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097B1 - 폐약품 시약장 - Google Patents

폐약품 시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097B1
KR101322097B1 KR1020110123659A KR20110123659A KR101322097B1 KR 101322097 B1 KR101322097 B1 KR 101322097B1 KR 1020110123659 A KR1020110123659 A KR 1020110123659A KR 20110123659 A KR20110123659 A KR 20110123659A KR 101322097 B1 KR101322097 B1 KR 10132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aste
reagent
processing space
collection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378A (ko
Inventor
유봉근
Original Assignee
유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봉근 filed Critical 유봉근
Priority to KR102011012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0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약품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 폐약품을 성분별로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수거컵과 보관통이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되고, 케이스의 전면부가 투명창으로 되어 약품을 수거컵에 붓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폐약품 시약장을 제공하는데 그 과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약품 시약장은,
케이스의 상측에는 전면부가 개방된 처리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부에는 폐약품을 부어서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컵이 장착되며, 처리공간부의 전면부는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분리되어 하부창이 상측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전면투명창이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의 하측에는 폐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보관통이 수납되어 각 수거컵과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약품 시약장{Reagent cabinet for keepimg waste chemical}
본 발명은 폐약품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성분에 따른 폐약품을 시약장에 장착된 수거컵에 부어서 각각의 보관통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폐약품 시약장에 관한 것이다.
학교, 연구소, 산업체 등에서 발생되는 액상의 폐약품은 안전을 위해서 정해진 규정대로 분리하여 보관한 후 처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폐약품을 처리하는 과정 중에 부주의로 인한 많은 사고가 발생하여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산성, 중성, 알칼리성의 폐약품을 각각의 보관통에 따로 부어 성상별로 보관하여야 하지만 통상적으로 실내에 방치하다시피 하고, 보관통에 부을 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학반응에 의해 유독가스 발생, 발열 등에 의한 폭발사고로 인해 인명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폐약품을 보관통에 붓는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흄(Fume)을 흡입하게 되고, 옆으로 새어나오거나 튀는 경우 주위의 물품에도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약품을 성분별로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수거컵과 보관통이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되고, 케이스의 전면부가 투명창으로 되어 약품을 수거컵에 붓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폐약품 시약장을 제공하는데 그 과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약품 시약장은,
케이스의 상측에는 전면부가 개방된 처리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부에는 폐약품을 부어서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컵이 장착되며, 처리공간부의 전면부는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분리되어 하부창이 상측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전면투명창이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의 하측에는 폐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보관통이 수납되어 각 수거컵과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거컵과 보관통에 의해 폐약품을 성분별로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폐약품을 보관통에 붓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독가스 및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와 물품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처리공간부에 배기팬이 구비되어 폐약품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키는 흄후드의 복합기능까지 가지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수거컵과 연결배관, 그리고 보관통의 결합단면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전면투명창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전면투명창의 하부창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로서, 장 형태의 케이스(100)의 상측에는 폐약품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공간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폐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보관통(400)이 수납되는 하부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처리공간부(110)는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부에는 수거컵(300)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컵 장착구멍(111)이 형성되며, 이 수거컵 장착구멍(111)은 하부공간부(120)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처리공간부(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전면투명창(200)이 설치된다.
하부공간부(120)의 개방된 전면에는 확인창(131)을 갖는 문(1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처리공간부(110)의 상측에는 배기팬(720)과 필터(721)가 장착되어 폐약품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하부공간부(120)의 후측벽에는 각 보관통(400)에 유입된 폐약품의 수위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710)가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710)로부터 센싱된 수위정보는 케이스(100)의 상측전면에 구비된 회로부 및 표시부(700)로 입력되어 그에 적절한 경보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보관통(400)에 폐약품이 수용되면, 하부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기가 힘이 들게 되므로, 하부공간부(120)의 바닥부에는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선반(121)이 구비됨으로써 인출선반(121)의 상부면에 보관통(400)이 놓여 쉽게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인출선반(121)의 인출을 위해 하부공간부(120)의 바닥부에 다수개의 롤러(122)가 설치되던지 아니면 인출선반(121)의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도3은 수거컵(300)과 보관통(400), 그리고 수거컵(300)과 보관통(400)을 연결하는 연결배관(500)의 연결된 단면구조를 보인 도로서, 수거컵(300)은 컵 형태로 되어 바닥이 배수구멍(314)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힌지(312)에 결합되어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덮개(313)가 구비되고, 상부 외측으로는 둘레를 따라서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수거컵 장착구멍(111)에 걸리면서 장착되도록 한다.
수거컵(300)의 하부 외측으로는 체결부(31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거컵(300)의 바닥부로부터 체결부(315)를 관통하여 배수구멍(314)이 형성되며, 체결부(315)의 하단에서 배수구멍(314)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홈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배관(50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동일한 형태인 상부체결부(510)와 하부체결부(520)가 형성되는데, 상부체결부(510)는 연결배관(50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 형태의 끼움부(511)가 구비되고, 끼움부(511)의 외측둘레로는 턱부(512)가 형성되어 연결배관(500)의 상단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끼움부(511)의 외측으로는 크라운 너트 형태의 잠금부(513)가 구비되며, 턱부(51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끼움부(511)의 상측이 수거컵(300)의 홈부(316)에 삽입된 후, 잠금부(513)가 체결부(315)와 나사결합 형태로 체결되어 연결배관(500)의 상측이 고정됨으로써 기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하부체결부(520)도 마찬가지로 끼움부(521)의 하측이 보관통(400)의 유입구멍(4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턱부(522)가 체결부(42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잠금부(523)와 체결부(420)가 체결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즉, 연결배관(500)의 상부체결부(510)와 하부체결부(520)에 의해 보관통(400)에서 발생되는 흄(fume)이 하부공간부(120)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또한, 수거컵(300)의 배수구멍(314)을 막도록 마개(417)가 구비되어 처리공간부(110)에도 흄이 유출되지 않는다.
도4 및 도5는 전면투명창(200)의 상세구조를 보인 도로서, 투명의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a)와 같이 상부창(210)과 하부창(2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부창(210)의 상단은 경첩(211)에 의해 처리공간부(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창(220)은 상부창(210)의 하측에서 경첩(221,2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창(220)이 상부창(210)의 전면부쪽으로 회전하여 올려지게 되면, 처리공간부(110)의 하측이 개방되고, 상부창(210)까지 들어올려지면 전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가 된다.
또한, 하부창(220)은 가운데 부분에 별도의 중앙하부창(240)이 구비되는데. (b)에서와 같이 하부창(220)의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개방부(251)가 형성되고, 개방부(251)의 후측에서 개방부(221)를 개폐시키도록 중앙하부창(240)이 상부창(210)의 하단에서 경첩(241)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b)와 같이 노브(243)를 수평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창(220)을 들어올리게 되면, 중앙하부창(240)은 올려지지 않게 되어 중앙하부창(240)의 전면에 실험자의 몸을 위치시키고 좌우측 공간을 통해 팔을 집어넣어 폐약품을 처리하게 되어 몸으로 약품이 튀는 것을 중앙하부창(240)이 막아준다.
물론, (a)와 같이 노브(243)를 세우게 되면, 하부창(220)을 들어올릴 때 중앙하부창(240)도 같이 들어 올려지게 되어 처리공간부(110)의 하측이 완전히 개방되어진다.
아울러 도5에서와 같이 도4의 A-A'부분의 단면을 보면, 하부창(220)과 중앙하부창(240)은 그 접하는 부위가 중앙하부창(240)의 전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경사부(222,242,232)형성되어 하부창(220)이 개방되기 전에 중앙하부창(240)이 먼저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폐약품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전면투명창(200)의 하부창(220)을 상부창(210)의 전면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때 처리공간부(110)의 전면이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므로 하부창(220)이 상부창(210)의 전면에 기대어 고정된다. 물론, 하부창(220)의 고정을 위해서 별도의 록킹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후, 폐기할 약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수거컵(300)의 덮개(313)와 마개(317)를 열고 폐약품을 수거컵(300)에 붓게 되면, 연결배관(500)을 통해 보관통(400)에 수용된다.
정전용량형 근접센서(710)는 보관통(400)에 수용된 폐약품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위가 되면 회로부 및 표시부(700)로 센싱정보를 제공하여 폐약품이 가득찬 보관통(400)의 번호와 경보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710)와 회로부 및 표시부(70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문(130)에 형성된 확인창(131)을 통하여 보관통(400)의 수위뿐만 아니라 보관통(400)의 훼손 또는 압력 상태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보관통(400)의 교체시에는 하부체결부(520)만을 분리하면 된다.
또한, 폐약품의 폐기시에 발생할 수 있는 흄은 필터(721)와 배기팬(7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100 - 케이스
110 - 처리공간부
120 - 하부공간부
130 - 문
200 - 전면투명창
210 - 상부창
220 - 하부창
240 - 중앙하부창
300 - 수거컵
400 - 보관통
500 - 연결배관
700 - 회로부 및 표시부

Claims (6)

  1. 케이스의 상측에는 전면부가 개방된 처리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부에는 폐약품을 부어서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컵이 장착되며, 처리공간부의 전면부는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분리되어 하부창이 상측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전면투명창이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의 하측에는 폐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보관통이 수납되어 각 수거컵과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전면투명창은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분리되며, 상부창은 처리공간부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창은 상부창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부창의 가운데 부분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후측에는 개방부를 개폐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상측이 상부창의 하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앙하부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품 시약장.
  2. 1항에서, 수거컵은 상측에 힌지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가 구비되고, 하부외측으로는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어 배수구멍이 수거컵의 바닥부로부터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체결부의 하단에는 배수구멍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연결배관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가 형성되어 상부체결부는 수거컵의 체결부에 체결되고, 하부체결부는 보관통의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부체결부는 연결배관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끼움부가 구비되어 그 상측이 수거컵의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끼움부의 외측으로는 수거컵의 체결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 잠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품 시약장.
  3. 삭제
  4. 1항에서, 처리공간부의 상측에는 배기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품 시약장.
  5. 1항에서, 하부공간부에는 보관통에 유입된 폐약품의 수위를 비접촉으로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품 시약장.
  6. 1항에서, 하부공간부의 바닥부에는 보관통의 인출을 위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선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품 시약장.
KR1020110123659A 2011-11-23 2011-11-23 폐약품 시약장 KR10132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59A KR101322097B1 (ko) 2011-11-23 2011-11-23 폐약품 시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59A KR101322097B1 (ko) 2011-11-23 2011-11-23 폐약품 시약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78A KR20130057378A (ko) 2013-05-31
KR101322097B1 true KR101322097B1 (ko) 2013-10-28

Family

ID=4866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59A KR101322097B1 (ko) 2011-11-23 2011-11-23 폐약품 시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02U (ko)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액상 폐기물 수거 장치
KR200492660Y1 (ko) 2019-09-24 2020-11-18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액상 폐기물 수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62B1 (ko) * 2020-10-15 2023-02-24 주식회사 크리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폐액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5053A (ja) * 2006-07-27 2009-12-17 ウンジンコーウエイ カンパニイ リミテッド 非接触式水位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5053A (ja) * 2006-07-27 2009-12-17 ウンジンコーウエイ カンパニイ リミテッド 非接触式水位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02U (ko)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액상 폐기물 수거 장치
KR200492660Y1 (ko) 2019-09-24 2020-11-18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액상 폐기물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78A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097B1 (ko) 폐약품 시약장
KR101795340B1 (ko) 폐약품 보관 시약장
US2010025856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posing of medications
TW200643396A (en) Specimen material collection liquid container
KR101838920B1 (ko)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EP3328286A1 (en) Disposable container of 30 or 90 ml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human tissue samples or organs to be subjected to histological examination
NO335562B1 (no) Beholder for tablettrester
CN105668090A (zh) 一种废弃医疗材料垃圾箱
US20160271310A1 (en) Blood treatment device with separate door compartment
KR101494889B1 (ko) 액체용기용 보관함
EP2953870A1 (en) Bin for collecting garments
CN104314414B (zh) 全自动保管箱智能看物间
CN208746540U (zh) 血吸虫病原学检测工作盒
WO2008001019A3 (fr)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KR102167871B1 (ko)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CN203083855U (zh) 用于自动处理样品的设备
CN208199451U (zh) 病房用输液器回收装置
RU1772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отходов
AU2018221694B2 (en) Container for photosensitive material
CN210847444U (zh) 一种可移动带有超声波震荡的器械预处理车
CN214020921U (zh) 一种实验台
CN208603115U (zh) 内桶及垃圾桶
CN217277052U (zh) 一种水质污染物检测仪
KR200443158Y1 (ko) 유해물질 처리장치가 구비된 흄 후드
RU84703U1 (ru) Медицинский контейн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