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889B1 - 액체용기용 보관함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889B1
KR101494889B1 KR20130061432A KR20130061432A KR101494889B1 KR 101494889 B1 KR101494889 B1 KR 101494889B1 KR 20130061432 A KR20130061432 A KR 20130061432A KR 20130061432 A KR20130061432 A KR 20130061432A KR 101494889 B1 KR101494889 B1 KR 10149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liquid
stor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721A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이텍솔루션
Priority to KR2013006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8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2067/025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having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획실을 형성하고, 이 구획실에 시약이 수용된 용기를 보관함과 동시에 용기의 파손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신속하게 파손된 용기를 처리하여 주변의 오염 및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누수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용기용 보관함{Bottle sto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획실을 형성하고, 이 구획실에 시약이 수용된 용기를 보관함과 동시에 용기의 파손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신속하게 파손된 용기를 처리하여 주변의 오염 및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장 및 진열장은 일정형태를 갖는 기체의 내부에 다수의 선반이 일정간격으로 구획설치되고, 일 부위에는 선택적으로 소정공간의 수납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선반상에 진열대상의 물품을 수납시켜 단정하게 진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5958호에는 일정형태를 갖는 기체의 내부에 다수의 선반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설치되고, 일 부위에는 선택적으로 소정공간의 수납부가 마련되고, 기체의 내부 적정위치 또는 일측면으로 일면은 반사부가 타면은 투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 투사유리체를 개재시킨 진열장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진열장은 수납, 진열된 물품의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실험시 사용되는 화학약품이 담긴 시약통을 종류에 따라 보관하기에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시약통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없어 시약통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시약장의 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시약장에 보관된 약품을 사용하기 위해 문을 개방하게 되면 시약장 내부의 유해가스가 직접 노출되어 인체에 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5424호 "환기식 시약장" 등 다양한 시약장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약장은 시약이 수용된 용기를 단순히 시약보관실에 설치된 선반에 용기를 올려놓는 방식으로 보관하고 있다.
따라서, 선반에 올려놓은 다수의 용기를 인출 또는 올려놓는 과정에서 다른 용기와 부딪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한 시약장의 진동 등에 의해 용기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시약장에 보관된 용기의 파손시 이를 알리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용기가 파손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시약장 및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과, 용기로부터 누수된 시약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내측에 개별적으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실을 구획하여 시약 등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를 수용 보관함으로써, 용기와 용기의 충돌 등에 의해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용실에 수용된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용기로부터 액체의 누수시 경보음 및 경보등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신속하게 누수되는 용기를 처리하여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회수통을 구비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회수하여 주변이 누수된 액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용기가 수용되는 수납실 각각에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수납실 각각에 알림등을 구비하여 수납실에 수용된 용기로부터 누수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알림등을 작동시킴으로써, 관리자가 누수되는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가 수납되는 수납실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용기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기가 수납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상부에 배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항상 청결하게 본체의 내부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누수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배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수납부는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실은 후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설치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부는 본체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회수통과, 상기 회수통과 일측부가 연계되고, 타측부는 수납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액체의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알림등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경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수납부의 배출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감지센서는 회수부의 회수통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알림등은 본체의 외측부 또는 수납부의 설치판에 형성된 수납실 각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개별적으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실을 구획하여 시약 등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를 수용 보관함으로써, 용기와 용기의 충돌 등에 의해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용실에 수용된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용기로부터 액체의 누수시 경보음 및 경보등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신속하게 누수되는 용기를 처리하여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회수통을 구비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회수하여 주변이 누수된 액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가 수용되는 수납실 각각에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수납실 각각에 알림등을 구비하여 수납실에 수용된 용기로부터 누수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알림등을 작동시킴으로써, 관리자가 누수되는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가 수납되는 수납실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용기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기가 수납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상부에 배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항상 청결하게 본체의 내부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실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100)은 전면에 도어(112)가 구비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환기팬(미도시)이 설치되어 본체(110)의 내측 오염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시약 등 액체가 수용된 용기가 안착 보관되는 수납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210)는 본체(110)의 내측 공간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설치판(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212)에는 본체(110)의 내측에 잔류하는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되게 하고, 전면에 잔류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배기구(1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판(212)의 전면에 잔류하는 공기는 이 통공(214)을 통하여 이동하여 배기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설치판(212)에는 전면이 개방되게 다수개의 수납실(216)이 형성되되, 이 수납실(216)은 후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실(216)에 용기를 수납시킬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수납된 용기가 수납실(2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용기를 수납 및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실(216)과 일측부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수납실(216)에 수용된 용기로부터 누수되는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2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18)는 수납실(216)의 후부 하단부에 위치되어 수납실(216)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실(216)에 수용된 용기의 파손 또는 용기의 입구로 배출된 액체가 수납실(216)에 모여 있지 않고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210)의 수납실(216)에 수납된 용기로부터 누수되어 배출구(218)로 배출되는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수부(310)는 설치판(212)의 후부에 위치되되, 본체(110)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회수통(3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수통(312)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110)의 후부 또는 측부에 서랍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수통(312)을 본체(110)로부터 인출시켜 회수통(312)으로 회수된 액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회수통(312)에 분리 가능하게 일측부가 설치되고, 타측부는 수납부(210)의 수납실(216)에 구비된 배출구(218)에 연결되는 회수관(3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수관(314)은 하나를 배관하여 다수개의 수납실(216)에 구비된 배출구(218)를 연결시켜 누수된 액체를 회수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회수관(314)을 횡 또는 종 방향으로 배관 한 후 회수관(314)이 위치하는 수납실(216)의 배출구(218)와 각각 연결시켜 누수되는 액체를 회수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회수관(314)에 대응되게 회수통(312)을 구비하여 액체를 각각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실(216)에 수납된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는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된 액체는 회수관(314)을 통해 이동하여 회수통(312)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수납부(210)의 수납실(216)에 수납된 용기로부터 누수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410)는 회수부(310)의 회수통(312)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0)의 전면 외측부에 설치되어 감지센서(412)의 정보를 전송받아 빛을 발산하는 알림등(414)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감지센서(412)의 정보를 전송받아 경보을을 발산하는 경보기(4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실(216)에 수납된 용기로부터 액체의 누수시 배출구(218) 및 회수관(314)을 통하여 회수통(312)에 모이게 되고, 회수통(312)에 모인 액체를 감지센서(412)가 감지하여 알림등(414)과 경보기(416)를 작동시켜 용기의 누수를 관리자 등에게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100)은 먼저, 시약 등 액체가 수용된 용기를 수납실(216)에 수납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실(216)에 보관 중인 용기의 파손 또는 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수납실(216)로 액체가 누수되는 경우에는 수납실(216)로 누수된 액체는 수납실(216)에 구비된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구(218)로 배출된 액체는 회수관(314)을 통하여 이동하여 회수통(312)으로 공급되어 모이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수통(312)으로 모인 액체를 감지센서(412)가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412)에서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고, 제어부로 전송된 정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알림등(414)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경보기(4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실(216)에 수용된 용기의 액체 누수시 감지센서(412)의 감지에 의해 알림등(414) 및 경보기(416)를 작동시켜 누수되는 용기를 처리함으로써, 누수된 액체로부터 액체용기용 보관함(100)의 내측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해가스로부터 관리자 및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용기용 보관함(100)의 내측에 잔류하는 유해가스 및 냄새는 배기구(11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되, 설치판(21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14)을 통하여 설치판(212)의 정면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가 설치판(212)의 후부로 이동하여 배기구(114)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용기용 보관함(100)에 시약 등 액체가 수용된 용기를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용기의 보관 중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기가 서로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의 파손 및 용기의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된 액체는 수납실(216)에 형성된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액체는 회수관(314)을 통하여 회수통(312)에 모이게 되고, 회수통(312)에 모이는 액체를 감지센서(412)가 감지하여 알림등(414) 및 경보기(416)를 작동시켜 용기의 누수를 관리자에게 알려 신속하게 누수되는 용기를 처리하여 주변 및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410)의 감지센서(412)는 설치판(212)의 수납실(216)에 구비된 배출구(218)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알림등(414)은 설치판(212)에 형성된 수납실(216) 각각의 상, 하부 또는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의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감지센서(412)를 수납실(216) 각각에 구비된 배출구(218)에 구비함으로써, 다수개의 수납실(216)에 수납되어 액체가 누수되는 용기를 신속하게 찾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실(216) 각각에 알림등(414)을 설치하여 수납실(216)에 수납되어 액체가 누수되는 용기가 수납된 수납실(216)에 수납된 용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액체용기용 보관함 110 : 본체
112 : 도어 114 : 배기구
210 : 수납부 212 : 설치판
214 : 통공 216 : 수납실
218 : 배출구 310 : 회수부
312 : 회수통 314 : 회수관
410 : 감지부 412 : 감지센서
414 : 알림등 416 : 경보기

Claims (11)

  1.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누수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로부터 누수된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액체용기용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본체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회수통과,
    상기 회수통과 일측부가 연계되고, 타측부는 수납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는 액체의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외측부 또는 수납부의 설치판에 형성된 수납실 각각에 설치되는 알림등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경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배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수납부는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은 후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수납부의 배출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회수부의 회수통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보관함.
  11. 삭제
KR20130061432A 2013-05-30 2013-05-30 액체용기용 보관함 KR10149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32A KR101494889B1 (ko) 2013-05-30 2013-05-30 액체용기용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32A KR101494889B1 (ko) 2013-05-30 2013-05-30 액체용기용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21A KR20140140721A (ko) 2014-12-10
KR101494889B1 true KR101494889B1 (ko) 2015-02-24

Family

ID=5245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432A KR101494889B1 (ko) 2013-05-30 2013-05-30 액체용기용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99B1 (ko) 2014-10-17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CN105520438B (zh) * 2015-12-08 2018-11-27 无锡万能胶粘剂有限公司 一种用于化学原料销售的储物柜
CN106492904A (zh) * 2016-10-17 2017-03-15 无锡市日升化工有限公司 一种能够排除漏液的铁架台
CN112366572B (zh) * 2020-11-26 2023-01-13 中政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机构的电力建设用配电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31A (ja) * 1996-11-25 1998-06-09 Shimazu Rika Kikai Kk 薬品容器収納装置
JP2013033041A (ja) * 2011-08-01 2013-02-14 Taigen Bioscience Corp 試薬タンクを受容するスペースのある扉を有する生体試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31A (ja) * 1996-11-25 1998-06-09 Shimazu Rika Kikai Kk 薬品容器収納装置
JP2013033041A (ja) * 2011-08-01 2013-02-14 Taigen Bioscience Corp 試薬タンクを受容するスペースのある扉を有する生体試料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21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889B1 (ko) 액체용기용 보관함
JP2014106678A (ja) 移動式の煙検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煙の発生位置の特定方法
KR20080102657A (ko) 방폭형 가스통 보관 캐비닛
KR101838920B1 (ko)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US10625010B2 (en) Blood treatment device with separate door compartment
KR100546367B1 (ko) 흡착제의 잔류 수명 확인용 감지 장치, 이를 구비한 가스스크러버 및 흡착제의 잔류 수명 확인 방법
EP2991691B1 (en)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kit for hydrogen peroxide or other chemical product used in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equipments and respective supplying system
EP2578240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343324B2 (ja) 移動式の煙検知装置
KR101343665B1 (ko) 탈착식 필터가 포함된 시약장
KR20120084383A (ko) 폐용액 저장장치
KR101322097B1 (ko) 폐약품 시약장
US20210003338A1 (en) Device for renewing air in a confined enclosure
JP6343323B2 (ja) 移動式の煙検知装置を用いた煙の発生位置の特定方法
PA8546801A1 (es) Cartucho desechable para sistemas de tratamiento de agua en los predios
KR20140019565A (ko) 오염물질 감지장치가 장착된 냉장고
TWM505312U (zh) 化學洩漏處理車
US7116226B1 (en) Cash register alarm system
KR101871382B1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JP5213885B2 (ja) 蛍光管処理システム
CN215917425U (zh) 超净安全柜
KR102098724B1 (ko) 폐시약 안전 보관함
JP2014161701A (ja) 消毒装置
KR100476403B1 (ko) 악취 및 유독가스분해촉매물질을 내장한 시약장
ES2693134T3 (es) Combinación de al menos un equipo que trabaja con al menos un material peligroso y un armario de seguridad para guardar el material peligroso correspond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