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155B1 -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155B1
KR101491155B1 KR20080105417A KR20080105417A KR101491155B1 KR 101491155 B1 KR101491155 B1 KR 101491155B1 KR 20080105417 A KR20080105417 A KR 20080105417A KR 20080105417 A KR20080105417 A KR 20080105417A KR 101491155 B1 KR101491155 B1 KR 10149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mb
area
reference value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540A (ko
Inventor
김원호
안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0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는,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 상기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의 수신단에 개재되어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지상파 DBM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현재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T-DMB 신호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상파 DMB, T-DMB, FM 간섭

Description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는 라디오 방송, TV 방송 및 이동통신용 데이터를 포괄하는 첨단 방송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과 디지털 비디오 방송이 기술적으로 통합되면서 DMB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DMB는 지상파, 위성파, 무선주파수 대역을 모두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기 때문에 휴대용 방송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어디서든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MB는 기술 표준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할 수 있다. 지상파 DMB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따른 것이고, 위성 DMB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각기 해당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방송 데이터를 무선 송신한다.
DMB는 방송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기 때문에 이동방송, 휴대방송 그리고 개인용 방송에 이르기까지 그 이용범위가 매우 넓고, 콘텐츠의 개발이 광범위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DMB는 기술 표준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Terrestrial) DMB(이하, T-DMB라 함.)와 위성(Satellite) DMB(이하, S-DMB라 함.)로 분류된다.
S-DMB는 방송위성을 이용하여 방송용 데이터를 적절한 디지털 압축표준으로 압축 및 인코딩한 후 CDM(Code Division Multiplex;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2630 ~ 2655MHz 대역의 신호로 무선 송신한다.
반면, T-DMB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따라 변환된 방송용 데이터를 174 ~ 216MHz 대역의 신호로 무선 송신한다.
그런데, T-DMB의 사용 주파수 대역은 FM 방송 주파수 대역인 88 ~ 108MHz 대역과 인접해 있다. 이에, T-DMB 수신장치는 FM 방송 주파수 대역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DMB 수신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T-DMB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DMB 수신장치는, T-DMB 신호의 수신 처리를 위한 T-DMB 수신부(4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부(30)와, DMB 수신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 함한다.
여기서, T-DMB 수신부(40)는, 방송신호의 복조 처리를 위한 T-DMB 수신IC(Integrated Circuit)(60)를 포함하며, T-DMB 신호의 수신단에는 FM 대역 신호를 제한하는 FM 대역제한 필터(50)가 설치된다.
T-DMB 수신IC(60)는, RF회로와, 신호 처리를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 A/V 회로 등을 포함한다.
FM 대역제한 필터(50)는 BPF(Band Pass Filter)로 구현되어, T-DMB의 사용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FM 방송 주파수 대역신호를 제거한다. 이러한 FM 대역제한 필터(50)는 RLC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하거나, PCB 사용 면적을 줄이기 위해 세라믹으로 구현된 상용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필터는 2 ~ 3dB 정도의 삽입 손실이 있다. 따라서, FM 신호가 강한 지역에서는 수신 감도가 향상되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삽입 손실로 인해 T-DMB 신호의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T-DMB 신호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키는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는,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 상기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의 수신단에 개재되어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지상파 DBM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현재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은, 지상파 DMB 신호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지상파 DMB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의 사용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T-DMB 신호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가 적용되는 DMB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가 적용된 DMB 시스템은, DMB 신호를 송신하는 DMB 송신센터(1)와, FM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센터(3)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5)을 포함할 수 있다.
DMB 송신센터(1)는 서비스 지역(A) 내에 DMB 신호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DMB 송신센터(1)는 T-DMB 송신센터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따라 변환된 방송용 데이터를 174 ~ 216MHz 대역의 신호로 무선 송신한다.
FM 송신센터(3)는 서비스 지역(B) 내에 T-DMB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88 ~ 108MHz 대역의 FM 방송신호를 송신한다. FM 송신센터(3)는 DMB 송신센터(1)와는 상호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으로 랜덤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 다.
위치정보 제공을 위해 적용된 GPS 시스템은 지상에서 수신기를 통해 여러 GPS 위성(5)에서 발신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각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전파 측위 시스템이다. GPS 시스템은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시간과 기후에 구애 받지 않고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에는 FM 송신센터(3)에서 전송하는 FM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통상적으로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근접할수록 FM신호의 세기는 강해짐으로,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는 이동 시, GPS 위성(5)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와 FM 송신센터(3)의 위치를 고려하여 T-DMB의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DMB 수신장치는 내비게이션, 휴대전화,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상에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는 T-DMB 신호 수신 처리를 위한 T-DMB 수신IC(160)와, T-DMB 수신IC(160)의 수신단에 개재되는 FM 대역제한 필터(150)와, FM 대역제한 필터(150)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230)와, 위치정보 확인을 위한 위치정보 처리부(200)와, 방송신호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120) 및 오디오부(130)와, FM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20)와, DMB 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 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T-DMB 수신IC(160)는, T-DMB 신호 수신을 위한 RF회로와, 신호 처리를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 등을 하나의 모듈로 집적화한 것이다. T-DMB 수신IC(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FM 대역제한 필터(150)는 T-DMB 수신IC(160)의 수신단에 설치되어 T-DMB의 사용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FM 주파수 대역신호를 제거한다. 이러한, FM 대역제한 필터(150)는 RLC 소자를 이용하여 BPF(Band Pass Filter)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2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FM 대역제한 필터(150)와 T-DMB 수신IC(160)의 수신단 간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며, 스위치부(230)로는 RF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230)는 FM 대역제한 필터(15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부(230)가 오프되면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턴온되고, 스위치부(230)가 턴온되면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단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스위치부(230)가 턴온되면 FM 대역제한 필터(150)는 단락되어, 수신된 T-DMB신호는 스위치부(230)를 통해 바로 T-DMB 수신IC(160)로 전달된다. 그리고, 스위치부(230)가 오프되면 FM 대역제한 필터(150)는 T-DMB 수신IC(160)의 수신단과 연결되어, 수신된 T-DMB신호에 포함된 FM 신호가 제거된다. 이러한 스위치부(230)의 연결상태 및 동작상태는 실시예일뿐이며, 스위치부(230)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FM 대역제한 필터(150)와 T-DMB 수신IC(160) 간의 연결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위치정보 처리부(200)는 DMB 수신장치(100)가 이동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경우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위치정보 처리부(200)로는 GPS 처리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GPS 처리장치는 복수개의 GPS 위성(5)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GPS 처리장치는 최소 3개의 GPS 위성(5)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평면상의 현재 위치(좌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동시에 수신한 경우 고도까지 산출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정보 처리를 위해 GPS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LBS(Location Based Service)나,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 인식 방법,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인식 방법 등 다른 방식의 위치정보 처리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T-DMB 수신IC(160)에서 처리된 방송영상을 표시한다.
오디오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T-DMB 수신IC(160)에서 처리된 방송음향을 출력한다.
메모리부(220)에는 T-DMB의 주파수 대역과 근접한 주파수 대역의 FM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통상적으로 FM 송신센터(3)와 근접할 지역일 수록 FM신호의 세기는 강해짐으로,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는 DMB 수신장치(100)의 생산 시 메모리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DMB 수신장치(100)가 직접 FM 신호의 세기 를 측정하여, FM 신호의 세기가 큰 지역의 정보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T-DMB 수신IC(160)를 통해 DMB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방송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방송음향을 오디오부(13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처리부(200)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정보와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위치정보 비교 알고리즘(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처리부(200)를 통해 현재 DMB 수신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결과값을 산출한다. 통상적으로, FM 송신센터(3)와 근접할수록 FM 신호의 세기는 강해짐으로,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비교 알고리즘(210)을 이용하여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과값에 따라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이용하여 스위치부(230)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GPIO는 프로세서나 컨트롤러 등에서 일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준비된 입출력 포트로서,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전기적 입력을 받거나 출력으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GPIO를 이용하는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스위치부(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GPIO를 위치정보 비교 알고리즘(210)과 연동시켜,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GPIO를 통해 스 위치부(230)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부(110)는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근접한 경우,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구동되도록 스위치부(230)를 제어하고,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벗어난 경우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단락되도록 스위치부(23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에는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S10).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는 DMB 수신장치(100)의 생산 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처리부(200)를 통해 T-DMB 시청중인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12).
현재 위치가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FM 송신센터(3)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FM 송신센터(3)의 서비스 지역(B)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비교 알고리즘(210)을 이용하여 FM 송신센터(3)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FM 송신센터(3)의 서비스 지역(B)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M 송신센터(3)의 서비스 지역(B)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1)의 GPIO가 동작되며(S16), GPIO신호에 의해 스위치부(230)가 턴오프 동작하여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구동된다(S18). 이에, T-DMB 신호에 포함된 FM 신호가 제거 된다.
FM 송신센터(3)의 서비스 지역(B)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GPIO의 동작이 해제되며(S20), 이에 스위치부(230)가 턴온 동작하여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단락된다(S22). 따라서, 수신된 T-DMB 신호는 FM 대역제한 필터(150)를 거치지 않고 바로 T-DMB 수신IC(160)로 입력되어, FM 대역제한 필터(150)로 인해 삽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는 T-DMB 시청 중에 FM 신호가 강한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한해, FM 대역제한 필터(150)가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DMB 수신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가 적용되는 DMB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의 제어흐름도.

Claims (13)

  1.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
    상기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의 수신단에 개재되어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현재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연결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는,
    상기 FM신호 대역을 제한하는 BPF(Band Pass Filter)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RF 스위치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처리부인 DMB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는, 상기 FM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센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가 상기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의 수신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DMB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가 상기 지상파 DMB 수신 처리부의 수신단과 분리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DMB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
  9. 지상파 DMB 신호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의 사용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신호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 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FM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센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의 사용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FM신호를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위치 정보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의 정보를 비교하 여,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FM신호를 제거하는 FM 대역제한 필터의 사용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FM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지역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M 대역제한 필터의 사용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105417A 2008-10-27 2008-10-27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9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5417A KR101491155B1 (ko) 2008-10-27 2008-10-27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5417A KR101491155B1 (ko) 2008-10-27 2008-10-27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40A KR20100046540A (ko) 2010-05-07
KR101491155B1 true KR101491155B1 (ko) 2015-02-06

Family

ID=4227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5417A KR101491155B1 (ko) 2008-10-27 2008-10-27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446A (ko) * 2007-06-28 2008-02-21 (주)다산알앤디 정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446A (ko) * 2007-06-28 2008-02-21 (주)다산알앤디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40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61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 information via a media playing device
US2006002515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versity recep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d with satellite DMB receiver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070070208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system, receiver, video camera and audio mixer
US793704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mobile broadcasting signal and transmitting/receiving bluetooth signal with single antenna
KR2006005591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파워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50197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daptation of received digital data
US8285209B2 (en) Short range FM modulator/transmitter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7516001B2 (en) Control apparatus for a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for an in-vehicle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an in-vehicle device
KR100957326B1 (ko) 이동단말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방법
KR101491155B1 (ko)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178028A (ja) 告知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端末装置
JP2005012583A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の伝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20060020977A1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ing system
KR100866926B1 (ko) 영상신호 출력 기기의 음향신호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70052460A (ko) 방송수신기기 및 그의 채널 제어방법
KR101526570B1 (ko) Dmb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4976A (ko) 근거리 fm 변조기/전송기 및 이를 탑재한 시스템
JP2005354288A (ja) 受信装置
JP2001189947A (ja) 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KR100602497B1 (ko) Dmb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수신처리 방법
KR101962242B1 (ko) 안테나 장치
JP200106909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テナ調整方法
CN117134782A (zh) 一种无线发射系统、方法和电视机
KR200276149Y1 (ko) 위성방송의 오디오 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