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393B1 -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 Google Patents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6393B1 KR101496393B1 KR20130113003A KR20130113003A KR101496393B1 KR 101496393 B1 KR101496393 B1 KR 101496393B1 KR 20130113003 A KR20130113003 A KR 20130113003A KR 20130113003 A KR20130113003 A KR 20130113003A KR 101496393 B1 KR101496393 B1 KR 101496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 control layer
- layer
- film
- packaging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필름, 포장 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1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는 제1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표면층에 접하는 면의 이면이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1 접착조절층;을 가지는 제1 단위포장필름; 및 상기 제1 접착조절층 위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제2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제1 접착조절층에 부착되는 계면(B)이 분리가능하도록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2 접착조절층;과 상기 제2 접착조절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며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2 표면층;을 가지는 제2 단위포장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표면층 위에 합지되는 외부필름;으로서, 폴리에스터(PET), 나일론(Ny),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알루미늄 포일(Al-foil), PVDC코팅 폴리에스터(K-PET), PVDC코팅 폴리프로필렌(K-OPP),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터(Acryl-PET), 종이(Paper) 및 천(Fabric)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외부필름;을 더 포함하는 포장소재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포장소재를 이용하여 이방, 삼방, M방, 스텐드업, 지퍼, 스파우트 파우치의 형태로 제작된 포장 봉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은 전체적으로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성, 고탄성, 내충격성 및 진공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포장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포장소재 및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식품, 의약품, 전기·전자부품, 생활용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이 열용융이 가능하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합성수지 필름을 내부에 피 포장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봉투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포장재는 취급 중에 외부충격이나 포장된 내용물의 날카로운 부위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연성,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또한, 피 포장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선도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스 및 수분 차단이 요구된다. 또한 진공 포장재의 경우 진공 포장을 행한 후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성형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냉동용 포장 봉투의 경우, 냉동을 한 상태로 낙하 시 포장 봉투가 파손되지 않는 내한성이 요구된다.
한편, 포장 필름 및 포장봉투는 피 포장물에 따라 정전기 방지와 같은 전기 절연성 또는 항균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포장봉투에 요구되는 여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물질을 이용한 포장 봉투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봉투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진 이축 연신필름으로 구성되는 외부 필름(11)과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진 일축 연신필름으로 구성되는 포장필름(13)을 폴리에틸렌(PE)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15)로 접착하여 합지시킨 일체화된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봉투(10)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나일론은 진공성과 내한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취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에 대한 저항성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가격도 비교적 높아 포장지 또는 포장 봉투의 제조원가를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파손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해, 외부 필름(11) 또는 포장필름(13)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고려되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진공성과 내한성이 저하되거나, 만족할만한 파손에 대한 저항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냉동 식품을 단시간 동안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공기층을 포장지의 내부에 형성하는 방법, 예를 들어 외부 필름(11)과 포장필름(13) 사이에 에어셀(air cell)을 형성하거나 스폰지상 시트를 개재시킨 포장지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포장지의 내부에 에어셀을 형성시키는 데는 복잡한 공정과 설비가 필요하고, 스폰지상 시트는 추가적인 재료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포장 봉투의 원가를 크게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 고탄성, 내충격성 및 진공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적층구조를 개선한 포장 필름 및 포장봉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일론 이외의 저가의 외부 필름에 대해서도 향상된 유연성, 고탄성, 내충격성 및 진공성형성을 보이는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1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는 제1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표면층에 접하는 면의 이면이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1 접착조절층;을 가지는 제1 단위포장필름; 및 상기 제1 접착조절층 위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제2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제1 접착조절층에 부착되는 계면(B)이 분리가능하도록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2 접착조절층;과 상기 제2 접착조절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며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2 표면층;을 가지는 제2 단위포장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위포장필름 및 상기 제2 단위포장필름은 블로우(Blow) 법 또는 캐스팅(Casting) 법에 의한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Lamin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조절층과 제2 접착조절층은 서로 설정된 외력에 의해 그 계면(B)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조절층과 제2 접착조절층은 서로 물리적으로 그 계면(B)을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착조절층 및 제2 접착조절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을 블랜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1 접착조절층 사이 또는 상기 제2 표면층과 상기 제2 접착조절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중량비 80~90%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중량비 10~20%를 블랜딩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은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Lamination)되는 세 개 또는 다섯 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재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상기 제2 표면층 위에 합지되는 외부필름;으로서, 폴리에스터(PET), 나일론(Ny),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알루미늄 포일(Al-foil), PVDC코팅 폴리에스터(K-PET), PVDC코팅 폴리프로필렌(K-OPP),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터(Acryl-PET), 종이(Paper) 및 천(Fabric)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외부필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상기 포장소재를 이용하여 이방, 삼방, M방, 스텐드업, 지퍼, 스파우트 파우치의 형태로 제작된 포장봉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의 일 예에 의하면, 접착성이 있는 일면을 가지는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을 서로 설정된 외력에 의해 그 계면(B)이 분리가능하게 부착시켜 포장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 고탄성, 내충격성 및 진공성형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의 일 예에 의하면,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 필름을 이용하게 되므로, 나일론에 비해 저렴한 외부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지는 포장소재 및 포장봉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포장봉투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을 가지는 포장봉투의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을 가지는 포장봉투의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 필름 및 이를 가지는 포장봉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을 가지는 포장봉투의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포장소재(110)는 외부 필름(111)과 피 포장물에 접촉되도록 내부에 위치되는 포장 필름(100)이 서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외부 필름(111)과 포장 필름(100)은 접착제(예: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합지되어 구비되며, 합지의 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건식 적층법(Dry Lamination), 압력을 이용하는 압출 적층법(Extrusion Lamination), 열을 이용하는 열 적층법(Thermal Lamin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필름(111)은 포장봉투(120)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쇄 등이 가능하면서 내충격성을 보강하는 소재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필름(111)으로는 폴리에스터(PET), 나일론(Ny),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알루미늄 포일(Al-foil), PVDC코팅 폴리에스터(K-PET), PVDC코팅 폴리프로필렌(K-OPP),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터(Acryl-PET), 종이(Paper), 천(Fabri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포장 필름(100)은 블로우(Blow) 법 또는 캐스팅(Casting) 법으로 제조된 다층 공압출 필름으로 구비되며,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 각각이 지니는 접착성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 각각은 하나의 표면층(101a,1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101b,103b)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표면층(101a,103a)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표면층(101a)에는 외부 필름(111)이 접착된다.
접착조절층(101b,103b)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을 블랜딩하여 제조한다.
이에 의하면, 접착조절층(101b,103b)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의 조성비 등에 의하여 그 표면이 접착성을 가지게 되며, 다른 하나의 단위포장필름(101,103)에 형성된 접착조절층(101b,103b)과 별도의 접착제 부가 없이 서로 부착되어 포장 필름(10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의 접착조절층(101b,103b) 사이의 계면(B)은 소정의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소정의 외력'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이 서로 부착된 포장 필름(100)의 일 면과 타 면의 테두리 일 측에 각각 점착 테이프(예: 3M 제조의 소위 '스카치 테이프(Scotch tape))를 부착한 후 각 점착 테이프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의 접착조절층(101b,103b) 사이의 계면(B)이 서로 분리되는 정도의 외력을 의미한다.
발명자들은 우연한 기회로 소정의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접착조절층(101b,103b)에 의해 유연성, 내충격성 및 진공성형성이 종래의 포장 필름에 비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고,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발명자들이 추론컨대 접착조절층(101b,103b)의 접착형태로 인해 유연성과 외부충격 흡수하게 되며, 진공성형시 공기가 피 포장물과 포장 필름(100) 사이에 공기가 잔류하는 방지하고, 진공성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201, 203) 각각은 표면층(201a, 203a)과 접착조절층(201b, 203b) 사이에 지지층(201c, 203c)이 개재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발명자들은 여기서 지지층(201c,203c)은 충격 방지 효과를 더하여 고중량의 피 포장물 포장에 적합하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지층(201c,203c)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과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를 블랜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발명자들은 앞선 지지층(201c,203c)을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는 것이 하나의 두꺼운 지지층(201c,203c)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충격 방지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지층(201c,203c)을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는 경우, 표면층(201a,203a)과 접착조절층(201b,203b)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여도 충격 방지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포장봉투(120)는 본 예에 따른 포장소재(110)를 이용하여 이방, 삼방, M방, 스텐드업, 지퍼, 스파우트 파우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필름(100)의 다양한 적층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1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은 각각 하나의 표면층(101a,1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101b,103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장 필름(1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101,103) 사이의 계면, 즉 접착조절층(101b,103b) 사이의 계면이 앞선 설명한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제조된다.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100)의 두께는 40~250u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101a,103a)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101a,103a)의 두께는 10~62.5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조절층(101b,103b)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를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용융지수(MI) 2~3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80~100℃,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 이하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70℃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조절층(101b,103b)의 두께는 10~62.5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2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201,203)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201,203) 각각은 하나의 표면층(201a,2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201b,203b), 그리고 하나의 표면층(201a,2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201b,203b)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의 지지층(201c,203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장 필름(2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201,203) 사이의 계면, 즉 접착조절층(201b,203b) 사이의 계면이 앞선 설명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제조된다.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200)의 두께는 앞선 예와 동일하게 40~250u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층(201c,203c)의 개재로 앞선 도 3의 예에 비해 고중량의 피 포장물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표면층(201a,203a)은 앞선 예와 같이,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표면층(101a,103a)의 두께는 6.6~41.6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조절층(201b,203b)도 앞선 예와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를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용융지수(MI) 2~3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80~100℃,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 이하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70℃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접착조절층(101b,103b)의 두께는 6.6~41.6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층(201c,203c)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를 각각 중량비 80~90% 및 10~20% 비율로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는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87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층(201c,203c)의 두께는 6.6~41.6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3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301,303)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301,303) 각각은 하나의 표면층(301a,3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301b,303b),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 개의 지지층(301c,303c)이 적층되어 제조된다.
또한, 포장 필름(3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301,303)이 앞선 설명한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제조된다.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300)의 두께는 앞선 예와 동일하게 40~250u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층(301c,303c)의 개재로 앞선 도 4의 예에 비해 고중량의 피 포장물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표면층(301a,303a)은 앞선 예와 같이,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표면층(301a,303a)의 두께는 4~25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조절층(301b,303b)도 앞선 예와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를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용융지수(MI) 2~3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80~100℃,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 이하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70℃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접착조절층(101b,103b)의 두께는 4~25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개의 지지층(301c,303c) 중 각각의 지지층(301ca, 301cb, 301cc, 303ca, 303cb, 303cc)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를 각각 중량비 80~90% 및 10~20% 비율로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는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87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하나의 지지층(301ca, 301cb, 301cc, 303ca, 303cb, 303cc)의 두께는 4~25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포장 필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4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401,403)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401,403) 각각은 하나의 표면층(401a,403a)과 하나의 접착조절층(401b,403b),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섯 개의 지지층(401c, 403c)이 적층되어 제조된다.
또한, 포장 필름(400)은 두 장의 단위포장필름(401,403)이 앞선 설명한 외력에 의해 그 계면(B)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착되어 제조된다.
본 예에 따른 포장 필름(400)의 두께는 앞선 예와 동일하게 40~250u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층(401c, 403c)의 개재로 앞선 도 5의 예에 비해 고중량의 피 포장물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표면층(401a,403a)은 앞선 예와 같이,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표면층(401a,403a)의 두께는 3~18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조절층(401b,403b)도 앞선 예와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를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용융지수(MI) 2~3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80~100℃,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 이하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70℃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접착조절층(401b,403b)의 두께는 3~18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 개의 지지층(401c, 403c) 중 각각의 지지층(401ca, 401cb, 401cc, 401cd, 401ce, 403ca, 403cb, 403cc, 403cd, 403ce)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를 각각 중량비 80~90% 및 10~20% 비율로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92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는 용융지수(MI) 1~2g/10min, 밀도 0.87g/cm2, 가공온도 150~190℃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하나의 지지층(401c, 403c)의 두께는 3~18u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1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는 제1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표면층에 접하는 면의 이면이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1 접착조절층;을 가지는 제1 단위포장필름; 및
상기 제1 접착조절층 위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제2 접착조절층;으로서, 상기 제1 접착조절층에 부착되는 계면(B)이 분리가능하도록 설정된 접착성을 가지는 제2 접착조절층;과 상기 제2 접착조절층 위에 적층(Lamination)되며 시트(sheet) 상으로 구비되는 제2 표면층;을 가지는 제2 단위포장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포장필름 및 상기 제2 단위포장필름은 블로우(Blow) 법 또는 캐스팅(Casting) 법에 의한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Lamin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조절층과 제2 접착조절층은 서로 설정된 외력에 의해 그 계면(B)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조절층과 제2 접착조절층은 서로 물리적으로 그 계면(B)을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착조절층 및 제2 접착조절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량비 10~20%와 메탈로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량비 80~90%을 블랜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1 접착조절층 사이 또는 상기 제2 표면층과 상기 제2 접착조절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중량비 80~90%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중량비 10~20%를 블랜딩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Lamination)되는 세 개 또는 다섯 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포장 필름; 및
상기 제2 표면층 위에 합지되는 외부필름;으로서, 폴리에스터(PET), 나일론(Ny),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알루미늄 포일(Al-foil), PVDC코팅 폴리에스터(K-PET), PVDC코팅 폴리프로필렌(K-OPP),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터(Acryl-PET), 종이(Paper) 및 천(Fabric)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외부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소재. - 청구항 8의 포장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포장 봉투로서,
이방, 삼방, M방, 스텐드업, 지퍼, 스파우트 파우치의 형태로 제작되는 포장 봉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3003A KR101496393B1 (ko) | 2013-09-24 | 2013-09-24 |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3003A KR101496393B1 (ko) | 2013-09-24 | 2013-09-24 |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6393B1 true KR101496393B1 (ko) | 2015-02-27 |
Family
ID=5259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3003A KR101496393B1 (ko) | 2013-09-24 | 2013-09-24 |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393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UB20169947A1 (it) * | 2016-01-13 | 2017-07-13 | Acm S R L | Materiale multistrato atto al confezionamento ed alla conserv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
KR101867877B1 (ko) * | 2017-06-09 | 2018-06-19 | 주식회사 불스원 | 포장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88077A (ko) | 2017-01-26 | 2018-08-03 | 양재형 | 적층시트로 이루어진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14725B1 (ko) * | 2019-02-11 | 2020-06-05 | 이흥수 | 다중 시트를 구비하는 연결형 포켓 시스템 |
KR102470420B1 (ko) * | 2022-03-11 | 2022-11-25 | 삼호케미칼(주) | 식품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34079A (ko) * | 2022-09-06 | 2024-03-13 | 이승현 |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3580A (ko) * | 2010-12-08 | 2012-06-18 | 박윤희 | 포장용 봉투 |
JP2013525163A (ja) | 2010-05-06 | 2013-06-20 | クラリアント・マスターバッチェス・(イタリア)・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 多層ブロー成形された中空体の製造方法 |
-
2013
- 2013-09-24 KR KR20130113003A patent/KR1014963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25163A (ja) | 2010-05-06 | 2013-06-20 | クラリアント・マスターバッチェス・(イタリア)・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 多層ブロー成形された中空体の製造方法 |
KR20120063580A (ko) * | 2010-12-08 | 2012-06-18 | 박윤희 | 포장용 봉투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UB20169947A1 (it) * | 2016-01-13 | 2017-07-13 | Acm S R L | Materiale multistrato atto al confezionamento ed alla conserv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
KR20180088077A (ko) | 2017-01-26 | 2018-08-03 | 양재형 | 적층시트로 이루어진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867877B1 (ko) * | 2017-06-09 | 2018-06-19 | 주식회사 불스원 | 포장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102114725B1 (ko) * | 2019-02-11 | 2020-06-05 | 이흥수 | 다중 시트를 구비하는 연결형 포켓 시스템 |
KR102470420B1 (ko) * | 2022-03-11 | 2022-11-25 | 삼호케미칼(주) | 식품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34079A (ko) * | 2022-09-06 | 2024-03-13 | 이승현 |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
KR102694915B1 (ko) | 2022-09-06 | 2024-08-13 | 이승현 |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6393B1 (ko) | 포장필름, 포장소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봉투 | |
JP5790497B2 (ja) | 多層積層易開封包装体 | |
JP6653516B2 (ja) | 非吸着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材用積層体 | |
JP2024102212A (ja) |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 |
JP7286924B2 (ja) | 耐内容物性エージングレス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 | |
TW201946783A (zh) | 多層薄膜及包裝材料 | |
US20220297916A1 (en) | Food wrap | |
JP2021133679A (ja) | 透明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 |
KR20160069545A (ko) |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약포지 | |
JP3836164B2 (ja) | バリヤー性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933282B2 (ja) |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 |
US20230278770A1 (en) | Packaging film for retort applications | |
CN210590898U (zh) | 一种铝箔复合阻隔膜及包装盒 | |
JP6988190B2 (ja) | 包装材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包装体 | |
JP2021088398A (ja) | スキンパック包装体 | |
JP4623275B2 (ja) | 酸素検知剤付き脱酸素剤用外装包装袋 | |
JP2014084149A (ja) | 包装袋 | |
JP7276394B2 (ja) |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 |
JP7257777B2 (ja) |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 |
CN210590896U (zh) | 一种高阻隔复合膜及包装盒 | |
JPH1095082A (ja) | 易引裂き性共押出複合フイルム | |
TWI727698B (zh) | 用於包裝之多層薄膜結構 | |
US20210187905A1 (en) | One-ply cold seal packaging materials | |
JP2004042313A (ja) | イージーピール性多層複合フィルム | |
JP2016117515A (ja) | ヒートシール用フィルム及び包装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