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796B1 -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796B1
KR101492796B1 KR20140021045A KR20140021045A KR101492796B1 KR 101492796 B1 KR101492796 B1 KR 101492796B1 KR 20140021045 A KR20140021045 A KR 20140021045A KR 20140021045 A KR20140021045 A KR 20140021045A KR 101492796 B1 KR101492796 B1 KR 10149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tter
portable electronic
input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성평용
이영민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옵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스 filed Critical (주)옵티스
Priority to KR2014002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 또는 대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Capital and small letter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문자와 대문자를 서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일상 생활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해서 입력해야 하는 기기는 컴퓨터 뿐 아니라,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계산기 등 다양하다. 대표적인 대/소문자 사용 언어인 영문자 알파벳은 총 26자이며, 상기 기기는 QWERTY자판 또는 3×4자판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용 자판(keypad)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3×4자판은 26자의 알파벳이 9개 또는 12개의 키에 최대 3개 혹은 4개까지 할당되어 있다.
이동통신 기기 등에 대한 사용이 빈번해질수록 영문자를 비롯한 대/소문자 구별 언어의 입력 수요도 따라서 증가하고 있으며, 문자 입력속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동일한 문자에 대해 대문자와 소문자를 따로 가지고 있는 문자의 특성상 하나의 글자 자판에서 대문자 혹은 소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기능을 단순화하는 것은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해 꼭 필요한 기능이다. 이를 위해 종래의 QWERTY자판 또는 대응 자판에서는 "Shift"키를 문자키와 함께 눌러 대문자를 입력하거나, "Caps Lock"키를 사용하여 대문자를 고정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8139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3×4자판에서 "*"키와 "#"키 위치에 각각 "LAST" 또는 "SHIFT" 등 특수문자를 배치하여, 상기 특수문자를 사용하면 단어별 또는 문자별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수문자를 사용하여 대문자와 소문자를 선택 입력하는 것은 문자 입력속도를 느리게 할 뿐 아니라, 대문자와 소문자가 서로 뒤바뀌어 입력되는 일도 빈번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특수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문자 또는 대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소문자 또는 대문자 자판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이 가능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상기 소문자가 대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대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상기 대문자가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계산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의 입력을 상기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3회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된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문장의 첫글자 또는 단어의 첫 글자에서만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문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를 포함하는 로마자, 그리스문자, 또는 끼릴문자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대/소문자 변환 방법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표시위치에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두번 하는 경우에 상기 소문자가 대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대/소문자 변환 방법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표시위치에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대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두번 하는 경우에 상기 대문자가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계산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3회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된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장의 첫글자 또는 단어의 첫 글자에서만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문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를 포함하는 로마자, 그리스문자, 또는 끼릴문자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은 특수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특정 키를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연속하여 2회 입력하면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되고, 연속3회 입력시 변환전의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되어 표시된다. 즉 특수키로 문자변환을 하지 않고도 동일한 키를 정해진 시간 안에 연속하여 2회 입력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손쉽게 대문자 또는 소문자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영소문자 a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대/소문자 변환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소문자변환 대상 언어는 로마자, 그리스 문자, 그리고 끼릴문자를 포함하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마자를 사용하는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이탈리아어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예시로 든 문자를 포함한 대문자와 소문자 구별이 있는 언어용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시스템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 또는 대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입력부는 공지의 QWERTY자판 또는 3×4자판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용 자판(keypad)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QWERTY자판 또는 문자별로 이에 대응되는 자판을 채택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입력부는 공지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상에 구현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공지의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계산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전화는 QWERTY자판 또는 문자별로 이에 대응되는 자판을 채택한 스마트 전화기이다. 상기 자판의 기본 글자체는 소문자 또는 대문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의 변환은 동일한 소문자 또는 대문자 키를 미리 정한 시간내에 2회 입력하는 경우에 구현된다.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은 예를 들어 0.5초 또는 1초 등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상기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3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된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변환전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된다. 이와 같은 소문자와 대문자간 상호 변환용 또는 대문자와 소문자간 상호 변환용 제어부는 공지의 제어 알고리즘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한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소문자와 대문자간 변환이 문장의 첫글자 또는 단어의 첫 글자에서만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소문자가 많이 쓰이고 대문자는 문장의 맨 앞 단어 첫글자에만 나오는 관행을 따르거나, 단어별 강조를 위해 단어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자판의 기본 글자체를 대문자로 채택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미리 정한 시간내에 동일한 대문자를 연속해서 2회 입력할 경우 소문자로 변환되며, 상기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연속하여 3회 입력하면 다시 소문자로 재변환된다.
도 1은 대/소문자 변환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하나로, 영소문자 a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대/소문자 변환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입력부에서 미리 정한 시간(Ti) 안에 a를 1회 입력(10)하면 디스플레이에 a(100)로 나타난다. 상기 Ti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인 Ti 간격 안에 a를 연속하여 2회 입력하면(20) 디스플레이에는 소문자 a가 대문자 A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이 때 미리 정한 시간(Ti)의 간격은 상기 소문자를 처음 입력한 때로부터 기산한다. 그러므로 상기 미리 정한 시간(Ti) 간격 내이기만 하면 연속하여 2회 입력하는 시간이 달라도(30), 동일하게 대문자 A로 변환(300)된다. 그러나, a를 입력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한 시간(Ti)을 지난 시점에 다시 a를 입력(40)하게 되면 상기 두번째 입력한 소문자 a는 대문자 A로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소문자 a로 표시(400)된다.
처음 입력한 문자 a와 동일한 문자 a를 미리 정한 시간(Ti)이 지나 입력한 뒤 세번째 문자 a를 두번째 문자 입력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한 시간(Ti)내에 다시 입력(50)하면, 상기 두번째 입력한 문자가 대문자로 변환(500)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세번째 입력 시간을 상기 두번째 입력 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단어 입력시 처음 입력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미리 정해놓고 그 구간 내에 2회 연속 입력되면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문자 a를 미리 정한 시간(Ti)내에 연속하여 3회 입력(60)하면, 대문자 A로 변화되었다가 소문자 a로 재변환(600)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소문자 a를 상기 미리 정한 시간(Ti)내에 연속하여 4회 입력하면 다시 대문자 A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개념을 확장하여, 소문자를 미리 정한 시간(Ti)내에 홀수번 입력하면 소문자로, 짝수번 입력하면 대문자로 변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미리 정한 시간을 조정하여 동일한 문자의 입력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대문자를 기본 입력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명한 변환을 미리 정한 시간(Ti)내에 연속하여 2회 입력시 대문자에서 소문자로 변환되고, 3회 연속 입력시 대문자로 재변환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Ti: 미리 정한 시간
10: Ti 시간 내 소문자 a 1회 입력
20: Ti 시간 내 소문자 a 2회 입력
30: Ti 시간 내 소문자 a 2회 입력
40: 소문자 a 1회 입력후 Ti 시간 경과 후 소문자 a 1회 입력 2회 반복
50: 소문자 a 1회 입력후 Ti 시간 경과 후 소문자 a 회 입력하고 Ti 시간 내 소문자 a 1회 입력
60: Ti 시간 내 소문자 a 3회 입력
1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문자 a
2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문자 A
3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문자 A
4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문자 연속 aaa
5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문자와 대문자 aA
60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문자 a

Claims (14)

  1.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짝수번 입력하면 상기 소문자가 대문자로 변환되고, 연속으로 홀수번 입력하면 상기 변환된 대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2.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대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짝수번 입력하면 상기 대문자가 소문자로 변환되고, 연속으로 홀수번 입력하면 상기 변환된 소문자가 변환전의 대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계산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상기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각각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고, 연속으로 3회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된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장의 첫글자 또는 단어의 첫 글자에서만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를 포함하는 로마자, 그리스문자, 또는 끼릴문자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장치.
  8.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대/소문자 변환 방법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표시위치에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소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소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짝수번 입력하면 상기 소문자가 대문자로 변환되고, 연속으로 홀수번 입력하면 상기 변환된 대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9.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대/소문자 변환 방법으로,
    상기 대/소문자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미리 정해진 표시위치에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대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입력부에서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짝수번 입력하면 상기 대문자가 소문자로 변환되고, 연속으로 홀수번 입력하면 상기 변환된 소문자가 변환전의 대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계산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입력을 미리 정한 시간내에 연속으로 2회 하는 경우에 각각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되도록 제어하고, 연속으로 3회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된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변환전의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재변환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장의 첫글자 또는 단어의 첫 글자에서만 상기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13. 제 8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를 포함하는 로마자, 그리스문자, 또는 끼릴문자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소문자 변환 방법.
KR20140021045A 2014-02-24 2014-02-24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49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045A KR101492796B1 (ko) 2014-02-24 2014-02-24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045A KR101492796B1 (ko) 2014-02-24 2014-02-24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796B1 true KR101492796B1 (ko) 2015-02-13

Family

ID=5259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045A KR101492796B1 (ko) 2014-02-24 2014-02-24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312A (ko) * 2020-08-06 2022-02-15 이영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167Y1 (ko) 2000-07-14 2001-03-15 김정옥 컴퓨터 키보드상에서 연속 2타법을 이용한 상단 문자의 효율적인 입력장치
KR20090120435A (ko) * 2009-07-15 2009-11-24 김명수 온스크린 키를 이용한 검색기반 영어 단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167Y1 (ko) 2000-07-14 2001-03-15 김정옥 컴퓨터 키보드상에서 연속 2타법을 이용한 상단 문자의 효율적인 입력장치
KR20090120435A (ko) * 2009-07-15 2009-11-24 김명수 온스크린 키를 이용한 검색기반 영어 단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312A (ko) * 2020-08-06 2022-02-15 이영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445580B1 (ko) * 2020-08-06 2022-09-21 이영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775B1 (ko) 특수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00052951A1 (en) Nine sensor data entry keyboard and control means
KR101492796B1 (ko)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US20060116135A1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JP2014165920A (ja) 日本語入力装置
KR100918082B1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60109578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쿼티 키패드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CN104503599A (zh) 一种基于36键位的藏文键盘布局和输入系统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19411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WO2002082252A2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KR102138434B1 (ko)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21996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세계 문자 입력장치
KR101557581B1 (ko) 단말기의 전환키를 이용한 대소문자의 전환에 관한 문자입력방법
KR200289579Y1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시스템
JP4500353B2 (ja) 文字入力装置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JP2019204375A (ja) 行内五段文字選択のフリックによる日本語入力方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12768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