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489B1 -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489B1
KR101497489B1 KR1020130014414A KR20130014414A KR101497489B1 KR 101497489 B1 KR101497489 B1 KR 101497489B1 KR 1020130014414 A KR1020130014414 A KR 1020130014414A KR 20130014414 A KR20130014414 A KR 20130014414A KR 101497489 B1 KR101497489 B1 KR 10149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seq
macular degeneration
ag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134A (ko
Inventor
김광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4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485Epidermal growth factor [EGF], i.e. urogastr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495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07Endopeptidase (E.C. 3.4.21-99) inhibitors
    • C07K14/8139Cysteine protease (E.C. 3.4.22) inhibitors, e.g. cysta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6/00Oxidoreductases oxidizing metal ions (1.16)
    • C12Y116/03Oxidoreductases oxidizing metal ions (1.16) with oxygen as acceptor (1.16.3)
    • C12Y116/03001Ferroxidase (1.16.3.1), i.e. ceruloplasm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3Aspartic endopeptidases (3.4.23)
    • C12Y304/23005Cathepsin D (3.4.23.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27Total protein determination, e.g. albumin in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 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Proteomic Analysis of the Aqueous Humor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Patients and biomarker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본 발명은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 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노년황반변성(AMD)는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황반에 나이가 들면서 드루젠(drusen), 망막색소상피위축(retinal pigment epithelial atrophy), 맥락막신생혈관(choroidal neovascularization) 등 변화가 생겨 시력상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6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중심시력의 상실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66세에서 74세 까지의 인구 중에서는 10%의 유병률을 보이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건성 황반변성(dry, atrophic, non-exudative type) 이고 다른 하나는 습성 황반변성(wet, neovascular, exudative type) 이다. 심각한 시력상실은 대개 습성 황반변성에서 나타나지만 이 질환으로 인한 실명의 20%는 건성 황반변성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비록 무수하게 많은 성장인자가 혈관신생에 관여하지만 여러 전임상 및 임상연구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눈의 혈관신생에 중심매개체라는 것을 시사한다(Ferrara, N.; Gerber, H. P.; LeCouter, J., Nat Med 2003, 9, (6), 669-76.). 일부 보고서는 VEGF 저해제의 안내(intravitreal) 주사는 눈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습성 AMD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Gragoudas, E. S.외 N Engl J Med 2004, 351, (27), 2805-16;Bashshur, Z. F.외 Am J Ophthalmol 2006, 142, (1), 1-9;Rich, R. M.외 Retina 2006, 26, (5), 495-511;Spaide, R. F.외 Retina 2006, 26, (4), 383-90). 비록 기존의 연구들이 VEGF 레벨을 조사하는데에 초점을 두었지만, AMD 환자 중에서 안방수(A)에서 총 프로테옴 조성물을 직접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AH는 상피(epithelial)-라인된 ciliary 과정에 의하여 눈의 후안방(posterior chamber)으로 분비된다. AH는 CNV의 발생에 기여하는 매개체와 성장인자의 저장소인 유리체(vitreous)와 접하기 때문에, AH로부터 유래한 단백질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AH는 다양한 안과 질환의 병인 기작을 설명하는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이하, 'AMD'라 함)은 노년층에서 비가역적인 중앙 시력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비록 혈관 내피 성장인자 (VEGF)를 포함하는 다수의 성장인자 경로가 AMD의 병인에 연류되었지만, AMD 환자 중에서 안방수(aqueous humor, 이하 'AH'라 함)에서 총 프로테옴 조성물을 직접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AH는 전안부(anterior segment) 조직으로부터 배출된 단백질들을 포함하고 이 단백질들은 AMD의 병인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AMD 환자와 비-AMD 대조군이 AH 프로테옴 프로파일 사이의 비교는 임상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한 신규한 병인성 단백질의 입증을 야기할 수 있다.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29023호는 라이조자임 전구체(lysozyme precursor),222144229의 오토파지 관련 단백질 7 아이조폼(autophagy-related protein 7 isoform) c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다른 관련 선행특허로 US 20080318264 호는 Haptoglobin, (Fibrinogen gamma prime chain, Fibrin beta, Retinol Binding Protein, Vitamin D binding protein, Ig heavy chain variable region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PI00017601의 셀룰로플라즈민 (Ceruloplasmin),IPI00006114의 색소상피유래인자(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및 IPI00291866의 혈장 프로테아제 C1 억제제 (Plasma protease C1 inhibit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PI00018219의 변형 성장인자 베타 유래 단백질 면역 글로불린 H3(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induced protein ig-h3,TGFBI), IPI00291262의 클러스테린 (Clusterin), IPI00011229의 카텝신 D (Cathepsin D), 또는 IPI00032293의 시스타인C (Cystain C) 단백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IPI00017601의 셀룰로플라즈민 (Ceruloplasmin),IPI00006114의 색소상피유래인자(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IPI00291866의 혈장 프로테아제 C1 억제제 (Plasma protease C1 inhibitor), IPI00018219의 변형 성장인자 베타 유래 단백질 면역 글로불린 H3(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induced protein ig-h3,TGFBI), IPI00291262의 클러스테린 (Clusterin), IPI00011229의 카텝신 D (Cathepsin D), 및 IPI00032293의 시스타인C (Cystain 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IPI'는 'International protein index'의 약자로,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단백질이 정확히 어떤 단백질인지 IPI accession number를 통해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대상(subject)에서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a)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계; 및 (b) 측정치 또는 측정치들을 정상인과 비교하여 그 측정치가 정상인보다 높은 경우에 노년 황반변성과 상호관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ALYLQYTDETFR),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GAYPLSIEPIGVR),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TNLESILSYPK), 서열번호 4의 펩타이드(FQPTLLTLPR), 서열번호 5의 펩타이드(ALDFAVGEYNK), 서열번호 6의 펩타이드(LTLLAPLNSVFK), 서열번호 7의 펩타이드(LAAAVSNFGYDLYR), 서열번호 8의 펩타이드(DTDTGALLFIGK),서열번호 9의 펩타이드(ASSIIDELFQDR), 서열번호 10의 펩타이드(ELDESLQVAER), 및 서열번호 11의 펩타이드(VGFAEAA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대상(subject)에서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a)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는 상기 제5항의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계; 및 (b) 측정치 또는 측정치들을 기초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 곡선의 곡선 아래 면적(AUC) 값이 0.7 이상인 경우에 노년 황반변성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인간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출 단계는 개체의 간의 혈액 용액으로부터 2차원(2-D) 전기영동으로 바이오마커 단백질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의 존재를 직접 검출하거나, 혈액을 본 발명의 항체와 접촉시켜 항원항체반응을 통해 바이오마커 단백질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원항체반응으로서 현재 널리 알려진 immunoassay 법은 효소면역측정법(ELISA, Coated tube), 항체결합 magnetic particle을 tube에 결합시킨 다음 antigen-tracer와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서로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효소반응을 유발시켜 정량하는 magnetic particle법, 항체결합 latex particle을 이용한 latex particle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이오 마커 단백질 또는 그 면역원성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의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단키트는 당업자에 알려진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전형적으로 동결건조형태의 항체와 버퍼, 안정화제, 불활성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항체는 방사종, 형광원, 효소 등에 의해 표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항체는 immunoassay 키트(ELISA, antibody coated tube test, lateral-flow test,potable biosensor)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를 나타내는 항체의 개발을 통한 다양한 노년 황반변성 검출 스펙트럼을 갖는 단백질칩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discovery-기반 프로테오믹스와 MRM-MS(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백내장 수술을 한 대조군으로부터 유래한 AH와 AMD 환자로부터 유래한 AH를 분석하였다. 적어도 두 독특한 펩타이드들을 가지는 총 154 단백질들을 AH에서 동정하였다.discovery-기반 프로테오믹스에 의하여 동정된 154 단백질 중에서 10 AH 단백질이 신규 동정되었다. AH에서 단백질 조성은 AMD 환자와 비-AMD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차후, systematic MRM-MS 분석을 이들 그룹으로부터 유래한 7종의 매우 풍부하게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에서 수행하였다. 세 단백질의 차별적인 발현이 백내장 대조군의 것과 비교하여 AMD 환자들의 AH에서 관찰되었다(p<0.0312). 수용성 프로테옴의 설명이 단백질 기능 분석을 위한 기초로 확립될 것이고 AMD와 관련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마커들을 동정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합적인 프로테옴 기술이 습성(exudative) AMD를 검출하기 위한 신규한 바이오마커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환자 특성
AH 프로테옴 동정 및 정량적인 입증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총 17개의 AH 샘플을 분석하였다. 통상적인 백내장 수술을 한 3 AMD 환자 및 3 매치된 대조군으로부터 유래한 개별 AH 샘플을 동정된 AH 단백질들의 프로테옴 프로파일링 및 그 후의 세미 정량적인 비교를 위하여 사용하였다. 바이오마커 후보물질의 개발을 위하여, MRM 입증을 11 AH 샘플(AMD로부터 6 AH, 백내장 대조군으로부터 5 AH)의 독립적인 세트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등록된 환자들의 데모그래픽 특성을 표 1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1
표 1은 등록된 환자들의 데모그래픽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프로테오믹 분석
인간 생체액의 프로테오믹 분석은 낮은 농도의 여러 단백질의 동정을 어렵게 만드는 소수의 풍부한 단백질의 존재로 인하여 특히 복잡하다. AH도 알부민과 IgG와 같은 다른 인간 생체액에 아주 풍부한 혈청 단백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검출하기에 충분한 수의 단백질을 검출하고 궁극적으로는 AMD의 바이오마커들을 동정하기 위하여 풍부한 단백질들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AH 샘플로부터 낮은 농도의 여러 단백질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알부민, 트랜스페린, antitrypsin, haptoglobin, IgG, 및 IgA를 포함하는 여섯 종의 아주 풍부한 단백질들을 MARS 컬럼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AH 샘플들의 단백질 농도는 BCA에 의하여 결정한 것이 2.4에서 3.7mg/mL 범위이었다. MARS 컬럼으로 여섯 종의 아주 풍부한 단백질들의 제거는 0.2 및 0.5mg/mL 사이의 농도범위를 야기하였다. 80μg에 상응하는 제거된 인간 AH 샘플을 4~20% SDS-PAGE 젤에 로딩하고 분리하였다. 예측한 것과 같이, MARS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AH의 SDS-PAGE 분석은 AH로부터 유래한 아주 높은 농도의 단백질들의 성공적인 제거를 보였다(데이터 도시 안함). 분리된 젤 밴드를 5 부분으로 잘라서 in-gel trypsin 처리를 수행하였다. 그 펩타이드들을 AH의 단백질 동정을 위하여 LC-ESI-MS/MS를 수행하였다.
LC-ESI-MS/MS 분석에서 총 154 AH 단백질들을 두번 AMD 환자들(n=3) 및 백내장 대조군들(n=3)의 AH 샘플들로부터 유래한 Scaffold를 사용하여 높은 신뢰도로 동정하였다(도 1, 표 2). Scaffold를 컷오프를 위하여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였다: 95%의 semi-tryptic 펩타이드 동정 확률, 99%의 단백질 동정 확률, 및 적어도 두 독특한 펩타이드. 총 132 단백질들이 AMD에서 102개는 대조군 군에서 동정되었다(도 1).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2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3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4
표 2는 LC-ESI-MS/MSs에 의하여 동정된 AH 단백질 리스트를 나타낸 표이다.
동정된 AH 단백질들 중에서, 적어도 2 대상에서 동정된 총 81개 단백질들을 추가 입증과 마커 개발을 위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동정된 단백질들의 리스트를 기존 인간 AH 연구 및 인간 혈청 단백질 리스트와 비교하였다. 적어도 2 환자들에서 동정된 단백질들 중에서, AH의 프로테옴에 대한 기존의 보고와 비교하여 10종의 단백질들이 새롭게 동정되었다. 새롭게 동정된 AH 단백질들을 표 3에 리스트하였다.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5
표 3은 본 발명에서만 동정된 AH 단백질 리스트를 나타낸 표이다.
AH로부터 유래한 동정된 단백질들의 GO 및 경로 분석
적어도 두 대상에서 검출된 81 단백질들을 DAVID (http://david.abcc.ncifcrf.gov)를 사용하여 관련된 Gene Ontology (GO) 용어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이 단백질들의 주요 생물학적 경로는 AH의 풍부한 생물학적 과정을 반영하는 상처에 대한 반응, 자극에 대한 반응, 급성 염증 반응 및 방어 반응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 대사 과정 및 항상성 과정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조절이다(도 2A). AMD 환자들에서 풍부한 AH 단백질들의 주요 분자 기능은 단백질 biding 및 지질 결합, 트랜스포터 활성을 포함하는 효소 저해 활성 및 결합이다(도 2B). 주어진 기능적 등급을 위하여, 대부분의 AH 단백질들을 GO의 세포 구성요소 용어에 따라서 세포외 단백질들로 분류하였다(도 2C). 흥미로운 것은 AMD 환자들로부터 유래한 AH 단백질들은 대조군 AH의 것과는 다른 소포 (vesicle) 단백질들을 포함하였다.
AMD의 병리학에서 관련된 canonical 경로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Ingenuity Pathway Analysis v7.5 (Ingenuity Systems, Redwood City, CA, USA)를 사용하여 AMD에서 동정된 81 AH 단백질들을 주석을 달았다. 표 4는 AMD 환자들 및 백내장 수술 대조군으로부터 유래한 AH 단백질들과 관련된 경로를 리스트하였다. 급성 phase 반응 신호, complement 시스템 및 응고 시스템을 포함하는 AMD로부터 주요 경로는 AH 단백질의 현저한 관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6
표 4는 AMD 환자들 및 백내장 수술 대조군으로부터 유래한 AH 단백질들과 관련된 경로이다.
바이오마커 후보물질의 선택
semiquantitative 분석을 위하여, 표준화된 스펙트럼 카운트를 각 그룹에서 발견된 스펙트럼의 전체 수로 특정 단백질의 스펙트럼의 수를 나누어서 계산하였다. 이 값들은 차별적인 발현 정도 및 두 군들 사이의 비를 제공한다. 두 배 이상의 총 52 종의 단백질들을 안과전문의에 의하여 검토된 병인 관련 및 스펙트럼 카운드에 나타난 단백질 양에서 그들의 배율 변화에 기초하여 바이오마커 단백질 후보물질로 선택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서치에 의하여 얻어진 후보물질 단백질의 서브세트에 대한 몇 tryptic 펩타이들을 MRM transition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모니터하였다.
AMD에 대한 바이오마커 단백질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표 5에서 요약한 것과 같이 안과전문의에 의하여 검토된 의학적 소견, 혈청에서 검출가능성, 그들의 생물학적 기능에 기반한 정량적인 MRM-MS를 가지는 추가적인 입증을 위하여 7종의 단백질들을 선택하였다.
또한 안내(intravitreal) anti-VEGF 주사가 프로테옴 조성으 역전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AH 샘플을 안내 anti-VEGF 주사 후 및 기준선에서 비교하였다. 안내 anti-VEGF 주사 전 후에 프로테옴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데이터 도시 안함). 이것은 VEGF가 CNV 발달의 최종 단계를 조율하고 VEGF 경로의 억제는 프로테옴 프로파일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포괄적인 조사는 더 많은 수의 AMD 환자들에서 전체 AH 프로테옴 스펙트럼을 상술하는 것을 보증한다.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7
표 5는 선택된 바이오마커 후보물질의 리스트이다.
선택된 바이오마커 후보물질의 입증
샘플링 처리 과정과 관련된 제거된 AH 샘플에서 가능한 정량 성향으로 인하여, 본 발명자들은 선택된 단백질들의 입증을 위하여 레이블 없는(label-free) 기반 방법 대신에 정량을 위하여 MS-기반 정량적 분석, MRM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거 과정과 관련된 잠재적인 에러를 회피하기 위하여 풍부한 단백질들이 제거되지 않은 AH 샘플의 tryptic 처리의 MRM 분석에 의하여 상대적인 정량화 및 쌍별(pairwise) 비교를 수행하였다.
AMD의 병인과 관련된 AH 및 혈청 모두에서 동정된 7종의 후보단백질들을 추가적인 입증을 위하여 MRM 분석을 수행하였다. 타겟 단백질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우수한 MS 반응을 부여하는 proteotypic peptides (PTPs)를 선택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MRM 분석이 중요하기 때문에(Gragoudas, E. S.N Engl J Med 2004, 351, (27), 2805-16;Bashshur, Z. F.Am J Ophthalmol 2006, 142, (1), 1-9), 본 발명자들은 단일 타겟 단백질에 대한 다중 PTPs를 선택하기 위하여 MRMPilot 소프트웨어(AB SCIEX,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MRM transitions을 표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7종 단백질의 11 펩타이드에 대해서 최적화하였다.
마커 단백질의 추가적인 증명을 위하여 가장 강한 MS 신호를 가지는 적당한 타겟 단백질을 선택하기 위하여 Q-TRAP 5500 hybrid triple quadrupole/linear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를 사용한 MRM 실험에 의하여 선택된 PTPs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성공적으로 MRM 분석을 위한 PTPs의 서브세트를 확립하였고(표 6) 도 3에 나타낸 것과 가이 대조군(n=5)과 AMD 환자(n=6)로부터 유래한 AH 샘플에 적용하였다. 후보물질 단백질의 평균 abundance을 비교하였다. plasma protease C1 inhibitor, TGFBI, ceruloplasmin, 및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의 상대적인 abundance는 t-test 분석에 의하여 결정된 것과 같이 AMD 및 백내장 대조군 사이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clusterin, cathepsin D 및 cystatin C에 대한 차이는 그들의 낮은 abundance 또는 높은 매트릭스 효과로 인하여 현저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들은 평가하지 않았다.
Figure 112013012017830-pat00008
표 6은 SRM transitions 리스트를 나타낸 표이다.
AMD 군과 대조군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4). MRM 분석은 ROC 곡선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AUC, 0.7<) 대조군으로부터 AMD를 구별하는 특이성 및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AMD의 경우에, AUC(area under curve)는 TGFBI에 대해서 0.799, ceruloplasmin에 대해서 0.778, clusterin에 대해서 0.781이고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에 대해서 0.667이었다 (도 4).
본 발명을 통하여 AMD에서 AH의 프로테옴 조성이 백내장 대조군의 것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으로부터 단백질에서 변경은 AMD의 합병증 및 병인성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동정된 단백질들은 AMD의 스크리닝을 위한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 적용될 수 있다. 또 3 종의 신규한 AH 마커들에 대한 설명 및 습성 AMD를 검출하는 바이오마커로서의 그들의 잠재적인 용도는 AMD 환자에서 더 우수한 치료 전략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도 1은 양 그룹으로부터 유래한 동정된 단백질들의 벤다이어그램: (A) 및 (B)는 개별 AMD 환자 (A) 및 백내장 수술 환자(B)로부터 유래한 동정된 AH 단백질들을 나타냄. (C) 및 (D)는 전체 AH 단백질들 (C) 및 적어도 2 환자에서 동정된 AH 단백질 (D)의 벤 다이어그램을 나타냄.
도 2는 DAVID에 의하여 결정된 AH 단백질들의 GO(Gene Ontology) 분석. 본 발명자들은 양 그룹으로부터 유래한 동정된 AH 단백질들을 비교하였다. (A) 생물학적 과정, (B) 분자적 기능, 및 (C) 세포 구성성분(component).
도 3은 AMD의 6 AH 샘플 및 백내장 대조군 5 AH 샘플의 독립적인 샘플 세트에서 MRM 분석으로부터 유래한 결과들의 박스 도면. plasma protease C1 inhibitor, TGFBI, ceruloplasmin, 및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의 상대적인 풍부함은 t-test 분석에 의하여 결정된 백내장 대조군과 비교한 AMD의 AH 샘플에서 증가하였다.
도 4는 선택된 후보물질 단백질의 ROC 곡선. 6 AMD 환자 및 5 대조군 샘플들에서 유래한 후보물질 단백질들의 상대적인 abundance를 MRM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The AUC(area under the curve)은 95% 신뢰 레벨에서 AMD에 대해서 나타냄)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환자 및 대조군
AH 샘플을 17 명 환자로부터 수집하였다. 습성 AMD로 진단된 가입자(n=9)를 환자로 하고 백내장 수술을 받은 사람들을 대조군 (n=8)으로 제공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선택된 단백질들의 정량적인 정량적인 검증 및 AH 프로테옴의 전체 프로파일링을 위하여 2010년 6월에서 2011년 1월까지 서울시 서울대병원 보라매 병원센터(SMG-SNU BMC) 망막 클리닉으로부터 리쿠르트하였다. 다른 병인은 slit-lamp 생체현미경검, 간접적인 검안경 검사, 원색안저촬영,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촬영(OCT), 및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를 포함하는 완전한 안과 검사 후에 배제하였다. 등록 당시에 백내장 수술과 같은 안구내 수술, 광역학 치료, 안내 주사를 받은 환자들은 배제하였다. 본 실험은 헬싱키 선언의 가르침을 따랐다. SMG-SNU BMC 임상 연구 위원회의 심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고 서명된 동의서를 연구 목적의 설명 후에 모든 대상으로부터 받았다.
각 환자의 임상 데이터는 검토되고 연령, 성별, 치료력 및 질병의 지속을 포함하는 변수들을 기록하였다. 환자 데모그래픽 및 임상 데이터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수용성 샘플을 멸균한 Eppendorf 튜브에 수집하여서 분석때까지 신속하게 -80℃에서 동결하였다.
실시예 2:AH 프로테옴의 전체 프로파일링의 동정
개별 AH 샘플들을 제조업자(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알부민,transferrin, IgG, IgA, anti-trypsin, 및 haptoglobin 등을 포함하는 AH에서 가장 풍부한 6종의 단백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Agilent multiple 친화 제거 스핀 cartridges-Human 6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제거 후 단백질 농도를 BCA 단백질 농도 분석(Pierce, Rockford, IL, USA)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80μg에 상응하는 제거된 AH 샘플을 SDS-PAGE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Coomassie-염색된 단백질 밴드를 다섯 절편으로 나누고 시퀀싱 등급 변형된 트립신(Promega, Madison, WI, USA)으로 in-gel 처리를 수행하였다. 처리된 샘플들을 Speed-Vac에서 동결건조하고 10㎕의 0.1% TFA in HPLC water에 재부유하고 ZipTip C-18 (Millipore Co., Billerica, MA, United States)으로 탈염하였다. tryptic 펩타이드들을 Eksigent (Dublin, CA, USA)에서 온 나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Nano LC) 시스펨으로 온라인 커플된 linear trap quadrupole 질량 분광계(LTQ-XL, Thermo Fisher, Waltham, MA, USA)에서 nano-LC-ESI-MS/MS를 수행하였다. electrospray 전압은 2.1kV에 세팅하였고 MS에서 MS/MS로 스위칭 역치는 250이었다. MS/MS에 대한 표준화된 충돌 에너지는 메인 RF amplitude의 35%이었고, 활성화의 duration은 30ms이었다. 모든 스펙트럼은 데이터 의존 모드에서 얻었다. 각 full MS 스캔은 MS 서베이 스캔에서 가장 풍부한 다섯 전구체 이온에 대한 다섯 MS/MS 스캔을 수반하였다. 모든 tandem 스펙트럼은 펩타이드 동정을 위한 IPI human protein database (version 3.70, 87091 entries)을 가지는 SEQUEST (rev.3.3.1 sp1) 서치 엔진(Thermo Fisher, Waltham, MA, USA)을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두 missed 절단 부위들이 허용되었다. Methionine 산화 및 cysteine carbamidomethylation은 검색 파라미터로 변수 변형을 할당하였다. 2.0Da의 펩타이드 토러렌스 및 1.0Da의 MS/MS 토러렌스를 사용하였다. Scaffold (version Scaffold_3_00_01, Proteome Software Inc., Portland, OR, USA)를 was used to validate the MS/MS 기반 펩타이드 및 단백질 동정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펩타이드 동정을 그들이 Peptide Prophet 알고리즘에 의하여 특정된 95.0% 이상 확률에서 확립되면 수용하였다(Keller, A.Anal Chem 2002, 74, (20), 5383-92). 단백질 동정은 그들이 99.0% 확률 이상이고 적어도 두 동정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면 수용하였다. 단백질 확률은 Protein Prophet 알고리즘에 의하여 할당되었다(Nesvizhskii, A. I Anal Chem 2003, 75, (17), 4646-58).
실시예 3: MRM에 의한 선택된 후보물질 단백질의 정량적인 분석
정량적인 입증을 위하여 각 AH 샘플을 AH 내에 가장 풍부한 여섯 단백질의 친화 제거 전에 트립신이 없는 용액에서 처리하였다. 모든 AH 샘플(각 50μg)을 HPLC 급 워터내 6M urea 및 40mM ammonium bicarbonate에서 resolve하였다. 변성된 AH 단백질들을 10mM DTT으로 45 분간 환원하고, 어둔 환경에서 알킬화를 위하여 30 분간 55mM iodoacetamide 처리를 하였다. Alkylated AH 샘플을 37℃에서 16시간 동안 시퀀싱 급 변형 트립신(Promega, Madison, WI, USA)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에 포름산을 처리를 중지하기 위하여 샘플 용액에 첨가하였다(Ru, Q. C.J Chromatogr A 2006, 1111, (2), 175-91).
흥미있는 단백질의 특정 펩타이드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나노스프레이 이온화 소스를 구비한 Q-TRAP 5500 hybrid triple quadrupole/linear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 (Applied biosystems/MDS Sciex, Carlsbad, CA, USA)에서 MRM 모드를 수행하였다. 주어진 MRM Q1/Q3 이온 값(precursor/fragment ion pair)를 후보 단백질들에 해당하는 특정적으로 타겟된 펩타이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모니터하였다. MRM 스캔을 2200~2500V 범위의 이온 스프레이 전압을 가지는 포지티브 모드에서 수행하였다. MRM 모든 세팅을 다음과 같다: curtain 가스 및 스프레이 가스는 각각 10 및 20 psi이고 충돌 가스는 high로 세팅하였다. DP(declustering potential)를 100V로 세팅하였다. 질량 resolution을 advanced MS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세팅하였다. correct MRM를 위하여, 선택된 펩타이드 EPI(enhanced product ion) 스캔의 모니터링은 다음과 같은 세팅으로 수행하였다: threshold 스위칭 100 카운트 및 rolling 충돌 에너지의 선택. 포지티브 모드에서 30의 product, 스캔 범위 100-1000, 스캔의 수는 2. advance MS tab에서, Quadrupole resolution은 low, 스캔 스피드는 10,000 amu/s, 그리고 dynamic fill 타임을 선택하였다.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Proteomic Analysis of the Aqueous Humor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Patients and biomarker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160> 1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 Ala Leu Tyr Leu Gln Tyr Thr Asp Glu Thr Phe Arg 1 5 10 <210> 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 Gly Ala Tyr Pro Leu Ser Ile Glu Pro Ile Gly Val Arg 1 5 10 <210> 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3 Thr Asn Leu Glu Ser Ile Leu Ser Tyr Pro Lys 1 5 10 <210> 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4 Phe Gln Pro Thr Leu Leu Thr Leu Pro Arg 1 5 10 <210> 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5 Ala Leu Asp Phe Ala Val Gly Glu Tyr Asn Lys 1 5 10 <210> 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6 Leu Thr Leu Leu Ala Pro Leu Asn Ser Val Phe Lys 1 5 10 <210> 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7 Leu Ala Ala Ala Val Ser Asn Phe Gly Tyr Asp Leu Tyr Arg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8 Asp Thr Asp Thr Gly Ala Leu Leu Phe Ile Gly Lys 1 5 10 <210> 9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9 Ala Ser Ser Ile Ile Asp Glu Leu Phe Gln Asp Arg 1 5 10 <210> 10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0 Glu Leu Asp Glu Ser Leu Gln Val Ala Glu Arg 1 5 10 <210> 1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1 Val Gly Phe Ala Glu Ala Ala Arg 1 5

Claims (7)

  1. 인터내셔날 프로테인 인덱스(IPI)00006114의 색소상피유래인자(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및 IPI00291866의 혈장 프로테아제 C1 억제제 (Plasma protease C1 inhibit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PI00017601의 셀룰로플라즈민 (Ceruloplasmin), IPI00018219의 변형 성장인자 베타 유래 단백질 면역 글로불린 H3(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induced protein ig-h3,TGFBI), IPI00291262의 클러스테린 (Clusterin), IPI00011229의 카텝신 D (Cathepsin D), 또는 IPI00032293의 시스타인C (Cystain C) 단백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내셔날 프로테인 인덱스(IPI)00017601의 셀룰로플라즈민 (Ceruloplasmin),IPI00006114의 색소상피유래인자(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IPI00291866의 혈장 프로테아제 C1 억제제 (Plasma protease C1 inhibitor), IPI00018219의 변형 성장인자 베타 유래 단백질 면역 글로불린 H3(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induced protein ig-h3,TGFBI), IPI00291262의 클러스테린 (Clusterin), IPI00011229의 카텝신 D (Cathepsin D), 및 IPI00032293의 시스타인C (Cystain 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
  4. 대상(subject)에서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는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계; 및
    (b) 측정치 또는 측정치들을 정상인과 비교하여 그 측정치가 정상인보다 높은 경우에 노년 황반변성과 상호관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5.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TNLESILSYPK), 서열번호 4의 펩타이드(FQPTLLTLPR), 및 서열번호 5의 펩타이드(ALDFAVGEYNK)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ALYLQYTDETFR),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GAYPLSIEPIGVR), 서열번호 6의 펩타이드(LTLLAPLNSVFK), 서열번호 7의 펩타이드(LAAAVSNFGYDLYR), 서열번호 8의 펩타이드(DTDTGALLFIGK), 서열번호 9의 펩타이드(ASSIIDELFQDR), 서열번호 10의 펩타이드(ELDESLQVAER), 및 서열번호 11의 펩타이드(VGFAEAA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펩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 진단용 조성물.
  6. 대상(subject)에서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는 상기 제5항의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계; 및
    (b) 측정치 또는 측정치들을 기초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 곡선의 곡선 아래 면적(AUC) 값이 0.7 이상인 경우에 노년 황반변성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KR1020130014414A 2013-02-08 2013-02-08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KR10149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14A KR101497489B1 (ko) 2013-02-08 2013-02-08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14A KR101497489B1 (ko) 2013-02-08 2013-02-08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34A KR20140101134A (ko) 2014-08-19
KR101497489B1 true KR101497489B1 (ko) 2015-03-03

Family

ID=517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414A KR101497489B1 (ko) 2013-02-08 2013-02-08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954A1 (ko) * 2019-03-07 2020-09-10 (주)레티마크 나이관련황반변성 진단용 복합 마커 및 이의 용도
WO2020180147A2 (ko) * 2019-03-07 2020-09-10 (주)레티마크 나이관련 황반변성 진단용 복합 마커 및 이의 용도
WO2020190081A1 (ko) * 2019-03-20 2020-09-24 (주)레티마크 실명 유발 주요 안질환 진단용 혈액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WO2020189821A1 (ko) * 2019-03-20 2020-09-24 (주)레티마크 실명 유발 주요 안질환 진단용 혈액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112786105B (zh) * 2020-12-07 2024-05-07 中山大学附属第五医院 一种宏蛋白质组挖掘方法及其在获取肠道微生物蛋白水解特征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008A2 (en) * 2005-09-08 2007-03-15 Dsm Ip Assets B.V. Method of treatment or prevent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KR20120129023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온 노년 황반변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단백질 바이오마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008A2 (en) * 2005-09-08 2007-03-15 Dsm Ip Assets B.V. Method of treatment or prevent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KR20120129023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온 노년 황반변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단백질 바이오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NAS, 101권, 38호, 13850-13855면 (2004.9.) *
PNAS, 101권, 38호, 13850-13855면 (2004.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34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489B1 (ko)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에서 안방수의 프로테오믹 분석방법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노인성 황반변성 바이오마커
Chiang et al. Proteomic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aqueous humor proteins with a pathophysiological role in diabetic retinopathy
US20060240484A1 (en) Protein for diagnosing diabetic retinopathy
JP5960717B2 (ja) 自閉症の診断、治療におけるバイオマーカーおよびその使用
US20060115855A1 (en) FK506-binding protein 7 related protein as a biomarke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KR20090022291A (ko) 당뇨병성 망막병증 검출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및 진단키트
TW201131167A (en) Methods and reagents for improved detection of amyloid beta peptides
Zhao et al. Pharmacoproteomics reveal novel protective activity of bromodomain containing 4 inhibitors on vascular homeostasis in TLR3-mediated airway remodeling
Zhu et al. Racemization at the Asp 58 residue in αA‐crystallin from the lens of high myopic cataract patients
Kau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queous humor proteome of primary angle closure and primary open angle glaucomas and age-related cataract eyes
Snipsøyr et al. Towards identification of novel putative biomarkers for infective endocarditis by serum proteomic analysis
Bansal et al. Proteomic profile of vitreous in patients with tubercular uveitis
KR101558498B1 (ko) 노년황반변성의 진단,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노년황반변성에 대한 진단 방법
Cehofski et al. Macular edema in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orrelates with aqueous fibrinogen alpha chain
CA3108440A1 (en) Diagnostic drug and diagnostic method for alzheimer&#39;s disease
KR102316999B1 (ko) 실명 유발 주요 안질환 진단용 혈액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US20160054335A1 (en) Marker for diagnos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method for diagnos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by using same
JP2019536062A (ja) 敗血症又は敗血症性ショック(ss)患者に由来する血漿中の循環ヒストンh3及びh2bを検出する質量分析ベースの方法
KR101424217B1 (ko) 노년 황반변성의 진단,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노년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WO2017086703A1 (ko) 나이관련 황반변성 또는 당뇨망막병증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WO2013124406A1 (en) New dual biomarker of neurodegeneration and of neuroregeneration
JP2022527436A (ja) 加齢黄斑変性の診断用複合マーカーおよびその用途
Golubnitschaja et al. Disease proteomics reveals altered basic gene expression regulation in leukocytes of Normal‐Tension and Primary Open‐Angle glaucoma patients
JP7425117B2 (ja) 完全長の高分子量キニノーゲン(hmwk)と切断されたhmwkとを区別するためのペプチド定量アッセイ
JP7457300B2 (ja) 神経変性疾患の診断用ペプチドマ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