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47B1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Google Patents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1847B1 KR101491847B1 KR20140138222A KR20140138222A KR101491847B1 KR 101491847 B1 KR101491847 B1 KR 101491847B1 KR 20140138222 A KR20140138222 A KR 20140138222A KR 20140138222 A KR20140138222 A KR 20140138222A KR 101491847 B1 KR101491847 B1 KR 101491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main
- yarn
- detachable handle
- gai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7/00—Gaiters; Spa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복의 바지단 등을 조이는데 사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각반에 있어, 각반의 신축성 및 통풍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반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더불어, 각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재료나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본체의 양단을 이용하여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서로 감겨져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각 섬유사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신축시 각 섬유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근로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용 각반 분야는 물론, 각반이 구성된 다양한 의복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각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재료나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본체의 양단을 이용하여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서로 감겨져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각 섬유사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신축시 각 섬유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근로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용 각반 분야는 물론, 각반이 구성된 다양한 의복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복의 바지단 등을 조이는데 사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각반에 있어, 각반의 신축성 및 통풍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반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서로 감겨져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각 섬유사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신축시 각 섬유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도, 신축가능한 폭과 거리를 향상시키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현장작업자의 바지단이 현장내 시설물이나 적치된 자재에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현장작업자의 각반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반은 신축재질로 구성되어 작업복의 바지단을 조이게 되는바,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피부 등에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바지단을 조이면서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011호 '산업안전용 밴드형 각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신축성을 갖는 띠형상의 밴드부재가 통기간격을 두고 재봉실에 의해 일체로 봉합된 것으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재봉실에 의해 밴드부재를 단순 재봉한 것으로, 신축시 밴드부재의 재봉부위에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이 손상되고 봉재부위가 뜯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각반에는 각반의 탈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벨크로(Velcro)테이프가 구성되는바, 선생기술과 같이 본체의 양측단에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게 되면, 각반의 탈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벨크로테이프를 쉽게 떼고 붙일 수 있는 손잡이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나 손잡이를 본체에 부착하는 등의 공정이 추가되어,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각반의 신축성 및 통풍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반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안전사고 방지와 더불어 착용자의 피부 등을 보호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각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재료나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본체의 양단을 이용하여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반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서로 감겨져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각 섬유사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고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상기 메인섬유사(110)와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신축되는 복수 개의 통풍섬유사(120)로 구성되어 2방향신축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에 형성된 탈착손잡이(200); 및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상기 탈착손잡이(200) 사이에 부착되는 후크(Hook)시트(310)와, 상기 후크시트(310)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의 다른 일측에 부착되는 루프(Loop)시트(320)로 구성된 벨크로(Velcro)테이프(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Meander)패턴으로 형성되어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 및 중앙이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통풍섬유사(120)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메인섬유사(110)에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결속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통풍섬유사(120)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앤더패턴은, 폭방향 패턴이 'S'자형과 역'S'자형의 곡선이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 중 양측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고정되도록 결속되고, 중앙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이웃하여 결속된 두 개의 상기 통풍섬유사(120)가 중첩부분에서 서로 엇감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Meander)패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이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어느 하나의 메인섬유사(110)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섬유사(110)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지도록 구성된 결속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상기 결속사(130)에 의해 메인섬유사(110)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손잡이(200)는, 상기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가 중앙을 향하도록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테이프(3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종단부가 상기 벨크로테이프(300)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0)와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가 끼워지며, 일측면에 광고시트 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는 슬라이드띠(4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각반의 신축성 및 통풍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반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2중신축이 가능하고 통풍성을 향상시키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와 더불어 착용자의 피부 등을 보호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각반 본체에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재료나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본체의 양단을 이용하여 탈착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서로 감겨져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각 섬유사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하며, 신축시 각 섬유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도, 신축가능한 폭과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본체를 섬유사들로 구성함으로써, 직조원단을 이용하는 기존의 각반에 비하여 두께를 1/3 내지 1/5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착용감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현장근로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용 각반 분야는 물론, 각반이 구성된 다양한 의복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은 본체(100), 탈착손잡이(200) 및 벨크로(Velcro)테이프(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2중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메인섬유사(110)와 폭방향으로 신축되는 통풍섬유사(120)를 포함하며, 통풍섬유사(120)에 의해 내외부간 통풍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섬유사(110)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통풍섬유사(120)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연결(결속)되며, 메인섬유사(110) 및 통풍섬유사(12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탈착손잡이(200)는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도 1에서는 양측 종단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일측이 도 1과 같이 접히면서 탈착손잡이(200)를 형성할 수 있다.
벨크로테이프(300)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일측(도 1에서 우측하부)과 탈착손잡이(200) 사이에 부착되는 후크(Hook)시트(310)와, 후크시트(310)에 대응하여 본체(100)의 다른 일측(도 1에서 좌측상부)에 부착되는 루프(Loop)시트(320)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탈착손잡이(200)는 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벨크로테이프(3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의 본체(100)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2중신축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착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를 섬유사들로 구성함으로써, 직조원단을 이용하는 기존의 각반에 비하여 두께를 1/3 내지 1/5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사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는 메인섬유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긴 결속사(130)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체(100)를 구성하는 각 섬유사는 봉재와 같은 방식으로 결속되는 것이 아니라, 결속사(130)에 의해 감겨지는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신축시에도 각 구성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은 신축시 각 섬유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본체(100)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Meander)패턴으로 형성되어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P1)(P2) 및 중앙(P3)이 각각 결속되어,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의 결합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통풍섬유사(120)의 미앤더패턴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폭방향 패턴이 'S'자형과 역'S'자형의 곡선이 반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신축시 통풍섬유사(120)가 곡선형태에서 직선형태로, 다시 직선형태에서 곡선형태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는 각 섬유사간 결속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한 신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메인섬유사(110)에 통풍섬유사(120)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결속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두 개의 통풍섬유사(120)는,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여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통풍섬유사(120)들이 서로 지지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풍섬유사(120)는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 중 양측(도 4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고정되도록 결속되고, 중앙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패턴의 양측에서 도 4의 P1과 같이 메인섬유사(110)에 구성된 결속사(130)가 2~3회 연속되어 감겨지도록 결속되어 결속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섬유사(120)는 미앤터패턴의 중앙부에서 도 4의 P3과 같이 메인섬유사(110)에 구성된 결속사(130)가 1회 감겨져 결속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풍섬유사(120)의 중앙부가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결속되면, 본체(100)의 신축시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 간의 움직임에 자유도가 충분히 확보되면서, 구조적인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특히, 결속사(130)는 메인섬유사(110)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구성되기 때문에, 메인섬유사(110)의 신축(도 4에서 좌우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통풍섬유사(120) 간의 구조적 결합력과 지지력을 향상 및 유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여 결속된 이웃하여 결속된 두 개의 통풍섬유사(120)는 중첩부분(C)에서 서로 엇감겨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신축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00)가 폭방향으로 늘어나면서 메인섬유사(110)간 거리가 'H'에서 'H1'으로 늘어나게 되면,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패턴의 폭방향 곡선부가 직선형태로 변형되어, 각 메인섬유사(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메인섬유사(110)가 일정하게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하부와 같이 이웃하는 통풍섬유사(120)의 중첩부분은 서로 엇감겨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체(100)는 폭방향 신축시, 충분한 신축거리를 보장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의 길이방향 신축과정에서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보장될 수 있다.
몸체(100)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의 결속부분 중 이웃하는 두 지점간의 거리가 'W'에서 'W1'으로 늘어나게 되며, 이때에도 통풍섬유사(120)의 미앤더패턴 중 일부가 직선형태로 변형되면서, 각 메인섬유사(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패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에서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두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통풍섬유사(120)를 결속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중첩부분(c)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도 7의 (b)와 같은 직선형태의 패턴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4의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지지력은 약화되는 바, 각 구성의 적용은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하나의 몸체(100)에 부분별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7의 (b)에 나타난 구조의 몸체가 신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b)와 같이 통풍섬유사(120)가 직선형태의 미앤더패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신축시 메인섬유사(110)가 절곡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섬유사(110)가 절곡되면 도 4와 같은 구조의 본체(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신축될 수 있다.
다만, 메인섬유사(110)가 절곡됨에 따라 신축시 메인섬유사(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증가하게 되므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의 사용목적에 따라 보다 많은 신축기능이 요구되는 분야나, 작업복 내의 탈착위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몸체의 각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풍섬유사(120)는 어느 하나(도 9에서 중앙)의 메인섬유사(110)를 중심으로 양측(도 9에서 상부 및 하부)이 대칭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의 (a)와 같은 곡선형태의 미앤더패턴 뿐만 아니라, 도 9의 (b)와 같은 직선형태의 미앤더패턴에 대해서도 상하대칭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도 8과 같이 메인섬유사(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 도 7 및 도 9에 나타난 본체(100)의 각 구성별 구조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의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의 사용시 요구되는 중요도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다 더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3의 구조를, 신축기능 및 생산성 증가가 보다 더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7의 구조를, 구조적 안정성 및 생산성 향상이 적절히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9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 발명의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섬유사(110), 통풍섬유사(120) 및 결속사(130)로 구성된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도 10에서는 양측)가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접히는 부분을 탈착손잡이(200)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접혀진 본체(110)의 일측 종단부가 내측(본체와 벨크로테이프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벨크로테이프(300)의 후크시트(310)와 루프시트(320)를 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300)는 본체(100)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재료나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에 탈착손잡이(20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상의 용이성 및 생산성은 물론 사용상에도 편리성도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체(100)의 종단부가 벨크로테이프(300)의 내측에서 고정되므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종단부의 섬유사가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이 발명에 따른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띠(400)가 결합되도록, 슬라이드띠(400)에 본체(100)가 끼워질 수 있다.
슬라이드띠(400)는 일측면으로 광고시트나 반사시트 등이 부착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효과, 야간작업시 작업자 위치확인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띠(400)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현장작업자)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A)을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띠(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띠(400)에 반사시트가 부착된 경우, 야간작업시 주의가 필요한 방향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띠(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슬라이드띠(400)를 대신하여 본체(100)에 부착고정되는 반사띠를 구성하거나, 슬라이드띠(400)와 함께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100 : 본체 110 : 메인섬유사
120 : 통풍섬유사 130 : 결속사
200 : 탈착손잡이
300 : 벨크로(Velcro)테이프
310 : 후크(Hook)시트 320 : 루프(Loop)시트
400 : 슬라이드띠
100 : 본체 110 : 메인섬유사
120 : 통풍섬유사 130 : 결속사
200 : 탈착손잡이
300 : 벨크로(Velcro)테이프
310 : 후크(Hook)시트 320 : 루프(Loop)시트
400 : 슬라이드띠
Claims (12)
-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고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상기 메인섬유사(110)와 연결되어 폭방향으로 신축되는 복수 개의 통풍섬유사(120)로 구성되어 2방향신축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에 형성된 탈착손잡이(200); 및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상기 탈착손잡이(200) 사이에 부착되는 후크(Hook)시트(310)와, 상기 후크시트(310)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의 다른 일측에 부착되는 루프(Loop)시트(320)로 구성된 벨크로(Velcro)테이프(300);를 포함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Meander)패턴으로 형성되어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 및 중앙이 각각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통풍섬유사(120)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메인섬유사(110)에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결속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통풍섬유사(120)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앤더패턴은,
폭방향 패턴이 'S'자형과 역'S'자형의 곡선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연속된 세 개의 메인섬유사(110) 중 양측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고정되도록 결속되고, 중앙에 배치된 메인섬유사(110)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이웃하여 결속된 두 개의 상기 통풍섬유사(120)가 중첩부분에서 서로 엇감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미앤더(Meander)패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섬유사(110)와 양측이 각각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어느 하나의 메인섬유사(110)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섬유사(110)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지도록 구성된 결속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섬유사(120)는,
상기 결속사(130)에 의해 메인섬유사(110)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손잡이(200)는,
상기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가 중앙을 향하도록 접혀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테이프(3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종단부가 상기 벨크로테이프(300)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0)와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가 끼워지며, 일측면에 광고시트 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는 슬라이드띠(400);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38222A KR101491847B1 (ko) | 2014-10-14 | 2014-10-14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38222A KR101491847B1 (ko) | 2014-10-14 | 2014-10-14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1847B1 true KR101491847B1 (ko) | 2015-02-11 |
Family
ID=5259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38222A KR101491847B1 (ko) | 2014-10-14 | 2014-10-14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184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753U (ko) * | 1998-06-09 | 1998-10-07 | 홍기철 | 모피 원단 |
KR200235999Y1 (ko) | 2001-03-13 | 2001-10-08 | 서진용 | 각반이 일체로 형성된 작업복 바지 |
KR200348474Y1 (ko) | 2004-01-12 | 2004-04-29 | 박춘배 | 작업용 각반 |
KR200456011Y1 (ko) | 2009-12-23 | 2011-10-07 | 김현주 | 산업안전용 밴드형 각반 |
-
2014
- 2014-10-14 KR KR20140138222A patent/KR1014918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753U (ko) * | 1998-06-09 | 1998-10-07 | 홍기철 | 모피 원단 |
KR200235999Y1 (ko) | 2001-03-13 | 2001-10-08 | 서진용 | 각반이 일체로 형성된 작업복 바지 |
KR200348474Y1 (ko) | 2004-01-12 | 2004-04-29 | 박춘배 | 작업용 각반 |
KR200456011Y1 (ko) | 2009-12-23 | 2011-10-07 | 김현주 | 산업안전용 밴드형 각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62585B1 (en) | Resilient band for article of apparel | |
CN105188437B (zh) | 包括平且薄的弹性腰带的服装 | |
KR100812493B1 (ko) |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 |
EP2885990B1 (en) | Pantleg holding mechanism for knee pads | |
US9814276B2 (en) | Convertible garment and method of converting same | |
US11096433B2 (en) | Trousers with waist protection belt | |
JP7004267B2 (ja) | 作業服 | |
US20110314586A1 (en) | Hands free shawl and method of using | |
US9700085B2 (en) | Protective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 |
KR101491847B1 (ko) | 탈착손잡이 일체형 각반 | |
WO2022176620A1 (ja) | ズボン | |
US1815530A (en) | Article for protecting the wrists and arms against cold | |
JP3207989U (ja) | 衣類 | |
KR200437595Y1 (ko) | 손목 보호대 | |
JP3134756U (ja) | 和服帯 | |
KR200477111Y1 (ko) | 허리보호용 바지덧댐밴드 | |
JP3222144U (ja) | 復元自在なノーフォーク仕様の上衣 | |
JP6621223B1 (ja) | 衣服用帯 | |
JP3173597U (ja) | 水作業用オーバーズボン | |
US20240260696A1 (en) | A method for realising a garment provided with a belt to be worn on the lower limbs and a relative garment provided with a belt | |
JP3212512U (ja) | 高所作業用安全帯の腰パッド | |
US20160198805A1 (en) | Button cover for protection of skin and body | |
JP2008086654A (ja) | 緊縛具 | |
JP2006225789A (ja) | 巻き衣類 | |
JP6685681B2 (ja) | 下半身用衣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