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312A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312A
KR20220018312A KR1020200098690A KR20200098690A KR20220018312A KR 20220018312 A KR20220018312 A KR 20220018312A KR 1020200098690 A KR1020200098690 A KR 1020200098690A KR 20200098690 A KR20200098690 A KR 20200098690A KR 20220018312 A KR20220018312 A KR 2022001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user
key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580B1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20009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5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 제공되는 가상 키보드에 적용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으로,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한글 키 배열부 및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영문 키 배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에서 제공되는 가상 키보드에 적용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주축으로 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미디어 이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의 경우, 2017년 11월 보급률이 84.8%를 기록하였으며, 2018년 10월에는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5천만명이 넘어 사실상 1인 1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면서 초등학생부터 고령층까지 스마트폰의 영향력이 전연령층으로 확대되었다.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iOS, 윈도모바일, 심비안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11월을 기준으로 안드로이드가 77.4%를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의 종류는 메신저, 포털, 뉴스, 게임, 엔터테인먼트, 지도 등 생활서비스 및 은행, 신용카드나 쿠폰을 이용한 금융결제 등 매우 다양하다.
지문인식을 제외한 나머지 방법들은 모두 키보드를 통하여 패스워드를 비롯한 비밀정보를 입력해야만 한다. 스마트폰은 실제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일반 PC에 비하여 화면의 크기가 작고 멀티윈도우를 지원하지 않아 키보드 입력 보안에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또한, PC에서 제공되는 많은 서비스들은 스마트폰 앱의 형태로 지원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휴대성과 이동성이라는 편리함을 얻는 대신, 낮은 성능과 작은 화면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한계와 취약점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앱들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대부분 PC와 유사한 동적 가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은행앱의 경우는 PC와는 달리 창의 크기를 확대, 축소하거나 창의 위치를 이동할 수 없으며 가로보기(화면 회전)를 제공하지 않고 가상키보드의 위치와 크기가 고정되므로, 입력되는 스크린 터치 위치에 대한 노출의 위험성이 PC의 경우보다 더욱 높다.
이러한 위험성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앱은 '재배열 키'를 제공하여 이를 누를 경우 빈칸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데, 일부 앱에서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모두 지워 초기화하기도 한다. 또한 삽입되는 빈칸의 크기를 실제키의 1/2로 줄여서 개수를 2배로 늘림으로써 안전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삽입되는 1/2 빈칸의 개수를 줄이고 키들의 크기를 미세하게 늘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키의 재배열 방법을 제한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키의 위치를 재배열한다기보다는 각 줄 별로 1∼2개의 빈칸을 삽입함으로써 키가 매번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 키가 속한 줄은 고정되고, 각 줄에서 키들의 상대적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재배열 키를 누르지 않으면 빈칸의 위치가 고정되어, 패스워드에 포함된 중복된 키는 동일한 위치에서 입력이 일어나 그 분포가 노출되거나, 빈칸이 올 수 있는 위치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거나, 키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 끝단에 가까운 키들은 그 키의 좌측에 빈칸이 올 확률과 우측에 빈칸이 올 확률의 차이가 커지며, 그 결과로 가운데 있는 키들에 비해 패스워드에 포함된 키의 식별률이 높아지며, 사용자가 빈칸을 입력하지 않기 때문에, 최좌측이나 최우측에서 패스워드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식별률이 100%에 달하는 보안상의 취약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현재 모바일용 자판은 대략 25개 내외의 키들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개발되고 사용하는 핸드폰용 자판은 몇 번을 눌러 한글(초성,중성,종성)및 특수문자들을 입력하게 되어 오류입력을 수정하기도 하고 불편하다. 또한 어법(가나다..ABC 순서)에 맞지 않아 해당글자를 찾으려면 핸드폰 제조사마다 키보드 자판의 배치가 달라서 특히 유아나 주부, 장년층은 사용에 애를 먹게 된다.
KR 10-206813 B1 KR 10-2020-0082723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자음이나 모음, 알파벳 순서대로 배치된 가상 키보드를 배치하여 누구라도 손쉽게 자판을 읽으며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문자 제공 위주의 심플한 형태로 가상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일반 자판 형태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대로 자판 형태를 배치하여 설정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한글 또는 특수문자의 자판 배치가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한글 키 배열부,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영문 키 배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특수 문자 모드가 실행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구성된 특수문자 세트별로, 특수문자 세트마다 특수문자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특수문자 키들을 배열한 특수문자 세트 자판을 적어도 하나 제공하는 특수문자 배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정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자음, 모음, 영문,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신호 또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키 정의 정보를 할당받아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한 사용자 모드 자판을 제공하는 사용자 정의 배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한글 키 배열부 및 영문키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은 한글 모드가 실행되면, 한글 키 배열부가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영문키 배열부가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자음이나 모음, 알파벳 순서대로 배치된 가상 키보드를 배치하여 누구라도 손쉽게 자판을 읽으며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문자 제공 위주의 심플한 형태로 가상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일반 자판 형태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대로 자판 형태를 배치하여 설정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한글 또는 특수문자의 자판 배치, 디자인 편집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 표시되는 키보드 자판의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자판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모바일 단말에서 가상 키보드를 생성하여, 가상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
종래에는 모바일용 가상 키보드가 25개 내외의 키로 이루어지며,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함에 따라 오류입력이 잦고, ㄱ,ㄴ,ㄷ의 순서와 상관없이 배치되기 때문에 키보드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유아나 주부, 장년층에게는 다소 이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키의 개수가 33개로 이루어지고 한자변경 기능, Caps 기능, 방향키 제공 기능 등을 제공하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기본적으로 한글자판, 영어자판, 숫자 및 방향키 자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문자 자판을 제공한다. 즉, 문자 제공 위주의 심플한 자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설정 및 선택에 따라, 키의 위치와 기능을 자유롭게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물리적으로 독립되는 키보드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33개의 키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장치인 키보드 또는 키보드 패드와 연동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탑재하여 문자 입력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조작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통신부(110), 키 입력부(120), 한글 키 배열부(130), 영문 키 배열부(140), 특수문자 배열부(150),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 음성 재생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서버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키 입력부(120)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 입력부(120)는 문자 입력 장치(10)에서 제공되는 가상 키보드 자판으로 키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기술적 구성과, 가상 키보드 생성 및 편집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우스나, 키패드를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 입력부(120)는 문자 입력 장치(10)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모드의 키보드 자판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 표시되는 키보드 자판의 예시도이다.
도 2a 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기본 모드에서 33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 자판을 표시한다.
한글 키 배열부(130)는 기본 모드 또는 한글 모드가 실행되면, 도 2a에서와 같이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한다.
도 2a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1행에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이 배치되고, 2행에는 자음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 배치되며, 3행에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가 배치되고, 4행에는 ㅠ, ㅡ, ㅣ, ㅐ, ㅔ, 한문, 영문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기능키가 배치된다.
그리고 마지막 행에는 숫자와 화살표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키, 특수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키, space, Enter, 되돌리기 키(Delete)가 배치된다. 문자 입력 장치(10)에 포함되는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으면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시킨다.
쌍자음이 있는 ㄱ, ㄷ, ㅂ, ㅅ, ㅈ, 이중 모음이 있는 ㅐ, ㅔ는 2회 입력할 경우에 붉은색으로 표시된 ㄲ, ㄸ, ㅃ, ㅆ, ㅉ, ㅒ, ㅖ가 출력된다. 이때 적어도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으면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글 모드에서 입력한 한글(단어) 앞에 커서를 놓고 한자키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한문이 제시되며 번호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의 영문 키 배열부(140)는 알파벳 순서대로 첫번째 행에 a, b, c, d, e, f, g 키를 배치하고, 두번째 행에 h, i, j, k, l, m, n 키를 배치하고, 세번째 행에 o, p, q, r, s, t, u 키를 배치하며, 네번째 행에 v, w, x, y, z, caps, 한글 키를 배치한다. 그리고 마지막 행에는 숫자와 화살표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키, 특수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키, space, Enter, 되돌리기 키(Delete)가 배치된다.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영문 키 배열부(140)는 도 2b와 같이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한다.
영문 모드 실행시에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소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 신호는 대문자이고,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대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신호는 소문자이다.
즉, 1회 키입력이 있으면 소문자가, 2회 키입력이 있으면 대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Caps키를 누르고 알파벳 키를 입력하면, 연속하여 대문자로 출력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aps 키를 1회 누르면 대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여 연속하여 대문자로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Caps 키를 2회 누르면 대문자 입력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기본 모드에서 도 2c에서와 같이 화살표키와 숫자키를 배치한 키보드 자판을 제공한다.
또한, 특수 문자 모드가 실행되면, 특수문자 배열부(150)는 도 2d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구성된 특수문자 세트별로, 특수문자 세트마다 특수문자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특수문자 키들을 배열한 특수문자 세트 자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특수문자 세트별로 복수(최대 n개)의 키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하게 입력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는 숫자 및 방향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여 텍스트 이동이나 게임을 즐길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자판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의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사용자 정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자음, 모음, 영문,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신호 또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키 정의 정보를 할당받아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한 사용자 모드 자판을 제공한다.
이때, 키마다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을 때 발생되는 원키 입력 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즉, 키마다 2회 입력될 경우에 인식되는 키 입력 신호를 더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33개의 키라 하더라도 하나의 가상 키보드 상에서 66개까지의 문자를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특수문자의 경우에 다양한 특수문자를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한글의 옛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한글 모드의 자판에서 2회 입력시에 출력되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특수문자(#,@,\,^, %, 등)나 숫자(0~9)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자판에 포함되는 숫자나 특수문자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은 사용자 정의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키 배치대로 키보드 자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b에서 사용자는 '
Figure pat00001
' 부분을 선택하고 자신이 원하는 특수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인만의 한글 자판과 특수 문자가 혼재된 자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회 키 입력이 있으면, 단자음, 단모음으로 인식하고, 2회 키입력이 있으면 적색으로 표시되거나 '
Figure pat00002
' 부분에 설정된 쌍자음, 모음, 특수문자, 숫자와 같은 문자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숫자와 특수문자 전체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 위치를 선택하고, 그 위치에 배치하고 싶은 문자를 선택하면 배치하고 싶은 문자의 일련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3c에서와 같이 특수 문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c와 같은 사용자 정의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키 위치를 선택하고, 식별번호를 선택하여 설정 적용함으로써 키보드 자판 배치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에서 할당받은 키 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는 문자 입력 장치와 연동되는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단순히 키에 문자를 매칭시킬 뿐 아니라, 문자 입력 장치(10)와 연동되는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키로서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때 어떤 키를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로 설정할지는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에서의 키 설정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기능키를 사용자가 임의로 1행 1열, 1행 2열, 1행 3열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키마다 매칭되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는, 개인큐알코드, 개인바코드, 사진, 이미지, 이모티콘, 아바타, 캐릭터, 서명, 도장, 상표, 단어, 문장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문자 입력 장치(10)에서 제공하는 가상 키보드의 특정 키를 입력하면 문자 입력 장치(10)는 특정 키 입력에 따라 개인 큐알코드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개인 바코드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이나 이미지, 이모티콘, 아바타, 캐릭터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서명이나 도장, 상표, 단어, 특정 문장을 화면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키를 정해서 해당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가상키보드의 생성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직접 특수문자를 사용자가 드로잉하는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정한 제작툴(포토샵 등)을 제공하여 미세한 폰트에 편집(주로 선그리기와 색상)하는 형태로 가상 키보드에 포함되는 특수문자 자체를 제작할 수 있다. 즉, 가상 키보드에 포함되는 특수문자 자체를 직접 제작하여 자신만 사용하는 키보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큐알코드, 개인바코드, 사진, 이미지, 아바타, 캐릭터, 서명, 도장, 상표, 단어, 문장을 특수 문자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작한 특수문자를 자신만 사용하는 키보드에 설정 및 이용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는 도 3d와 같이 숫자와 특수문자 전체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의 위치를 선택하고, 그 위치에 배치하고 싶은 문자를 선택하면 배치하고 싶은 문자의 일련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기정의된 키보드 포맷 파일을 적용하여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80)에 기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키보드 포맷 샘플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포맷 파일을 적용하여 가상 키보드 배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정형화된 형태로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자가 자유롭게 가상 키보드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것을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는 사용자가 키보드 각각의 색상, 글꼴, 글꼴크기, 글꼴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키보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글모드, 영문모드, 특수문자모드등 키보드 각각의 색상, 글꼴, 글꼴크기, 글꼴색상을 지정하여 개인 취향이나 선호하는 스타일에 맞도록 키보드 디자인을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110)를 통해 타인이 생성한 키보드 포맷을 다운로드 받아서 적용하여 가상키보드를 생성하고, 이용하거나, 기존에 샘플로 생성되어 있던 키보드 포맷을 적용시켜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키보드 배열을 통신부(110)를 통해 업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웹페이지를 통해 등록하여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일정한 영구사용료 및 무료제공 목적으로 업로드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키보드 포맷을 유상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업로드한 키보드 포맷의 인기도나 사용량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키보드 포맷을 이용한 수익구조 창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할 수도 있다.
즉, 일반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용자 정의 키보드 배열 자판을 다른 사용자가 무료 또는 유료로 이를 다운받아 본인의 사용자판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음성 재생부(17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키 입력신호에 매칭되는 음성 메시지를 재생시킨다. 음성 재생부(170)는 가상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에 매칭되게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의 명칭을 읽어주거나 기능키에 대한 설명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80)는 한글 키 배열부(130), 영문 키 배열부(140), 특수문자 배열부(150),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에서 가상키보드 자판 배열을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반 데이터, 사용자 정의 배열부(160)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의 가상 키보드 배열 정보 및 음성 재생부(170)에서 키 입력에 따른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데 필요한 음성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한글 키 배열부 및 영문키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장치의 가상 키보드가 실행되면(S400), 기본모드의 키보드 자판을 제공한다(S410).
그리고 한글 모드가 실행되면(S420), 한글 키 배열부가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한다(S425).
한글 모드에서 1행에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이 배치되고, 2행에는 자음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 배치되며, 3행에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가 배치되고, 4행에는 ㅠ, ㅡ, ㅣ, ㅐ, ㅔ, 한문, 영문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기능키가 배치된다.
그리고 마지막 행에는 숫자와 화살표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키, 특수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키, space, Enter, 되돌리기 키(Delete)가 배치된다. 문자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으면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시킨다.
쌍자음이 있는 ㄱ, ㄷ, ㅂ, ㅅ, ㅈ, 이중 모음이 있는 ㅐ, ㅔ는 2회 입력할 경우에 붉은색으로 표시된 ㄲ, ㄸ, ㅃ, ㅆ, ㅉ, ㅒ, ㅖ가 출력된다. 이때 적어도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으면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글 모드에서 입력한 한글(단어)앞에 커서를 놓고 한자키를 선택하면, 그에맞는 한문이 제시되며 번호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S430) 영문키 배열부가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한다(S435).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영문 키 배열부는 알파벳 순서대로 첫번째 행에 a, b, c, d, e, f, g 키를 배치하고, 두번째 행에 h, i, j, k, l, m, n 키를 배치하고, 세번째 행에 o, p, q, r, s, t, u 키를 배치하며, 네번째 행에 v, w, x, y, z, caps, 한글 키를 배치한다. 그리고 마지막 행에는 숫자와 화살표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키, 특수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키, space, Enter, 되돌리기 키(Delete)가 배치된다.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영문 키 배열부는 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한다.
영문 모드 실행시에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소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 신호는 대문자이고,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대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신호는 소문자이다.
즉, 1회 키입력이 있으면 소문자가, 2회 키입력이 있으면 대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Caps키를 누르고 알파벳 키를 입력하면, 연속하여 대문자로 출력되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aps 키를 1회 누르면 대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여 연속하여 대문자로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Caps 키를 2회 누르면 대문자 입력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특수 문자 모드가 실행되면(S440), 특수문자 배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구성된 특수문자 세트별로, 특수문자 세트마다 특수문자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특수문자 키들을 배열한 특수문자 세트 자판을 적어도 하나 제공한다(S445).
특수문자 세트별로 복수(최대 n개)의 키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하게 입력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정의 배열부는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자음, 모음, 영문,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신호 또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키 정의 정보를 할당받아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한 사용자 모드 자판을 제공한다.
이때, 키마다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을 때 발생되는 원키 입력 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즉, 키마다 2회 입력될 경우에 인식되는 키 입력 신호를 더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33개의 키라 하더라도 하나의 가상 키보드 상에서 66개까지의 문자를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특수 문자의 경우에 다양한 특수문자를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의 옛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한글 모드의 자판에서 2회 입력시에 출력되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특수문자(#,@,\,^, %, 등)나 숫자(0~9)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자판에 포함되는 숫자나 특수문자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도 3b에서 사용자는 '
Figure pat00003
' 부분을 선택하고 자신이 원하는 특수문자나 숫자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인만의 한글 자판과 특수 문자가 혼재된 자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회 키 입력이 있으면, 단자음, 단모음으로 인식하고, 2회 키입력이 있으면 적색으로 표시되거나 '
Figure pat00004
' 부분에 설정된 쌍자음, 모음, 특수문자, 숫자와 같은 문자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는 숫자와 특수문자 전체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 위치를 선택하고, 그 위치에 배치하고 싶은 문자를 선택하면 배치하고 싶은 문자의 일련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문자 입력 장치 110 : 통신부
120 : 키 입력부 130 : 한글 키 배열부
140 : 영문 키 배열부 150 : 특수문자 배열부
160 : 사용자 정의 배열부 170 : 음성 재생부
180 : 저장부

Claims (15)

  1.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한글 키 배열부; 및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영문 키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수 문자 모드가 실행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구성된 특수문자 세트별로, 특수문자 세트마다 특수문자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특수문자 키들을 배열한 특수문자 세트 자판을 적어도 하나 제공하는 특수문자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자음, 모음, 영문,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신호 또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키 정의 정보를 할당받아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한 사용자 모드 자판을 제공하는 사용자 정의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는 상기 문자 입력 장치와 연동되는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인, 문자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는,
    개인큐알코드, 개인바코드, 사진, 이미지, 이모티콘, 아바타, 캐릭터, 서명, 도장, 상표, 단어, 문장을 출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배열부는,
    사용자 정의 키보드 생성 모드로 진입하여 기 정의된 키보드 포맷 파일을 적용하여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배열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제작 툴을 통해 제작된 특수문자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특수문자 이미지를 출력하는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키보드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배열부는,
    사용자가 키보드 각각의 색상, 글꼴, 글꼴크기, 글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키보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으면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2회 이상 동일한 키 입력이 있을 때 발생되는 원키 입력 신호와 상이한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영문 모드 실행시에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소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 신호는 대문자이고, 1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원키 입력신호가 대문자이면, 동일한 키에 대해 2회 키입력에 의해 발생 되는 키 입력 신호는 소문자인, 문자 입력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키 입력신호에 매칭되는 음성 메시지를 재생시키는 음성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문자 입력 장치가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
  14. 한글 키 배열부 및 영문키 배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모드가 실행되면, 한글 키 배열부가 자음 순서대로 단자음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자음 키들을 배열하고, 모음 순서로 단모음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모음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한글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영문 모드가 실행되면, 영문키 배열부가 알파벳 순서대로 알파벳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파벳 키들을 배열한 형태로 기본 키보드를 생성하여 영문 모드의 자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특수 문자 모드가 실행되면, 특수문자 배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구성된 특수문자 세트별로, 특수문자 세트마다 특수문자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특수문자 키들을 배열한 특수문자 세트 자판을 적어도 하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200098690A 2020-08-06 2020-08-06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44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90A KR102445580B1 (ko) 2020-08-06 2020-08-06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90A KR102445580B1 (ko) 2020-08-06 2020-08-06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312A true KR20220018312A (ko) 2022-02-15
KR102445580B1 KR102445580B1 (ko) 2022-09-21

Family

ID=8032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90A KR102445580B1 (ko) 2020-08-06 2020-08-06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5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813B1 (ko) 1996-10-24 1999-07-01 구자홍 여러개의 부하를 갖는 대출력 업소용 유도가열 밥솥 및 그의 취사방법
KR20020011670A (ko) *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050118365A (ko) * 2004-06-14 2005-12-19 주식회사 엠텔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수문자 에스엠에스 제공방법
KR100864749B1 (ko) * 2007-11-22 2008-10-22 김연수 문자입력방법
KR20100005635U (ko) * 2008-11-25 2010-06-04 혜 윤 조 표시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 기능키 버튼을 구비한 컴퓨터용 키보드
KR20100120538A (ko) * 2009-05-06 2010-11-16 (주)디노밴 단말의 키패드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2796B1 (ko) * 2014-02-24 2015-02-13 (주)옵티스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200082723A (ko) 2018-12-31 2020-07-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약점 대응 가상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813B1 (ko) 1996-10-24 1999-07-01 구자홍 여러개의 부하를 갖는 대출력 업소용 유도가열 밥솥 및 그의 취사방법
KR20020011670A (ko) *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050118365A (ko) * 2004-06-14 2005-12-19 주식회사 엠텔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수문자 에스엠에스 제공방법
KR100864749B1 (ko) * 2007-11-22 2008-10-22 김연수 문자입력방법
KR20100005635U (ko) * 2008-11-25 2010-06-04 혜 윤 조 표시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 기능키 버튼을 구비한 컴퓨터용 키보드
KR20100120538A (ko) * 2009-05-06 2010-11-16 (주)디노밴 단말의 키패드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2796B1 (ko) * 2014-02-24 2015-02-13 (주)옵티스 대/소문자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200082723A (ko) 2018-12-31 2020-07-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약점 대응 가상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580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isual password scheme
CN102667753B (zh) 便于文本编辑的方法和装置
US20210081103A1 (en) Data entry systems
KR101226751B1 (ko) 디지털기기로 해독되는 정보를 포함한 디자인코드 패턴 및 그 운영시스템
US20160132233A1 (en) Data entry systems
US20090154759A1 (en) Method,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graphical code pattern
CN102609194A (zh) 带有用于东亚限定布局的竖排文本元素的用户界面
CN101493951A (zh) 输入工具中的皮肤设计系统及方法
KR20200020755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7548A (ko) 전자펜 및 전자펜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4455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10135778B2 (en) Custom encoded messages amongst a customized social group
CN110377167B (zh) 字体产生方法和字体产生装置
Hurlburt Emoji: Lingua Franca or Passing Fancy?
CN11138246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813948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80125237A (ko)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JP7144795B2 (ja) 和文字変換プログラム及び和文字変換装置
KR20090016041A (ko) 휴대용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키보드 입력 모드 제공 장치및 방법
JP4999014B2 (ja) 拡大縮小可能フォントをサポートするテキストエディタ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の挿入
KR20150024170A (ko) 필기 입력기반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55807B1 (ko) 휴대단말의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저장매체
McLelland Cultural, Political and Technical Factors Influencing Early Web Uptake in North America and East Asia
KR102473156B1 (ko) 글자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ames Emoji: Thoughts and Observ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