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52B1 -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52B1
KR101494652B1 KR20130149965A KR20130149965A KR101494652B1 KR 101494652 B1 KR101494652 B1 KR 101494652B1 KR 20130149965 A KR20130149965 A KR 20130149965A KR 20130149965 A KR20130149965 A KR 20130149965A KR 101494652 B1 KR101494652 B1 KR 10149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tensity
bed
vibration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웅
전경진
홍재수
김충연
최형인
변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52B1/ko
Priority to CN201480066256.0A priority patent/CN105828778B/zh
Priority to PCT/KR2014/008793 priority patent/WO20150839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7Support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5Safety means with electronic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7Safety means for adjustable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6Means fo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며, 내부에 자기유변유체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드부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Moving Type Lifting Apparatus with Damper for Preventing the Rollover}
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변화하는 완충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요양보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령 친화용품의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이 보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요양보호는 재택 또는 노인전문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상행활 수행능력에 있어서 식사, 목욕, 배변 및 이송과 이동이 주요 행위로 구분된다,
특히, 스스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경우 주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최근 피사용자를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베드 또는 이송장치에 관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제품 개발은 미흡하다.
특히, 피사용자를 베드에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이송할 때 외력이나 이동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베드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드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피사용자에게 충격이 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피사용자가 낙상하거나 이송장치 자체가 전복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드부에 이송대상물 또는 환자를 안착시킨 후 이동 시 진동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진동을 감쇠시키는 별도의 완충유닛을 포함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부에 발생하는 진동세기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완충유닛의 완충 계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며, 내부에 자기유변유체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드부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베드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베드부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실린더 일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함께 유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베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리프팅장치와 달리 베드부에 이송대상물 또는 환자를 안착시킨 후 이동 시 진동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진동을 감쇠시키는 별도의 완충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이동 시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베드부에 발생하는 진동세기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완충유닛의 완충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하중 및 진동세기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베드부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하중에 따라 베드부에 진동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리프팅장치에서 감지부에 작용하는 진동의 세기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는 크게 리프팅유닛(100), 완충유닛(200) 및 상기 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일반적인 이동식 리프팅베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베이스(110), 베드부(130) 및 승하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전체를 지지하며 복수 개의 이동바퀴(112)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베드부(130)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을 지지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베이스(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베드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피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침대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부(130)는 특별히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상뿐만 아니라, 이송대상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부(130)는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태로 구성되며 회전을 통해서 부분적인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리클라이닝 베드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130)가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일측이 상기 베드부(13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가이드(12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는 상기 베드부(130)가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가 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일반적인 베드의 형태로 구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리프팅유닛(100)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트레이나 캐리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회전링크(122) 및 수직링크(12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링크(122)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타측부는 후술하는 상기 수직링크(124)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링크(124)를 지지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직링크(124) 및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130)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타측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가이드(126)가 상기 베드부(130)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하강시켜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회전링크(122), 상기 수직링크(124) 및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포함하며, 회전링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강시켜 상기 베드부(1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상에 대상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며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32)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3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132)는 사각고리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베드부(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성으로써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13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유닛(200)은 내부에 자기유변유체(MR)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자기유변유체(MR)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주위에 극성을 가지는 마이크로 단위의 유체입자가 자기장에 의해 입자배열이 직립됨으로써 직립방향의 점성이 증대되는 것이며, 이는 자기장의 작용으로 입자들 간의 항복응력이 변화됨으로써 생겨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유체 중에 분산된 입자가 자화(magnetization) 현상을 일으켜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섬유상 구조의 고리 모양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유체를 의미한다.
즉, 상기 완충유닛(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가 변화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유닛(200)은 일반적인 유체를 이용한 뎀퍼 형태와 유사하나 내부에 상기 유체대신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충진되며 내부에 자기장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200)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포함되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 변화에 따라 감쇠계수가 조절된다. 이때, 감쇠계수란 물체의 단위속도당 운동을 방해하려는 힘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유닛(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린더(210), 피스톤부(220) 및 자기장발생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22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부(220)는 피스톤부재(222) 및 샤프트(224)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재(222)은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부재(222)은 상기 실린더(210) 내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210)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상기 실린더(210) 내부 벽면 사이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부재(222)의 이동 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24)는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210)의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함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부(220)는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부재(222)과 상기 샤프트(224)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210)와 슬라이딩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기서,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는 별도의 탄성부재(212)가 구비되어 피스톤부재(222)의 위치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12)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접촉하며, 상기 피스톤부재(222)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224)의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220)가 상기 실린더(210)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210)의 타측은 상기 결합가이드(126) 또는 상기 베드부(130)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224)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210)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한 곳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는 상기 피스톤부재(222) 내부에서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는 상기 피스톤부재(222)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부재(222)의 둘레 형상을 따라 복수 개의 코일이 감겨있으며, 상기 코일에 전력이 공금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222) 내부에서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장발생부(230)가 상기 피스톤부재(222) 내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충진된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한다. 이때,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은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그 정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은 점점 증가하게 되며,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약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는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자기유변유체(MR)를 내부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성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전기유변유체를 구비하여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성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20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전류를 가해줌으로써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상기 실린더(210)의 내벽사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상기 실린더(210) 내부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222)이 슬라이딩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베드부(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승하강 또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크게 감지부(310)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베드부(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베드부(130)상에서 진동 발생시 가장 큰 움직임이 나타나는 위치에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드부(130) 상에서 상기 결합가이드(126)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 시 발생된 진동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310)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부(130)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발생 시 감지되는 상기 베드부(130) 끝단부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세기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세기에 대응하여 그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완충유닛(2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킨다.
즉,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된 진동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약해져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일정 세기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베드부(130)에서 진동의 발생 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감소정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세기가 클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감소시키고,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작게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유닛(3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하중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하중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베드부(130)상에 별도의 이송대상물(S)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상에 진동이 발생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베드부(130)상에 상기 이송대상물(S)이 구비되지 않아 자체 발생된 진동의 세기가 크지 않은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감지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발생된 움직임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를 기반으로 진동의 세기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금만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반하여, 도 4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베드부(130)상에 별도의 상기 이송대상물(S)이 안착된 상태로써, 상기 베드부(130)가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이송대상물(S)이 없는 상기 베드부(130)보다 진동의 세기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더욱 많이 감쇠시켜야 하므로 상기 실린더(210) 내부의 상기 자기유변유체(MR) 점성을 약하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켜 자기장의 세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감소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상기 완충유닛(200)이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완충유닛(2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감지부(310)에 작용하는 진동의 세기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200)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감지부(310)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단계별로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영역으로 구획된 단계 내에서는 균일한 세기의 전류가 상기 자기장발생부(230)로 인가된다.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써, X축은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고, Y축은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및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A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 변화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의 세기에 따라 그 세기가 증가한다.
그리고 B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그래프는 연속적인 형태로 도시되어있지만, B의 그래프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균일한 세기의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그 세기에 따라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이에 대응하는 영역 각각에서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설정된 세기의 전류를 인가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0)에서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속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세기의 전류를 상기 자기장발생부(230)에 인가 시킨다.
한편,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완충유닛(200)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나 상기 피스톤부재(222)의 구성이 변형된 상태이다.
상기 피스톤부재(222)은 상기 실린더(210) 내부의 수용공간 내벽과 직접 접촉하며 별도의 실링(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부재(222)의 슬라이딩 시 상기 실린더(210) 내벽과 상기 피스톤부재(222) 사이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222)은 상기 실린더(210)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222) 내에 구획된 상기 실린더(210)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부재(222)의 슬라이딩 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상기 피스톤부재(222)과 상기 실린더(210)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222)이 오리피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오리피스 구경을 조절하여 상기 완충유닛(200)의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별도의 상기 가이드부(116) 및 상기 슬라이딩부(122a)를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10)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116) 및 슬라이딩부(12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수직링크(124)가 결합되는 지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반경 이내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가이드부(11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과 상기 회전링크(122)와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6)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22a)의 일부가 함몰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116)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롤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상기 슬라이딩부(122a)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스페이서의 역할도 함께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와 상기 가이드부(116)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하중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리프팅유닛 110: 베이스
120: 승하강프레임 130: 베드부
200: 완충유닛 210: 실린더
220: 피스톤부 230: 자기장발생부
300: 제어유닛 310: 감지부
MR: 자기유변유체

Claims (8)

  1.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드부는 상기 승하강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리프팅유닛;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며, 내부에 자기유변유체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완충유닛;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드부상에서 진동 발생 시 상기 가속도센서가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상기 베드부가 결합된 지점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에 따라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 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실린더 일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함께 유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
    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베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KR20130149965A 2013-12-04 2013-12-04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KR10149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965A KR101494652B1 (ko) 2013-12-04 2013-12-04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CN201480066256.0A CN105828778B (zh) 2013-12-04 2014-09-22 移动式升降装置
PCT/KR2014/008793 WO2015083924A1 (ko) 2013-12-04 2014-09-22 이동식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965A KR101494652B1 (ko) 2013-12-04 2013-12-04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52B1 true KR101494652B1 (ko) 2015-02-24

Family

ID=5259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965A KR101494652B1 (ko) 2013-12-04 2013-12-04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02B1 (ko) * 2019-12-30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연결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06Y1 (ko) * 2006-07-18 2006-10-02 박우철 권상 로프식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저감장치
JP2008029823A (ja) 2006-06-27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載ユニット及び移乗装置
KR20110092812A (ko)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20140046909A (ko) * 2012-10-11 2014-04-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9823A (ja) 2006-06-27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載ユニット及び移乗装置
KR200427906Y1 (ko) * 2006-07-18 2006-10-02 박우철 권상 로프식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저감장치
KR20110092812A (ko)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20140046909A (ko) * 2012-10-11 2014-04-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02B1 (ko) * 2019-12-30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연결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2702B (zh) 高度可调整的缓冲装置
KR101743585B1 (ko) 균형유지 기능이 구비된 드론용 이착륙 시스템
CN206571897U (zh) 具有准零刚度的半主动控制型垂直隔振器
US20040262859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powered wheelchair
US1146469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KR101486881B1 (ko)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
KR102044146B1 (ko)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1494652B1 (ko)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낙상 및 전복을 방지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CN103449300A (zh) 一种吊具
CN107009816B (zh) 应用于机器人的中心位置可变的车轮及中心位置调节方法
CN105828778B (zh) 移动式升降装置
CN108248327A (zh) 基于智能agv升降制孔机器人的车轮举升悬挂系统
CN105819303A (zh) 自适应阻尼电梯井阻尼总成
AU756311B2 (en) Motion-imparting apparatus
CN206520696U (zh) 两轮车辆平衡系统
CN106122359A (zh) 基于双闭环控制的磁悬浮平台支承隔振控制结构及方法
KR101623825B1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CN107975561A (zh) 一种车载精密设备及其车载隔振平台
KR101509083B1 (ko)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WO2018133554A1 (zh) 车辆平衡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8001920A (ja) 階段昇降装置
CN207293993U (zh) 一种高稳定平衡的汽车起重机
KR101196644B1 (ko) 구급차용 방진베드
KR102208911B1 (ko) 중량을 균형 잡기 위한 현가 장치
JP3754656B2 (ja) 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