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921B1 - 시료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921B1
KR101491921B1 KR20130092162A KR20130092162A KR101491921B1 KR 101491921 B1 KR101491921 B1 KR 101491921B1 KR 20130092162 A KR20130092162 A KR 20130092162A KR 20130092162 A KR20130092162 A KR 20130092162A KR 101491921 B1 KR101491921 B1 KR 10149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arget antigen
electromagnet
solu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
윤정효
조영규
이은두
임채승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9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7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 G01N27/74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for detecting magnetic beads used in biochemical ass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 입자 장벽을 통과하는 유체의 시료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료 검출 장치는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SPECIMEN}
본 발명은 시료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 입자 장벽을 통과하는 유체의 시료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모니터링, 식품 검사, 의료 진단 분야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시료를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기존의 검사방법은 많은 수작업과 다양한 장비들을 필요로 한다. 정해진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숙련된 실험자가 수 회의 시약 주입, 혼합, 분리 및 이동, 반응, 원심분리 등의 다양한 단계를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며, 이러한 검사 방법은 검사결과의 오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면역분석법을 통한 분석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초저농도의 특정 항원의 존재 여부를 알아 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액체 시료 내에는 여러 가지 항원들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목표 항원은 pg/ml 레벨 수준의 낮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어 이것의 특정 면역 반응 극대화를 통해 감지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선택적 면역 반응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6628호에는 검출 대상 미생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고정된 나노 입자를 검출 대상 미생물에 가하여 면역반응을 시키고, 응집용 필름을 통과시켜 미생물을 한곳에 모이게 한 후, 포획용 여과막에서 항체가 고정된 나노입자와 면역반응을 일으킨 미생물을 포획하여 미생물의 유무 및 농도를 측정하는 미생물의 고속 검출방법 및 미생물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6628호에는 흐르지 않는 액체에 대한 응집용 필름을 통과시켜 미생물을 한곳에 모이게 한 후, 포획용 여과막에서 항체가 고정된 나노 입자와 면역반응을 일으킨 미생물을 포획하여 미생물의 유무 및 농도를 측정하기에 측정이 복잡하다.
따라서 간단한 측정을 통해 검사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시료 검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 내 형성된 자성 입자 장벽을 통해 초저농도의 시료를 검출할 수 있는 시료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석을 통해 채널 내 형성된 자성 입자 장벽을 통과하는 유체의 시료를 편리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료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료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제1전자석; 상기 제1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1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자석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전자석; 상기 제2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2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료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제1전자석; 상기 제1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1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목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 도포된 스트립; 상기 스트립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상기 채널 외부에 위치한 제2전자석; 상기 제2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2전기 제어부; 상기 스트립과 연결되어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료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료 검출 장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채널 내 형성된 자성 입자 장벽을 통해 특정 항원을 편리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채널 내 형성된 자성 입자 장벽을 통해 초저농도의 시료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을 위한 자성 입자 장벽 형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을 위한 자성 입자 장벽에 목표 항원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검출 장치(100)는 웹(well) 내에 배치되어, 목표 항원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시료를 목표 항원이라 한다. 상기 웰(well)의 크기는 초저농도의 시료 측정을 위해 지름 4~10mm이고, 높이 10~50mm 정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초저농도는 pg/ml 레벨 수준의 낮은 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시료 검출 장치(100)는 저장부(110), 채널(120), 전자석(130), 전기 제어부(140), 감지 센서(150) 및 유량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0)에는 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 목표 항원을 포함한 용액, 또는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자성 입자는 나노 사이즈의 입자(이하, '자성 나노 입자'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자성 입자로 자성 나노 입자가 사용된 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나노 사이즈라 함은 1에서 수천 나노 미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형 입자인 경우 지름이 1에서 수백 나노 미터인 입자를 나노 입자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성 입자라 함은 자성을 띄는 자성체로, 니켈, 철, 코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나노 입자의 일반적인 크기는 지름 10 ~ 1000 nm 정도이다. 상기 자성 나노 입자는 목표 항원과 특이적 반응(예: 선택적 면역 반응, 항원 항체 반응 등)을 일으키는 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나노 입자의 기하학적 모양은 구체형, 원판형, 프리즘형, 막대기 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목표 항원은 바이러스, 이온, 단백질, 항체, 세포 등 면역 반응을 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0)는 미세 유체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지름이 4~10mm이고, 높이가 10~50mm 정도인 실린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채널(120)은 상기 저장부(110)와 연결되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용액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액은 상기 채널(120)을 통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채널(120)은 미세 유체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너비가 500~1000um이고, 높이 50~150um 정도인 사이즈로 제조될 수 있다.
전자석(130)은 상기 채널(120)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널 내부(120)에 자기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130)은 채널(120)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는 솔레노이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자석(13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가되는 전류는 직류도 가능하고 교류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제어부(140)의 전류 인가로 인해, 상기 전자석(130)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감지 센서(150)는 상기 채널(120) 내부에 존재하는 목표 항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항원의 감지는 목표 항원의 존재 여부 및 목표 항원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항원의 감지는 상기 채널(120) 내부에 형성된 자성 나노 입자와 결합하는 목표 항원의 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유량 제어부(160)는 채널(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채널(120)의 일측은 채널(120)에서 저장부(110)가 위치한 곳의 반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는 시린지 펌프, 페리스태틱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유량 제어를 통해 상기 시료에 역학적 에너지가 인가되어 상기 시료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을 위한 자성 입자 장벽 형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제어부(160)의 유량 제어를 통해 용액 속에 포함된 자성 나노 입자에 역학 에너지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제어부(140)의 전류 인가에 의해 상기 채널(120) 외부를 감싸고 있는 전자석(130)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으로 인해 자성 나노 입자에 자기 에너지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120) 속에서 자성 나노 입자를 이동하게 하려는 역학 에너지와 채널(120) 속에 머무르게 하려는 자기 에너지 사이에 평형을 이루어지면서, 자성 나노 입자가 자기장의 영향이 미치는 채널(120) 내부 소정 영역 부근에 집중적으로 정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이, 자성 나노 입자가 자기장의 영향이 미치는 부근에 집중적으로 정렬된 것을 자성 입자 장벽이라고 하고, 특히, 자성 나노 입자가 집중적으로 정렬되었기에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상기 채널(120) 내벽에 골고루 형성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130)으로 채널(120)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는 솔레노이드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을 위한 자성 입자 장벽에 목표 항원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목표 항원 및 기타 항원이 포함된 용액은 유량 제어부(160)의 유량 제어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목표 항원은 상기 자성 나노 입자와 항원 항체 반응을 하므로, 상기 목표 항원은 자성 나노 입자에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기타 항원은 상기 자성 나노 입자와 항원 항체 반응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기타 항원은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을 통과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감지 센서(150)는 나노 입자 장벽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채널(120)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목표 항원의 감지는 상기 자성 나노 입자의 변화의 측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 항원의 감지는 상기 채널(120)을 이동하는 상기 용액의 흡광도 변화, 상기 용액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 변화,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검출 장치(400)는 웹(well) 내에 배치되어, 목표 항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웰(well)은 도 1에 도시된 동일한 웰(well)이 사용될 수 있다.
시료 검출 장치(400)는 저장부(410), 채널(420), 제1전자석(430), 제1전기 제어부(440), 제2전자석(450), 제2전기 제어부(160), 감지 센서(470) 및 유량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 검출 장치(400)와 도 1에 도시된 시료 검출 장치(100)가 목표 항원을 감지하는 원리는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시료 검출 장치(400)와 도 1에 도시된 시료 검출 장치(100)와 다르게 전자석 및 전기 제어부가 2개씩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2개의 전자석 및 전기 제어부가 구비된 시료 검출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다르게 도 4의 시료 검출 장치(400)는 제1전자석(430) 및 제1전기 제어부(440)에 의해 제1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되고, 제2전자석(450) 및 제2전기 제어부(460)에 의해 제2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된다. 제1전기 제어부(440)는 제1전자석(43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제2전기 제어부(460)는 제2전자석(45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470)는 제2자성 나노 입자 장벽의 변화를 통해 목표 항원을 감지한다.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유량의 증가함에 따라 제1자성 나노 입자 장벽에 결합된 목표 항원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자성 나노 입자 장벽에 결합된 목표 항원의 무게가 계속 증가하여 상기 목표 항원이 제1자성 나노 입자 장벽에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고, 목표 항원의 적어도 일부가 제1자성 나노 입자 장벽을 통과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감지 센서(470)는 제2자성 나노 입자 장벽의 변화를 통해 목표 항원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의 형성 원리와 목표 항원 감지는 도 2 및 도 3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시료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검출 장치(500)는 웹(well) 내에 배치되어, 목표 항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웰(well)의 크기는 초저농도의 시료 측정을 위해 지름 4~10mm이고, 높이 10~50mm 정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시료 검출 장치(500)는 저장부(510), 채널(520), 제1전자석(530), 제1전기 제어부(540), 스트립(550), 제2전자석(560), 제2전기 제어부(570), 감지 센서(580), 유량 제어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0)에는 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 목표 항원을 포함한 용액, 또는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0)는 미세 유체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지름이 4~10mm이고, 높이가 10~50mm 정도인 실린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채널(520)은 상기 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저장부(510)에 저장된 용액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액은 상기 채널(520)을 통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채널(520)은 미세 유체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너비가 500~1000um이고, 높이 50~150um 정도인 사이즈로 제조될 수 있다.
제1전자석(530)은 상기 채널(520)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널 내부(520)에 자기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530)은 채널(520)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는 솔레노이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기 제어부(540)는 상기 제1전자석(53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가되는 전류는 직류도 가능하고 교류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전기 제어부(540)의 전류 인가로 인해, 상기 제1전자석(530)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자석(530) 및 제1전기 제어부(540)에 의해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나노 입자 장벽 형성 원리는 도 2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에,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스트립(550)은 상기 채널(520) 내부의 바닥의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립(550)이 배치된 소정 위치는 상기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된 영역 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550)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목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목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목표 항원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자석(560)은 상기 스트립(55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전기 제어부(570)의 제어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기 제어부(570)는 상기 제2전자석(56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자석(530) 및 제1전기 제어부(540)에 의해서는 자성 나노 입자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전자석(560) 및 제2전기 제어부(570)에 의해서는 상기 스트립(550) 하측 방향으로 자성 나노 입자를 당기는 자기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기 제어부(540) 및 제2전기 제어부(5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성 나노 장벽에 결합된 목표 항원은 상기 스트립(550)에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은 유량 제어부(590)의 유량 제어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목표 항원은 상기 자성 나노 입자와 항원 항체 반응을 하므로, 상기 목표 항원은 자성 나노 입자 장벽에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제1전기 제어부(540)는 오프(off)시키고, 제2전기 제어부(570)를 온(on)시키면, 형성된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은 무너지게 된다. 상기 목표 항원이 결합된 자성 나노 입자는 스트립(550)에 부착하게 되고(상기 스트립(550) 표면에 목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상기 목표 항원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 입자는 스트립(550)을 통과하여 채널(520)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감지 센서(150)는 상기 스트립(550)과 연결되어 상기 스트립(550) 표면에 부착된 목표 항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항원의 감지는 목표 항원의 존재 여부 및 목표 항원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항원 감지는 상기 채널(520)을 이동하는 상기 용액의 흡광도 변화, 상기 용액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 변화,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 상기 감지 센서(580)의 물성 변화에 의한 고유 진동수 변화, 및 상기 감지 센서(580)의 물성 변화에 의한 전기 저항 변화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유량 제어부(590)는 채널(5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채널(520)의 일측은 채널(520)에서 저장부(510)가 위치한 곳의 반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는 시린지 펌프, 페리스태틱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유량 제어를 통해 상기 시료에 역학적 에너지가 인가되어 상기 시료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시료 검출 장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채널 내 형성된 자성 입자 장벽을 통해 특정 항원을 편리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검출 장치는 채널 내 형성된 자성 나노 입자 장벽을 통해 초저농도의 시료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시료 검출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400, 500: 시료 검출 장치
110, 410, 510: 저장부
120, 420, 520: 채널
130, 430, 450, 560: 전자석
140, 440, 460, 540, 570: 전기 제어부
150, 470, 580: 감지 센서
550: 스트립
160, 480, 590: 유량 제어부

Claims (10)

  1.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석은 상기 채널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채널을 이동하는 상기 용액의 흡광도 변화, 상기 용액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 변화, 및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항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4.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제1전자석;
    상기 제1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1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자석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전자석;
    상기 제2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2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자석 및 상기 제2전자석은 상기 채널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채널을 이동하는 상기 용액의 흡광도 변화, 상기 용액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 변화, 및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항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7. 자성 입자 및 목표 항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목표 항원이 포함된 용액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 외부에 형성된 제1전자석;
    상기 제1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1전기 제어부;
    상기 채널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목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 도포된 스트립;
    상기 스트립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상기 채널 외부에 위치한 제2전자석;
    상기 제2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2전기 제어부;
    상기 스트립과 연결되어 상기 채널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목표 항원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 및
    상기의 채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자석은 상기 채널 외부의 일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에 도포된 물질은
    상기 목표 항원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시료 검출 장치.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채널을 이동하는 상기 용액의 흡광도 변화, 상기 용액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 변화,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 상기 감지 센서의 물성 변화에 의한 고유 진동수 변화, 및 상기 감지 센서의 물성 변화에 의한 전기 저항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항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검출 장치.
KR20130092162A 2013-08-02 2013-08-02 시료 검출 장치 KR10149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162A KR101491921B1 (ko) 2013-08-02 2013-08-02 시료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162A KR101491921B1 (ko) 2013-08-02 2013-08-02 시료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921B1 true KR101491921B1 (ko) 2015-02-12

Family

ID=5259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2162A KR101491921B1 (ko) 2013-08-02 2013-08-02 시료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9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59B1 (ko) * 2019-07-15 2020-10-28 주식회사 어큐노스 형광 이미징 기반의 미생물 신속 검출을 위한 용액 치환형 자성입자 농축방법 및 장치
KR20210031573A (ko) * 2019-09-11 2021-03-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츠 법칙 기반의 자성입자 가상그물구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초고속 포집 방법
CN112946258A (zh) * 2021-01-28 2021-06-11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侧流定量检测的微型试纸条控制平台
WO2022081124A1 (en) * 2020-10-12 2022-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f-wicking flow devices
KR20220101491A (ko) * 2021-01-11 2022-07-19 울산과학기술원 박테리아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16A (ko) * 2005-02-24 2006-08-29 한국과학기술원 자성 나노입자와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자기력 기반 미세 유체 칩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분석장치 및 생체분자분석방법
KR20090110102A (ko) * 2008-04-17 2009-10-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이크로 채널을 이용한 혈관 내 특정부위에 세포를유도·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시뮬레이션 방법
KR20100026932A (ko) * 2008-08-29 2010-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자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54357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16A (ko) * 2005-02-24 2006-08-29 한국과학기술원 자성 나노입자와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자기력 기반 미세 유체 칩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분석장치 및 생체분자분석방법
KR20090110102A (ko) * 2008-04-17 2009-10-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이크로 채널을 이용한 혈관 내 특정부위에 세포를유도·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시뮬레이션 방법
KR20100026932A (ko) * 2008-08-29 2010-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자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54357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59B1 (ko) * 2019-07-15 2020-10-28 주식회사 어큐노스 형광 이미징 기반의 미생물 신속 검출을 위한 용액 치환형 자성입자 농축방법 및 장치
KR20210031573A (ko) * 2019-09-11 2021-03-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츠 법칙 기반의 자성입자 가상그물구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초고속 포집 방법
KR102300213B1 (ko) * 2019-09-11 2021-09-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츠 법칙 기반의 자성입자 가상그물구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초고속 포집 방법
WO2022081124A1 (en) * 2020-10-12 2022-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f-wicking flow devices
KR20220101491A (ko) * 2021-01-11 2022-07-19 울산과학기술원 박테리아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 방법
KR102571205B1 (ko) * 2021-01-11 2023-08-25 울산과학기술원 박테리아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 방법
CN112946258A (zh) * 2021-01-28 2021-06-11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侧流定量检测的微型试纸条控制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921B1 (ko) 시료 검출 장치
JP6092910B2 (ja) 磁性粒子を作動させるためのバイオセンサー・システム
Rapoport et al. Integrated capture, transport, and magneto-mechanical resonant sensing of superparamagnetic microbeads using magnetic domain walls
JP2019522176A (ja) 高スループット粒子捕捉および分析
US20070224604A1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and/or Concentration of Substances of Interest in Fluids
HU225636B1 (en) Method for detecting analyte(s) in fluid
JP6247643B2 (ja) 生物学的試料から血液学的なおよび生化学的な測定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8544246A (ja) 正確な磁気バイオセンサー
EP25033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alytes
GB2482658A (en) Non-linear magnetophoresis system
US20100279887A1 (en) Nonlinear magnetophoretic separa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CN103501912A (zh) 用于分离样品中磁性标记部分的设备和方法
JP6291491B2 (ja) 干渉粒子を含有する流体の処理
US20100291710A1 (en) Biosensor system for external actuation of magnetic particles in a biosensor cartridge
KR101135419B1 (ko) 자성 나노 입자를 이용한 생체분자의 정량적 분석장치 및 방법
KR20230013259A (ko) 자성 나노 입자를 사용하는 분석물(들)의 검출 및 정량화
JP5881947B2 (ja) 磁気検出器用のコイル機構
KR101067695B1 (ko) 연자성 미세 구조물을 이용한 분자 이송 시스템
JP2014530355A (ja) 免疫学的タンパク質、病原性及び微生物因子並びに細胞の検出及び定量化用装置及び方法
WO2020167224A1 (en) Measurement system for magnetic samples
KR101907267B1 (ko) 다공성 격벽 및 자석을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용 키트
KR101157989B1 (ko) 분석물질의 검출방법
KR20190044992A (ko) 마이크로채널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키트
HAHN Magnetophoretic assay system based on the microfluidics for point-of-care diagnostics
WO2022233901A1 (en) A method of detecting a target microp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