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98B1 -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98B1
KR101594498B1 KR1020150144011A KR20150144011A KR101594498B1 KR 101594498 B1 KR101594498 B1 KR 101594498B1 KR 1020150144011 A KR1020150144011 A KR 1020150144011A KR 20150144011 A KR20150144011 A KR 20150144011A KR 101594498 B1 KR101594498 B1 KR 10159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panel
button
knob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밀레시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레시스텍(주) filed Critical 밀레시스텍(주)
Priority to KR102015014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98B1/ko
Priority to CN201521145211.0U priority patent/CN20547686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형 도어 및 좌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광원이 배열된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숫자가 인쇄되어 있되 홀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1 번호부와, 상기 제1 번호부의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짝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2 번호부를 구비한 키 패널을 도입하고, 상기 키 패널이 전면 케이스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우수형 도어 및 좌수형 도어를 위한 키 패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좌우수 도어에 공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FOR GLASS DOOR}
본 발명은 우수형 도어 및 좌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광원이 배열된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숫자가 인쇄되어 있되 홀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1 번호부와, 상기 제1 번호부의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짝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2 번호부를 구비한 키 패널을 도입하고, 상기 키 패널이 전면 케이스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우수형 도어 및 좌수형 도어를 위한 키 패널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좌우수 도어에 공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강화유리 도어(Glass door)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강화유리 도어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일반적으로 강화유리 도어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측 본체와, 강화유리 도어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본체와, 실외측 도어와 실내측 도어를 강화유리 도어에 고정, 설치시키는 고정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에서 실외측 본체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부와, 안전키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가 마련되고, 실내측 본체에는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데드볼트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버튼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레버(썸턴 노브)가 마련된다.
그리고 고정 브래킷은 상기 실외측 본체와, 실내측 본체 사이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부재로써, 제1, 제2 설치부 사이에 강화유리 도어가 끼워져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강화유리 도어는 편의에 따라 좌수로 잡고 여는 좌수형과, 우수로 잡고 여는 우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우수형 및 좌수형 도어는 데드볼트가 돌출되는 방향이 좌측과 우측으로 상이하고, 따라서 실내측 본체의 경우 도어의 형태에 따라 뒤집어 설치해도 무방하나, 실외측 본체를 뒤집어 설치하게 되면 버튼들의 숫자와 기호가 함께 뒤집어지므로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은 설치되는 도어의 개방 방식에 따라 좌수형 도어록과, 우수형 도어록, 두 가지 방식으로 별도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어는 개방 방식에 따라 경첩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개방되는 좌수형 도어와, 경첩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개방되는 우수형 도어로 구분되고, 따라서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역시 개방 방식에 맞게 두 가지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0649453호 "좌우수 공용 가능한 강화유리 도어용 도어록 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의 개방 형식에 대응하여 실내측 본체를 회전시킬 경우, 고정 브래킷의 상하 위치가 바뀌게 되며, 이때에는 실외측 본체에서 지지 브래킷을 먼저 분리한 후, 우수형 도어용 걸림부재 또는 좌수형 도어용 걸림부재에 상기 지지 브래킷의 상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한 후, 고정 브래킷 사이에 볼트를 끼우고 돌려 실외측 본체를 조립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좌수형과 우수형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본체를 분리하고 재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뿐만 아니라 지지 브래킷과 우수형 도어용 걸림부재 또는 좌수형 도어용 걸림부재의 쉽지 않은 조립 과정 및 협소한 공간에서의 나사 조립 작업이 필요하며, 선택적인 커넥터의 정확한 결합이 요구되는 등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 브래킷 및 우수형 도어용 걸림부재 그리고 좌수형 도어용 걸림부재, 두 개의 커넥터가 함께 필요하므로, 하나의 제품에 불필요한 부품이 추가 구성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턱 도어록의 설치 시, 도어의 개방 방식에 상관없이 우수형 도어 및 좌수형 도어 모두에 공용으로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180°뒤집힌 상태로 다른 방향으로 인쇄된 제1 버튼부와 제2 버튼부가 마련된 키 패널을 도입하고, 상기 키 패널이 전면 케이스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 방식에 따라 실외측 본체를 뒤집어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키 패널이 자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면서 버튼부가 재정렬되어, 도어의 개방 방식에 맞는 버튼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외측 본체, 실내측 본체 및 고정 브래킷의 분리 및 재조립이 불필요함과 아울러, 디지털 도어록을 도어의 개방 방식에 맞게 뒤집어 설치할 때 상기 키 패널의 위치 변경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를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도록, 키 패널과 전면 케이스의 가이드부가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방향에 맞게 키 패널이 자중을 통해 자동으로 위치 변경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을 뒤집어 설치할 때 버튼부의 전환을 위해 설정을 변경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해당 버튼부의 사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키 패널과 제어패널에 각각 피감지부와 센싱부를 도입하고, 특히 키 패널의 위치 변경 시 버튼부의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피감지부로써 자성체를 사용하고 센싱부로써 상기 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성센서를 사용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은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복수개의 광원이 제1 영역을 따라 고정 배열되어 있는 제어패널;
상기 후면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빛 통과홀과, 상하측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한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버튼이 인쇄되어 있되, 홀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의 버튼 방향과 180° 뒤집힌 방향으로 짝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2 버튼부를 구비한 키 패널;
상기 키 패널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터치부가 마련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각각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키 패널의 상하측 위치 변경이 자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키 패널은 피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피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상기 제2 버튼부의 사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키 패널의 후방으로 돌출된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자성체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슬릿홈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키 패널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성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은 제어패널의 광원들이 배치된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버튼들이 인쇄되어 있되, 버튼의 상하 방향이 서로 180° 뒤집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제2 버튼부를 구비한 키 패널을 도입하고, 상기 키 패널이 전면 케이스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키 패널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복수개의 광원, 빛 통과홀, 터치부가 고정 배열된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우수형 도어 또는 좌수형 도어에 맞게 디지털 도어록을 뒤집어서 단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은 실외측 본체, 실내측 본체 및 고정 브래킷의 분리 및 재조립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록을 뒤집어서 설치할 때 키 패널의 위치 변경 및 제1, 제2 버튼부 인식을 위한 재설정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도어의 개방 방식에 맞게 매우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을 우수형 도어와 좌수형 도어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설치 방향에 따른 실외측 본체의 버튼부의 위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전면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실내측 본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내측 보체의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턴 노브 개폐장치를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턴 노브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별 결합 사시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1차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설명함에 있어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편의를 위하여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실외측 본체에 관한 설명에서 윈도우가 배치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5a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내측 본체에 관한 설명에서 썸턴 노브가 배치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설명에 따라 각 본체의 전후 방향과 실내측, 실외측 방향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각 본체의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형 도어(RD) 및 좌수형 도어(LD)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L)에 관한 것으로, 도 1a, 도 1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도어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실외측 본체(100)와, 도어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는 실내측 본체(200) 및 상기 실외측 본체(100)와 상기 실내측 본체(200)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에 끼움 결합되어 디지털 도어록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300)을 포함한다.
실외측 본체(100)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키 입력부(K)와, 전자키 등을 접촉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접촉부(미도시)가 마련되고, 특히 상기 키 입력부(K)는 터치패널을 이용한 터치식 입력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실내측 본체(200)는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201; 도 1b 참고.)와, 상기 데드볼트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전동모터(미도시)와, 상기 전동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 또는 썸턴 노브(220)를 이용한 수동 방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턴-노브 개폐장치(T)가 내장되며, 상기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자동 출몰시키는 개폐버튼(202)이 마련된다.
또 상기 고정 브래킷(300)은 제1, 제2 설치부(310, 320)와, 상기 제1, 제2 설치부(310, 3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로 이루어진 'ㄷ'자형 부재로써, 제1 설치부(310)에 실외측 본체(100)가 결합되고, 제2 설치부(320)에 실내측 본체(200)가 결합된 상태로, 제1, 제2 설치부(310, 320)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에 도어의 일측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300)은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실외측 본체(100)에 관한 구체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실내측 본체(200)에 관한 구체 구성을 후술하며, 고정 브래킷(30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측 본체(100)는 후면 케이스(110), 제어패널(120), 전면 케이스(130), 키 패널(140), 터치패널(150) 및 윈도우(160)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 케이스(110)는 상기 고정 브래킷(300)의 제1 설치부(310)에 결합되어 도어의 실외측 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면 케이스(110)는 후술하는 전면 케이스(130)와의 결합으로 내부에 제어패널(120)이 내장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된다.
상기 제어패널(120)은 상기 후면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실내측 본체(200)의 전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밀번호 입력 또는 전자키 접촉 시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데드볼트(201)를 실내측 본체(200)로 인입시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전자제어를 위한 각종 소자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비롯한 PCB 기판으로 구성되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전자 제어 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12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광원(121)이 발광 영역(S)을 따라 고정 배열되어, 발광을 통해 후술하는 제1 버튼부(141) 또는 제2 버튼부(142)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광원(121)은 대표적으로 LED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개의 광원(121)이 발광 영역(S)을 따라 고정 배열된다는 의미는, 후술하는 제1 버튼부(141)와 제1 버튼부(141)의 숫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버튼의 배열 형태에 대응하도록 광원(121)이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도어록에서 터치 버튼의 배열은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3*3 형태로 좌상측에서 우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8 밑에 0이 배열되며, 0의 양측에 *과, #의 기호가 배열되어 총 3*4 형태의 키 입력부가 마련되는데,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121)이 발광 영역(S)을 따라 배치된다는 것은 키 입력부(K)의 숫자와 기호 배열에 1:1 대응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K)의 숫자 및/또는 기호의 배열은 달라질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최상측 가로행의 상부나 최하측 가로행의 하부에 도어의 잠금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기호가 추가적으로 더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키 입력부(K) 배열 형태로, 도어의 상태 표시를 위한 기호를 포함하는 3*5 형태를 발광 영역(S)으로 지칭하여 대표하여 설명한다.
이렇게 발광 영역(S)에 배열된 광원(121)들은 각각 좌우 및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 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특히 각 가로행 사이의 간격은 각 숫자나 기호의 높이에 상응하는 너비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실외측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130)는 중앙에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슬라이드부(131)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부(131) 상에 상기 발광 영역(S)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빛 통과홀(132)이 천공되어 있으며, 각 세로열의 빛 통과홀(132) 사이 및/또는 제1열과 제3열 양 외측에는 상하측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133)를 구비한다.
이때 실외측 본체(100)의 콤팩트화를 위해, 상기 제1 가이드부(133)는 각 세로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후술하는 키 패널(140)이 위치 변경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세로열 사이의 상, 하부에 2 개씩,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제2 가이드부(143)는 제1 가이드부(13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133)는 후술하는 키 패널(140)의 위치 변경 즉, 상하측으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부재들간의 직선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방식이면 족하나, 제어패널(120)의 광원(121)들에서 발생하는 빛이, 빛 통과홀(132)이 아닌 다른 부위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 케이스(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33a)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키 패널(140)의 제2 가이드부(143)는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143a)이 상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돌기(133a)가 가이드홈(143a)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130)는 슬라이드부(131)에서, 동일열에 배치된 가이드돌기(133a)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단(135)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단(135)은 키 패널(140)의 후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부(131)와 키 패털(140)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켜, 키 패널(140)이 자중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하강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접촉단(135)은 전면 케이스(130)의 슬라이드부(131)와 키 패널(140) 사이의 마찰면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단(135)을 형성하게 되면, 빛 통과홀(132)을 통과하는 광원(121)의 빛이 키 패널(140)에 형성된 버튼부(141, 142)에 분산되면서 비춰지도록 하여, 각 버튼의 식별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키 패널(1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경우, 각 버튼들에 조사되는 광원(121)의 빛이 키 패털(140)을 투과하면서 분산되어 버튼의 식별이 용이하나, 키 패널(140)이 두꺼워짐에 따라 소재의 낭비 및 키 패널(1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보장하기 어렵고,
반대로, 키 패널(1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질 경우, 소재의 절약 및 키 패널(140)의 안정적인 승하강에 적합한 반면에, 광원(121)의 빛이 각 버튼의 중앙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버튼이 선명하게 발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접촉단(135)을 통해 키 패널(140)과 슬라이드부(131) 사이가 접촉단(135)의 높이만큼 유격됨에 따라, 광원(121)의 빛이 분산되면서 키 패널(140)의 버튼들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필요 공간을 제공하여, 버튼이 보다 선명하게 발광되어 식별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키 패널(14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케이스(130)는 상기 슬라이드부(131)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수용홈(136)이 상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키 패널(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웨이트부재(미도시)가 상기 수용홈(136)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36)은 상기 가이드돌기(133a)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돌출단(135)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실질적으로 본 발명은 실내측 본체(200)를 뒤집어 사용하므로, 가이드돌기(133a)의 상, 하부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함.)하다.
웨이트부재는 무거운 중량을 통해 키 패널(140)의 중량을 증대시켜 키 패널(140)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것으로, 키 패널(140) 자체의 중량만으로도 상하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키 패널(140)에 사용되는 필수 구성이 아니며,
다만, 슬라이드부(131)에 수용홈(136)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웨이트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 케이스(130)의 슬라이드부(131)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즉,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키 패널(140)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숫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버튼이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복수개의 버튼들은 상기 발광 영역(S)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홀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1 버튼부(141)와, 상기 제1 버튼부(141)의 버튼 방향과 180° 뒤집힌 방향으로 짝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2 버튼부(142)를 구비하여 키 입력부(K)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3*5 형태로 발광 영역(S)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홀수행에는 1~0까지의 숫자와, *, #, 잠금 상태 표시 버튼 등을 포함한 각종 기호가 직립된 형태로 좌상측에서 우하측 방향으로 인쇄되어 제1 버튼부(141)를 형성하고,
짝수행에는 상기 제1 버튼부(141)의 방향과 반대로, 숫자와 기호가 180°뒤집혀 역립된 형태로 우하측에서 좌상측 방향으로 인쇄되어 제2 버튼부(142)를 형성한다.
이러한 키 패널(140)은 상기 제1 가이드부(133)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부(143)가 마련되어 제1, 제2 가이드부(133)(143)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키 패널(140)이 전면 케이스(130)의 슬라이드부(131)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측으로 위치가 변경되며, 이 경우, 제1, 제2 가이드부(133)(143)를 각각 가이드돌기(133a)와 가이드홈(143a)으로 구성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성의 키 패널(140)을 도입하게 되면, 실외측 본체(100)를 뒤집는 방향에 따라 키 패널(140)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위치가 변경되고, 따라서 위치가 고정된 광원(121)들과 빛 통과홀(132)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하측으로 이동한 키 패널(140)에서 빛 통과홀(13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버튼부(141) 또는 제2 버튼부(142)만을 발광하여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키 패널(14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130)에 결합되는 터치패널(150)은 상기 발광 영역(S)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터치부(151)가 마련되는 것으로, 제어패널(120)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즉, 터치패널(150)의 터치부(151)들은 상기 광원(121)들과, 빛 통과홀(132)들의 위치와 1:1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121)에서 발생하는 빛은 빛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해당 위치로 변경된 제1 버튼부(141) 또는 제2 버튼부(142)의 숫자나 기호들을 발광시키고, 발광하는 숫자나 기호들이 각각 터치패널(150)의 터치부(151)에 투영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식별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이나 도어록의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60은 상기 터치패널(150)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130)에 고정, 경합되는 윈도우로써, 키 패널(140)과 함께 키 입력부(K)를 형성하며, 터치패널(150) 보호를 위한 강화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패널(140)의 위치 변경에 따라, 동일한 터치부(151) 감지 시 제1 버튼부(141) 또는 제2 버튼부(142)의 숫자나 기호가 달라지므로,
상기 키 패널(140)은 피감지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120)은 상기 피감지부(144)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패널(120)은 상기 센싱부(122)가 감지하는 피감지부(144)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버튼부(141) 또는 상기 제2 버튼부(142)의 사용을 인식하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피감지부(144)는 상기 키 패널(140)의 후방으로 돌출된 자성체(144a)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130)는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144a)가 통과하여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슬릿홈(134)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122)는 상기 제어패널(120)에 구비되어, 상기 키 패널(140)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자성체(144a)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성센서(122a)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자성센서(122a)가 제어패널(12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패널(120)에 후술하는 제2 슬릿홈(123)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122a)의 돌출 높이를 제2 슬릿홈(123)에 수용되도록 형성하여, 제어패널(120)의 후면에 상기 자성센서(122a)가 부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일례로 제1 터치부(151)의 경우 제1 버튼부(141)의 잠금 기호(B1)와, 제2 버튼부(142)의 숫자 1(B2)이 함께 사용되므로,
자성센서(122a)가 자성체(144a)의 자력을 감지한 상태(즉, 자성체(144a)가 자성센서(122a)에 근접 내지 접촉하도록 제1 버튼부(141)가 발광 영역(S)과 동일선 상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어패널(120)은 제1 터치부(151)의 터치를 제1 버튼부(141)의 잠금 기호(B1)로 인식하고,
자성센서(122a)가 자성체(144a)의 자력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즉 자성체(144a)가 자성센서(122a)에 비접촉하도록 제2 버튼부(142)가 발광 영역(S)과 동일선 상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터치부(151)의 터치를 제2 버튼부(142)의 숫자 1(B2)로 인식한다.
이때 제1, 제2 버튼부(141)(142)의 위치 변경에 따른 자성센서(122a)의 감지 여부는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키 패널(140)의 자중을 이용한 버튼부의 자동 전환 및 전환된 버튼부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아 도어록의 설치를 우수형 및 좌수형 도어(RD)(LD) 모두에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120) 및 후면 케이스(110)는 각각 상기 제1 슬릿홈(134)에 대응하는 제2 슬릿홈(123) 및 제3 슬릿홈(112)을 구비하고,
상기 키 패널(140)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슬릿홈(134)에 수용되는 몸체(145A)와, 상기 몸체(145A)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릿홈(123)을 통과하여 상기 제3 슬릿홈(112)으로 노출되는 레버부(145B)로 이루어진 변위부재(145)가 결합되고,
상기 자성체(144a)는 상기 변위부재(145) 장착되어 상기 피감지부(144)로 기능하도록 한다.
상기 키 패널(140)과, 상기 몸체(145A)에는 각각 결합공(140a, 145b)이 형성되어, 키 패널(140)의 전면에서 결합되는 볼트(미도시)를 통해 키 패널(140)의 후면에 상기 변위부재(145)가 결합된다.
상기 변위부재(145)에 장착되는 자성체(144a)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고, 상기 몸체(145A)는 제1 슬릿홈(134)에 수용되어 키 패널(140)의 위치 변경, 즉 승하강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145B)는 제1, 제2 슬릿홈(134, 123)을 통과하여, 제3 슬릿홈(112)을 통해 실내측 본체(2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키 패널(140)을 강제로 위치 변경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각 구성들의 조립 불량이나, 규격 오차 등으로 인해, 키 패널(140)이 자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설치 작업자는 실내측 본체(200)를 브래킷(300)에서 분리하여, 후면 케이스(110) 후면으로 노출되는 레버부(145B)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키 패널(140)을 강제로 위치 변경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몸체(145A)에, 자성체(144a)가 장착되는 장착홀(145a)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레버부(145B)에 자성체(144a)가 내장되는 형태도 가능하며, 이 경우 자성센서(144a)는 제어패널(1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미설명 부호 145c는 상기 변위부재(145)의 방향을 특정하기 위한 결합돌기로, 결합공(145b) 일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45c)에 대응하는 결합공(140b)이 키 패널(140)에 형성되어, 변위부재(145)를 키 패널(140)에 조립할 때 자성체(144a)의 방향(위치)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변위부재(145)는 평판 형상의 키 패널(120)의 자중을 이용한 하강 이동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슬릿홈(134)을 통해 광원(121)의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키 패널(120)의 위치 변경 시 발광 영역(S)에서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키 패널(140)을 이용한 실외측 본체(100)의 방향 전환 시, 각 본체의 방향 및 키 패널(140)의 버튼부의 위치 변경만이 발생할 뿐, 데드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은 그대로 구현되므로,
본 발명의 설치 방식은 실외측 본체(100)만을 고정 브래킷(300)에서 분리한 후 뒤집어서 다시 조립한 후에 도어에 설치하거나,
또는 실외측 본체(100)를 비롯한 고정 브래킷(300)과 실내측 본체(200), 즉 도어록 전체를 뒤집어 도어에 설치하더라도 도어록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도어록(L)에 적용되는 실내측 본체(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내측 본체(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의 출몰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이 구현되는 것으로, 실내측 본체(200) 내부에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 턴-노브 개폐장치(T)와 데드볼트가 설치되며, 실내측 본체(200)의 전면 케이스(203)에는 턴- 노브 개폐장치의 썸턴 노브(220)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203a)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인 턴-노브 개폐장치(T)만을 설명하고, 배터리, 전동모터, 데드볼트 등 공지된 도어록 관련 구성의 구조 및 연결 관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턴-노브 개폐장치(T)는 전동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 또는 썸턴 노브(220)를 이용한 수동 방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도어록의 실내측 본체(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구동기어(210), 썸턴 노브(220), 탄성수단(230) 및 마그넷(2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구동기어(210)는 실내측 본체(200)에 내장되어 회전을 통해 데드볼트(201)를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기어(210)는 데드볼트(201)의 작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는 구동편(211)과, 전동모터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는 톱니부(212)와, 축방향(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213) 및 상기 수용부(213) 둘레에 형성된 제1 체결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편(211)은 데드볼트(201)의 작동수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데드볼트(201)의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따라 그 형태나 연결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톱니부(212) 역시, 전동모터의 구동부와 각종 축 및/또는 기어 등으로 연결된 구동 메커니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어(2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동모터의 구동부와 베벨 기어방식으로 연결되어, 전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어(21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3)는 후술하는 탄성수단(230)의 설치를 위해 구동기어(210)의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10A)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전후면, 특히 전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부(214)는 구동기어(210)와 썸턴 노브(220)의 선택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썸턴 노브(220)를 후방으로 가압할(실내측 본체(200) 내부로 누를) 경우, 썸턴 노브(220)의 제2 체결부(221)에 치합된다.
이어서 상기 썸턴 노브(220)는 상기 실내측 본체(20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2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결부(214)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221)와, 전면에 구비된 파지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체결부(221)는 썸턴 노브(220)의 가압(누름) 시 제1 체결부(214)가 치합되는 것으로, 제1, 제2 체결부(214)(221)의 치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체결부(214)(221)가 서로 대응하는 돌기와 홈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암수 결합 형태로 치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체결부(214)로써 썸턴 노브(220)의 축부(223) 둘레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제2 체결부로(221)로써 구동기어(210)의 수용부(213) 둘레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22)는 사용자가 썸턴 노브(220)의 회전을 위해 손으로 직접 잡는 부위로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상기 탄성수단(230)은 상기 썸턴 노브(220)를 실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썸턴 노브(220)가 상기 수용부(213)에서 승강(즉, 전후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213)에서 높이가 변위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썸턴 노브(220)가 부착되는 헤드부(231A)를 구비한 홀더(231) 및
상기 수용부(213)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231A)를 실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33)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31)는 후술하는 썸턴 노브(220)를 지지하면서 수용부(213)에서 동반하여 승하강되는 것으로, 전면이 평탄한 장착면을 갖는 헤드부(231A)와, 상기 헤드부(231A)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된 관 형태의 몸체부(2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231A)의 전체 면적은 상기 몸체부(231B) 굵기보다 넓게 형성되어 몸체부(231B)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부위가 일종의 플렌지(231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231B)의 후방에는 나사공(231b)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13)를 통해 상기 나사공(231b)에 결합되는 볼트(232)가 구동기어(210)의 돌출부(210A)의 후단부에 걸려 상기 탄성체(233)의 탄성력으로 인해 홀더(231)가 수용부(21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체(233)는 상기 몸체부(231B)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신장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며, 전단부가 상기 헤드부(231A)의 플렌지(231a) 후면을 지지하고, 후단부가 수용부(2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213a)에 지지되어 홀더(231)가 실내측 본체(200)의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탄성체(233)로 인해 상기 홀더(231)는 헤드부(231A)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수용부(213)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홀더(231)가 자중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가압되어 눌리거나, 또는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31B)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는 다각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부(213)의 내주면은 상기 몸체부(231B)의 형태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홀더(231)가 구동기어(213) 내에서 단독으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그넷(240)은 상기 썸턴 노브(220)가 상기 구동기어(21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썸턴 노브(220)를 구동기어(210)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썸턴 노브(220)가 상기 구동기어(210)에 부착된다는 의미는 썸턴 노브(220)가 구동기어(210)와 직접적인 부착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그넷(240)의 자력을 이용해 썸턴 노브(220)가 구동기어(2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썸턴 노브(220)가 분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그넷(240)을 이용한 썸턴 노브(220)의 실질적인 부착은 상기 홀더(231)의 헤드부(231A)에서 이루어지며, 다만 외관상으로 썸턴 노브(220)가 구동기어(2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마그넷(240)은 상기 썸턴 노브(220)의 축부(223) 또는 상기 홀더(231)의 헤드부(231A)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마그넷(240)이 구비되지 않은 홀더(231)의 헤드부(231A) 또는 썸턴 노브(220)의 축부(223)는 자력 부착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외출 모드를 위해 썸턴 노브(2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어나 실내측 본체, 또는 고정 브래킷(300)의 다른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썸턴 노브(220)의 축부(223) 내부에 마그넷(240)이 장착되어, 금속재질의 헤드부(231A)의 장착면에 썸턴 노브(220)가 고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00W는 썸턴 노브(220)를 헤드부(231A)에서 분리하였을 때, 썸턴 노브(2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통모터를 통해 상기 구동기어(210)가 회전하면, 상기 마그넷(240)에 의해 상기 썸턴 노브(220)가 동반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썸턴 노브(220)를 상기 수용부(213)로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체결부(214)와 상기 제2 체결부(2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10)가 동반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썸턴 노브(220)를 상기 수용부(213)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썸턴 노브(220)만이 공회전하여 상기 구동기어(210)를 통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실외측 본체(100)를 이용한 전자적 인증(비밀번호 입력 등)이나 도어의 닫힘, 또는 실내측 본체(200)에 구비된 개폐버튼(202)을 통해 전동모터가 작동하면, 구동기어(210)가 회전하면서 구동편(211)이 데드볼트(201)를 실내측 본체(200)에서 인출 또는 실내측 본체(200)로 인입시켜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거나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마그넷(240)에 의하여 상기 썸턴 노브(220)가 상기 홀더(231)의 헤드부(231A)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썸턴 노브(220)가 수용부(213)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탄성체(233)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231)가 구동기어(210)의 수용부(213)에 구속되어 동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썸턴 노브(220) 역시 동반 회전하여 도어의 잠금이나 열림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암수 결합 형태로 치합되는 제1, 제2 체결부(214)(221)가 미량으로 치합, 즉 제1, 제2 체결부(214)(221) 각각의 돌기와 홈이 서로 미세하게 물린 상태가 되면 전동모터를 통한 구동기어(210)와 썸턴 노브(220)의 동반 회전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썸턴 노브(220)를 상기 수용부(213)로 가압하면, 썸턴 노브(220)의 가압에 의해 홀더(231)가 후방으로 밀리면서(눌리면서), 제1, 제2 체결부(214)(221)가 서로 치합(맞물림)되고, 이 상태에서 썸턴 노브(220)를 회전시키면, 제1, 제2 체결부(214)(221)의 치합에 의해 구동기어(210)가 회전하여 도어가 수동으로 잠기거나 열리게 된다.
반면에 상기 썸턴 노브(220)를 상기 수용부(213)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마그넷(240)에 의해 썸턴 노브(220)가 헤드부(231A)에 부착된 상태에서 썸턴 노브(220)만이 공회전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릴 수 없게 된다.
즉, 마그넷(240)에 의해 썸턴 노브(220)와 헤드부(231A)가 서로 면접촉하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데, 썸턴 노브(220)는 마그넷(240)의 자력을 제외한 어떠한 외력도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고, 반대로 구동기어(210)는 톱니부(212)가 전동모터의 구동부와 치합되어 회전에 저항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기어(210)가 회전할 때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썸턴 노브(220)가 함께 회전하게 되지만,
전동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썸턴 노브(220)를 가압하지 않고 회전시키면 썸턴 노브(200)가 외력이 작용하는 구동기어(210)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헛돌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썸턴 노브(200)의 공회전은 상기 제1, 제2 체결부(214)(221)가 미세하게 물린 상태에서도 발생하며, 이 경우, 마그넷(240)의 자력에 의해 썸턴 노브(200)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 또는 썸턴 노브(220)를 이용한 수동 방식과 같은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공지된 도어록과 같이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정상 작동하나,
실외측에서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실내측 본체(200)의 썸턴 노브(220)를 회전시킬 경우, 썸턴 노브(220)만이 헛돌게 되어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썸턴 노브(220)에 내장된 마그넷(24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성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썸턴 노브(22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버튼(202)을 통한 도어의 잠금, 특히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지 않도록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측에서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해 침입을 시도할 경우, 상기한 구조로 인해 썸턴 노브(220)의 회전 작동이 불가능하나, 개폐버튼(202)을 가압하여 잠금 해제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 썸턴 노브(220)를 헤드부(231A)에서 분리한 후, 철재 도어나, 실내측 본체(200)의 다른 부위, 또는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된 금속의 고정 브래킷(300) 등에 썸턴 노브(220)를 부착시킨 상태로 도어를 닫아 잠금이 이루어지면,
자성 감지 센서가 마그넷(240)의 자력을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자동으로 외출 모드가 동작하여, 개폐버튼(202)의 가압을 통한 잠금 해제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동모터의 작동을 통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300)이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될 때, 고정 브래킷(300)과 강화유리 도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디지털 도어록을 강화유리 도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이들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 재질의 러버(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러버(340)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면에 실외측 본체(100)의 후면 케이스가 수용되는 제1 장착부(미도시)와, 전면에 고정 브래킷(300)의 제1 설치부(310)가 수용되는 제2 장착부(341)가 마련되며, 제1, 제2 장착부, 특히 제2 장착부(341)를 둘러싼 테두리부(342)가 강화유리 도어에 접촉되어 부재들 사이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부재들 사이의 유격을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제1 설치부(310) 중앙에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부(321)가 구비되고, 상기 러버(340)의 제2 장착부(341)에 상기 삽입부(321)에 대응하는 돌출단(343)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단(343)이 상기 삽입부(321)를 통과하여 강화유리 도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는 면적을 증대시킨다.
미설명 부호 344는 디지털 도어록을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할 때 실내측 본체(200) 방향에서 [제2 설치부(320) - 강화유리 도어 - 제1 설치부(310) - 실외측 본체(10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미도시)를 위한 통과홀이다.
도면에서는 제2 설치부(320)의 내측면에 러버(340)와 같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밀착부재(345)가 부착되고, 제1 설치부(310)에 러버(340)가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사양 등에 따라 제2 설치부(320)에도 상기 러버(34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D : 우수형 도어 LD : 좌수형 도어 L : 도어록
S : 발광 영역 T : 턴-노브 개폐장치 K : 키 입력부
100 : 실외측 본체 101 : 접촉부 110 : 후면 케이스
111 : 수용공간 112 : 제3 슬릿홈 120 : 제어패널
121 : 광원 122 : 센싱부 122a : 자성센서
123 : 제2 슬릿홈 130 : 전면 케이스 131 : 슬라이드부
132 : 빛 통과홀 133 : 제1 가이드 133a : 가이드돌기
134 : 제1 슬릿홈 140 : 키 패널 141 : 제1 버튼부
142 : 제2 버튼부 143 : 제2 가이드부 143a : 가이드홈
144 : 피감지부 144a : 자성체 145 : 변위부재
150 : 터치패널 151 : 터치부 160 : 윈도우
200 : 실내측 본체 201 : 데드볼트 202 : 개폐버튼
203 : 전면 케이스 210 : 구동기어 211 : 구동편
212 : 톱니부 213 : 수용부 213a : 걸림단
214 : 제1 체결부 220 : 썸턴 노브 221 : 제2 체결부
222 : 파지부 223 : 축부 230 : 탄성수단
231 : 홀더 231A : 헤드부 231a : 플렌지
231B : 몸체부 231b : 나사공 232 : 볼트
233 : 탄성체 240 : 마그넷
300 : 고정 브래킷 310 : 제1 설치부 320 : 제2 설치부
330 : 연결부 340 : 러버 341 : 장착부
342 : 테두리부 343 : 돌출단 344 : 통과홀

Claims (4)

  1.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복수개의 광원이 제1 영역을 따라 고정 배열되어 있는 제어패널;
    상기 후면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빛 통과홀과, 상하측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한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서 상하측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버튼이 인쇄되어 있되, 홀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의 버튼 방향과 180° 뒤집힌 방향으로 짝수행을 따라 형성된 제2 버튼부를 구비한 키 패널;
    상기 키 패널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터치부가 마련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각각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키 패널의 상하측 위치 변경이, 상기 키 패널의 자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널은 피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피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상기 제2 버튼부의 사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키 패널의 후방으로 돌출된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자성체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슬릿홈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키 패널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성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20150144011A 2015-10-15 2015-10-15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59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011A KR101594498B1 (ko) 2015-10-15 2015-10-15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CN201521145211.0U CN205476861U (zh) 2015-10-15 2015-12-31 左右手门兼用的数字门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011A KR101594498B1 (ko) 2015-10-15 2015-10-15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98B1 true KR101594498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011A KR101594498B1 (ko) 2015-10-15 2015-10-15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4498B1 (ko)
CN (1) CN205476861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70B1 (ko) * 2016-06-21 2016-12-28 (주)유니코 하이테크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가 역전 변위되는 좌우수 변위형 디지털 도어록
KR101722941B1 (ko)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KR20180000075U (ko) * 2016-06-28 2018-01-05 (주)유니코 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827173B1 (ko) * 2016-12-07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전자식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101984435B1 (ko) * 2018-12-14 2019-06-04 (주)하이원플러스 좌우수 도어겸용 디지털도어록
KR20210057581A (ko) * 2019-11-12 2021-05-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안중심형 도어락 장치
KR102449667B1 (ko) * 2021-03-23 2022-09-30 (주)에버넷 좌우수 도어겸용 키패드를 갖는 도어락 장치
KR102531018B1 (ko) 2021-11-26 2023-05-09 주식회사 라오나크 글래스 도어에 사용되는 좌우수 변환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780B (zh) * 2018-02-02 2020-05-08 华兴新锐通信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防信息泄露的安全可靠的智能门锁
CN109958334A (zh) * 2019-04-30 2019-07-02 珠海吉门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力感应控制的门锁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81B1 (ko) * 2013-09-17 2015-03-03 남경훈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81B1 (ko) * 2013-09-17 2015-03-03 남경훈 강화 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키입력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70B1 (ko) * 2016-06-21 2016-12-28 (주)유니코 하이테크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가 역전 변위되는 좌우수 변위형 디지털 도어록
KR20180000075U (ko) * 2016-06-28 2018-01-05 (주)유니코 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200485601Y1 (ko) 2016-06-28 2018-01-31 (주)유니코하이테크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방향 전환용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좌수형 도어 및 우수형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KR101722941B1 (ko)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KR101827173B1 (ko) * 2016-12-07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전자식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US10339742B2 (en) 2016-12-07 2019-07-02 Hyundai Motor Company Input device, electronic lo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lock
US10706652B2 (en) 2016-12-07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Input device, electronic lo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lock
KR101984435B1 (ko) * 2018-12-14 2019-06-04 (주)하이원플러스 좌우수 도어겸용 디지털도어록
KR20210057581A (ko) * 2019-11-12 2021-05-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안중심형 도어락 장치
KR102286764B1 (ko) * 2019-11-12 2021-08-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안중심형 도어락 장치
KR102449667B1 (ko) * 2021-03-23 2022-09-30 (주)에버넷 좌우수 도어겸용 키패드를 갖는 도어락 장치
KR102531018B1 (ko) 2021-11-26 2023-05-09 주식회사 라오나크 글래스 도어에 사용되는 좌우수 변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476861U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98B1 (ko) 좌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 도어록
CN110036167B (zh) 检测窗/门组件的状态的系统
AU2018201677B2 (en) Wireless lockset with integrated antenna, touch activation and light communication device
AU2012225189B2 (en) A lock assembly
US11414892B2 (en) Exit device trim locking
EP2042672A1 (en) Electrical lock device
KR101796737B1 (ko) 잠금표시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 잠금장치
US20210317684A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JP5158749B2 (ja) 窓戸開閉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施錠ユニット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KR200356813Y1 (ko) 디지털 도어의 도어잠금장치
KR102278273B1 (ko) 도어상태 표시부가 포함된 디지털 도어록
JP5053781B2 (ja) 電気錠装置
JP4325416B2 (ja) 施錠装置
JP2004332252A (ja) 施錠装置
JP2002227488A (ja) 引戸用ロック装置及び該ロック装置を備えた引戸
CN118148439A (zh) 回车程序、电子门锁及其传动套件
KR20010000095U (ko)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