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871B1 -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 Google Patents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871B1
KR102167871B1 KR1020200045278A KR20200045278A KR102167871B1 KR 102167871 B1 KR102167871 B1 KR 102167871B1 KR 1020200045278 A KR1020200045278 A KR 1020200045278A KR 20200045278 A KR20200045278 A KR 20200045278A KR 102167871 B1 KR102167871 B1 KR 10216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on
connecting member
dust collec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수
박영일
양희철
Original Assignee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더스트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저장부재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개방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방부의 밀봉과정에서 상기 개방부와 상기 하단의 외측둘레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탈착되면서 상기 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Dust collection bag for dust coll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집진기와 연결된 더스트 수거 장치에 사용되는 더스트 포집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더스트 포집백의 기밀 유지력이 향상되고, 더스트 포집백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환경오염 방지나 작업 공간의 청결 유지 및 작업 환경의 개선과 작업자의 건강 등을 위해 여러 가지 작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각종 먼지나 분진 등의 더스트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한 곳으로 모으는 장치로서, 필터나 거름망을 이용하는 타입, 중력이나 관성력, 원심력을 이용하는 타입, 전기적인 성질을 이용하거나 물이나 기름 등의 흡착력을 이용하는 타입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그리고 집진기는 집진된 더스트의 저장량이 초과될 경우, 초과된 더스트를 수거하여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지만, 집진기에 더스트 수거 장치를 연결시키고, 집진된 더스트가 이러한 더스트 수거 장치에 구비된 더스트 포집백에 포집되도록 후, 더스트 포집백에 정해진 양의 더스트가 채워지면 더스트 수거 장치로부터 더스트가 채워진 더스트 포집백을 분리시켜 더스트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 더스트 수거 장치에 사용되는 더스트 포집백의 경우, 더스트가 채워진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에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입구와 덮개 사이의 기밀이 충분히 유지되지 못하여 더스트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에 결합되는 덮개는 더스트 수거 장치에 구비된 덮개 투입구에 미리 투입이 되며, 더스트 포집백에 정해진 양의 더스트가 채워지게 되면 덮개 투입구에 투입되었던 덮개가 이동되어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에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덮개를 덮개 투입구에 투입할 때, 입구와의 결합되는 덮개의 결합면을 확인한 후 선택하여 덮개 투입구에 투입해야 함에 따라 덮개의 투입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실수로 덮개를 잘못 투입하였을 경우에는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에 덮개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내부에서 더스트가 누설되는 문제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2040호(2016.08.2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 수거 장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더스트가 저장되는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와 덮개 간의 기밀 유지를 더욱 견고히 하면서 더스트 포집백의 입구와 덮개의 체결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은, 내부에 더스트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저장부재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개방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방부의 밀봉과정에서 상기 개방부와 상기 하단의 외측둘레가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탈착되면서 상기 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재는 내부에 저장되는 더스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재는 양측면 또는 바닥면 또는 양측면과 바닥면 모두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접이선이 구비되어 상기 접이선의 펴짐을 통해 내부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외측둘레에는 융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저장부재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하단과, 상기 덮개부재가 탈착되는 상단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상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하측에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결합되는 한쪽 면에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테두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재의 한쪽 면과 대향되는 다른 한쪽 면이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홈의 내면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테두리와 밀착될 수 있도록 기밀유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더스트가 저장되는 저장부재와 그러한 저장부재에 연결된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재로 구성되는 더스트 포집백이 연결부재와 덮개부재의 견고한 결합 구조를 통해 통해 기밀 유지력이 더욱 향상되고, 덮개부재는 양면 모두가 연결부재의 입구에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재에 덮개부재가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어 연결부재에 대한 덮개부재의 결합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재와 연결부재와 덮개부재로 구성된 더스트 포집백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재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로부터 덮개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재와 연결부재와 덮개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재와 연결부재와 덮개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재와 연결부재와 덮개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더스트 수거 장치에 더스트 포집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의 구성은 크게 내부에 더스트가 저장되는 저장부재, 저장부재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장부재(110)는,
내부에 더스트가 저장되며, 집진기(도면중 미도시)를 통해 집진되는 더스트를 수거하기 위하여 집진기의 한쪽에 연결되는 더스트 수거 장치(200)의 내부에 후술되는 연결부재(120)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저장부재(110)는 내부에 일정량의 더스트가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양쪽 측부와 하부는 폐쇄된 상태로 구성되고, 상부는 더스트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이 개방부(111)로 구성된다.
저장부재(110)는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더스트의 저장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 없이 더스트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저장부재(110)는 불투명 비닐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저장부재(110)가 불투명 비닐재질로 구성될 경우, 더스트의 저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저장부재(110)의 표면에는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재(110)는 상부에 위치한 개방부(111)에 후술되는 연결부재(120)가 결합되면서 연결부재(120)를 통해 더스트가 저장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 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20)와 저장부재(110)는 연결부재(120)의 일부분이 저장부재(110)의 벌어진 개방부(111)의 내면 사이에 위치된 후 벌어진 개방부(111)의 내면이 연결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도 2 와 도 3 과 같이 결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111)의 내면은 직접 및 연결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열이나 고주파 초음파 등의 이용한 융착 가공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저장부재(110)는 평상시에는 보관 및 이동의 편의를 위해 작은 크기를 유지하다가 더스트가 내부에 저장되면 내부의 공간이 확장되어 많은 더스트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 저장부재(110)의 양쪽 측면 또는 바닥면 또는 양쪽 측면과 바닥면 모두에 접이선(112)을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저장부재(110)가 접이선(112)을 통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내부 공간에 더스트가 채워지면 접이선(112)이 펴지면서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재(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접이선(112)은 내부 공간의 확장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접이선(112)이 펴지게 되면 바닥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됨에 따라 더스트가 채워진 저장부재(110)가 어느 한쪽으로 넘어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더스트 포집백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전술한 저장부재(110)의 개방부(111)에 연결되어 저장부재(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주면서 연결부재(120)를 통해 더스트가 저장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연결부재(120)는 일 예로 도 4 와 같이 중심부에 상하로 연통되는 입구(121)가 형성되고, 하단(123)의 외측둘레는 전술한 저장부재(110)의 개방부(111)와 결합되며, 상단(124)의 선단부에는 후술될 덮개부재(130)가 결합된다.
즉, 연결부재(120)의 하단(123)은 저장부재(110)의 상측 개방부(111)에 끼워진 후, 개방부(111)의 마주하는 내면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120)의 하단(123)이 함께 결합되며, 개방부(111)에 연결부재(120)의 하단이 끼워지는 상태에서 개방부(111)의 내면이 결합될 때, 개방부(111)의 내면과 연결부재(120)의 하단 외측둘레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 와 같이 개방부(111)의 내면과 연결부재(120)의 하단 외측둘레 사이가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20)의 하단 외측둘레를 따라 융착돌기(122)가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융착돌기(122)는 외측둘레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20)는 도 5 와 같이 상단(124)의 선단부에 입구(121)의 개폐를 위해 후술될 덮개부재(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124)의 선단부와 덮개부재(130)의 결합을 통해 입구(121)가 페쇄되면 저장부재(110)의 내부에 저장된 더스트는 연결부재(120)의 입구(12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의 상단(124)과 덮개부재(130)는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연결부재(120)의 상단에 덮개부재(130)가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덮개부재(130)가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과 도 8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는 하단(123)과 상단(124)이 서로 연통되도록 입구(121)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분리된 하단(123)과 상단(124)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단(123)의 상측에는 내측둘레를 따라 암나사부(123a)가 형성되고, 상단(124)의 하측에는 외측둘레를 따라 수나사부(124a)가 형성됨으로써, 하단(123)의 암나사부(123a)에 상단(124)의 수나사부(124a)를 체결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120)의 상단(124)과 하단(123)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연결부위의 기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위에 기밀유지부재(도면부호 미표기)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재는 또 다른 실시 예로 하단(123)과 상단(124)이 서로 연통되도록 입구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하단(123)의 상측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단(124)의 하측에도 플랜지부가 구비되면서 가스켓을 사이에 두고 양쪽의 플랜지부를 서로 연결시켜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20)의 상단(124)과 하단(123)이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면 더스트 수거 장치(200)에 더스트 포집백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120)의 상단(124)이 변형 또는 손상되더라도 더스트 포집백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단(124)만을 교체함으로써, 더스트 포집백의 유지 관리를 저렴하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덮개부재(130)는,
도 3 과 같이 전술한 연결부재(120)에 결합되면서 연결부재(120)의 입구(121)를 폐쇄하여 저장부재(110)에 저장된 더스트가 연결부재(120)의 입구(12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덮개부재(130)는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부재(120)를 향하게 되는 한쪽면에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가 일정한 깊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와 상응한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로 함몰되는 끼움홈(131)이 형성된다.
아울러, 덮개부재(130)의 한쪽면과 마주하는 반대쪽인 다른 한쪽면 또한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가 일정한 깊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연결부재(120)의 상단 선단부와 상응한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로 함몰되는 끼움홈(131)을 형성함으로써, 덮개부재(130)의 양쪽면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동일한 깊이와 형상의 끼움홈(131)이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재(130)가 연결부재(120)에 결합될 때, 덮개부재(130)의 방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져 덮개부재(130)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부재(130)를 더스트가 채워진 저장부재(110)의 연결부재(120)에 수작업으로 체결하거나, 덮개부재(130)가 더스트 수거 장치(200)의 한쪽으로 미리 공급되고, 공급된 덮개부재(130)가 더스트 수거 장치(20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저장부재(110)의 연결부재(120)에 자동으로 결합될 때, 덮개부재(130)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연결부재(120)에 덮개부재(130)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에서와 같이 덮개부재(130)의 끼움홈(131)에는 내면을 따라 연속된 기밀유지돌기(132)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가 끼움홈(131)으로 끼워질 때 기밀유지돌기(132)가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에 밀착되면서 연결부재(120)와 덮개부재(130)의 기밀유지가 견고해질 수 있다.
여기서, 기밀유지돌기(132)를 끼움홈(131)의 깊이를 따라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성하면 기밀의 유지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의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진기와 연결된 더스트 수거 장치(200)에 덮개부재(130)를 분리시킨 상태의 더스트 포집백을 먼저 설치하게 되는데, 더스트 수거 장치(200)의 하부 전면에 위치한 더스트 포집백 설치 도어(210)를 개방시킨 다음 내부에 위치한 더스트 포집백 설치 브래킷(도면부호 미표기)에 더스트 포집백의 연결부재(120)를 연결시켜 더스트 포집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더스트 포집백 설치 브래킷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그 구비되는 개수에 따라 더스트 포집백이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더스트 포집백 설치 브래킷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의 더스트 포집백을 설치한 후, 더스트 포집백 설치 도어(210)를 폐쇄한 다음 더스트 수거 장치의 상측에 위치한 덮개부재 투입구(220)를 통해 복수개의 덮개부재(130)를 투입한다.
이때, 덮개부재(130)는 마주하는 양쪽 면이 대칭을 이루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덮개부재 투입구(220)에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130)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집진기에서 더스트 수거 장치(200)로 이동된 더스트는 내부 통로를 거쳐 음압이 유지되는 상태로 연결부재(120)의 입구(121)를 통해 저장부재(110)에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재(110)에 정해진 양의 더스트가 채워지면 감지센서에 의해 더스트의 공급은 중단되고, 미리 공급되어 있던 덮개부재(130)가 더스트가 채워져 있는 더스트 포집백의 연결부재(120)에 자동으로 결합되면서 연결부재(120)의 입구(121)가 덮개부재(130)에 의해 폐쇄가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더스트가 저장된 다수개의 더스트 포집백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더스트 포집백 설치 도어(2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더스트가 저장된 더스트 포집백을 인출하여 폐기 처분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저장부재 111 : 개방부
112 : 접이선 120 : 연결부재
121 : 입구 122 : 융착돌기
123 : 하단 123a : 암나사부
124 : 상단 124a : 수나사부
130 : 덮개부재 131 : 끼움홈
132 : 기밀유지돌기 200 : 더스트 수거 장치
210 : 더스트 포집백 설치 도어 220 : 덮개부재 투입구

Claims (9)

  1. 내부에 더스트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 개방부(111)가 구비되는 저장부재(11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입구(121)가 형성되며, 하단(123)이 상기 개방부(111)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방부(111)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개방부(111)와 상기 하단(123)의 외측둘레가 결합되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에 탈착되면서 상기 입구(121)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재(130)는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124)과 결합되는 한쪽 면에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재(130)의 한쪽 면과 대향되는 다른 한쪽 면이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110)는,
    내부에 저장되는 더스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110)는,
    양측면 또는 바닥면 또는 양측면과 바닥면 모두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접이선(112)이 구비되어 상기 접이선(112)의 펴짐을 통해 내부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하단 외측둘레에는 융착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111)의 내면과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저장부재(110)의 개방부(111)에 결합되는 하단(123)과, 상기 덮개부재(130)가 탈착되는 상단(124)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하단(123) 상측에 암나사부(123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하측에 상기 암나사부(123a)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2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31)의 내면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124) 선단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기밀유지돌기(1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KR1020200045278A 2020-04-14 2020-04-14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KR10216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278A KR102167871B1 (ko) 2020-04-14 2020-04-14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278A KR102167871B1 (ko) 2020-04-14 2020-04-14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71B1 true KR102167871B1 (ko) 2020-10-21

Family

ID=7303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278A KR102167871B1 (ko) 2020-04-14 2020-04-14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3802A (zh) * 2021-04-22 2021-07-16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仰拱虚渣机械化清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48U (ko) * 1996-10-29 1998-07-2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용 브라켓
KR101581161B1 (ko) * 2015-05-28 2015-12-30 김장식 용기뚜껑
KR101652040B1 (ko) 2015-02-27 2016-08-29 마미숙 집진설비의 먼지봉투 지지장치
KR20160105130A (ko) * 2015-02-27 2016-09-06 마미숙 집진설비의 먼지봉투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48U (ko) * 1996-10-29 1998-07-2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용 브라켓
KR101652040B1 (ko) 2015-02-27 2016-08-29 마미숙 집진설비의 먼지봉투 지지장치
KR20160105130A (ko) * 2015-02-27 2016-09-06 마미숙 집진설비의 먼지봉투 커버장치
KR101581161B1 (ko) * 2015-05-28 2015-12-30 김장식 용기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3802A (zh) * 2021-04-22 2021-07-16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仰拱虚渣机械化清理方法
CN113123802B (zh) * 2021-04-22 2023-10-24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仰拱虚渣机械化清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871B1 (ko) 더스트 수거 장치용 더스트 포집백
ATE136433T1 (de) Belüfteter apparat zum aufbewahren und reinigen eines gegenstandes
CN106239568B (zh) 生物安全型禽负压隔离器
CN208266174U (zh) 一种具有安全密封性能的生物安全柜
CN205855029U (zh) 卸油装置
CN211537783U (zh) 一种福尔马林的回收装置
CN203946394U (zh) 一种用于液相色谱流动相瓶的瓶盖
US3851725A (en) Noise reduction kit for can closing machine
CN209160565U (zh) 一种原油储罐油气挥发浓度检测用连接装置
CN211179158U (zh) 一种负压容器取样装置
CN209189406U (zh) 一种工程造价用仪表防尘装置
KR20130057378A (ko) 폐약품 시약장
KR101840798B1 (ko) 배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CN214441716U (zh) 一种新型通风橱
JP2015121347A (ja) アイソレーターにおけるヘパフィルターの交換方法
CN205360357U (zh) 一种干粉回收机
CN209078044U (zh) 一种激光机
CN218107147U (zh) 过滤器组件
JPS63271387A (ja) 廃トナ−回収装置
CN203281125U (zh) 一种除渣装置
CN216082699U (zh) 一种蔬菜农药残留检测设备
CN214636478U (zh) 一种分析仪器放置柜
CN212905695U (zh) 一种金相显微镜载物台用防护装置
CN102852375B (zh) 保护性且一次性的封套状干预帐篷
CN210584984U (zh) 新型生物安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