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244B1 -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244B1
KR101497244B1 KR1020137002073A KR20137002073A KR101497244B1 KR 101497244 B1 KR101497244 B1 KR 101497244B1 KR 1020137002073 A KR1020137002073 A KR 1020137002073A KR 20137002073 A KR20137002073 A KR 20137002073A KR 101497244 B1 KR101497244 B1 KR 10149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h
virtual resource
resource blocks
block
block interle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138A (ko
Inventor
아키히코 니시오
크리스티안 벤게르테르
히데토시 스즈키
마사루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1560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72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13002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멀티 캐리어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할 때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는 무선통신 기지국 장치. 이 장치에 있어서, 변조부(12)는, 부호화 후의 Dch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Dch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변조부(22)는, 부호화 후의 Lch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Lch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할당부(103)는,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OFDM 심볼을 구성하는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하여 다중부(104)에 출력한다. 이 때, 할당부(103)는,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복수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의 Dch을 사용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배치 방법 및 무선통신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특히 이동체 통신에서는, 음성 이외에 화상이나 데이터등의 여러가지 정보가 전송 대상이 되고 있다. 앞으로는 한층 더 고속 전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고속 전송을 행하기 위해,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좋게 이용해, 높은 전송 효율을 실현하는 무선 전송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무선 전송 기술의 하나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있다. OFDM은, 다수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병렬전송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기술로서, 높은 주파수 이용 효율, 멀티 패스 환경하의 심볼간 간섭저감 등의 특징을 가지며, 전송 효율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OFDM을 하향회선에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통신 이동국 장치(이하, 간단하게 이동국이라고 함)로의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주파수 다중하는 경우에,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에서는, 무선통신 기지국 장치(이하, 간단하게 기지국이라고 함)가 각 이동국에서의 주파수대역마다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에 대해서 적응적으로 서브캐리어를 할당하기때문에, 최대한의 멀티유저 다이버시티(multi-user diversity)효과를 얻을 수 있어, 대단히 효율좋게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은, 주로, 이동국의 저속이동시의 데이터 통신 또는 고속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방식이다. 한편,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에는 각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 정보의 피드백이 필요하기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은 이동국의 고속이동시의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주파수 스케줄링은, 통상, 서브프레임으로 불리는 송신 시간 단위로, 인접하는 서브캐리어를 몇개인가 모아서 블록화한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마다 행해진다. 이러한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은 로컬라이즈드 채널(Localized Channel)(이하, Lch라고 함)이라고 불린다.
이에 대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은, 각 이동국으로의 데이터를 전대역의 서브캐리어에 분산시켜 할당하기때문에, 높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 정보를 필요로 하지않기때문에, 상기와 같이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이 적용하기 곤란한 상황에 있어서 유효한 방식이다. 한편,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은, 각 이동국에서의 수신 품질과 상관없이 행해지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같은 멀티유저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지못한다. 이러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은 디스트리뷰티드 채널(Distributed Channel)(이하, Dch라고 함)이라고 불린다.
또, Lch에 있어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Dch에 있어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하는 일이 생각된다. 즉, 1 OFDM 심볼의 복수의 서브캐리어 상에 있어서 Lch에 사용되는 RB과 Dch에 사용되는 RB을 주파수 다중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 각 RB과 Lch의 대응화 및, 각 RB과 Dch의 대응화가 미리 되어 있어, 서브프레임 단위로 어느 RB을 Lch 또는 Dch로서 사용하는지를 제어한다.
또, Dch에 사용되는 RB을 다시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더 분할하여, 다른 RB의 서브 블록의 조합에 의해 1개의 Dch을 구성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때,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복수의 RB에 대해서,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복수의 Dch이 각각 대응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R1-072431 "Comparison between RB-level and Sub-carrier-level Distributed Transmission for Shared Data Channel in E-UTRA Downlink"3GPP TSG RAN WG1 LTE Meeting , Kobe, Japan, 711 May, 2007.
여기서, 기지국이 1 이동국에 복수의 Dch을 할당하는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의 복수의 Dch을 할당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연속된 채널 번호 중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을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함으로써, 이동국은 자국에 할당된 Dch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D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그렇지만, 1 이동국에 복수의 Dch을 할당하는 경우,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각각 배치된 복수의 RB에서는, 그 Dch이 할당된 RB내의 서브 블록 밖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된 서브 블록 이외의 나머지 서브 블록이 사용되지 않음으로 인해,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저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12개 RB#1~#12의 각각이 2개의 서브 블록에 분할되어,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1~#12와 RB#1~#12를 대응화할 경우, RB#1~#6의 한쪽 서브 블록에 Dch#1~#6이 각각 대응화되고, RB#1~#6의 다른쪽 서브 블록에 Dch#7~#12가 각각 대응화 된다. 마찬가지로, RB#7~#12의 한쪽 서브 블록에 Dch#1~#6이 각각 대응화되고, RB#7~#12의 다른쪽 서브 블록에 Dch#7~#12가 각각 대응화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Dch#1은, RB#1의 서브 블록과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된다. Dch#2~#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1 이동국에 Dch#1~#6을 할당할 때, RB#1~#12에서는 Dch#1~#6에 대응하는 한쪽의 서브 블록밖에 사용되지 않고, Dch#7~#12에 대응하는 다른쪽의 서브 블록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저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캐리어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할 때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채널 배치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채널 배치 방법은, 멀티 캐리어 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나누어,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다른 복수의 디스트리뷰티드 채널을 1개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도록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캐리어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할 때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Lch의 배치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1:2 분할의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예(배치 방법 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1:3 분할의 경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를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2:2 분할의 경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예(배치 방법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2:3 분할의 경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3:2 분할의 경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예(배치 방법 3:Dch수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예(배치 방법 3:Dch수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3:3 분할의 경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4:2 분할의 경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예(배치 방법 4:Dch수 4),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4:3 분할의 경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배치 방법 4:4 분할의 경우),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전환 방법 1),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할당예(전환 방법 1),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블록 인터리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할당예,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블록 인터리버를 나타내는 도면(Nrb=12의 경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블록 인터리버를 나타내는 도면(Nrb=14의 경우),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Dch의 배치 방법 (Nrb=14의 경우),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블록 인터리버 입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도1에 나타낸다. 기지국(100)은, 멀티 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복수의 RB로 나누고, 그 복수의 RB에 있어서, RB 마다 Dch 및 Lch을 사용한다. 또, 동일 서브프레임에서는, 1개의 이동국에 대해서 Dch 또는 Lch의 어느쪽인가가 할당된다.
기지국(100)에 있어서, Dch 데이터를 위한 부호화부(11) 및 변조부(12)로 되어있는 부호화·변조부(101-1~101-n), Lch데이터를 위한 부호화부(21) 및 변조부(22)로 되어있는 부호화·변조부(102-1~102-n), 및, 복조부(31) 및 복호부(32)로 되어있는 복조·복호부(115-1~115-n)는, 기지국(100)이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MS)의 수n만큼 구비된다.
부호화·변조부(101-1~101-n)에 있어서, 부호화부(11)는, 이동국#1~#n 마다의 Dch 데이터#1~#n에 대해서 터보 부호등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12)는, 부호화 후의 Dch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Dch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부호화·변조부(102-1~102-n)에 있어서, 부호화부(21)는, 이동국#1~#n 마다의 Lch 데이터#1~#n에 대해서 터보 부호등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22)는, 부호화 후의 Lch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Lch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이 때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은, 적응 제어부(116)로부터 입력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정보에 따른다.
할당부(103)는, 적응 제어부(116)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OFDM 심볼을 구성하는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하여 다중부(104)에 출력한다. 이 때, 할당부(103)는,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RB 마다 각각 모아서 할당한다. 또, 할당부(103)는,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복수의 Dch을 사용할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의 Dch을 사용한다. 즉, 할당부(103)는, 채널 번호가 연속적인 다른 복수의 Dch을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할당한다. 또한, 각 RB에서는 Dch 및 Lch의 배치 위치가 미리 대응화되어 있다. 즉, 할당부(103)는, Dch 및 Lch과, RB과의 대응화된 배치 패턴을 미리 보지(保持)하여,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각 RB에 할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ch의 배치 방법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할당부(103)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어느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을 어느 RB에 할당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L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어느 이동국의 Lch 데이터 심볼을 어느 RB에 할당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정보 생성부(105)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연속된 채널 번호 중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이 포함된다.
제어 정보 생성부(105)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 L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 및, 적응 제어부(116)로부터 입력되는 MCS 정보로 되어있는 제어 정보를 생성해서 부호화부(106)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6)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107)는, 부호화 후의 제어 정보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다중부(104)에 출력한다.
다중부(104)는, 할당부(103)로부터 입력되는 각 데이터 심볼에 제어 정보를 다중해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8)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정보의 다중은,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마다 행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의 다중은, 시간 다중 또는 주파수 다중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IFFT부(108)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복수의 RB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해서 IFFT를 행하여, 멀티 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생성한다.
CP(Cyclic Prefix) 부가부(109)는, OFDM 심볼의 후미 부분과 동일한 신호를 CP로서 OFDM 심볼의 선두에 부가한다.
무선 송신부(110)는, CP부가 후의 OFDM 심볼에 대해서 D/A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111)로부터 각 이동국에 송신한다.
한편, 무선 수신부(112)는, 최대 n개 이동국으로부터 동시에 송신된 n개의 OFDM 심볼을 안테나(111)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 OFDM 심볼에 대해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제거부(113)는, 수신 처리 후의 OFDM 심볼로부터 CP를 제거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 부(114)는, CP제거 후의 OFDM 심볼에 대해서 FFT를 행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된 이동국 마다의 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각 이동국은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또는 서로 다른 RB을 이용해 신호를 송신하고 있어, 이동국 마다의 신호에는 각각, 각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RB마다의 수신 품질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이동국에서는, RB마다의 수신 품질을, 수신 SNR, 수신 SIR, 수신 SINR, 수신 CINR, 수신 전력, 간섭 전력, 비트 오류율, 스루풋, 소정의 오류율을 달성할 수 있는 MCS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수신 품질 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으로 표시되는 일이 있다.
복조·복호부(115-1~115-n)에 있어서, 복조부(31)는, FFT 후의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32)는, 복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수신 데이터 중 수신 품질 정보가 적응 제어부(116)에 입력된다.
적응 제어부(116)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RB 마다의 수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Lch 데이터에 대한 적응 제어를 행한다. 즉, 적응 제어부(116)는, RB마다의 수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변조부(102-1~102-n)에 대해서는, 소요 오류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MCS의 선택을 RB 마다 행하여 MCS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적응 제어부(116)는, 할당부(103)에 대해서는, Max SIR법이나Proportional Fairness(비례공평성)법 등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Lch 데이터#1~#n의 각각을 어느 RB에 할당하는지를 결정하는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한다. 또, 적응 제어부(116)는, RB 마다의 MCS 정보를 제어 정보 생성부(105)에 출력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200)의 구성을 도2에 나타낸다. 이동국(200)은, 복수의 RB로 나누어진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OFDM 심볼인 멀티 캐리어 신호를 기지국(100)(도1)으로부터 수신한다. 또, 복수의 RB에 있어서, RB 마다 Dch 및 Lch이 사용된다. 또, 동일 서브프레임에는,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 또는 Lch의 어느것인가가 할당된다.
이동국(200)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202)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OFDM 심볼을 안테나(201)를 경유해 수신하여, OFDM 심볼에 대해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제거부(203)는, 수신 처리 후의 OFDM 심볼로부터 CP를 제거한다.
FFT부(204)는, CP제거 후의 OFDM 심볼에 대해서 FFT를 행하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심볼이 다중된 수신 신호를 얻는다.
분리부(205)는, FFT 후의 수신 신호를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심볼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부(205)는, 제어 신호를 복조·복호부(206)에 출력하고, 데이터 심볼을 디매핑(de-mapping)부(207)에 출력한다.
복조·복호부(206)에 있어서, 복조부(41)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42)는, 복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 L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 및 MCS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조·복호부(206)는, 제어 정보 중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 L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를 디매핑부(207)에 출력한다.
디매핑부(207)는, 복조·복호부(206)로부터 입력되는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분리부(2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RB로부터, 자국에 할당된 데이터 심볼을 추출한다. 또한, 기지국(100)(도1)과 마찬가지로, 각 RB에서는, Dch 및 Lch의 배치 위치가 미리 대응화되어 있다. 즉, 디매핑부(207)는, 기지국(100)의 할당부(103)와 동일한 배치 패턴을 미리 보지(保持)하여,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서는,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복수의 Dch을 사용할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의 Dch을 사용한다. 또,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할당 정보에는, 연속된 채널 번호 중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이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디매핑부(207)는, 할당 정보에 표시되는 선두 채널 번호 및 말미 채널 번호에 기초하여, 자국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 Dch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특정된 Dch의 채널 번호와 대응화된 RB을 추출하고, 추출한 RB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심볼을 복조·복호부(208)에 출력한다.
복조·복호부(208)에 있어서, 복조부(51)는, 디매핑부(207)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52)는, 복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한편, 부호화·변조부(209)에 있어서, 부호화부(61)는,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터보 부호 등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62)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여기서, 이동국(200)은, 다른 이동국과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또는 서로 다른 RB을 이용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고, 송신 데이터에는, RB 마다의 수신 품질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IFFT부(210)는, 부호화·변조부(209)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복수의 RB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IFFT를 행하여, 멀티 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생성한다.
CP부가부(211)는, OFDM 심볼의 후미 부분과 동일한 신호를 CP로서 OFDM 심볼의 선두에 부가한다.
무선 송신부(212)는, CP부가 후의 OFDM 심볼에 대해 D/A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201)로부터 기지국(100)(도1)에 송신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ch의 채널의 배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OFDM 심볼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가 RB#1~#12의 12개의 RB에 균등하게 분할해서 구성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또, 각 RB에 의해 Lch#1~#12또는 Dch#1~#12가 구성되고, 적응 제어부(116)에 의해, 각 이동국이 사용하는 채널을 제어한다. 또, 도3에 나타내는 각 RB에 있어서의 Lch의 구성 및 이하에 나타내는 각 RB에 있어서의 Dch의 구성은, 할당부(103)에 미리 대응화되어 있다.
여기서, Lch에 대해서는 RB단위로 주파수 스케줄링이 행해지기 때문에, Lch에 사용되는 각 RB에는, 각각 1개 이동국으로의 Lch 데이터 심볼만이 포함된다. 즉, 1개의 RB에 의해 1개 이동국에 대한 1개의 Lch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1~#12에 의해 Lch#1~#12가 각각 배치된다. 즉, 각 Lch의 할당 단위는 「1 RB×1 서브프레임」이다.
한편, Dch에 대해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이 행해지기 때문에, Dch에 사용되는 RB에는, 각각, 복수의 Dch 데이터 심볼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Dch에 사용되는 각 RB은 2개의 서브 블록에 시간 분할되어, 각 서브 블록에 다른 Dch이 각각 배치된다. 즉, 1 RB에서는 복수의 다른 Dch이 시간다중된다. 또, 다른 2개의 RB의 서브 블록에 의해 1개의 Dch이 구성된다. 즉, 각 Dch의 할당 단위는 「(1 RB×1/2 서브프레임)×2」이며, 각 Lch의 할당 단위와 동일하다.
<배치 방법 1(도 4)>
본 배치 방법에서는, 1 RB에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한다.
우선, Dch의 채널 번호와 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의 관계식을 나타낸다.
1 RB당 서브 블록 분할수가 Nd인 경우,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Nd·(k-1)+1), Dch#(Nd·(k-1)+2),…, Dch#(Nd·k)가 배치되는 RB의 RB번호 j는, 다음 수학식(1)로 부여된다.
Figure 112013007349517-pat00001
단, k=1, 2,…, floor(Nrb/Nd)로 한다. 또, 연산자 floor(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최대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NRB은 RB수이다. 여기서, floor(Nrb/Nd)는 동일한 Dch이 배치되는 RB간격이 된다.
즉, 동일한 RB에 배치되면서 또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Nd개의 Dch#(Nd·(k-1)+1), Dch#(Nd·(k-1)+2),…, Dch#(Nd·k)는, 주파수 영역에서 floor(Nrb/Nd) RB의 간격으로 떨어진 Nd개의 RB#(j)에 분산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Nrb=12, Nd=2이므로, 위의 식(1)은, j=k+6·p(p=0, 1)가 된다. 단, k=1, 2,…, 6이다. 이에 의해,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2개의 Dch#(2 k-1) 및 Dch#(2 k)는, 주파수 영역에서 6(=12/2)RB 간격으로 떨어진 RB#(k) 및 RB#(k+6)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h#1, #2가 RB#1(RB#7)에 배치되고, Dch#3, #4가 RB#2(RB#8)에 배치되고, Dch#5, #6이 RB#3(RB#9)에 배치되고, Dch#7, #8이 RB#4(RB#10)에 배치되고, Dch#9,#10이 RB#5(RB#11)에 배치되고, Dch#11,#12가 RB#6(RB#12)에 배치된다.
다음에,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 있어서의 할당예를 도5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4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4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h 데이터 심볼을,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3을 구성하는 RB#2의 서브 블록 및 RB#8의 서브 블록과, Dch#4를 구성하는 RB#2의 서브 블록 및 RB#8의 서브 블록에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1,#2,#7,#8에 할당된다.
또, 할당부(103)는, 도5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RB 이외의 나머지 RB#3~#6 및 RB#9~#12에 L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도3에 나타내는 Lch#3~#6 및 Lch#9~#12가 L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다.
그 다음에,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4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4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4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표시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4이기 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로 사용되고 있는 Dch이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동일하게 하여,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1과,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2와, RB#2의 서브 블록 및 RB#8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3과, RB#2의 서브 블록 및 RB#8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4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1,#2,#7,#8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배치 방법에서는, 1 RB에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배치되기때문에, 1개 이동국이 복수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1개 RB의 서브 블록이 전부 사용된 다음에 다른 RB가 사용된다. 이에 의해, 1 RB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일부의 서브 블록에 데이터 심볼이 할당되는 한편, 그것이외의 서브 블록이 사용되지 않게 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Lch에 있어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Dch에 있어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할 때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의 리소스 이용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Dch에 사용되는 RB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Lch에 사용할 수 있는 RB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보다 많은 주파수대역에 대해서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1개의 이동국이 복수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복수의 Dch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Lch에 사용할 수 있는 RB, 즉 Dch에서 사용한 RB 이외의 나머지 RB에 대해서도 주파수상에서 연속된다. 예를 들면, 전파로의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나 각 RB의 대역폭이 좁은 경우,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fading)의 상관 대역폭에 대해 RB의 대역폭이 좁아진다. 이 때, 회선 품질이 높은 주파수대역에서는 회선 품질이 좋은 RB가 연속된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상관 대역폭에 대해 RB의 대역폭이 좁아질 경우에, 본 배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RB을 Lch에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연속된 채널 번호의 복수의 Lch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이 1개의 이동국에 복수의 Lch을 할당하는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 중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을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하면 된다. 따라서, D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L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서는,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 1 RB을 2 분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 RB의 분할수는 2에 한하지 않으며, 1 RB을 3 분할 이상으로 분할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 1 RB을 3 분할하는 경우의 배치 방법을 도6에 나타낸다.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1 RB에 연속되는 3개의 Dch이 배치되기때문에, 본 배치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1 Dch은 3 RB에 분산해서 구성되기때문에, 2 분할의 경우보다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배치 방법 2(도8)>
본 배치 방법에서는,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다른 복수의 Dch을 1개의 RB에 배치하는 점은 배치 방법 1과 동일하지만, 상기 1개의 RB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된 RB에, 상기 복수의 Dch 중 최소 번호 또는 최대 번호의 Dch과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Dch을 배치하는 점이 배치 방법 1과 상위(相違)하다.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도4)과 마찬가지로,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동일 RB에 배치된다. 즉, 도8에 나타내는 Dch#1~#12 중, (Dch#1, #2), (Dch#3, #4), (Dch#5, #6), (Dch#7, #8), (Dch#9, #10) 및 (Dch#11, #12)가 각각 동일 RB로 구성되는 Dch의 조합이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한쪽 조합에 포함되는 Dch 중 최소 번호 또는 최대 번호의 Dch과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Dch이 포함되는 조합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RB에 배치한다. 즉,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2 및 Dch#3이 각각 포함되는 (Dch#1,#2) 와 (Dch#3, 4) 가 분산된 다른 RB에 배치되고,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4 및 Dch#5가 각각 포함되는 (Dch#3, #4) 와 (Dch#5, #6)이 분산된 다른 RB에 배치되고,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6 및 Dch#7이 각각 포함되는 (Dch#5, #6) 과 (Dch#7, #8)이 분산된 다른 RB에 배치되고,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8 및 Dch#9가 각각 포함되는 (Dch#7, #8) 과 (Dch#9, #10)이 분산된 다른 RB에 배치되고,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10 및 Dch#11이 각각 포함되는 (Dch#9, #10) 과 (Dch#11, #12)가 분산된 다른 RB에 배치된다.
여기서, 배치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Dch의 채널 번호와 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와의 관계식을 나타낸다.
조합 k에 포함되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 Dch#(Nd·(k-1)+1), Dch#(Nd·(k-1)+2),…, Dch#(Nd·k)가 배치되는 RB의 RB번호 j는, 다음 수학식(2)으로 부여된다.
Figure 112013007349517-pat00002
여기서, q(k)는, 2행×(floor(Nrb/Nd)/2) 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또한, 블록 인터리버의 행수를 2로 했지만, floor(Nrb/Nd) 이하인 임의의 양의 정수라도 좋다. 이에 의해, 조합 k와 조합 k에 포함되는 Dch 중 최소 번호 또는 최대 번호 Dch과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Dch이 포함되는 조합(조합 k-1또는 조합 k+1)을 분산된 다른 RB번호의 RB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Nrb=12, Nd=2이므로, 위의 식(2)는, j=q(k)+6·p(p=0, 1)이 된다. 또, q(k)는,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2행×3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즉,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k=1, 2, 3, 4, 5, 6에 대해서, q(k)=1, 4, 2, 5, 3, 6이 얻어진다. 따라서,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2개의 Dch#(2 k-1) 및 Dch#(2 k)는, 주파수 영역에서 6(=12/2) RB의 간격으로 떨어진 RB#(q(k)) 및 RB#(q(k)+6)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 #2가 RB#1(RB#7)에 배치되고, Dch#5, #6이 RB#2(RB#8)에 배치되고, Dch#9, #10이 RB#3(RB#9)에 배치되고, Dch#3, #4가 RB#4(RB#10)에 배치되고, Dch#7, #8이 RB#5(RB#11)에 배치되고, Dch#11, #12가 RB#6(RB#12)에 배치된다.
다음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 있어서의 할당예를 도9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8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3을 구성하는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과, Dch#4를 구성하는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4,#7,#10에 할당된다.
또, 할당부(103)는,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RB 이외의 나머지 RB #2,#3,#5,#6,#8,#9,#11,#12에 L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도3에 나타내는 Lch#2, #3, #5, #6, #8, #9, #11, #12가 L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다.
그 다음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8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4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나타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4이기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고 있는 Dch이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동일하게 하여,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1과,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2와,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3과,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4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4,#7,#10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Dch 데이터 심볼이 4개의 RB에 할당되고, Lch 데이터 심볼이 8개의 RB에 할당된다. 단, 본 배치 방법에서는,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RB#1, RB#4, RB#7 및 RB#10에 3 RB 마다 분산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배치 방법 1(도5)보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Dch 데이터 심볼이 분산된 RB에 할당됨에 의해,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Lch 데이터 심볼도 분산되기때문에, 보다 넓은 대역에 걸친 RB을 사용하여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배치 방법에서는,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복수의 다른 Dch이 배치된 1개의 RB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된 RB에, 상기 복수의 다른 Dch 중 최소 번호 또는 최대 번호의 Dch과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Dch을 배치한다. 이 때문에, 1개 이동국의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복수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RB의 서브 블록의 일부가 사용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막으면서, 데이터 심볼을 넓은 대역에 분산해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배치 방법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Dch에 사용하는 RB가 분산되기 때문에, Dch에 사용되는 RB 이외의 나머지의 RB, 즉, Lch로서 사용되는 RB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서는,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 1 RB을 2 분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 RB의 분할수는 2에 한하지 않고, 1 RB을 3 분할 이상으로 분할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Dch을 사용할 경우에 1 RB을 3 분할하는 경우의 배치 방법을 도10에 나타낸다.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속되는Dch을 포함하는 다른 RB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기때문에, 본 배치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1 Dch은 3 RB에 분산되어 구성되기때문에, 2 분할의 경우보다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치 방법 3 (도11)>
본 배치 방법에서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면서 또, 1 RB에 소정수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소정수를 2라고 한다. 즉, 동일 RB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Dch의 채널 번호의 차(差)를 2 이내로 한다.
우선, Dch의 채널 번호와 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와의 관계식을 나타낸다.
조합 k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 j는, 배치 방법 2와 동일한 식(2)로 부여된다. 다만, 배치 방법 2에서는, 조합 k에 포함되는 Dch의 채널 번호는 연속되는데 비해, 본 배치 방법에서는, 조합 k에 포함되는 Dch의 채널 번호는 소정수만큼 떨어진다. 또, 조합 번호 k는, 채널 번호가 보다 작은 Dch의 조합에 대해, 보다 작은 값이 부여된다.
여기에서는, Nrb=12, Nd=2이므로, 배치 방법 2와 마찬가지로, j=q(k)+6·p(p=0, 1)이 된다. 단, k=1, 2,…, 6이다. 또, q(k)도, 배치 방법 2와 마찬가지로, 도7에 나타내는 2행×3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따라서, 조합 k에 포함되는 Dch은, 주파수 영역에서 6(=12/2) RB 간격으로 떨어진 RB#(q(k)) 및 RB#(q(k)+6)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단, 소정수가 2이므로, 조합 1(k=1)은 (Dch#1,#3)이 되고, 조합 2(k=2)는 (Dch#2,#4)가 된다. 조합 3~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11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3이 RB#1(RB#7)에 배치되고, Dch#5, #7이 RB#2(RB#8)에 배치되고, Dch#9, #11이 RB#3(RB#9)에 배치되고, Dch#2, #4가 RB#4(RB#10)에 배치되고, Dch#6, #8이 RB#5(RB#11)에 배치되고, Dch#10, #12가 RB#6(RB#12)에 배치된다.
다음에,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2의 연속되는 2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즉,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하는 Dch의 수가 적은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 있어서의 할당 방법을 도12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11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RB#1,#4,#7,#10에 할당된다.
그 다음에,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2의 연속되는 2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11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2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표시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2이기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고있는 Dch이 Dch#1,#2의 연속되는 2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동일하게 하여,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1과,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2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RB#1, #4, #7, #10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이와 같이, 1개의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사용하는 Dch의 수가 적은 경우, 즉, 할당되는 RB가 적은 경우에는, 전 대역에 대한 통신 리소스의 이용효율 저하의 영향이 적다. 따라서, RB내에서 할당된 서브 블록 이외의 서브 블록이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우선해서 얻을 수가 있다.
한편,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즉,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하는 Dch의 수가 많은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 있어서의 할당예를 도13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11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13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과, Dch#3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과, Dch#4를 구성하는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13에 나타내는 것처럼, 도12와 마찬가지로,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RB#1,#4,#7,#10에 할당된다. 또, 도 13에서는, RB#1,#4,#7,#10의 전부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다.
그 다음에,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11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4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나타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4이기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어 있는 Dch이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동일하게 하여, 도13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1과,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2와, RB#1의 서브 블록 및 RB#7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3과, RB#4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4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13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 #4, #7, #10의 전부의 서브 블록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이와 같이,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사용하는 Dch의 수가 많은 경우, 즉, 할당되는 RB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RB내의 전부의 서브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배치 방법에서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고, 1 RB에 소정수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는 Dch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는 Dch의 수가 많은 경우라도,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서는,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 1 RB을 2 분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 RB의 분할수는 2에 한하지 않으며, 1 RB을 3 분할 이상으로 분할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Dch을 사용하는 경우에 1 RB을 3 분할하는 경우의 배치 방법을 도14에 나타낸다. 도14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다른 RB에 배치되고, 1 RB에 소정수 2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이 배치되기때문에, 본 배치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14에 나타내는 것처럼, 1 Dch은 3 RB에 분산되어 구성되기때문에, 2 분할의 경우보다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치 방법 4(도15)>
본 배치 방법에서는,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다른 복수의 Dch을 1개의 RB에 배치하는 점은 배치 방법 1과 동일하지만, 동일한 Dch이 배치된 RB가 대역의 양단(兩端)부터 차례로 할당되는 점이 배치 방법 1과 상위하다.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도4)과 마찬가지로,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동일 RB에 배치된다. 즉, 도15에 나타내는 Dch#1~#12 중, (Dch#1,#2), (Dch#3,#4), (Dch#5,#6), (Dch#7,#8), (Dch#9,#10) 및 (Dch#11,#12)이 각각 동일 RB로 구성되는 Dch의 조합이다.
또, 상기 조합의 Dch이 배치되는 2개의 RB을 대역의 양단부터 차례로 할당한다. 즉, 도15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2)는 RB#1과 RB#12에 배치되고, (Dch#3,#4)는 RB#2와 RB#11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Dch#5,#6)는 RB#3과 RB#10에 배치되고, (Dch#7,#8)는 RB#4와 RB#9에 배치되고, (Dch#9,#10)는 RB#5와 RB#8에 배치되고, (Dch#11,#12)는 RB#6과 RB#7에 배치된다.
다음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에 있어서의 할당예를 도16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15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5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12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및 RB#12의 서브 블록과, Dch#3을 구성하는 RB#2의 서브 블록 및 RB#11의 서브 블록과, Dch#4를 구성하는 RB#2의 서브 블록 및 RB#11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2,#11,#12에 할당된다.
또, 할당부(103)는,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RB 이외의 나머지 RB#3,#4,#5,#6,#7,#8,#9,#10에 L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도3에 나타내는 Lch#3, #4, #5, #6, #7, #8, #9, #10이 L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다.
그 다음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15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15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배치 방법 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4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표시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4이기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고 있는 Dch이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의 서브 블록 및 RB#12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1과, RB#1의 서브 블록 및 RB#12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2와, RB#2의 서브 블록 및 RB#11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3과, RB#2의 서브 블록 및 RB#11의 서브 블록으로 구성되는 Dch#4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2,#11,#12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 및 배치 방법 2와 마찬가지로, Dch 데이터 심볼이 4개의 RB에 할당되고, Lch 데이터 심볼이 8개의 RB에 할당된다. 단, 본 배치 방법에서는,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대역의 양단의 RB에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다.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되는 RB의 간격이 배치 방법 1(도5) 및 배치 방법 2(도9)보다 넓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Dch 데이터 심볼이 대역 양단의 RB에 할당됨으로써, 도16에 나타내는 것처럼, Lch 데이터 심볼도 분산되기때문에, 보다 넓은 대역에 걸친 RB을 사용하여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Lch에 사용할 수 있는 RB, 즉 Dch에서 사용한 RB 이외의 나머지의 RB의 전부가 주파수상에서 연속된다. 예를 들면, 전파로의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나 각 RB의 대역폭이 좁은 경우,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상관 대역폭에 대해서 RB의 대역폭이 좁아진다. 이 때, 회선 품질이 높은 주파수대역에서는 회선 품질이 좋은 RB가 연속된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상관 대역폭에 대해서 RB의 대역폭이 좁아질 경우에, 본 배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Lch에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연속된 채널 번호의 복수의 Lch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이 1개의 이동국에 복수의 Lch을 할당하는 경우, 연속된 채널 번호 중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을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하면 된다. 본 배치 방법에서는 Lch에 사용할 수 있는 RB가 모두 주파수상에서 연속되기때문에, 1개의 이동국에 전부의 Lch을 할당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D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L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서는, Dch을 사용할 때, 1 RB을 2 분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 RB의 분할수는 2에 한하지 않으며, 1 RB을 3 분할 이상으로 분할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Dch을 사용하는 경우 1 RB을 3 분할하는 경우의 배치 방법을 도17에, 4 분할하는 경우의 배치 방법을 도18에 나타낸다. 도17, 도18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속되는 Dch을 포함한 다른 RB은, 대역의 양단부터 우선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본 배치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는 것처럼, 1 Dch은 각각 3 RB, 4 RB에 분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2 분할의 경우보다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치 방법 1~4에 대해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Lch에 있어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Dch에 있어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동시에 행할 때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Dch에 사용되는 RB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Lch에 사용할 수 있는 RB의 수가 많게 되어, 보다 많은 주파수대역에 대해서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1과 배치 방법 2를 통신 환경에 따라 전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방법 1쪽이 배치 방법 2보다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배치 방법 2쪽이 배치 방법 1보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크다.
구체적으로는,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 배치 방법 1(도5)에서는, RB#3~#6 및 RB#9~#12의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4 RB을 Lch에 사용할 수 있는 한편으로, Dch 데이터 심볼이 RB#1, #2 및 RB#7, #8의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2 RB에 할당되어 버린다. 이에 비해, 배치 방법 2(도9)에서는, RB#2, #3, RB#5, #6, RB#8, #9 및 RB#11, #12의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2 RB 밖에 Lch에 사용할 수 없는 한편, Dch 데이터 심볼이 RB#1,#4,#7,#10에 3 RB 마다 분산되어 할당된다.
이와 같이, 배치 방법 1 및 배치 방법 2에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와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수 간의 관계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할당부(103)(도1)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1 및 배치 방법 2를 통신 환경에 따라 전환하여, Dch 데이터 심볼 및 Lch 데이터 심볼을 RB에 각각 할당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할당부(103)에 있어서의 전환 방법 1~3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 방법 1>
본 전환 방법에서는, 1 RB당 서브 블록의 분할수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 RB당의 서브 블록의 분할수를 Nd라고 표시한다.
Nd가 많을수록, 동일한 Dch은 보다 많은 다른 RB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배치 방법 1에서는, Nd=2의 경우, 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한 Dch은 다른 2 RB에 분산 배치되는데 비해, Nd=4의 경우, 도19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한 Dch은 다른 4 RB에 분산 배치된다. 이와 같이, Nd가 많을수록, 동일한 Dch은 보다 많은 다른 RB에 분산 배치되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보다 커진다. 다시말하면, Nd가 적을수록,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보다 작아진다.
한편, Nd가 적을수록, 동일한 Dch이 배치되는 다른 RB간의 주파수 간격은 커진다. 예를 들면, 배치 방법 1에서는, Nd=2의 경우, 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한 Dch을 구성하는 서브 블록의 주파수 간격은 6RB인데 비해, Nd=4의 경우, 동일한 Dch을 구성하는 서브 블록의 주파수 간격은 3RB이다. 이와 같이, Nd가 적을수록, 동일한 Dch을 구성하는 서브 블록의 주파수 간격이 커지기때문에, 그 주파수 간격에 상당하는, 주파수상에서 연속된 보다 많은 RB을 Lch에 확보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Nd가 많을수록,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수가 적어진다.
그리고, 할당부(103)는, Nd가 많은 경우, 즉,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수가 적은 경우, 배치 방법 1을 이용해 Dch을 배치하고, Nd가 적은 경우, 즉,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작은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해 Dch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할당부(103)는, Nd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즉, 할당부(103)는, Nd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배치 방법 1로 전환하고, Nd가 임계값 미만일 경우, 배치 방법 2로 전환한다.
다음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1개의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할 경우의 할당예를 도20에 나타낸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3이라고 하고, Nd=4의 경우(분할수가 많은 경우), 및 Nd=2의 경우(분할수가 적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Nd=2의 경우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2(도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Nd=4의 경우, 할당부(103)는, 배치 방법 1(도19)에 따라,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h#1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RB#4의 서브 블록, RB#7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과, Dch#2를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RB#4의 서브 블록, RB#7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과, Dch#3을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RB#4의 서브 블록, RB#7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과, Dch#4를 구성하는 RB#1의 서브 블록, RB#4의 서브 블록, RB#7의 서브 블록 및 RB#10의 서브 블록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20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4,#7,#10에 할당된다.
또, 할당부(103)는, 도20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RB 이외의 나머지 RB#2,#3,#5,#6,#8,#9,#11,#12에 L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도3에 나타내는 Lch#2, #3, #5, #6, #8, #9, #11, #12가 L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전환 방법에서는, Nd=4(도20) 및 Nd=2(도9)의 어느 경우라도, Dch 데이터 심볼이 RB#1, RB#4, RB#7 및 RB#10에 할당되고, Lch 데이터 심볼이, RB#2,#3,#5,#6,#8,#9,#11,#12에 할당된다.
즉, Nd가 큰 경우(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수가 적은 경우)에는, 배치 방법 1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Nd가 작은 경우(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작은 경우)에는, 배치 방법 2를 이용함으로써,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확보하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1 RB당 서브 블록의 분할수가 많은 경우는,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이 우선적으로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하는 한편, 1 RB당 서브 블록의 분할수가 적은 경우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우선적으로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 RB당의 서브 블록의 분할수가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 및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의 양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으로 사용하는 Lch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로 확보되기때문에, L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전환 방법에서는, 이동국의 수, 또는, Dch의 수가 많을수록, 보다 큰 Nd를 사용해도 괜찮다. 이에 의해, 이동국의 수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Dch의 수가 보다 많은 경우에는, 동일한 Dch은 보다 많은 다른 RB에 분산 배치되기때문에, 1 Dch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국의 수,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Dch의 수가 보다 적은 경우에는, 1 RB당 서로 다른 복수의 Dch의 수가 적어지기때문에, 1 RB당 서브 블록의 일부에 공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통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의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d=4의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Dch의 수가 4개 미만에서는, 1 RB의 일부의 서브 블록에 공백이 생겨 버린다. 그러나, Nd를 4보다 작게 함으로써, 1 RB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블록을 전부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기때문에, 통신 리소스 사용효율의 저감을 막을 수 있다.
<전환 방법 2>
본 전환 방법에서는, 전파로 상태, 예를 들면, 전파로의 주파수 선택성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 회선 품질이 높은 RB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기 쉽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에 적합하다. 한편, 주파수 선택성이 격렬한 경우, 회선 품질이 높은 RB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기 쉽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에 적절하다.
그래서, 할당부(103)는,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 배치 방법 1을 이용해서 Dch을 배치하고, 주파수 선택성이 격렬한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해서 Dch을 배치한다.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회선 품질이 높은 RB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경우)에는, 배치 방법 1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Lch에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Lch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RB로 확보되기때문에, L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선택성이 격렬한 경우(회선 품질이 높은 RB가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는 경우)에는, 배치 방법 2를 이용함으로써, Lch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하기때문에, 넓은 대역으로 분산된 회선 품질이 높은 RB을 사용해서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주파수 선택성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하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성이 어떤 경우에서도, Dch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Lch에 대한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전환 방법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선택성은, 예를 들면, 전파로의 지연 분산(지연파의 확대)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셀의 크기 및 셀의 형상에 따라 주파수 선택성이 다르기때문에, 본 전환 방법을 셀 마다 적용해서, 셀 마다 배치 방법을 전환해도 괜찮다. 또, 이동국마다도 주파수 선택성이 다르기때문에, 본 전환 방법을 이동국 마다 적용해도 좋다.
<전환 방법 3>
본 전환 방법에서는, 시스템 대역폭, 즉, RB이 할당되는 대역폭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시스템 대역폭이 좁을수록, Dch에 사용하는 RB간의 주파수 간격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Dch을 주파수 영역에서 아무리 분산 배치하여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는 향상하지 않는다.
한편, 시스템 대역폭이 넓을수록, Dch에 사용하는 RB간의 주파수 간격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Dch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했을 경우, Dch에 사용한 RB간의 주파수 간격에 상당하는, 주파수상에서 연속된 많은 RB을 Lch에 확보할 수 있기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할당부(103)는,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배치 방법 1을 이용해 Dch을 배치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해 Dch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배치 방법 1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것보다도,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손상시키지않고,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하기때문에, 시스템 대역폭이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최적의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항상 얻을 수 있다. 또, Lch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로 확보되기때문에, L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할당부(103)에 있어서의 전환 방법 1~3에 대해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환경에 따라 Dch의 배치 방법을 전환하기때문에, Lch에 있어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과 Dch에 있어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통신 환경에 따라 항상 가장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할당부(103)(도1)에 의해 배치 방법을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할당부(103)에 의해 배치 방법을 전환하지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않은 배치 방법 전환부가 통신 환경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하고, 할당부(103)에 배치 방법의 지시를 행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할당부(103)(도1)가 배치 방법 1과 배치 방법 2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할당부(103)는, 배치 방법 2 대신에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을 이용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 및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할당부(103)는, 배치 방법 1~3을 통신 환경에 따라 전환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 방법의 전환 시에, Dch의 채널 번호와 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인 식 (1) 및 식 (2), 또는, q(k)등의 관계식의 변수를 바꾸어도 괜찮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관계식의 변수를 이동국에 통지해도 괜찮다. 이에 의해, 배치 방법이 전환될 때마다, 이동국은, 적절한 배치 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자국에 할당된 Dch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1 RB에 1개의 Dch만을 배치하는 경우(1 RB당 서브 블록의 분할수가 1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Dch의 채널 번호와 그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와의 관계식을 나타낸다.
채널 번호 k의 Dch이 배치되는 RB의 RB번호 j는, 다음 수학식(3)으로 부여된다.
Figure 112013007349517-pat00003
단, k=1, 2,…, Nrb로 한다. 또, q(k)는, M행×(Nrb/M) 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여기서, M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여기서, Nrb=12, M=4로 하면, q(k)는, 도 21에 나타내는 4행×3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즉, 도21에 나타내는 것처럼, k=1, 2, 3, 4, 5, 6, 7, 8, 9, 10, 11, 12에 대해서, q(k)=1, 7, 4, 10, 2, 8, 5, 11, 3, 9, 6, 12가 얻어진다. 이에 의해, Dch#(k)가, RB#(q(k))에 분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22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이 RB#1에 배치되고, Dch#5가 RB#2에 배치되고, Dch#9가 RB#3에 배치되고, Dch#3이 RB#4에 배치되고, Dch#7이 RB#5에 배치되고, Dch#11이 RB#6에 배치되고, Dch#2가 RB#7에 배치되고, Dch#6이 RB#8에 배치되고, Dch#10이 RB#9에 배치되고, Dch#4가 RB#10에 배치되고, Dch#8이 RB#11에 배치되고, Dch#12가 RB#12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Lch을 사용하는 경우(도3)에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Lch#1~#12가 RB#1~#12에 각각 차례로 배치되는데 비해, Dch을 사용하는 경우(도22)에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주파수상에서 분산 배치된 RB에 배치된다. 즉, RB#1~#12의 각 RB에 대해서, Lch의 사용시와 Dch의 사용시와는, 다른 채널 번호가 설정된다.
다음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에 있어서의 할당예를 도23에 나타낸다. 여기서, 할당부(103)는, 도22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22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할당부(103)는,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이 배치된 RB#1과, Dch#2가 배치된 RB#7과, Dch#3이 배치된 RB#4와, Dch#4가 배치된 RB#10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Dch 데이터 심볼은,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4,#7,#10에 할당된다.
또, 할당부(103)는,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RB 이외의 나머지 RB#2,#3,#5,#6,#8,#9,#11,#12에 L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한다. 즉, 도3에 나타내는 Lch#2, #3, #5, #6, #8, #9, #11, #12가 L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된다.
그 다음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이동국(200)에 대해서,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을 사용한 Dch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경우의,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도2)에 있어서의 추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22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하여, 도22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복수의 RB로부터 추출한다. 또,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에 통지되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는, 선두의 채널 번호인 Dch#1과, 말미의 채널 번호인 Dch#4가 표시된다.
디매핑부(207)는, Dch 데이터 심볼의 할당 정보에 나타나는 Dch의 채널 번호가 Dch#1 및 Dch#4이기때문에,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어 있는 Dch이 Dch#1~#4의 연속되는 4개의 Dch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동일하게 하여,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에 배치된 Dch#1과, RB#7에 배치된 Dch#2와, RB#4에 배치된 Dch#3과, RB#10에 배치된 Dch#4를 추출한다. 즉, 디매핑부(207)는,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RB#1,#4,#7,#10에 할당된 Dch 데이터 심볼을 자국 앞으로의 데이터 심볼로서 추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1~3과 마찬가지로, Dch 데이터 심볼이 4개의 RB에 할당되고, Lch 데이터 심볼이 8개의 RB에 할당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 데이터 심볼이 RB#1, RB#4, RB#7 및 RB#10에 3 RB 마다 분산해서 할당되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Dch 데이터 심볼이 분산 배치된 RB에 할당됨으로써, 도23에 나타내는 것처럼, Lch 데이터 심볼도 분산되기때문에, 보다 넓은 대역에 걸친 RB을 사용해서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 RB에 1개의 Dch만이 배치되면서 또,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복수의 다른 Dch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된 RB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1 이동국에 복수의 Dch이 할당되는 경우, RB의 일부만이 사용되지 않게 되는 것을 완전히 없애면서 또,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Dch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 배치된 RB에 배치하지만, Dch의 채널 번호와 RB번호가 미리 대응화되어 있기때문에,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Dch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1과 배치 방법 4를 1 RB당 서브 블록의 분할수Nd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방법 4가 배치 방법 1보다 Lch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RB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많은 Dch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배치 방법 4에서는 1개의 Dch이 배치되는 RB의 간격이 Dch에 따라 크게 다르기때문에, Dch에 의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불균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15에 있어서, Dch#1은 RB#1 및 #12에 배치되기 때문에 RB의 간격은 11RB이며 높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지지만, Dch#12는 RB#6 및 #7에 배치되기때문에 RB의 간격은 1이며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낮다.
한편, 배치 방법 1에서는 1개의 Dch이 배치되는 RB의 간격이 균등해지기 때문에 Dch과 상관없이 균일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전술한(단락 0117) 바와 같이, 이동국의 수, 또는, 사용하는 Dch의 수가 많을수록, 보다 큰 Nd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리소스의 사용효율의 저감을 막으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할당부(103)는, Nd가 많은 경우, 즉, 보다 Dch의 할당수가 많은 경우, 배치 방법 1을 이용해 Dch을 배치하고, Nd가 적은 경우, 즉, 보다 Dch의 할당수가 적은 경우, 배치 방법 4를 이용해 Dch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할당부(103)는, Nd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해서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즉, 할당부(103)는, Nd가 임계값 이상의 경우, 배치 방법 1로 전환하고, Nd가 임계값 미만의 경우, 배치 방법 4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Nd=2의 경우에는, 도15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를 이용하고, Nd=4의 경우에는, 도19에 나타내는 등의 배치를 이용한다.
이에 의해, Dch수가 많은 경우도 적은 경우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Nd가 많은 경우(Dch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모든 Dch에 대해서 균등하고 양호한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얻어지는 배치를 취하고, Nd가 적은 경우(Dch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특정 Dch에 대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치를 취한다. 여기서, Dch이 적은 경우에는 대역의 양단에 가까운 Dch(즉, 도15의 작은 번호 Dch)를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배치 방법 4에 있어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의 불균일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Nd가 적은 경우(Dch수가 적은 경우)에 배치 방법 4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연속된 Lch용 RB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Lch에 대해서 연속 RB할당의 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국수가 적은 경우에는, 1개의 이동국이 많은 RB을 점유해서 통신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통신효율 향상 효과가 크다. 또, Nd가 많은 경우(Dch수가 많은 경우)에 배치 방법 1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분산된 Lch용 RB가 확보된다. 이동국수가 많은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국에서 리소스를 사용하기때문에 보다 분산된 Lch일수록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가 커지기때문에 통신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총 이동국수와 상관없이 Dch을 사용하는 이동국의 수와 Lch을 사용하는 이동국의 수의 비는 일정하기때문에, 본 실시형태가 유효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동국수와 상관없이 양호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지며, 또, 통신 효율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는 한편, 1 RB에 소정수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하는 점은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동일하지만,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다른 블록 인터리버를 이용해서 Dch을 배치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마찬가지로, Nrb=12, Nd=2, 소정수를 2로 한다. 또, 각 RB에 의해 Lch#1~#12 또는 Dch#1~#12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ch의 채널 번호는, 도24에 나타내는 3행×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Dch의 채널 번호 k=1, 2,…, Nrb가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에 입력되어, Dch의 채널 번호 j(k)가 출력된다. 즉, Dch의 채널 번호가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재배열된다. 그리고, k≤floor(Nrb/Nd)의 경우, Dch#(j(k))가 배치되는 RB의 RB번호는, RB#(k) 및 RB#(k+floor(Nrb/Nd))가 된다. 또, k>floor(Nrb/Nd)의 경우, Dch#(j(k))가 배치되는 RB의 RB번호는, RB#(k) 및 RB#(k-floor(Nrb/Nd))가 된다. 여기서, floor(Nrb/Nd)는 1개의 Dch이 배치되는 RB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Nrb=12, Nd=2이므로, floor(Nrb/Nd)=6이 된다. 또, j(k)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k=1, 2, 3, 4, 5, 6, 7, 8, 9, 10, 11, 12에 대해서, j(k)=1, 5, 9, 2, 6, 10, 3, 7, 11, 4, 8, 12이 얻어진다. 따라서, k≤6의 경우, Dch#(j(k))는, 주파수 영역에서 6(=floor(12/2)) RB 간격으로 떨어진 RB#(k) 및 RB#(k+6)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또, k>6의 경우, Dch#(j(k))는, 주파수 영역에서 6 RB간격으로 떨어진 RB#(k) 및 RB#(k-6)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k=1의 경우에는 j(k)=1이므로, Dch#1은 RB#1 및 RB#7(=1+6)에 분산 배치되고, k=2의 경우에는 j(k)=5이므로, Dch#5는 RB#2 및 RB#8(=2+6)에 분산 배치된다. k=3~6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k=7의 경우에는 j(k)=3이므로, Dch#3은 RB#7 및 RB#1(=7-6)에 분산 배치되고, k=8의 경우에는 j(k)=7이므로, Dch#7은 RB#8 및 RB#2(=8-6)에 분산 배치된다. k=9~12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마찬가지로, 도11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3이 RB#1(RB#7)에 배치되고, Dch#5,#7이 RB#2(RB#8)에 배치되고, Dch#9,#11이 RB#3(RB#9)에 배치되고, Dch#2,#4가 RB#4(RB#10)에 배치되고, Dch#6,#8이 RB#5(RB#11)에 배치되고, Dch#10,#12가 RB#6(RB#12)에 배치된다. 즉,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다른 RB에 배치되면서 또, 1개의 RB에 소정수(여기에서는, 2)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를 이용해서 Dch의 채널 번호를 인터리브 하는 경우에도,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 출력 중 전반 부분(즉, 블록 인터리버의 1, 2 열째)의 채널 번호 j(k)=1, 5, 9, 2, 6, 10과,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후반 부분(즉, 블록 인터리버의 3, 4열째)의 채널 번호 j(k)=3, 7, 11, 4, 8, 12가,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 RB에 배치된다. 즉,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1, 2열째로 되어있는 3행×2열의 전반 부분, 및,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3, 4열째로 되어있는 3행×2열의 후반 부분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각각 위치하는 채널 번호는, 동일 RB에 배치된다고 하는 대응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전반 부분의 1행째의 1 열째(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1행째의 1 열째)에 위치하는 채널 번호 1과, 후반 부분의 1행째의 1 열째(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1행째의 3 열째)에 위치하는 채널 번호 3이 동일 RB(도11에 나타내는 RB#1 및 #7)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전반 부분의 2행째의 1열째(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2행째의 1 열째)에 위치하는 채널 번호 5와, 후반 부분의 2행째의 1 열째(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2행째의 3열째)에 위치하는 채널 번호 7이 동일 RB(도11에 나타내는 RB#2 및 #8)에 배치된다. 다른 위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전반 부분 및 후반 부분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채널 번호는, (열수/Nd)만큼 떨어진 채널 번호가 된다. 따라서, 도24에 나타내는 것처럼,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를 4로 함으로써, 채널 번호가 2만큼 떨어진 채널 번호의 Dch이 동일 RB에 배치되게 된다. 즉, 소정수(열수/Nd)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이 동일 RB에 배치된다. 다시말하면, 1 RB에 배치하는 Dch의 채널 번호의 차(差)를 소정수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를, 소정수×Nd 로 하면 된다.
다음에, Dch의 채널수(여기에서는, RB수Nrb에 대응)가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로 나누어떨어지지않는 경우의 채널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Nrb=14, Nd=2, 소정수를 2로 한다. 또, 각 RB에 의해 Lch#1~#14또는 Dch#1~#14가 구성된다. 또, Nd=2, 소정수가 2이므로,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는 4가 된다. 그래서,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는, 열수를 4로 고정시키고, 행수를 ceil(Nrb/열수)에 의해 산출한다. 여기서, 연산자 ceil(x)는 x를 초과하는 최소의 정수를 나타낸다. 즉, 여기에서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ceil(14/4))행×4열의 블록 인터리버를 이용한다.
여기서,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가 16(=4행×4열)인데 비해, 블록 인터리버에 입력되는 Dch의 채널 번호 k=1, 2,…, NRB은, 14개이다. 즉, Dch의 채널수가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보다 적고, Dch의 채널수(14개)는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4열)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록 인터리버에 대해서,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Dch의 채널수의 차(差)의 개수만큼 널(Null)이 삽입된다. 즉, 도25에 나타내는 것처럼, 2(=16-14)개의 Null이 블록 인터리버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Null은, 블록 인터리버의 마지막 행인 4행째에 균등하게 삽입된다. 다시말하면, 2개의 Null은, 블록 인터리버의 마지막 행인 4행째에 1개 걸러 삽입된다. 즉, 도25에 나타내는 것처럼, 4행×4열의 블록 인터리버 중, 4행째의 2 열째 및 4열째에 Null이 삽입된다. 따라서, 도25에 나타내는 것처럼, 마지막 행인 4행째의 2 열째 및 4열째의 Null 이외의 위치에 Dch의 채널 번호 k=1~14가 열방향으로 입력된다. 즉, 블록 인터리버의 최후의 행에서는, Dch의 채널 번호 k=13, 14가, 열방향으로 1개 걸러 입력된다. 또한, Nd=2의 경우, 2개의 서로 다른 Dch이 2개 RB의 각 서브 블록에 분산 배치되기 때문에, Dch의 채널 총수는 짝수가 된다. 이 때문에, 열수가 4인 블록 인터리버에 삽입되는 Null의 수는, 0개 또는 2개의 경우만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서는, Nrb=14, Nd=2이므로, floor(Nrb/Nd)=7이 된다. 또, j(k)는, 도25에 나타내는 것처럼, 4행×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부여된다. 단,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에 삽입된 Null은, 블록 인터리버 출력시에는 판독하지 않고 건너뛰어, j(k)로서 출력되지 않는다. 즉, 도25에 나타내는 것처럼, k=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에 대해서, j(k)=1, 5, 9, 13, 2, 6, 10, 3, 7, 11, 14, 4, 8, 12가 얻어진다. 따라서, k≤7의 경우, Dch#(j(k))는, 주파수 영역에서 7(=floor(14/2)) RB의 간격으로 떨어진 RB#(k) 및 RB#(k+7)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또, k>7의 경우, Dch#(j(k))는, 주파수 영역에서 7 RB의 간격으로 떨어진 RB#(k) 및 RB#(k-7)의 2 RB에 분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k=1의 경우에는 j(k)=1이므로, Dch#1은 RB#1 및 RB#8(=1+7)에 분산 배치되고, k=2의 경우에는 j(k)=5이므로, Dch#5는 RB#2 및 RB#9(=2+7)에 분산 배치된다. k=3~7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k=8의 경우에는 j(k)=3이므로, Dch#3은 RB#8 및 RB#1(=8-7)에 분산 배치되고, k=9의 경우에는 j(k)=7이므로, Dch#7은 RB#9 및 RB#2(=9-7)에 분산 배치된다. k=10~14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의해, 도26에 나타내는 것처럼, Dch#1,#3이 RB#1(RB#8)에 배치되고, Dch#5,#7이 RB#2(RB#9)에 배치되고, Dch#9,#11이 RB#3(RB#10)에 배치되고, Dch#13,#14가 RB#4(RB#11)에 배치되고, Dch#2,#4가 RB#5(RB#12)에 배치되고, Dch#6,#8이 RB#6(RB#13)에 배치되고, Dch#10,#12가 RB#7(RB#14)에 배치된다. 즉, 도2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부의 RB에서는, 소정수 2 이내의 채널 번호의 2개의 Dch이 각각 배치된다.
도24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와 마찬가지로,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 출력 중 전반 부분(즉, 블록 인터리버의 1, 2 열째)의 채널 번호 j(k)=1, 5, 9, 13, 2, 6, 10과, 블록 인터리버 출력 중 후반 부분(즉, 블록 인터리버의 3, 4 열째)의 채널 번호 j(k)=3, 7, 11, 14, 4, 8, 12가, 도26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 RB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에 삽입된 2개의 Null은, 블록 인터리버의 1, 2 열째로 되어있는 4행×2열의 전반 부분 및 블록 인터리버의 3, 4 열째로 되어있는 4행×2열의 후반 부분에, 각각 1 개씩 삽입된다. 또, 2개의 Null이 삽입되는 위치는,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전반 부분의 4행째의 2 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2열째) 및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후반 부분의 4행째의 2 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4 열째)이다. 즉,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 부분 및 후반 부분에 있어서, 2개의 Null은 동일 위치에 삽입된다. 즉, 2개의 Null은, 블록 인터리버에 있어서, 동일 RB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Null이 삽입된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입력된 Dch의 채널 번호에 있어서도, 소정수(열수/Nd) 이내의 채널 번호가 동일 RB에 배치된다고 하는 대응 관계가 유지된다. 따라서,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에 대해서 Dch의 채널수가 적은 경우라도, 소정수(열수/Nd) 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이 동일 RB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입출력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27을 이용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를 4로 고정시킨다.
스텝(이하, ST라고 함)101에서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가 ceil(Nrb/4) 행×4열로 결정된다.
ST102에서는, RB수Nrb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여기서, 도27에 나타내는 연산자 mod는, modulo 연산을 나타낸다.
ST102에 있어서, RB수 Nrb가 4로 나누어 떨어질 경우(ST102:
Yes), ST103에서는, Dch의 채널 번호(k)가 블록 인터리버에 대해서 열방향으로 연속해서 기입된다.
ST104에서는, Dch의 채널 번호(j(k))가, 블록 인터리버로부터 행방향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한편, ST102에 있어서, RB수Nrb가 4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ST102:No), ST105에서는, ST103과 동일하게 하여, Dch의 채널 번호(k)가 블록 인터리버에 대해서 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기입된다. 다만, 블록 인터리버의 최후의 행(예를 들면, 도25에 나타내는 4행째)에서는, 1열 걸러 Null이 삽입된다.
ST106에서는, ST104와 동일하게 하여, Dch의 채널 번호(j(k))가, 블록 인터리버로부터 행방향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단, 블록 인터리버 기입시에 삽입된 Null(예를 들면, 도25에 나타내는 4행째의 2열째 및 4 열째)을 읽지않고 건너뛰었던 채널 번호(j(k))가 판독된다.
이와 같이 하여, Dch의 채널수가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블록 인터리버 입력시에는, Null를 삽입하여 Dch의 채널 번호 k를 기입하고, 블록 인터리버 출력시에는, Null를 읽지않고 건너뛰어 Dch의 채널 번호 j(k)를 판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Dch의 채널수가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마찬가지로,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는 한편, 1 RB에 소정수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할 수 있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에서는, 상술한 Dch의 채널 배치 방법에 의해,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이 다른 RB에 배치되는 한편, 1 RB에 소정수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이 배치된, RB과 Dch이 미리 대응화된다. 즉,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도1) 및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 (도2)는, RB과 Dch의 대응화인, 도 26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을 보지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의 할당부(103)는,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동일하게 하여, 도26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에 따라, Dch 데이터 심볼을 RB에 할당한다. 한편, 이동국(200)의 디매핑부(207)는, 할당부(103)와 마찬가지로, 도26에 나타내는 Dch의 배치 패턴에 따라, 복수의 RB로부터 자국 앞으로의 Dch 데이터 심볼을 추출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마찬가지로, 1개의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사용하는 Dch의 수가 적은 경우, RB내에서 할당된 서브 블록 이외의 서브 블록이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우선해서 얻을 수 있다. 또, 1개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사용하는 Dch의 수가 많은 경우, 즉, 할당되는 RB가 많은 경우라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RB내의 모든 서브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Dch의 채널 번호를, 인터리브 함으로써,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고, 1 RB에 소정수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의 배치 방법 3과 마찬가지로, 1개의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는 Dch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1개의 이동국의 Dch 데이터 심볼에 사용되는 Dch의 수가 많은 경우에서도,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Dch의 채널수와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고, Dch의 채널수가 블록 인터리버의 열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서도, 블록 인터리버에 Null을 삽입함으로써, 연속되는 채널 번호의 Dch을 다른 RB에 배치하여, 1 RB에 소정수이내의 채널 번호의 Dch을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든 Dch의 채널수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블록 인터리버에 Null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블록 인터리버 구성, 즉, 동일한 채널 배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RB수Nrb가 짝수(예를 들면, Nrb=14)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RB수Nrb가 홀수인 경우라도, Nrb 이하의 최대의 짝수를 Nrb에 대체하여 적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Null를 삽입하는 위치가,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전반 부분인 4행째의 2 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2열째), 및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후반 부분인 4행째의 4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4열째)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개의 Null이 삽입되는 위치는,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전반 부분 및 후반 부분에 있어서 동일 위치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2개의 Null이 삽입되는 위치는,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전반 부분의 4행째의 1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1열째), 및, 블록 인터리버 출력의 후반 부분의 4행째의 1열째(도25에 나타내는 블록 인터리버의 4행째의 3 열째)로 해도 좋다. 또, 2개의 Null이 삽입되는 위치는, 블록 인터리버의 최후의 행(예를 들면, 도25에 나타내는 4행째)에 한하지 않으며, 다른 행(예를 들면, 도25에 나타내는 1~3행째) 이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Dch을 RB에 배치하는 채널 배치 방법은, 시스템 대역폭에 의해 결정되는 총RB수(Nrb)에 의존한다. 그래서, 기지국 및 이동국은, 시스템 대역폭마다 Dch 채널 번호와 RB번호와의 대응표(예를 들면, 도4, 도8, 도11, 도15, 도26 등 )를 보지해 두고, Dch 데이터 심볼 할당 시에, Dch 데이터 심볼을 할당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하는 대응표를 참조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이 수신하는 신호(즉, 이동국이 상향 회선으로 송신하는 신호)는 OFDM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신호는, 예를 들면 싱글 캐리어 방식이나 CDMA 방식 등, OFDM 방식 이외의 전송 방식으로 전송되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RB은, OFDM 심볼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연속되는 주파수로 구성되는 블록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RB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RB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즉, 기지국이 하향회선으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서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기지국이 수신하는 신호(즉, 이동국이 상향 회선으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서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이 상향 회선의 신호에 대한 RB할당 등의 적응 제어를 행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Lch 에 대해서만 적응 변조를 행했지만, Dch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응 변조를 행해도 괜찮다. 이 때, 기지국에서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전대역의 평균 수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Dch 데이터에 대한 적응 변조를 실시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Dch에 사용하는 RB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Dch에 사용하는 RB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어도 좋고,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어도 괜찮다. 즉, 1 RB에 있어서, 복수의 Dch이 주파수 다중되어도 좋고, 시간 다중 및 주파수 다중되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이동국에 채널 번호가 연속되는 다른 복수의 Dch을 할당하는 경우, 선두의 채널 번호 및 말미의 채널 번호만을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선두의 채널 번호 및 채널수를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1 Dch을 주파수 영역에서 등간격으로 분산 배치된 RB에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 Dch을 주파수 영역에서 등간격으로 분산 배치된 RB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에 Dch을 사용했지만, 사용하는 채널은 Dch에 한정하지 않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RB 또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분산 배치되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면 된다. 또, 주파수 스케줄링 송신을 행하기 위한 채널에 Lch을 사용했지만, 사용하는 채널은 Lch에 한하지 않고, 멀티유저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면 된다.
또, Dch은 DVRB(Distributed Virtual Resource Block), Lch은 LVRB(Localized Virtual Resource Block) 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또, Dch에 사용되는 RB은 DRB 또는 DPRB(Distributed Physical Resource Block) 라고 불리는 일도 있고, Lch에 사용되는 RB은 LRB 또는 LPRB(Localized Physical Resource Block) 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또, 이동국은 UE, 기지국 장치는 Node B, 서브캐리어는 톤이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RB은, 서브 채널, 서브캐리어 블록, 서브캐리어 그룹, 서브 밴드, 또는, 청크 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CP는,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GI) 이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서브프레임은 슬롯, 프레임이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괜찮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괜찮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실시해도 괜찮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7년 6월 19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7-161958, 2007년 8월 14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7-211545 및 2008년 3월 6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8-056561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연속하는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Distributed Virtual Resource Block)의 번호를 인터리브하는 인터리브 수단과,
    번호가 인터리브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에 배치하는 배치 수단과,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갖고,
    상기 인터리브 수단은,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를, 열 방향으로 기입하고, 행 방향으로 판독하는 블록 인터리버이고,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의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기지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브 수단은,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를 Nrb라고 하면, 4열×ceil(Nrb/4)행의 블록 인터리버인 기지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ull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동일 행에 있어서, 1열 걸러서 삽입되는 기지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ull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2번째열 및 4번째열의 소정의 행에 삽입되는 기지국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ull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2번째열 및 4번째열의 마지막 행에 삽입되는 기지국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도록,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기지국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하나의 이동국 장치에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더 갖는 기지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할당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상기 이동국 장치에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할당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에 관한, 최초 번호 및 개수에 기초한 할당 정보를 상기 이동국 장치에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은, 같은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고, 시간 영역에서 다르도록,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기지국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1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의 차이는 소정수 이내인 기지국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1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의 차이는 2인 기지국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를 Nrb라고 하면, 상기 배치 수단은, 같은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주파수 영역에서, Nrb/2개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기지국 장치.
  14. 연속하는 번호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상기 번호를 인터리브하여 배치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와, 이동국 장치에 할당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할당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
    을 갖고,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서, 열 방향으로 기입되고, 행 방향으로 판독되며,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의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Null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2번째열 및 4번째열의 소정의 행에 삽입되는 이동국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Null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2번째열 및 4번째열의 마지막 행에 삽입되는 이동국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도록,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할당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에 관한, 최초 번호 및 개수에 기초한 상기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국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같은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고, 시간 영역에서 다르도록,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1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의 차이는 소정수 이내인 이동국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1 서브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의 차이는 2인 이동국 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를 Nrb라고 하면, 같은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 영역에서, Nrb/2개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23. 연속하는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를 인터리브하는 인터리브 공정과,
    번호가 인터리브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
    을 갖고,
    상기 인터리브 공정은,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있어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를, 열 방향으로 기입하고, 행 방향으로 판독하며,
    상기 배치 공정은,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인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4. 연속하는 번호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상기 번호를 인터리브하여 배치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서 송신된 데이터와, 이동국 장치에 할당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를 복호 하는 복호 공정
    을 갖고,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서, 열 방향으로 기입되고, 행 방향으로 판독되며,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인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방법.
  25. 연속하는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를 인터리브하는 인터리브 처리와,
    번호가 인터리브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배치 처리와,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있어서,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를, 열 방향으로 기입하고, 행 방향으로 판독하며,
    상기 배치 처리는,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인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집적 회로.
  26. 연속하는 번호의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상기 번호를 인터리브하여 배치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피지컬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서 송신된 데이터와, 이동국 장치에 할당된 연속하는 번호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를 복호 하는 복호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번호는,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와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의 총수의 차이의 개수인 Null이,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삽입된 4열의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서, 열 방향으로 기입되고, 행 방향으로 판독되며,
    상기 블록 인터리버의 전반의 2열과 후반의 2열에서 동일 위치에 기입된 번호의 2개의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버추얼 리소스 블록이, 1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피지컬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집적 회로.
KR1020137002073A 2007-06-19 2008-06-18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497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61958 2007-06-19
JP2007161958 2007-06-19
JP2007211545 2007-08-14
JPJP-P-2007-211545 2007-08-14
JP2008056561 2008-03-06
JPJP-P-2008-056561 2008-03-06
PCT/JP2008/001569 WO2008155911A1 (ja) 2007-06-19 2008-06-18 チャネル配置方法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698A Division KR101414310B1 (ko) 2007-06-19 2008-06-18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38A KR20130028138A (ko) 2013-03-18
KR101497244B1 true KR101497244B1 (ko) 2015-02-27

Family

ID=40156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698A KR101414310B1 (ko) 2007-06-19 2008-06-18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137002073A KR101497244B1 (ko) 2007-06-19 2008-06-18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698A KR101414310B1 (ko) 2007-06-19 2008-06-18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4) US7852807B2 (ko)
EP (4) EP2698936B1 (ko)
JP (14) JP4538535B2 (ko)
KR (2) KR101414310B1 (ko)
CN (3) CN101682390B (ko)
BR (1) BRPI0813126B1 (ko)
CA (2) CA2897380C (ko)
ES (4) ES2551297T3 (ko)
RU (2) RU2480916C2 (ko)
WO (1) WO2008155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2067B (zh) 2006-04-28 2016-08-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用于多载波通信的无线通信基站装置和无线通信方法
KR101414310B1 (ko) 2007-06-19 2014-07-01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0913099B1 (ko) 2008-01-07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KR100925441B1 (ko) 2008-01-07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KR100904433B1 (ko) 2008-01-07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RU2556389C2 (ru) * 2008-01-07 2015-07-10 Оптис Целлулар Течнолоджи,ЛЛС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данных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сурсных блоков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подвижной сет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TWI505685B (zh) * 2008-01-07 2015-10-21 Optis Cellular Techology Llc 用於排程分散式虛擬資源方塊的方法
US20110069637A1 (en) * 2009-09-18 2011-03-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Search Space Location Indication for a Relay Backhaul Link
CN101754231B (zh) * 2009-12-29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信道资源的调整方法及装置
US9014081B2 (en) * 2010-04-09 2015-04-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WO2012020536A1 (ja) * 2010-08-10 2012-0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中継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US9485766B2 (en) * 2012-02-29 2016-11-01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US9838536B2 (en) * 2013-09-30 2017-12-05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US9774728B2 (en) 2013-09-30 2017-09-26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in a context of plural communication records
US9805208B2 (en) 2013-09-30 2017-10-3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with recipient-dependent inclusion of a data selection
US9826439B2 (en) 2013-09-30 2017-11-2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operable in network equipment
US9813891B2 (en) 2013-09-30 2017-11-07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a subset-specific source identification
US9740875B2 (en) 2013-09-30 2017-08-22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exclusive data presentation
KR102280021B1 (ko) * 2014-09-11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법
US10536357B2 (en) 2015-06-05 2020-01-14 Cisco Technology, Inc. Late data detection in data center
US10142353B2 (en) 2015-06-05 2018-11-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atacenters
WO2017015963A1 (zh) 2015-07-30 2017-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设备
WO2017082941A1 (en) * 2015-11-11 2017-05-18 Ruckus Wireless, Inc. Selective wlan processing based on preamble information
CN107370701B (zh) * 2016-05-11 2020-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发送端和接收端
JP2019145867A (ja) * 2016-07-05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8365935B (zh) * 2017-01-26 2020-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配置方法、基站和终端
WO2019095256A1 (en) * 2017-11-17 2019-05-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2766A1 (ja) 2005-11-04 2007-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におけるサブバンド設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WO2007055292A1 (ja) 2005-11-10 2007-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498B2 (ja) 1995-01-11 199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ダイバーシチ送受信機
US6631018B1 (en) * 1997-08-27 2003-10-07 Nortel Networks Limited WDM optical network with passive pass-through at each node
AU3411299A (en) * 1999-03-08 2000-09-28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AU772717C (en) 2000-10-04 2004-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of downlink shared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33683B2 (en) * 2000-12-28 2008-10-07 Northstar Acquisitions, Llc System for fast macrodiversity switching in mobile wireless networks
US7076000B2 (en) * 2001-01-18 2006-07-11 Motorola, Inc. Soft-decision metric generation for higher order modulation
US20020122410A1 (en) * 2001-02-13 2002-09-05 Cybiko Inc. Method of wireless data exchange amongst devices of limited range
US6940827B2 (en) * 2001-03-09 2005-09-06 Adaptix, Inc.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for one direction and DSSS for another direction
BR0213283A (pt) * 2001-10-15 2004-10-26 Siemens Ag Método de transmissão
US7573805B2 (en) * 2001-12-28 2009-08-11 Motorola, Inc.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7031721B2 (en) * 2002-05-16 2006-04-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voiding power outages at the base station in cellular system using variable rate transmission
US7341638B2 (en) * 2002-09-17 2008-03-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Use of a low binder fiber mat with a support mat for fabricating a fiber reinforced polymeric foam composite
US20050053035A1 (en) * 2003-08-16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on uplink dedicated channels in an asynchronou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9051B2 (en) * 2003-09-02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221680B2 (en) * 2003-09-02 2007-05-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EP1526674B1 (en) 2003-10-21 2007-08-01 Alcatel Lucent Method for subcarrier allocation and for modulation scheme selection in a wireless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WO2005050885A1 (ja) 2003-11-21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ルチアンテナ受信装置、マルチアンテナ受信方法、マルチアンテナ送信装置及びマルチアンテナ通信システム
GB2411327A (en) * 2004-02-20 2005-08-24 Toshiba Res Europ Ltd Training sequence for MIMO-OFDM which is suitable for use with null sub-carriers
US8018945B2 (en) * 2004-04-29 2011-09-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non-consecutive data blocks in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US20060092873A1 (en) * 2004-10-29 2006-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Publ) Method for adaptive interle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feedback
US7397861B2 (en) * 2004-11-16 2008-07-08 Nokia Corpration Mapping strategy for OFDM-based systems using H-ARQ
US8826093B2 (en) * 2005-01-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US7620018B2 (en) * 2005-02-02 2009-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channe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network
JP4848359B2 (ja) * 2005-02-03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並列インターリーバ、並列デインターリーバ及びインターリーブ方法
JP4358158B2 (ja) 2005-03-31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割当方法
JP2006287755A (ja) * 2005-04-01 2006-10-19 Ntt Docomo Inc 上りリンクチャネル用の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EP1894335B1 (en) * 2005-06-22 2019-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ransmit uplink packet data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EP1887723A1 (en) * 2005-06-24 2008-0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CN101238663A (zh) 2005-08-05 2008-08-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载波通信中的无线通信基站装置和无线通信方法
WO2007023379A2 (en) 2005-08-25 2007-03-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signalling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fferent coding scheme
BRPI0618220A2 (pt) * 2005-11-04 201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radiotransmissão e método de radiotransmissão
CN2851047Y (zh) 2005-11-21 2006-12-27 左德建 一种防止列车无牵引动力后溜动的自动防溜器
JP2007161958A (ja) 2005-12-16 2007-06-28 Nippon Ester Co Ltd ポリエステル
WO2007082754A1 (en) 2006-01-18 2007-07-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ocalized and distributed transmission
JP4343926B2 (ja) * 2006-02-08 2009-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4256396B2 (ja) 2006-02-13 2009-04-22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目地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8041362B2 (en) * 2006-03-20 2011-10-18 Intel Corporation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and mapping
US8126464B2 (en) * 2006-03-24 2012-02-28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EP4362592A2 (en) * 2006-05-19 2024-05-01 Panasonic Holdings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CN101150553A (zh) * 2006-09-19 2008-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正交频分复用系统的资源块分配方法
US8064444B2 (en) * 2007-01-12 2011-11-22 Wi-Lan Inc.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EP1965536A1 (en) 2007-02-06 2008-09-03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based transmission system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913102B1 (ko) * 2007-03-19 200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자원 할당 정보송수신 방법
US8254245B2 (en) * 2007-04-27 2012-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pping the control channel to physical resource using block interlea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414310B1 (ko) 2007-06-19 2014-07-01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JPWO2008156098A1 (ja) * 2007-06-19 2010-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ッピング方法、マッピング装置、移動局、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6561A (ja) 2007-09-07 2008-03-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ニッケルマンガン複合酸化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904433B1 (ko) * 2008-01-07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KR100925441B1 (ko) * 2008-01-07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JP5453308B2 (ja) 2008-01-09 2014-03-2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理リソースブロックへの分散型リソースブロックインデックスのマッピン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2766A1 (ja) 2005-11-04 2007-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におけるサブバンド設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WO2007055292A1 (ja) 2005-11-10 2007-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2559B2 (ja) 2018-11-14
CA2897380C (en) 2017-08-15
US20170181163A1 (en) 2017-06-22
US9629163B2 (en) 2017-04-18
US11943752B2 (en) 2024-03-26
CA2680856C (en) 2015-11-17
JP2010252380A (ja) 2010-11-04
KR20130028138A (ko) 2013-03-18
US20180227914A1 (en) 2018-08-09
EP2169855A1 (en) 2010-03-31
RU2521493C1 (ru) 2014-06-27
RU2480916C2 (ru) 2013-04-27
US20100309873A1 (en) 2010-12-09
US9019925B2 (en) 2015-04-28
BRPI0813126A2 (pt) 2015-08-04
JP2019013049A (ja) 2019-01-24
US8509141B2 (en) 2013-08-13
CN101682390B (zh) 2013-08-28
EP2464042A1 (en) 2012-06-13
JP2018064284A (ja) 2018-04-19
JPWO2008155911A1 (ja) 2010-08-26
WO2008155911A1 (ja) 2008-12-24
EP2169855B1 (en) 2014-08-06
US20160095122A1 (en) 2016-03-31
US20110275398A1 (en) 2011-11-10
JP4540741B2 (ja) 2010-09-08
KR20100021592A (ko) 2010-02-25
JP2019216429A (ja) 2019-12-19
US20160044680A1 (en) 2016-02-11
BRPI0813126B1 (pt) 2020-02-04
JP6248175B2 (ja) 2017-12-13
JP2022180447A (ja) 2022-12-06
US20140233487A1 (en) 2014-08-21
US8040832B2 (en) 2011-10-18
US9967879B2 (en) 2018-05-08
JP5032633B2 (ja) 2012-09-26
EP2698936A1 (en) 2014-02-19
JP2016123108A (ja) 2016-07-07
CN103401642A (zh) 2013-11-20
JP4538535B2 (ja) 2010-09-08
ES2551297T3 (es) 2015-11-17
US9204444B2 (en) 2015-12-01
CN101682390A (zh) 2010-03-24
EP2698937B1 (en) 2015-08-19
JP6956835B2 (ja) 2021-11-02
US9374823B2 (en) 2016-06-21
CN103401643B (zh) 2017-06-06
ES2496976T3 (es) 2014-09-22
JP2017077011A (ja) 2017-04-20
US11438891B2 (en) 2022-09-06
ES2550683T3 (es) 2015-11-11
ES2497965T3 (es) 2014-09-23
US20200084771A1 (en) 2020-03-12
JP6060287B2 (ja) 2017-01-11
JP2010074836A (ja) 2010-04-02
CA2680856A1 (en) 2008-12-24
JP6744961B2 (ja) 2020-08-19
US20210160863A1 (en) 2021-05-27
JP7143497B2 (ja) 2022-09-28
US10512081B2 (en) 2019-12-17
JP2020188500A (ja) 2020-11-19
JP6566336B2 (ja) 2019-08-28
JP7341300B2 (ja) 2023-09-08
CN103401643A (zh) 2013-11-20
EP2698937A1 (en) 2014-02-19
US20120106479A1 (en) 2012-05-03
RU2009147284A (ru) 2011-06-27
US8208436B2 (en) 2012-06-26
KR101414310B1 (ko) 2014-07-01
US7852807B2 (en) 2010-12-14
EP2169855A4 (en) 2011-11-30
JP2012191668A (ja) 2012-10-04
JP5425268B2 (ja) 2014-02-26
CA2897380A1 (en) 2008-12-24
US8204017B2 (en) 2012-06-19
US20220377736A1 (en) 2022-11-24
EP2464042B1 (en) 2014-08-06
US10952211B2 (en) 2021-03-16
RU2012155604A (ru) 2014-06-27
CN103401642B (zh) 2016-06-29
JP5667689B2 (ja) 2015-02-12
US20110268082A1 (en) 2011-11-03
JP2015084563A (ja) 2015-04-30
JP5878616B2 (ja) 2016-03-08
US20100046459A1 (en) 2010-02-25
US20130315199A1 (en) 2013-11-28
EP2698936B1 (en) 2015-08-19
JP2022003822A (ja) 2022-01-11
JP2014064311A (ja)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3497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