우수(右手)로 잡고 여는 우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바, 이러한 좌수형과 우수형 유리문(1)은 데드볼트(2)가 돌출되는 방향이 좌측과 우측으로 상이하므로 형태에 따라 도 1과 같이 우수형인 상태에서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뒤집어 좌수형으로 전환시키면 실내에 설치된 인바디에 대한 사용에는 아무 지장이 없으나, 실외에 설치된 아웃바디(3) 즉, 키입력부(3)가 함께 뒤집히게 되므로 키입력부(3)의 숫자 자리 위치 및 숫자 자체가 뒤집히게 되어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사실상,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키입력부(3)가 뒤집히더라도, 숫자의 위치 및 숫자 자체가 뒤집히게 보이지 않도록 한 키입력부(3)가 개발된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키입력부의 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키입력부(3)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를 구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가 인쇄된 터치패널(31)과, 터치패널(31)의 터치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 회로기판(32)과, 상기 터치패널(31)에 인쇄된 숫자 및 기호에 대응된 공간을 갖도록 구획된 구획판(33)과, 상기 구획판(33)에 배치되어 터치패널(31)의 숫자 및 기호에 빛을 조사하는 LED(34a)가 설치된 PCB(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터치패널(31)에 인쇄된 숫자 및 기호는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키입력부(3)가 뒤집히더라도 바르게 정렬된 숫자 및 기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두 세트로 제공된다.
즉, 좌수형, 우수형 도어에 따라 키입력부(3)의 설치 방향이 제한되지 않도록 터치패널(31)에는 키입력부(3)의 설치 방향에 맞는 각각의 숫자 및 기호 배열이 두 세트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31)에 인쇄된 숫자 및 기호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34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숫자 및 기호마다 제공되며 구획판(33) 역시 각 숫자 및 기호마다 LED(34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칸막이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키입력부(3)의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터치패널(31)에 인쇄된 숫자 및 기호의 바른 정렬이 나타날 수 있도록 그 숫자 및 기호에 대응된 각각의 LED(34a)가 발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인쇄된 한 쌍의 숫자 영역마다 각 숫자에 대응되도록 2개의 LED(34a)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자재 비용이 증가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소비자의 구매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구획판(33)의 구성 역시, 한 쌍의 숫자 영역마다 칸막이를 통해 2 개의 공간을 구획해야하므로 제작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디지털 도어록의 키입력부(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좌수형, 우수형 외에도 유리도어(1)의 상단부에 설치될 경우도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드볼트(2)의 출입 방향이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출입되도록 디지털 도어록의 키입력부(3)를 유리도어(1)의 상단부에 가로방향(90도회전)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키입력부(3)는 내부에 설치된 위치센서(미도시)에 의해 설치방향이 감지되는데, 상기와 같이 유리도어(1)의 상단부에 키입력부(3)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될 경우 위치센서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터치패널에 인쇄된 2세트의 숫자 배열에 대응되는 LED(34a) 발광에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10702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16769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개의 광원을 이용해 한 쌍의 숫자를 번갈아가며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광원의 소요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구획판을 간소화하여 디지털 도어록 제작에 대한 작업생산성을 높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도어록의 키입력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가 인쇄되되, 180도 뒤집힌 상태에서도 숫자 배열이 원 상태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1개의 인쇄 영역에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인쇄된 터치패널;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터치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 터치패널의 센싱을 감지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창이 형성된 감지패널;상기 감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상기 각각의 광원을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광원의 둘레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폐쇄시키되, 한 쌍의 숫자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각 광원의 빛이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게 하는 광원 변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 변경판은, 몸체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며, 몸체의 양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바;상기 이동바의 양측으로부터 몸체의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되 각 광원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텐션을 갖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되 저면에는 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원 변경판과 감지패널 사이에는 광원 변경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판의 양단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광원 변경판의 고정홈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정돌기;상기 가이드판에 복수로 형성되며, 광원 변경판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획부의 격벽을 수용하는 가이드공;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되되 광원 변경판의 걸림돌기가 걸려 광원변경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부의 격벽은 플레이트의 양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된 걸림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판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로써,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가 인쇄되되, 180도 뒤집힌 상태에서도 숫자 배열이 원 상태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1개의 인쇄 영역에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인쇄된 터치패널;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터치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 터치패널의 센싱을 감지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창이 형성된 감지패널;상기 감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상기 각각의 광원을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광원의 둘레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폐쇄시키되, 한 쌍의 숫자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각 광원의 빛이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게 하는 광원 변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몸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볼트가 나사 결합되되, 이동볼트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 변경판은, 각 광원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이동볼트에 나사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볼트의 구속홈에는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이동볼트의 회전시 몸체로부터 이동볼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한 쌍의 숫자 사이 중간에 대응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 개의 광원만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를 번갈아가며 비추도록 함으로써, 한 개의 광원으로 두 개의 숫자를 비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장치 제작에 필요한 광원에 대한 소요가 절감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제품비용이 낮아져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광원의 개수가 1개만 제공됨으로써,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구획부의 각 공간을 각각의 문자마다 대응되게 칸막이로 나눌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공수를 줄이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키입력부가 유리 도어의 상단부에 가로방향(90도 회전)으로 설치되는 경우라도, 이동바를 이용해 광원 변경판을 수동으로 이동하여 터치패널의 숫자배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터치패널의 숫자 표시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키입력부의 설치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우수형 유리문에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좌수형 유리문에 우수형 유리문에 설치되어 있던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광원 변경판이 몸체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가 유리도어 손잡이 방향에 따라 설치되되 광원 변경판이 이동되면서 숫자 및 기호를 바르게 정렬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광원 변경판이 몸체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이하, '키입력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키입력부는 터치패널에 인쇄된 기호 및 숫자(이하, '숫자'라 총칭함)의 표시를 위해 발광하는 광원의 개수를 줄여 제조비용 및 작업공수를 줄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제품비용을 낮춰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키입력부는 몸체(100)와, 터치패널(200)과, 감지패널(300)과, 가이드판(350)과, 광원(400)과, 광원 변경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키입력부의 외관을 구성하며, 각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몸체(100)의 전면에는 터치패널(200)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광원 변경판(500)의 이동바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터치패널(200)은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가 인쇄된 패널로서, 몸체(100)의 결합홈에 결합이 된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패널(2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가 배열되어 인쇄되는데, 통상의 숫자 배열은 통신수단의 버튼 배열과 동일하게 배열된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숫자 배열은 2세트로 이루어진다.
이는, 유리도어의 손잡이 방향에 따라 키입력부가 뒤집혀 설치될 경우를 감안한 것으로서, 숫자 1개의 영역에는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쇄되는 것이다.
예컨대 1과#, 2와0, 3과*, 4와9, 5와8, 6과7, 7과6, 8과5, 9와4, 0과2, *과3, #과1로 인쇄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숫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인쇄된다.
이에 따라, 키입력부가 뒤집히더라도 숫자 배열은 동일하게 표시된다.
다음으로, 감지패널(300)은 터치패널(200)의 터치 숫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100)의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패널(300)은 터치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터치패널(300)의 숫자를 터치하면 감지패널(300)이 이를 인식하여 후술하는 PCB로 터치된 숫자들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감지패널(3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창(310)이 형성된다.
상기 창(310)은 후술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통과되도록 하여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숫자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이때, 창(310)의 크기는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며,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이드판(350)은 후술하는 광원변경판(5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감지패널(300)의 후방에 설치된다.
가이드판(350)에는 후술하는 광원변경판(500)의 구획부에 대응되는 가이드공(3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351)은 광원변경판(5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광원변경판(500)의 구획부가 수용되는 통공으로서, 구획부가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판(350)의 양단부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352)가 형성된다.
고정돌기(352)는 광원변경판(500)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하여 제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걸림홈(353)은 고정돌기(352)와 더불어 광원변경판(5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된 광원변경판(500)의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홈(353)은 광원변경판(500)의 이동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50)의 중간 및 일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광원(400)은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숫자에 빛을 조사하여 터치패널(200)로부터 인쇄된 숫자들이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400)은 PCB(인쇄회로기판)(410)에 설치되며,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즉,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숫자는 모두 24개이지만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광원(400)이 1개씩 제공되므로 상기 광원(400)은 모두 12개만 소요된다.
즉, 각 숫자마다 광원(400)이 대응되어 총 24개의 광원(400)이 소요되었던 종래 기술에 비해 광원(400)의 소요가 반으로 줄어들게 된 것이다.
상기 광원(400)은 LED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광원(400)의 위치는 두 개의 숫자 한 쌍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한 쌍의 숫자 사이의 중간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광원(400)은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숫자 중간에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광원 변경판(500)에 의해 한 쌍의 숫자 모두가 외부로 원활하게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광원 변경판(500)은 광원(40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어지도록 하여 터치패널(200)로부터 표시되는 숫자 배열은 2세트의 숫자 중 1세트만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 변경판(500)은 광원(400)과 가이드판(3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양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광원 변경판(500)은 이동바(510)와, 지지대(520)와, 플레이트(530)와, 걸림편(550)을 포함한다.
이동바(510)는 광원 변경판(500)을 몸체(100)에 결합시키고 몸체(100) 상에서 이동되는 역할을 하며, 이동바(510)의 양단부는 몸체(100)의 끼움홈(110)에 결합된다.
이동바(510)는 몸체(100)의 공간을 가로질러 끼움홈(110)에 결합되되, 끼움홈(11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홈(110)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지지대(520)는 이동바(510)에 플레이트(530)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이며, 이동바(510)의 양단부로부터 몸체(100)의 공간을 향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530)는 광원(400)의 빛이 광원(400) 둘레 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복수의 광원(40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530)는 각각의 광원(400)에 대응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획부(531)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구획부(531)는 격벽(53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532)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531)의 조사 공간 크기는 1개의 숫자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532)은 플레이트(530)의 양방향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530) 일측의 격벽(532)은 가이드판(350)의 가이드공(351)에 배치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원 변경판(500)이 몸체(100)의 양측으로 번갈아 이동할 때, 구획부(531)의 격벽(532)은 가이드공(351)을 따라 이동되면서 광원(400)의 빛을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로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플레이트(530)의 양단부에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고정홈(5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33)은 광원변경판(500) 이동시, 광원변경판(500)의 제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하며, 가이드판(350)에 형성된 고정돌기(352)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533)의 내경은 고정돌기(352)의 외경에 대응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편(550)은 이동된 광원 변경판(500)의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플레이트(530)에 형성된다.
걸림편(550)은 가이드판(350)의 걸림홈(35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51)를 형성하며, 플레이트(530)의 중간에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551)는 걸림편(55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편(550)이 플레이트(530) 상에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걸림편(550)의 상,하 방향 텐션에 의해 광원변경판(5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편(550)은 플레이트(530)의 중간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편(550)의 저면에도 걸림돌기(551)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걸림편(550)이 플레이트(53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이유는 이동된 광원변경판(500)의 유동 억제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7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최초 상태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터치패널(200)의 하방에는 키실린더 또는 센서키를 감지하는 센싱부(S)가 설치된다.
이때, 광원 변경판(500)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서, 이동바(510)의 일단부가 몸체(100)의 우측을 향해 튀어나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광원 변경판(500)이 몸체(100)의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구획부(53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숫자 중 우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숫자와 광원(400)만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터치패널(200)의 숫자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감지패널(300)은 이를 인지하여 PCB(410)로 송신하고 PCB(410)에 설치된 광원(400) 중 터치된 부위의 광원(400)만 발광하게 된다.
이때, 광원(400)은 구획부(531)의 격벽(532)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구획부(531)에 대응된 숫자만 터치패널(200)의 외부로 표시된다.
한편, 유리도어의 손잡이 위치에 따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가 뒤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200)에 인쇄된 최초 상태의 숫자 배열 역시 뒤집힐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숫자 중 다른 하나의 숫자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변경판(500)의 이동바(510)를 밀어 플레이트(530)를 이동바(510)가 튀어나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플레이트(5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533)에는 가이드판(350)의 고정돌기(352)가 삽입되어 밀착된다.
또한, 가이드판(350)의 걸림홈(353)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던 광원변경판(500)의 걸림돌기(551)는 걸림편(550)이 텐션작용을 하면서 이동되고, 상기 걸림돌기(551)는 이웃하는 걸림홈(353)으로 삽입이 된다.
이때, 플레이트(5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걸림편(550)에 형성된 걸림돌기(551) 역시 이웃하는 걸림홈(353)에 삽입이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판(350)에 형성된 걸림홈(353)에 걸림돌기(551)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판 상(350)에서 이동된 광원변경판(500)의 유동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바(51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튀어나오게 되며, 구획부(531)는 가이드판(350)의 가이드공(251)을 따라 이동하여 한 쌍의 숫자 중 다른 하나의 숫자와 광원(400)만 감싸게 된다.
이후, 키입력부를 180도 회전시키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고, 터치패널(200)의 숫자 배열은 최초 상태와 동일하게 배열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변경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이동바를 밀어내는 작업을 통해 수행하였다.
하지만, 광원변경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볼트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참부된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몸체(100)의 일측에는 이동볼트(600)가 나사 결합된다.
이동볼트(600)는 몸체(100)의 일측을 통과해 몸체(100)의 내측을 향해 나사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이동볼트(600)의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구속홈(610)이 형성된다.
구속홈(610)은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700)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구속홈(610)의 위치는 몸체(100)의 내측이 된다.
한편, 광원변경판(500)은 플레이트(530)와,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530)는 각 광원(400)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532)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531)를 형성하며, 가이드판(350)과 광원(40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540)는 플레이트(5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된 이동볼트(600)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540)가 이동볼트(60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이동볼트(600)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530)는 몸체(100)의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동볼트(600)의 구속홈(610)에는 이탈방지부재(700)가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700)는 이동볼트(600)의 회전시 몸체(100)로부터 이동볼트(600)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된 이동볼트(6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볼트(600) 스스로도 이동되어 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바, 상기 이탈방지부재(700)는 이동볼트(600)가 회전되면서 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재(700)는 구속홈(610)에 결합되어 이동볼트(600)의 회전시 몸체(100)의 일측에 간섭됨으로써 몸체(100)로부터 이동볼트(600)가 분리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부재(700)는 이-링(E-ring)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이동볼트에 의한 광원변경판의 이동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볼트(600)를 회전시키면 이동볼트(600)에 나사 결합된 연결부(540)는 밀려나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530)에 형성된 걸림편(550)의 걸림돌기(551)는 걸림홈(353)에 삽입되어 있다가 이웃하는 걸림홈(353)으로 옮겨져 삽입되고, 플레이트(5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533)에는 고정돌기(352)가 삽입되어 밀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530)의 구획부(531)는 가이드판(350)의 가이드공(251)을 따라 이동되어 다른 하나의 숫자와 광원만 감싸게 된다.
한편, 도어의 손잡이 위치에 따라, 터치패널(200)의 위치를 다시 복원할 경우 이동볼트(6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이동볼트(60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540)는 이동볼트(60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원위치 된다.
이때, 이동볼트(600)는 이탈방지부재(700)가 몸체(100)에 결려 간섭하므로,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지는 않게 된다.
이로써, 이동볼트(600)를 이용한 광원변경판(500)의 위치 변경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는 키입력부를 회전하더라도 터치패널에 인쇄된 숫자 배열이 원상태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되,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광원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각각의 광원이 두 개의 숫자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번갈아가며 비출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자재 비용 절감을 통해 제품 비용을 낮춰 구매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 공수를 줄여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끼움홈
200 : 터치패널 300 : 감지패널
350 : 가이드판 351 : 가이드공
352 : 고정돌기 353 : 걸림홈
400 : 광원 410 : PCB
500 : 광원 변경판 510 : 이동바
520 : 지지대 530 : 플레이트
531 : 구획부 532 : 격벽
533 : 고정홈 540 : 연결부
550 : 걸림편 551 : 걸림돌기
600 : 이동볼트 610 : 구속홈
700 : 이탈방지부재 S : 센싱부

Claims (5)

  1.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가 인쇄되되, 180도 뒤집힌 상태에서도 숫자 배열이 원 상태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1개의 인쇄 영역에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인쇄된 터치패널;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터치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 터치패널의 센싱을 감지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창이 형성된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
    상기 각각의 광원을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광원의 둘레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폐쇄시키되, 한 쌍의 숫자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각 광원의 빛이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게 하는 광원 변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 변경판은, 몸체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며, 몸체의 양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바;상기 이동바의 양측으로부터 몸체의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되 각 광원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텐션을 갖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되 저면에는 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변경판과 감지패널 사이에는 광원 변경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판의 양단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광원 변경판의 고정홈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정돌기;
    상기 가이드판에 복수로 형성되며, 광원 변경판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획부의 격벽을 수용하는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되되 광원 변경판의 걸림돌기가 걸려 광원변경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격벽은 플레이트의 양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된 걸림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판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4.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가 인쇄되되, 180도 뒤집힌 상태에서도 숫자 배열이 원 상태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1개의 인쇄 영역에 한 쌍의 서로 다른 숫자가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인쇄된 터치패널;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터치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 터치패널의 센싱을 감지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한 쌍의 숫자에 대응되는 창이 형성된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되, 터치패널에 인쇄된 두 개의 숫자 한 쌍마다 한 개씩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
    상기 각각의 광원을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광원의 둘레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폐쇄시키되, 한 쌍의 숫자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각 광원의 빛이 한 쌍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만 일괄적으로 비추게 하는 광원 변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몸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볼트가 나사 결합되되, 이동볼트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 변경판은, 각 광원이 배치되는 조사(照射)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이동볼트에 나사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볼트의 구속홈에는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이동볼트의 회전시 몸체로부터 이동볼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한 쌍의 숫자 사이 중간에 대응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KR20130111637A 2013-09-17 2013-09-17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KR10149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37A KR101497681B1 (ko) 2013-09-17 2013-09-17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37A KR101497681B1 (ko) 2013-09-17 2013-09-17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681B1 true KR101497681B1 (ko) 2015-03-03

Family

ID=5302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637A KR101497681B1 (ko) 2013-09-17 2013-09-17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98B1 (ko) * 2015-10-15 2016-02-16 밀레시스텍(주)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690570B1 (ko) * 2016-06-21 2016-12-28 (주)유니코 하이테크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가 역전 변위되는 좌우수 변위형 디지털 도어록
KR101722941B1 (ko) *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KR20180000075U (ko) * 2016-06-28 2018-01-05 (주)유니코 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CN109403723A (zh) * 2018-12-13 2019-03-01 佛山市高远智能科技有限公司 屏下指纹锁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630A (ja) * 1999-12-09 2001-06-19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KR200397763Y1 (ko) * 2005-06-02 2005-10-07 주식회사 블랙라인 광원을 이용한 기능성 형광 만년달력
KR20100001206U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아이레보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시스템
KR101109112B1 (ko) * 2011-10-17 2012-02-24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좌수형 및 우수형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630A (ja) * 1999-12-09 2001-06-19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KR200397763Y1 (ko) * 2005-06-02 2005-10-07 주식회사 블랙라인 광원을 이용한 기능성 형광 만년달력
KR20100001206U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아이레보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시스템
KR101109112B1 (ko) * 2011-10-17 2012-02-24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좌수형 및 우수형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98B1 (ko) * 2015-10-15 2016-02-16 밀레시스텍(주)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690570B1 (ko) * 2016-06-21 2016-12-28 (주)유니코 하이테크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가 역전 변위되는 좌우수 변위형 디지털 도어록
KR20180000075U (ko) * 2016-06-28 2018-01-05 (주)유니코 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200485601Y1 (ko) 2016-06-28 2018-01-31 (주)유니코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722941B1 (ko) *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CN109403723A (zh) * 2018-12-13 2019-03-01 佛山市高远智能科技有限公司 屏下指纹锁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681B1 (ko)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CN110462317B (zh) 冰箱
US20180363972A1 (en)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9424700B2 (en) Electronic lock having usage and wear leveling of a touch surface through randomized code entry
CN104576145A (zh) 发光键盘装置
KR20230156894A (ko) 냉장고
KR101594498B1 (ko)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US11098945B2 (en)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S2440119A2 (es) Teclado de un dispositivo electrónico y procedimiento de actuación del teclado
US9367096B2 (en) Slide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80151315A1 (en) Luminous keyboard
KR101160629B1 (ko) 사물함에 설치되는 손잡이 일체형 전자식 록킹장치
JP5740282B2 (ja) 表示装置
KR101722941B1 (ko)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WO2015159473A1 (ja) 冷蔵庫
KR200485601Y1 (ko)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JP6875844B2 (ja) 認証機能付き什器
JP6688579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及び収納装置
JP2015045912A (ja) ドアスイッチ、およびこのドアスイッチを備えた自動販売機
JP6691205B2 (ja) 収納装置
CN219794967U (zh) 门锁
KR101984435B1 (ko) 좌우수 도어겸용 디지털도어록
KR200333719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KR102278273B1 (ko) 도어상태 표시부가 포함된 디지털 도어록
KR20160079740A (ko) 전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