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73B1 -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 - Google Patents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73B1
KR101492073B1 KR20130000958A KR20130000958A KR101492073B1 KR 101492073 B1 KR101492073 B1 KR 101492073B1 KR 20130000958 A KR20130000958 A KR 20130000958A KR 20130000958 A KR20130000958 A KR 20130000958A KR 101492073 B1 KR101492073 B1 KR 10149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pact
switching device
switch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434A (ko
Inventor
손윤호
Original Assignee
손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윤호 filed Critical 손윤호
Priority to JP201301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5612141B2/ja
Priority to US13/759,626 priority patent/US9508496B2/en
Publication of KR2013009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으로 조작 가능한 충격 스위칭 장치가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스위칭 장치에 대한 별도의 방수가 요구되지 않는 충격 스위치 내장형 염도계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외부로부터 방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어 측정물의 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에 의하여 접점이 이루어져 상기 센서부와 표시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가 하우징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별도의 스위칭 장치 방수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위칭 동작에 대한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충격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The Automatic Salt Meter having Internal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염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충격으로 조작 가능한 충격 스위칭 장치가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스위칭 장치에 대한 별도의 방수가 요구되지 않는 충격 스위치 내장형 염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도계는 음식물에 녹아 있는 염화 나트륨(NaCl)의 이온 농도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한 쌍의 전극을 대상물과 접촉토록 한 후, 전압을 인가하여, 통전된 전류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측정물의 염도를 구하게 된다.
염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염도계를 조리용기에 넣어 음식물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눌러 주거나 혹은 전원버튼이 온된 상태에서 측정버튼을 눌러 동작시켜 주어야만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염도계는 일정 시간 동안 측정물에 담구어야 하고, 측정을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 또한, 조작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는 전기 장치이므로 반드시 방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염도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를 형성하는 본체(11)에 측정부(12), 표시부(13) 및 조작부(14)가 각각 구비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작부(14)는 통상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동작이나 터치 동작으로 조작되는 버튼 형식의 스위치(15)로 구성된다. 스위치(15)는 소정의 회로가 인쇄된 기판(16)에 실장되며, 일 측은 홀을 관통하여 본체(11)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방수 필름(17)이 본체(11)와 함께 스위치(11)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측정물 속에서 염도 또는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름 또는 터치 동작으로 조작되는 스위치는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무수히 반복되는 터치 동작에 의하여 방수 필름(17)이 닳게 되고, 결국 장기간 사용으로 필름 자체에 구멍이 생겨 방수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정장치 제작시 스위치(15)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수 필름(17)을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측정 장치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스위칭 장치도 점차 소형화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동작이 까다로워져, 소형화에 한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터치 동작 없이 전기 전도도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염도 또는 온도 측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측정장치는 전극 사이의 전류 흐름을 감시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전력 소모에 있어서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지진 감지나 도난 방지 등을 목적으로 탄성을 이용한 진동 감지 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단순히 진동만을 감지하고, ON/OFF 동작에 의한 스위칭 장치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위칭 장치가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별도의 스위칭 장치 방수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온도 또는 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칭 동작에 대한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온도 또는 염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외부로부터 방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어 측정물의 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에 의하여 접점이 이루어져 상기 센서부와 표시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위칭 장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상기 코일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에 따른 상기 코일의 탄성으로 상기 코일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절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코일의 단부가 접촉되는 영역이 전기적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복수 영역으로 구획된 상기 하우징 사이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위칭 장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져 휘어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횡단하도록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에 따른 상기 프레임 중앙부의 위치 변경으로 상기 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절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기적으로 양 측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조작을 위한 스위칭 장치가 하우징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별도의 스위칭 장치 방수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동작에 대한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의한 ON/OFF 동작으로 충격을 이용한 스위칭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염도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다양한 스위칭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100)는 외부를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측정부(120), 상기 본체(110)의 일 측 표면에 형성되는 표시부(130) 및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부(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내부가 중공을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용기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외관은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바(bar) 형상을 이루면서, 측정부(120), 표시부(130) 및 조작부(140)를 각각 구비한다. 염도계(100)는 통상적으로 물이나 음식물의 측정물에 침지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본체(110)는 내외부가 밀폐되는 구조를 이룬다.
측정부(120)는 측정물의 염도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의 일 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측정부(120)는 통상적으로 측정물에 함유된 염화나트륨의 농도인 염도를 측정하기 염도감지센서(121)로 구성되나, 최근에는 염도뿐만 아니라 측정물의 온도도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122)를 포함한다. 염도감지센서는 도금을 한 동(bronze)을 이용한 한 쌍의 센서 핀으로 이루어져, 각 센서 핀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하여 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표시부(130)는 염도계(100)의 작동 상태와 함께 측정부(120)에서 감지되는 염도와 온도를 표시한다.
조작부(140)는 염도계(100)의 온오프, 염도 또는 온도의 측정 모드 변경 등과 같은 염도계(1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칭 장치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작부(140)는 통상 기판(141)에 실장되며, 기판(141)에 인쇄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C 칩 형태로 내장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스위칭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본체(110)는 외부로부터 밀봉되어 내부에는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40)는 외부와의 연결이 완전히 단절된 상태에서도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의 누름이나 터치 동작이 아닌, 본체 자체의 충격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50)는 코일의 탄성을 이용한 충격 스위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위칭 장치(150)는 하우징(151), 하우징(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의 코일(152), 하우징(151) 내부에서 코일(15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53) 및 하우징(151)과 탄성 코일(152)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15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51)은 스위칭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중공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중공의 하우징(151)은 내부에 코일(152)과 지지 부재(154)를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151)은 절연을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적인 부도체가 이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전극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자체가 전극 기능을 하도록 전기적인 도체가 이용된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의 하우징(151)은 동(bronz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152)은 충격에 의하여 단부가 위치 변경이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코일(152)은 일 측의 단부는 지지 부재(153)에 의하여 하우징(151)에 고정되고, 타 측의 단부는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되, 하우징(151)의 내벽에 대하여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코일(152)은 외부 진동에 의해서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충분한 강성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코일이 적용된다. 이러한 코일(152)은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인청동(phosphor bronze)과 같은 전도체가 이용된다.
지지 부재(153)는 하우징(151)의 일 측에서 코일(152)의 일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153)는 하우징과 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플라스틱이나 수지 재질의 사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칭 장치(150)는 염도계(100)의 본체(110) 내부에 내장되어, 염도계(100)가 외부 충격체에 충격되는 순간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다양한 스위칭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각각 도 3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50)의 스위칭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a)와 같이 스위칭 장치(15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체(200)에 충격시키는 경우 코일(152)의 단부는 충격 관성에 의하여 충격체(200)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위치 변경이 발생하고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코일(152)의 단부와 하우징(151)의 좌측 내벽이 순간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b)와 같이 스위칭 장치(15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체(200)에 충격시키는 경우 코일(152)의 단부는 우측의 충격체(200)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위치 변경이 발행하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코일(152)의 단부와 하우징(151)의 우측 내벽이 순간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일(152) 단부의 순간적인 위치 변경에 의한 하우징(151)과 코일(152)의 접촉으로 전기적인 스위칭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코일(152)은 외부의 진동에 의해서는 흔들리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의 탄성계수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충격에 의한 관성은 진동에 의한 관성에 비하여 대략 5 ~ 7배의 크기를 가지며, 충격량은 작용 힘과 시간의 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코일(152)이 외부의 진동에 의해서는 흔들리지 않게 설계되더라도 충격에 의해서는 순간적으로 강한 관성력이 발생하므로, 관성에 의하여 코일(152) 단부의 위치 변경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 스위칭 장치(150)가 직접 충격체(200)에 충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스위칭 장치(150)가 염도계(100) 본체 내부에 설치되므로 염도계(100)를 충격체(200)에 충격시킴으로써, 동일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충격체(200)로는 사용자의 손이 이용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5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1)이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하우징(151) 내벽에는 가이드 돌기(15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하우징(151)은 동으로 구성되어 하우징(151) 자체가 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절연 부재(155)에 의하여 (a)와 같이 두 개의 하우징(151, 전극) 영역으로 구획되거나 (b)와 같이 네 개의 하우징(151, 전극)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15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스위칭 장치(150)는 온오프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지만, (a)와 같이 두 영역으로 구획되는 경우 '증가 (+)' 및 '감소(-)'와 같은 제어 신호로 구분될 수 있고, (b)와 같이 네 영역으로 구획되는 경우 '증가 (+)', '감소(-)', '좌측 이동' 및 '우측 이동'과 같은 다양한 제어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하우징의 영역 수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코일(152)과 복수의 각 하우징(151)의 일 측 단부에 전선(154)이 연결되어 기판(141)에 전기적으로 접합되며, 기판(141)에 인쇄된 회로를 통하여 제어부 및 전원부 등으로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 돌기(156)는 절연 부재(155)의 내측 즉, 복수 영역으로 구획된 하우징(151) 사이의 내벽에 형성되어, 스위칭 장치(150)가 특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충격되지 않더라도, 코일(152)의 단부가 특정 영역의 하우징(151)으로 충격될 수 있도록 방향을 가이드 한다. 즉, 사용자는 정확한 방향으로 스위칭 장치 즉, 염도계(100)를 충격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충격 방향이 어느 정도 어긋나더라도 코일(152)의 단부는 가이드 돌기(156)에 의하여 충격시키고자 하는 방향의 하우징(151) 영역으로 가이드 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56)는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을 이루며, 절연 재질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50)는 프레임(151)의 탄성을 이용한 충격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1), 상기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며 체결되는 프레임(157)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51)은 동으로 구성되어 전극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하우징(151)과 프레임(157)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57)은 절연 부재(155)에 의하여 하우징(151) 내부에 고정된다. 절연 부재(155)는 프레임(157)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151)이 두 개의 전극을 갖도록 하우징(151)을 프레임(157)을 기준으로 양 측의 두 영역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에서 하우징(151)은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157)이 하우징(151)의 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1/2 등분하면서 횡단한다. 이때, 프레임(157)의 길이는 내부 공간의 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도록 체결된다. 이때, 프레임(157)의 휘어진 중앙부는 내부 공간의 짧은 방향으로 하우징(151) 내벽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50)의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a)와 같이 스위칭 장치(15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체(200)에 충격시키는 경우 프레임(157)의 중앙부는 충격 관성에 의하여 충격체(200) 방향의 하우징(151) 좌측 내벽으로 접점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b)와 같이 다시 스위칭 장치(15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충격체(200)에 충격시키는 경우 프레임(157)의 중앙부는 하우징(151) 우측 내벽으로 접점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충격이 반복되면서, 프레임(157)는 좌측 전극(154)과 우측 전극(154)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는 별도의 누름이나 터치 동작이 없더라도 염도계 본체를 손바닥 등의 충격체에 간단히 충격시키는 동작만으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충격 동작으로 염도계를 온(on) 시켜 사용하고, 다시 오프(off) 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충격을 이용한 스위칭 장치가 염도계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염도계 뿐만 아니라 온도계와 같은 다양한 측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염도계는 온도계와 같은 다양한 측정장치를 말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염도계 110 : 본체
120 : 측정부 130 : 표시부
140 : 조작부 150 : 스위칭 장치
151 : 하우징 152 : 코일
153 : 지지 부재 154 : 전선
155 : 절연 부재 156 : 가이드 돌기
157 : 프레임

Claims (7)

  1. 삭제
  2. 내부가 외부로부터 방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어 측정물의 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 코일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상기 탄성 코일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와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으로 상기 탄성 코일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상기 센서부와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탄성 코일의 단부가 접촉되는 영역이 전기적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복수 영역으로 구획된 상기 하우징 사이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6. 내부가 외부로부터 방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어 측정물의 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일 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져 휘어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횡단하도록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양 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와 외부 충격체와의 충격에 따른 상기 프레임 중앙부의 위치 변경으로 상기 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센서부와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기적으로 양 측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KR20130000958A 2012-02-10 2013-01-04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 KR101492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8148A JP5612141B2 (ja) 2012-02-10 2013-02-01 内蔵型衝撃スイッチを具備する塩度計
US13/759,626 US9508496B2 (en) 2012-02-10 2013-02-05 Automatic salt meter having internal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32 2012-02-10
KR20120013932 2012-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34A KR20130092434A (ko) 2013-08-20
KR101492073B1 true KR101492073B1 (ko) 2015-02-11

Family

ID=4921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0958A KR101492073B1 (ko) 2012-02-10 2013-01-04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90B1 (ko) 2013-08-05 2018-08-20 주식회사 만도 주차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04U (ko) * 1996-11-04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에어 백의 충격 감지 장치
KR20050109888A (ko) * 2004-05-17 2005-11-22 김태화 충격감지장치
KR20100116516A (ko) *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101036216B1 (ko) * 2010-09-06 2011-05-25 김가영 동작감지센서를 가진 염도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04U (ko) * 1996-11-04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에어 백의 충격 감지 장치
KR20050109888A (ko) * 2004-05-17 2005-11-22 김태화 충격감지장치
KR20100116516A (ko) *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101036216B1 (ko) * 2010-09-06 2011-05-25 김가영 동작감지센서를 가진 염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34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104B2 (en) Fabric interconnect
US8816875B2 (en) Electronic thermometer
US7515140B2 (en) Capacitive sensor
US8400316B2 (en) Electronic thermometer
CN112512761B (zh) 机械设备的壳体组件和机器人
CN102112853A (zh) 电子体温计
JP5612141B2 (ja) 内蔵型衝撃スイッチを具備する塩度計
KR101492073B1 (ko) 내장형 충격 스위치를 구비하는 염도계
JP2010135292A (ja) 振動感知スイッチ
CN108431638A (zh) 静电检测传感器
JP4362575B2 (ja) 電子体温計
KR101525429B1 (ko)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위치 지시기
CA2232528A1 (en) Smart toothbrush
CN201421803Y (zh) 震动开关
KR20170051501A (ko) 통합된 열 채널을 갖는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
KR100951952B1 (ko) 모션 센서
JP4274755B2 (ja) 1軸腕時計式歩数計
JP2020063916A (ja) 溶液性質検出用センサ
JP3098115U (ja) 体動センサー
CN210096896U (zh) 非接触式按键及游戏手柄
CN219320156U (zh) 适用于中高温溶液的pH计、温度检测装置及水域环境检测系统
JP2009230852A (ja) 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KR20140122625A (ko) 오일의 열화 감지 센서를 구비한 오일 딥 스틱
KR20160118742A (ko) 인체 전위 측정장치
KR101891484B1 (ko) 접촉 저항 방식의 발 압력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