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43B1 - 배출가스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배출가스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843B1
KR101490843B1 KR20140087010A KR20140087010A KR101490843B1 KR 101490843 B1 KR101490843 B1 KR 101490843B1 KR 20140087010 A KR20140087010 A KR 20140087010A KR 20140087010 A KR20140087010 A KR 20140087010A KR 101490843 B1 KR101490843 B1 KR 10149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uel
passage
outlet
inle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삼
Original Assignee
고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삼 filed Critical 고병삼
Priority to KR2014008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연료의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및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통과유로를 갖는 바디, 통과유로를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유체연료의 와류를 형성하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을 갖는 복수의 충돌판, 통과유로를 따라 유출포트 측으로 흐르는 유체연료에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한 희토류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출가스 저감장치 {Exhaust Gas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선박, 보일러 등이나 이들에 유체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체연료 공급기에 적용 가능한 배출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선박, 보일러 등에 사용되는 유체연료(휘발유, 경유와 같은 액체연료 및 천연가스와 같은 기체연료)는 분자의 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체연료는, 양전하와 음전하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미립화되지 않기 때문에, 연소 시에 산소와 비원활하게 혼합되면서 불완전하게 연소된다.
유체연료의 불완전연소에 따르면, 연소효율 감소,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따라, 유체연료에 자기력을 제공하면 유체연료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에 의거, 자석을 이용하여 유체연료의 불완전연소율을 감소시키는 여러 구조의 장치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장치들은 단지 자석의 자기력에 의존하여 유체연료의 미립화 및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이므로 유체연료에 대한 미립화 및 활성화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연료에 대하여 한층 향상된 미립화 및 활성화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연료 유입포트, 유체연료 유출포트 및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 사이의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갖는 바디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 상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을 갖는 복수의 충돌판과;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연료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유체연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이웃한 충돌판의 유체연료 분출구멍에 대하여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센터를 중심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된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외측에는 단열수단 및 자기장 차폐수단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단위공간의 내주에는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와류 유도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의 입구와 출구 중에서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에서 상기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연결된 유체연료 팽창부와; 상기 유체연료 팽창부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의 양단에 각각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 사이에서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유체연료 통과유로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중심부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희토류 영구자석과;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 상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중앙부에 영구자석 삽입구멍이 마련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마련된 복수의 충돌판과; 상기 바디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단열용 내열실리콘층 및 자기장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유체연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이웃한 충돌판의 유체연료 분출구멍에 대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중심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각 단위공간의 내주에는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와류 유도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은 출구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내주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연료에 대한 우수한 미립화 및 활성화 효율에 의하여 유체연료의 불완전연소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즉, 보다 향상된 연소효율을 보장할 수 있고, 배출가스를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충돌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차량이나 선박이나 보일러 등이나 이들에 유체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체연료 공급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유체연료 공급라인을 구성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일정의 길이를 갖는 직선형의 바디(100),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한 단일의 희토류 영구자석(200), 복수의 칸막이 겸용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을 포함한다.
바디(100)는, 유체연료가 유입되는 제1포트(102) 및 유체연료가 유출되는 제2포트(104), 제1포트(102)와 제2포트(104) 사이의 통과유로(106)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길이방향의 양단인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각각 개방된 중공형의 관상부재(110), 관상부재(110)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 각각 긴밀하게 결합된 제1캡(120) 및 제2캡(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관상부재(110)는 내부의 중공을 통과유로(106)로 하고, 제1캡(120)은 제1포트(102)를 가지며, 제2캡(130)은 제2포트(104)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바디(100)에 의하면, 제1포트(102)와 제2포트(104)는 사이의 통과유로(106)에 의하여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고, 제1포트(102)로 유입되는 유체연료는 통과유로(106)를 통과하여 제2포트(104)로 유출된다.
영구자석(200)으로는 네오디뮴(neodymium) 자석, NIB(Neodymium-Iron-Boron, Nd-Fe-B) 자석, 사마륨-코발트(Sm-Co) 자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영구자석(200)은 통과유로(106)의 중심부에 통과유로(106)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200)은, 통과유로(106)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통과유로(10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영구자석(200)에 의하면, 영구자석(200)의 주위(통과유로(106) 포함)에는 강한 자기력이 작용하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통과유로(106)를 통과하는 유체연료는 영구자석(200)의 자기장에 노출됨에 따라 활성화된다. 즉, 영구자석(200)의 자기공명, 인력과 척력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유체연료의 활성화가 유도되는 것이다. 물론, 유체연료의 활성화에 따르면, 유체연료는 분자의 결합구조가 상대적으로 연소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된다.
영구자석(200)을 이용하는 유체연료 활성화의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칸막이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충돌판(300a, 300b, 300c, 300d)들은 통과유로(106) 상에 통과유로(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통과유로(106)를 복수의 단위공간(106a, 106b, 106c, 106d, 106e)으로 구획한다.
각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은, 중앙부에 영구자석(200)이 끼워진 상태로 관통되는 삽입구멍(302a, 302b, 302c, 302d)이 마련되고, 가장자리부에 각 단위공간(106a, 106b, 106c, 106d, 106e)을 서로 공간적으로 통하도록 연결시키는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은, 각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에 복수 개씩 구비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에 의하면, 통과유로(106)를 통과하는 유체연료는,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에 충돌하면서 미립화되고,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을 통하여 현 단위공간으로부터 다음의 단위공간으로 분출된다.
각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은 그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으로부터의 유체연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이 이웃한 충돌판의 분출구멍에 대하여 충돌판의 중앙부(즉, 영구자석(200))를 중심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4개의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을 구비하고, 이들 충돌판(300a, 300b, 300c, 300d)을 제1포트(102) 측으로부터 제2포트(104) 측의 순으로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충돌판으로 하면, 제2충돌판(300b)의 분출구멍(304b)은 제1충돌판(300a)의 분출구멍(304a)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45도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고, 제3충돌판(300c)의 분출구멍(304c)은 제2충돌판(300b)의 분출구멍(304b)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45도(제1충돌판(300a)의 분출구멍(304a)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90도)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4충돌판(300d)의 분출구멍(304d)은 제3충돌판(300c)의 분출구멍(304c)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45도(제1충돌판(300a)의 분출구멍(304a)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135도)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돌판(300a, 300b, 300c, 300d)들은 배열순서대로 일방향으로 일정의 각도만큼씩 시프트된 상태로 영구자석(200)에 끼워질 수 있다.
각 단위공간(106a, 106b, 106c, 106d, 106e)의 내주에는 통과유로(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통과유로(106)를 통과하는 유체연료의 와류 형성을 유도하는 홈부(108)가 마련된다.
바디(100)의 외측에는 단열수단(400)이 구비된다. 단열수단(400)은 관상부재(110)의 외주에 적층되며 실리콘과 각종 첨가물을 혼합하여 실리콘에 단열성 및 내열성을 부여한 내열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단열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수단(400)에 의하면, 유체연료에 대한 미립화 및 활성화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과유로(106)를 고온환경으로 유지함으로써, 유체연료의 미립화, 활성화, 연소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수단(400)의 외측에는 자기장 차폐수단(500)이 구비된다. 자기장 차폐수단(500)은, 자기장에 대하여 우수한 차폐성능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차폐시트 또는 차폐커버 또는 차폐층일 수 있고, 단열수단(400)에 접착제(접착층)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로는 단열성 및 접착성을 갖는 우레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단열성능 향상 면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자기장 차폐수단(500)에 의하면, 영구자석(200)의 자기장이 차량, 선박, 보일러 등의 적용대상의 동작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제1포트(102)로 유입되는 유체연료가 통과유로(10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영구자석(200)의 자기장에 노출되고, 충돌판(300a, 300b, 300c, 300d)들에 반복적으로 충돌하며, 시프트된 분출구멍(304a, 304b, 304c, 304d)들과 나선형의 홈부(108)에 의하여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충돌과 와류의 복합작용, 통과유로(106)에서의 유체연료의 긴 체류시간(영구자석(200)의 자기장에 대한 유체연료의 긴 노출시간) 등으로 유체연료를 보다 확실하게 미립화하고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유체연료의 연소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불안전연소에 기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분출구멍(304d-1)의 형상만이 다소 상이하다. 도 6에는 복수의 충돌판 중 하나의 충돌판(300d)만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충돌판에도 제2실시예의 분출구멍(304d-1)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분출구멍(304d-1)은 유체연료가 와류를 보다 확실하게 형성하도록 출구가 통과유로의 내주 측인 와류 형성을 유도하는 홈부(108)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분출구멍(304d-2)의 형상만이 다소 상이하다. 도 7에는 복수의 충돌판 중 하나의 충돌판(300d)만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충돌판에도 제3실시예의 분출구멍(304d-2)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분출구멍(304d-2)은, 분출구멍(304d-2)의 입구와 출구 중 입구 측으로부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H1), 분출구멍(304d-2)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에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H1)와 연결된 유체연료 팽창부(H2), 유체연료 팽창부(H2)로부터 분출구멍(304d-2)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H3)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분출구멍(304d-2)에 의하면, 유체연료는 제3실시예의 분출구멍(304d-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H1)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압축되고, 유체연료 팽창부(H2)에서 팽창된 후,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H3)에 의하여 다시 점진적으로 압축되면서 미립화된다. 즉, 유체연료에 대하여 보다 향상된 미립화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0 : 바디
102 : 제1포트
104 : 제2포트
106 : 통과유로
108 : 홈부
106a, 106b, 106c, 106d, 106e : 단위공간
200 : 영구자석
300a, 300b, 300c, 300d : 충돌판
302a, 302b, 302c, 302d : 삽입구멍
304a, 304b, 304c, 304d : 분출구멍
400 : 단열수단
500 : 자기장 차폐수단

Claims (5)

  1. 길이방향의 양단에 각각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 사이에서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유체연료 통과유로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중심부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희토류 영구자석과;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 상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중앙부에 영구자석 삽입구멍이 마련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마련된 복수의 충돌판과;
    상기 바디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단열용 내열실리콘층 및 자기장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유체연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이웃한 충돌판의 유체연료 분출구멍에 대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중심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각 단위공간의 내주에는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와류 유도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은 출구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내주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 유체연료 팽창부 및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를 가지며,
    상기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는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의 입구와 출구 중에서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연료 팽창부는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에서 상기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는 상기 유체연료 팽창부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가스 저감장치.
  2. 유체연료 유입포트, 유체연료 유출포트 및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 사이의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갖는 바디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 상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을 갖는 복수의 충돌판과;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연료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충돌판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유체연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이 이웃한 충돌판의 유체연료 분출구멍에 대하여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센터를 중심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의 입구와 출구 중에서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에서 상기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연결된 유체연료 팽창부와;
    상기 유체연료 팽창부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를 갖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는 단열수단 및 자기장 차폐수단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배출가스 저감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공간의 내주에는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와류 유도 홈부가 마련된,
    배출가스 저감장치.
  5. 유체연료 유입포트, 유체연료 유출포트 및 상기 유체연료 유입포트와 유체연료 유출포트 사이의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갖는 바디와;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 상에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복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체연료 분출구멍을 갖는 복수의 충돌판과;
    상기 유체연료 통과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연료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은,
    상기 유체연료 분출구멍의 입구와 출구 중에서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중간 측에서 상기 입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와 연결된 유체연료 팽창부와;
    상기 유체연료 팽창부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측 유체연료 압축부를 갖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140087010A 2014-07-10 2014-07-10 배출가스 저감장치 KR10149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010A KR101490843B1 (ko) 2014-07-10 2014-07-10 배출가스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010A KR101490843B1 (ko) 2014-07-10 2014-07-10 배출가스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43B1 true KR101490843B1 (ko) 2015-02-09

Family

ID=525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7010A KR101490843B1 (ko) 2014-07-10 2014-07-10 배출가스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3160U1 (ru) * 2023-10-11 2024-02-05 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Бондар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топлива в магнитном пол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257B1 (ko) 1995-06-07 2000-03-02 히데아키 마키타 내연기관 또는 보일러의 유해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0553828B1 (ko) 2004-11-12 2006-02-21 (주)인콤비디케이 촉매 및 와류와 충돌에 의한 다용도 액상 미립화 기기
KR200438821Y1 (ko) * 2006-12-28 2008-03-06 윤성태 연료 및 물 활성화 장치
KR20120135980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전원 유체연료 활성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257B1 (ko) 1995-06-07 2000-03-02 히데아키 마키타 내연기관 또는 보일러의 유해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0553828B1 (ko) 2004-11-12 2006-02-21 (주)인콤비디케이 촉매 및 와류와 충돌에 의한 다용도 액상 미립화 기기
KR200438821Y1 (ko) * 2006-12-28 2008-03-06 윤성태 연료 및 물 활성화 장치
KR20120135980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전원 유체연료 활성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3160U1 (ru) * 2023-10-11 2024-02-05 Анатолий Николаевич Бондар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топлива в магнитном пол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356B2 (en) Ducted combustion systems utilizing duct-exit tabs
EP2961975B1 (en) Air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040828A5 (ko)
KR20150002857A (ko) 연료 분사 밸브
KR101490843B1 (ko) 배출가스 저감장치
KR101459932B1 (ko) 텀블 발생용 흡기장치
JP5976065B2 (ja) 燃料噴射弁
KR101046759B1 (ko) 스크램제트엔진 연소기용 연소증진보염기
US9624878B2 (en) Non-return valv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261652A (zh) 一种流体活性化装置
WO2014157555A1 (ja) モータ冷却構造
JP6299515B2 (ja)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
US20190128158A1 (en) Ramjet generator for intake/exhaust pipe
JP2005127186A (ja) 燃料噴射弁
KR102002956B1 (ko) 연료 저감장치
BR112014023693B1 (pt) Válvula injetora de combustível
CN108343960B (zh) 一种燃气热水装置的浓淡焰燃烧器
KR100824267B1 (ko) 내연기관용 연료 절약기
JP4815412B2 (ja) 流体の磁気処理装置
JP2019110023A (ja) スパークプラグ
RU2014140230A (ru) Клапан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EP2218898A1 (en) Fuel saving device
US20170074217A1 (en) Fuel saver and contaminants reducer system and method
JP2015119595A (ja) モータ冷却構造
KR102365183B1 (ko) 엔진용 흡기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