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825B1 - 용기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825B1
KR101495825B1 KR20130142600A KR20130142600A KR101495825B1 KR 101495825 B1 KR101495825 B1 KR 101495825B1 KR 20130142600 A KR20130142600 A KR 20130142600A KR 20130142600 A KR20130142600 A KR 20130142600A KR 101495825 B1 KR101495825 B1 KR 10149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rizontal
vertical guide
air injection
injec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원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우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승원 filed Critical 우승원
Priority to KR2013014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9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약과 같이 물약이 수용되는 PE재질의 의료용 용기가 정렬 공급되도록 하되,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용기의 입구가 상측으로, 바닥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항시적인 정방향 공급이 가능하고, 정렬플랩,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 프로펠러기구,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 및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용기가 안착홈 주변에 적체되지 않고 안착홈 내에 정확하게 안착 위치될 수 있으며, 안착홈을 통해 공급된 용기는 수직가이드부재 및 수평가이드부재를 통해 컨베이어까지 신속 용이하게 안내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용기가 이동 배출되는 컨베이어의 벨트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용기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는 상부에 경사면과 평탄면이 마련되는 설치 프레임과, 상기 설치 프레임 하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이 상기 경사면 상에 위치되는 모터와, 상기 경사면 측에 경사지게 위치되되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일 방향 회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용기들이 개별적으로 안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직하부에는 안착홈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기의 하측으로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부재가 복층구조로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그 저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면 측에 상기 회전판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에 의해 상기 용기들이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용기의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평가이드부재가 상기 복층구조의 수직가이드부재 사이와 하측 구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외부통 및 상기 평탄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일단부에 그 단부가 근접 위치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용기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정렬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vessel}
본 발명은 용기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과 같이 물약이 수용되는 PE재질의 의료용 용기가 정렬 공급되도록 하되,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용기의 입구가 상측으로, 바닥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항시적인 정방향 공급이 가능하고, 정렬플랩,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 프로펠러기구,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 및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용기가 안착홈 주변에 적체되지 않고 안착홈 내에 정확하게 안착 위치될 수 있으며, 안착홈을 통해 공급된 용기는 수직가이드부재 및 수평가이드부재를 통해 컨베이어까지 신속 용이하게 안내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용기가 이동 배출되는 컨베이어의 벨트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용기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와 같은 액상 물질이 저장되는 PE재질의 용기는 그 내부에 액상 물질을 담기 위해 소정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제조된 다수의 용기를 회전되는 로터리 타입의 정렬장치 내에 공급하면 정렬된 상태로 컨베이어 장치로 배출되며 액상 물질이 저장된 다음 밀폐하여 출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를 정렬하는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3538호(2010년 09월 15일 등록)에 용기 정렬 장치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정렬장치 내부에 일방향 회전되는 중앙판과 타방향 회전되는 가장자리 판으로 구분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용기가 적체되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용기가 배출되는 안착홈 측에 용기가 적체되는 현상이 쉽게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용기의 머리 측이 상부로 바닥 측이 하부로 향하는 정방향 공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PE재질의 용기, 특히 안약이 담겨지는 소형 용기의 경우 그 무게가 비교적 가벼워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쉽게 쓰러지고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약과 같이 물약이 수용되는 PE재질의 의료용 용기가 정렬 공급되도록 하되,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용기의 입구가 상측으로, 바닥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항시적인 정방향 공급이 가능한 용기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렬플랩,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 프로펠러기구,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 및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용기가 안착홈 주변에 적체되지 않고 안착홈 내에 정확하게 안착 위치될 수 있는 용기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홈을 통해 공급된 용기는 수직가이드부재 및 수평가이드부재를 통해 컨베이어까지 신속 용이하게 안내 및 배출될 수 있는 용기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가 이동 배출되는 컨베이어의 벨트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는 용기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직하부에는 안착홈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기의 하측으로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부재가 복층구조로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그 저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면 측에 상기 회전판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에 의해 상기 용기들이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용기의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평가이드부재가 상기 복층구조의 수직가이드부재 사이와 하측 구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외부통 및 상기 평탄면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일단부에 그 단부가 근접 위치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용기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는 상부에 위치되되 공급되는 상기 용기가 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가이드와, 상기 제 1 수직가이드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수직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상기 용기가 기립 될 수 있도록 1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가이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수직가이드와 제 2 수직가이드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위치되는 구간 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수단으로 용기가 배출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 1 수직가이드로부터 상기 제 2 수직가이드로의 용기 공급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 1 수평가이드와, 상기 제 1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수평가이드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제 2 수직가이드 내부에 위치된 상기 용기가 상기 컨베이어수단까지 안내되도록 하는 제 2 수평가이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홈의 양단에는 상기 용기의 안착 방향에 따라 그 입구 측이 선택적으로 걸려져 상기 용기가 세워지는 정방향으로 상기 용기가 상기 제 1 수직가이드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 1 단턱과 제 2 단턱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2 단턱은 상기 상기 제 1 단턱에 상기 용기의 입구 측이 걸려질 때 상기 용기의 바닥 측이 상기 제 2 단턱에 걸려지지 않도록 제 1 단턱에 비해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용기들이 자중에 의해 몰리게 되는 하측구간에는 상기 용기들이 상기 안착홈 내에 적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정렬플랩이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정렬플랩의 일측에는 상기 정렬플랩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상기 용기들을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상기 용기를 회전되는 날개를 통해 상기 회전판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기구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프로펠러기구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 된 상기 용기가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안착홈 내에 이격 됨 없이 정위치 되도록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는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에 비해 상기 외부통 측벽의 낮은 지점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기 용기를 하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가이드 내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통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 내에 끼어 이동되지 못한 상기 용기를 상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는 상기 회전판의 하측 중 상기 제 1 수평가이드가 종료되는 구간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평탄면 상에 설치되며 밀실하게 폐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 측으로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흡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평가이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용기들이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상기 제 2 수평가이드부재의 단부 하측에 근접 위치되는 벨트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홀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 상의 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력 생성부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는 첫째, 안약과 같이 물약이 수용되는 PE재질의 의료용 용기가 정렬 공급되도록 하되,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용기의 입구가 상측으로, 바닥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항시적인 정방향 공급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둘째, 정렬플랩,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 프로펠러기구,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 및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용기가 안착홈 주변에 적체되지 않고 안착홈 내에 정확하게 안착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안착홈을 통해 공급된 용기는 수직가이드부재 및 수평가이드부재를 통해 컨베이어까지 신속 용이하게 안내 및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넷째, 용기가 이동 배출되는 컨베이어의 벨트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부분 확대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안착홈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부분 절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부분 확대 작동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안착홈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부분 절개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1)는 상부에 경사면(110)과 평탄면(120)이 마련되는 설치 프레임(100)과, 상기 설치 프레임(100) 하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210)이 상기 경사면(110) 상에 위치되는 모터(200)와, 상기 경사면(110) 측에 경사지게 위치되되 상기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일 방향 회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용기(600)들이 개별적으로 안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3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10)의 직하부에는 안착홈(31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기(600)의 하측으로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부재(320)가 복층구조로 설치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이 그 저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면(110) 측에 상기 회전판(300)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300)에 의해 상기 용기(600)들이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20) 내에 위치된 상기 용기(600)의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평가이드부재(410)가 상기 복층구조의 수직가이드부재(320) 사이와 하측 구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외부통(400) 및 상기 평탄면(12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2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10)의 일단부에 그 단부가 근접 위치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10)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용기(600)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수단(5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 및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설치 프레임(100)은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측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와, 이 다리 상에 위치되며 상부면에 경사면(110)과 평탄면(120)이 분할 마련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경사면(110)은 추후에 설명될 회전판(300)과 외부통(400)의 설치각도인 25°내지 35°에 맞추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치 프레임(100)은 모터(200)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견고한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그 다리 측 하단이 지면과 볼트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 체결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설치 프레임(100) 하측에는 모터(200)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모터(200)는 추후에 설명될 회전판(3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동축(210)이 경사면(110)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모터(200)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와 동일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측에 모터(200)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추후에 설명될 작동 가능한 구성부재 또한 동시에 제어되는 것으로 함)가 더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경사면(110) 측에는 회전판(3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회전판(300)은 공급되는 용기(600)들이 한 곳에 적체되지 않고 안착홈(310) 내에 개별적으로 안착 될 수 있도록 용기(600)들을 지속적으로 섞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판(300)은 전술한 설치 프레임(100)의 경사면(110) 측에 경사지게 위치되되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일 방향 회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용기(600)들이 개별적으로 안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310)이 관통 형성되며, 이 안착홈(310)의 직하부에는 안착홈(310)을 통해 공급된 용기(600)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부재(320)가 복층구조로 설치된다.
전술한 안착홈(310)은 회전되는 회전판(300)에 의해 이동되는 용기(600)들이 개별적으로 각각 위치되어 수직가이드부재(32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안착홈(31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용기(600)의 안착 방향에 따라 그 입구 측이 선택적으로 걸려져 용기(600)가 항시 세워지는 정방향으로 용기(600)가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 1 단턱(311)과 제 2 단턱(31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2 단턱(312)은 제 1 단턱(311)에 비해서 그 폭이 좁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 1 단턱(311)에 용기(600)의 입구 측이 걸려질 때 용기(600)의 바닥 측이 제 2 단턱(312)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제 1 단턱(311)이 회전판(300)의 회전방향(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위치되는데, 이는 회전판(300)의 반 시계방향 회전시 용기(600)가 원심력에 의해서 제 2 단턱(312) 측으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즉, 용기(600)의 머리 측이 제 1 단턱(311) 측으로 위치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용기(600) 바닥이 제 2 단턱(312) 내로 진입되지 못해 제 1 단턱(311)에 용기(600)의 머리 측이 걸리게 되어 용기(600)의 바닥 측부터 수직공급부재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용기(600)의 머리가 제 2 단턱(312) 측으로 위치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용기(600)의 머리가 제 2 단턱(312)에 걸리게 되어 용기(600)의 바닥 측부터 수직공급부재 측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안착홈(310)은 용기(600)가 용이하게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내주연이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수직가이드부재(320)는 안착홈(310) 내에서 하향 이동되는 용기(600)를 받아 정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가이드부재(320)는 상부에 위치되되 공급되는 용기(600)가 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이 제 1 수직가이드(321)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제 1 수직가이드(321)에 의해 안내된 용기(600)가 정방향으로 기립 위치될 수 있도록 1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가이드(322)로 이루어진다. 이때 1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가이드(322)의 상단 측도 제 1 수직가이드(321)의 하단보다는 넓어지는 형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수직 이동되는 용기(600)가 용이하게 내부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회전판(300) 상에는 외부통(400)이 고정 위치되는데, 이 외부통(400)은 회전하는 회전판(300) 주변에 위치되어 용기(6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내주연에 형성된 수평가이드부재(410)를 통해 용기(60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외부통(400)은 회전판(300)이 그 저면에서 회전되도록 경사면(110) 측에 회전판(300)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회전되는 회전판(300)에 의해 용기(600)들이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수직가이드부재(320) 내에 위치된 용기(600)의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평가이드부재(410)가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제 2 수직가이드(322) 사이와, 제 2 수직가이드(322) 하부 구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수평가이드부재(410)는 전술한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제 2 수직가이드(322) 사이에 위치되되 컨베이어수단(500)이 위치되는 구간 측에 위치되어 컨베이어수단(500)으로 용기(600)가 배출되는 구간에서는 제 1 수직가이드(321)로부터 제 2 수직가이드(322)로의 용기(600) 공급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 1 수평가이드(411)와, 제 1 수평가이드(411)의 하부에 위치되되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걸쳐 설치되어 제 2 수직가이드(322) 내부에 위치된 용기(600)가 상기 컨베이어수단(500)까지 안내되도록 하는 제 2 수평가이드(412)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되는 회전판(300)의 안착홈(310)을 통해 제 1 수직가이드(321)로 공급된 용기(600)는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설치된 구간에서는 제 1 수평가이드(411)에 의해 제 2 수직가이드(322)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그대로 제 2 수직가이드(322) 내로 이동되며 제 2 수평가이드(412)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수평가이드(411)와 제 2 수평가이드(412)는 수직가이드부재(320) 내의 용기(6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수평가이드(411)는 추후에 설명될 컨베이어수단(500)이 위치되는 구간에 설치되어 제 2 수직가이드(322) 내의 용기(600)는 컨베이어수단(500) 측으로 배출되고 제 1 수직가이드(321) 내의 용기(600)가 컨베이어수단(500) 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전술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용기(600)들이 자중에 의해 몰리게 되는 하측 구간에는 정렬플랩(420)이 회전판(300)의 중앙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정렬플랩(420)은 전술한 용기(600)들이 안착홈(310) 내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회전판(300)이 연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300)의 가장자리, 즉 안착홈(310) 측에 다수의 용기(600)들이 적체되는데 이로 인해 안착홈(310) 측에 위치된 용기(600)가 안착홈(310)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정렬플랩(420)을 통해 안착홈(310)에 이중, 삼중으로 쌓인 용기(600)를 쳐내어 제거해 주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정렬플랩(420)은 안착홈(310) 내에 한 개의 용기(600)가 위치된 상태보다 다소 높은 위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설치구간은 전체 외부통(400) 하측 경사구간의 160°내지 180°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정렬플랩(420)은 공급되는 용기(600)의 크기에 따라서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정렬플랩(420)으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에는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는 전술한 정렬플랩(420)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용기(600)를 2차적으로 정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안착홈(310) 측에 몰려있는 용기(600)를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컴프레셔장치(미도시)와 공급라인(미도시)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용기(60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 및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바 이에 대한 후술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에는 프로펠러기구(44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프로펠러기구(440)는 전술한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용기(600)를 3차적으로 정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안착홈(310) 내에 잘못 위치되어 있거나 끼어 있는 용기(600)가 회전되는 날개에 의해 직접 타격됨으로써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펠러기구(440)는 외부통(400)의 외측에 위치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는 외부통(400) 측벽 외측에, 그리고 날개는 내측에 위치되어 용기(600)를 직접 타격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프로펠러기구(440)는 전술한 정렬플랩(420)과 마찬가지로 공급되는 용기(600)의 크기에 따라서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프로펠러기구(440)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에는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는 안착홈(310) 내에 안착 된 용기(600)가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안착홈(310) 내에 이격 됨 없이 정위치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가 압축공기를 용기(600) 측면 방향으로 발사해 회전판(300)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이라면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는 압축공기를 용기(600) 상부면 방향으로 발사해 안착홈(310) 측으로 용기(600)를 눌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는 안착홈(310) 내에 위치된 용기(600)가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되지 않도록 전술한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에 비해 외부통(400) 측벽의 낮은 지점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에는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가 설치되는데 이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는 전술한 안착홈(310)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용기(600)를 하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부로 강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에는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가 설치되는데 이 수직에어분사기구는 안착홈(310) 내에 끼어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에 의해서도 이동되지 못한 용기(600)를 상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는 전술한 회전판(300)의 하측 중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종료되는 구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설치 프레임(100)의 평탄면(120) 측에는 컨베이어수단(500)이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컨베이어수단(500)은 전술한 제 2 수직가이드(322)의 하측에 설치된 제 2 수평가이드(412)의 일단부에 그 단부가 근접 위치되어 제 2 수평가이드(412)를 따라 안내되는 용기(600)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수단(500)은, 전술한 평탄면(120) 상에 설치되며 밀실하게 폐쇄되는 본체(510)와, 이 본체(510)의 상, 하부 측으로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흡입홀(521)이 관통 형성되며 제 2 수평가이드(412)로부터 공급되는 용기(600)들이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제 2 수평가이드(412)부재(410)의 단부 하측에 근접 위치되는 벨트(520)와, 본체(510)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홀(521)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 되도록 하여 벨트(520) 상의 용기(600)가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력 생성부(530)가 포함된다.
즉, 제 2 수평가이드(412)를 따라 안내된 용기(600)들은 무한회전되는 벨트(520)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출되되 흡입홀(521)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벨트(520) 상의 용기(600)들은 쓰러지지 않고 다음 공정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흡입력 생성부(530)는 종래기술에 따른 흡입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정렬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세 설명한다.
먼저, 모터(200)를 작동시켜 회전판(30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컨베이어수단(500)을 작동시킨다.
그런 다음, 공급호퍼(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다수의 용기(600)가 외부통(40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경사면(110)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 회전판(300)에 의해 용기(600)들이 하측으로 몰려 적체되는데 이때 일부는 안착홈(310) 내에 안착 위치된다.
안착홈(310) 내에 안착되지 못한 용기(600)들은 1차적으로 정렬플랩(420)에 의해, 2차적으로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에 의해, 3차적으로 프로펠러기구(440)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판(300) 중앙으로 강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안착홈(310)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한 용기(600)는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의 압축공기에 의해 안착홈(310)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안내홈 하측의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또한 안착홈(310) 내에서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이동되지 못한 용기(600)는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에 의해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강제 이동되고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에 의해서도 이동되지 못한 용기(600)는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에 의해 다시 회전판(300)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된다.
한편,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이동된 용기(600)는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그대로 제 2 수직가이드(322) 내로 연속 이동되고 제 2 수평가이드(412)에 의해 지지되어 컨베이어수단(500)까지 안내된다. 또한 제 2 수평가이드(412)가 컨베이어수단(500)과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제 2 수직가이드(322) 사이에 설치된 제 1 수평가이드(411)에 의해 제 1 수직가이드(321)로부터 제 2 수직가이드(322) 내로의 용기(600)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제 2 수평가이드(412)로부터 컨베이어수단(500)의 벨트(520)로 배출된 용기(600)는 벨트(520)에 형성된 흡입홀(521)을 통해서 흡입력 생성부(530)로부터 발생 된 흡입력이 전달되는바 벨트(52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600)가 쓰러지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용기 정렬장치 100 : 설치 프레임
110 : 경사면 120 : 평탄면
200 : 모터 210 : 구동축
300 : 회전판 310 : 안착홈
311 : 제 1 단턱 312 : 제 2 단턱
320 : 수직가이드부재 321 : 제 1 수직가이드
322 : 제 2 수직가이드 400 : 외부통
410 : 수평가이드부재 411 : 제 1 수평가이드
412 : 제 2 수평가이드 420 : 정렬플랩
430 :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 440 : 프로펠러기구
450 :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 460 :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
470 :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 500 : 컨베이어수단
510 : 본체 520 : 벨트
521 : 흡입홀 530 : 흡입력 생성부
600 : 용기

Claims (11)

  1. 상부에 경사면(110)과 평탄면(120)이 마련되는 설치 프레임(100);
    상기 설치 프레임(100) 하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210)이 상기 경사면(110) 상에 위치되는 모터(200);
    상기 경사면(110) 측에 경사지게 위치되되 상기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일 방향 회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용기(600)들이 개별적으로 안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3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10)의 직하부에는 안착홈(31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기(600)의 하측으로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부재(320)가 복층구조로 설치되는 회전판(300);
    상기 회전판(300)이 그 저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경사면(110) 측에 상기 회전판(300)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300)에 의해 상기 용기(600)들이 외부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20) 내에 위치된 상기 용기(600)의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수평가이드부재(410)가 상기 복층구조의 수직가이드부재(320) 사이와 하측 구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외부통(400); 및
    상기 평탄면(12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2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10)의 일단부에 그 단부가 근접 위치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10)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용기(600)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수단(500)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20)는 상부에 위치되되 공급되는 상기 용기(600)가 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에 의해 안내된 상기 용기(600)가 기립 될 수 있도록 1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가이드(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10)는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와 제 2 수직가이드(322)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컨베이어수단(500)이 위치되는 구간 측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수단(500)으로 용기(600)가 배출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로부터 상기 제 2 수직가이드(322)로의 용기(600) 공급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 1 수평가이드(411)와, 상기 제 1 수평가이드(411)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제 2 수직가이드(322) 내부에 위치된 상기 용기(600)가 상기 컨베이어수단(500)까지 안내되도록 하는 제 2 수평가이드(4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310)의 양단에는 상기 용기(600)의 안착 방향에 따라 그 입구 측이 선택적으로 걸려져 상기 용기(600)가 세워지는 정방향으로 상기 용기(600)가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 1 단턱(311)과 제 2 단턱(31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2 단턱(312)은 상기 상기 제 1 단턱(311)에 상기 용기(600)의 입구 측이 걸려질 때 상기 용기(600)의 바닥 측이 상기 제 2 단턱(312)에 걸려지지 않도록 제 1 단턱(311)에 비해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311)이 상기 회전판(300)의 회전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용기(600)들이 자중에 의해 몰리게 되는 하측구간에는 상기 용기(600)들이 상기 안착홈(310) 내에 적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정렬플랩(420)이 상기 회전판(300)의 중앙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정렬플랩(420)의 일측에는 상기 정렬플랩(420)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상기 용기(600)들을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에 의해 정리되지 않은 상기 용기(600)를 회전되는 날개를 통해 상기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기구(44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프로펠러기구(44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310) 내에 안착 된 상기 용기(600)가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안착홈(310) 내에 이격 됨 없이 정위치 되도록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는 상기 제 1 수평에어분사기구(430)에 비해 상기 외부통(400) 측벽의 낮은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2 수평에어분사기구(45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310)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기 용기(600)를 하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가이드(321) 내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400)의 측벽 내주연 중 상기 제 1 수직에어분사기구(46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310) 내에 끼어 이동되지 못한 상기 용기(600)를 상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300)의 중앙 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수직에어분사기구(470)는 상기 회전판(300)의 하측 중 상기 제 1 수평가이드(411)가 종료되는 구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수단(500)은,
    상기 평탄면(120) 상에 설치되며 밀실하게 폐쇄되는 본체(510);
    상기 본체(510)의 상, 하부 측으로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흡입홀(5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평가이드(41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용기(600)들이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상기 제 2 수평가이드(412)부재(410)의 단부 하측에 근접 위치되는 벨트(520); 및
    상기 본체(5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홀(521)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520) 상의 용기(600)가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력 생성부(5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정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130142600A 2013-11-22 2013-11-22 용기 정렬장치 KR10149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600A KR101495825B1 (ko) 2013-11-22 2013-11-22 용기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600A KR101495825B1 (ko) 2013-11-22 2013-11-22 용기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825B1 true KR101495825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600A KR101495825B1 (ko) 2013-11-22 2013-11-22 용기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67B1 (ko) * 2018-06-01 2019-01-02 황순희 부품 공급기
KR102126285B1 (ko) * 2019-01-25 2020-06-24 김성철 진단키트용 케이스 공급 장치
KR202100076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CN112249623A (zh) * 2020-10-26 2021-01-22 献县新思拓平衡块有限公司 一种车轮平衡块生产装置
CN113060525A (zh) * 2020-09-23 2021-07-02 海南凌进智能工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整理物品功能的智能输送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421A (ja) * 1992-07-07 1994-06-14 Jaime Marti コンテナを自動的に位置付けして配列する装置
KR940008379Y1 (ko) * 1992-04-10 1994-12-16 임동희 용기 정렬기의 정렬편 고정장치
JPH11894A (ja) * 1997-06-13 1999-01-06 Toyo Electric Mfg Co Ltd コンベア式自動裁断機の下敷シート送り装置
KR100193529B1 (ko) * 1989-12-08 1999-06-15 살라 마티 제이미 용기들의 자동위치설정 및 공급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29B1 (ko) * 1989-12-08 1999-06-15 살라 마티 제이미 용기들의 자동위치설정 및 공급을 위한 장치
KR940008379Y1 (ko) * 1992-04-10 1994-12-16 임동희 용기 정렬기의 정렬편 고정장치
JPH06166421A (ja) * 1992-07-07 1994-06-14 Jaime Marti コンテナを自動的に位置付けして配列する装置
JPH11894A (ja) * 1997-06-13 1999-01-06 Toyo Electric Mfg Co Ltd コンベア式自動裁断機の下敷シート送り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67B1 (ko) * 2018-06-01 2019-01-02 황순희 부품 공급기
KR102126285B1 (ko) * 2019-01-25 2020-06-24 김성철 진단키트용 케이스 공급 장치
KR202100076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KR102326139B1 (ko) * 2019-07-12 2021-11-15 (주)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CN113060525A (zh) * 2020-09-23 2021-07-02 海南凌进智能工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整理物品功能的智能输送机系统
CN113060525B (zh) * 2020-09-23 2023-11-10 海南凌进智能工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整理物品功能的智能输送机系统
CN112249623A (zh) * 2020-10-26 2021-01-22 献县新思拓平衡块有限公司 一种车轮平衡块生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825B1 (ko) 용기 정렬장치
KR100193529B1 (ko) 용기들의 자동위치설정 및 공급을 위한 장치
KR101032128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6728320B2 (ja) 自動化バッティング練習装置
GB25933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ubbles
TWI592228B (zh) 螺釘類供給裝置
EP1652801A1 (en) Article orienting apparatus
TWI694955B (zh)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及使用該自動化藥物施配機施配藥物之方法
JP6372828B2 (ja) プリフォーム整列装置
JP2014047039A (ja) 被整列部材整列セット装置
US3338373A (en) Automatic apparatus for orienting and feeding bottles, and the like
KR101728659B1 (ko) 타격용 볼 공급장치
KR20160072722A (ko) 약제포장장치
US10035241B2 (en) Shot processing apparatus and projector
KR101879814B1 (ko) 오토 티업 장치
KR20160126217A (ko) 용기 투입장치
US20130061738A1 (en) Incendiary machine
JPH10265037A (ja) アンプル供給装置
JP6043772B2 (ja) 水薬供給装置
KR101564432B1 (ko)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KR101077924B1 (ko) 칫솔 바디 정렬장치
KR20170002537U (ko) 골프공 공급장치
CN221542980U (zh) 一种输送上料机构
KR100959686B1 (ko) 스페이서 자동정렬 공급장치
CN205891451U (zh) 一种自动投螺丝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