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57B1 -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57B1
KR101490357B1 KR20130046276A KR20130046276A KR101490357B1 KR 101490357 B1 KR101490357 B1 KR 101490357B1 KR 20130046276 A KR20130046276 A KR 20130046276A KR 20130046276 A KR20130046276 A KR 20130046276A KR 101490357 B1 KR101490357 B1 KR 10149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output value
flux density
standard sample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495A (ko
Inventor
홍재화
이호열
김기원
황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4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5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7/1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using magnetic means, e.g. by measuring change of reluctance
    • G01B7/1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using magnetic means, e.g. by measuring change of reluctance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a third element, the position of Hall device and the source of magnetic field being fixed in respect 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 G01N27/0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a current being generated within the material by ind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8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 G01R33/038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in relation with magnetic forc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코팅 두께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이 코팅 두께 측정 장치는 모재와 상기 모재에 코팅된 코팅을 포함하는 측정시료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부재; 상기 측정시료와 상기 자석부재 사이의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출력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재; 및 미리 얻어진 상기 모재와 상기 코팅의 재질에 해당하는 표준시료 검량선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상기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pparatus for measureing thickness of coating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of}
본 발명은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재의 코팅(coating)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파괴 코팅 두께 제어 방법과 비파괴 코팅 두께 제어 방법이 있다.
비파괴 코팅 두께 측정 방법은 코팅된 모재의 원형, 상태 및 기능을 파괴시키지 않고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파괴 코팅 두께 측정 방법에는 베타선(β-ray) 방법, 형광 엑스선(X-ray) 방법, 자기 유도 방법, 와전류(eddy current) 방법 및 초음파 방법이 있다.
베타선 방법은 적당한 투과력을 갖는 베타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코팅된 모재에 베타선을 입사시켜, 반사되는 베타선의 강도를 측정하여 코팅 두께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형광 엑스선 방법은 코팅된 모재에 엑스선을 조사한 후에 코팅과 모재에 의해 반사되는 엑스선을 이용하여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자기 유도 방법은 코아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설치하고, 코아에 감긴 1차 권선에 저주파 구동전류를 인가하여 코팅 두께에 따라 비례하는 2차 권선에 유도되는 유도신호를 측정하여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와전류 방법은 고주파 자계를 코팅된 모재에 인가하여 코팅된 모재 표면의 코팅에 여기되는 와전류에 의한 와전류 손실을 측정하고, 측정된 와전류 손실에 기초하여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초음파 방법은 코팅된 모재에 초음파를 입사시켜 코팅과 모재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한편, 베타선 방법이나 형광 엑스선 방법은 베타선과 형광 엑스 선의 투과 깊이가 대략 100um 이내이기 때문에 코팅 두께가 이보다 클 경우 측정의 정확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기 유도 방법은 비자성체가 코팅된 자성체 모재의 코팅 두께를 측정하는 데에는 장점이 있으나, 자성체가 코팅된 비자성체 모재의 경우 코팅 두께가 약 0.5mm 이상인 경우에는 코팅 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전류 방식은 모재와 코팅의 전기 전도도 차이가 크지 않으면 코팅 두께를 측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초음파 방법은 모재와 코팅 사이에 계면이 형성되지 않으면 코팅 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의 문제점에 의해, 철강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열 전도율이 좋은 구리 재질의 모재에 내마모성과 윤활성이 우수한 니켈 재질이 0.5mm~3mm로 코팅되는 몰드 설비의 코팅 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과제는 코팅 두께가 대략 0.5mm 이상인 경우에도 코팅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재와 상기 모재에 코팅된 코팅을 포함하는 측정시료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부재; 상기 측정시료와 상기 자석부재 사이의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출력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재; 및 미리 얻어진 상기 모재와 상기 코팅의 재질에 해당하는 표준시료 검량선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상기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출력하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는 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은 상기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시료 각각을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으로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를 얻고, 상기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에서 상기 코팅 두께와 상기 출력 값의 관계로부터 도출되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의 재질은 자성체이고 상기 모재의 재질은 비자성체이거나, 상기 코팅의 재질은 비자성체이고 상기 모재의 재질은 자성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팅 두께가 측정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모재에 코팅된 코팅을 포함한 측정시료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자속밀도 측정부재가 상기 측정시료에 접촉되어 출력하는 출력 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미리 얻어진 상기 모재와 상기 코팅의 재질에 해당하는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은 상기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시료 각각을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으로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를 얻고, 상기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에서 상기 코팅 두께와 상기 출력 값의 관계로부터 도출되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코팅 두께가 대략 0.5mm 이상인 경우에도 코팅 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자석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표준시료 검량선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표준시료 검량선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코팅 두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를 실험한 실험 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1)는 모재(M)와 모재(M)에 코팅된 코팅(C)을 포함하는 측정시료(P)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부재(10), 자석부재(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측정시료(P)와 자석부재(10) 사이에서 자속밀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출력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재(20), 제어부(30)에 코팅 두께가 측정되어야 할 측정시료(P)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0) 및 미리 얻어진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저장하고,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과 측정시료(P)의 정보 및 자속밀도 측정부재(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이용하여 코팅 두께를 출력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가 출력한 코팅 두께를 표시하는 표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가 저장하는 표준시료 검량선이 복수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개일 수 있다.
자석부재(10)는 영구자석(11), 제1 및 제2자성체(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성체(12)의 일단부는 영구자석(11)의 일단에 영구자석(11)의 길이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되고, 제2자성체(13)의 일단부는 영구자석(11)의 타단에 영구자석의 길이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자성체(12)와 제2자성체(1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11)의 재질은 Nd-Fe-B 자석일 수 있다.
한편, 자석부재(10)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말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부재(10)의 일단은 N극이 되고, 타단은 S극이 되어, 코팅(C)과 모재(M)를 포함하는 측정시료(P)에 자기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자기력선은 자석부재(10)의 N극, 측정시료(P) 및 자석부재(10)의 S극을 지나게 된다.
자속밀도 측정부재(20)는 자속밀도를 홀센서로 이용하여 측정하고, 자석부재(10)의 N극 또는 S극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자속밀도 측정부재(20)는 자석부재(10)의 N극과 코팅(C)이 접하는 면 또는 자석부재(10)의 S극과 코팅(C)이 접하는 면을 지나는 자속의 밀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 값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홀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부재(10)의 N극과 코팅(C)이 접하는 면 또는 자석부재(10)의 S극과 코팅(C)이 접하는 면을 지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수단이라면 그 어떠한 수단도 이용 가능하다.
제어부(30)에는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 자속밀도 측정부재(2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값,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시료(P)의 정보를 이용하여 코팅 두께를 출력하고, 표시부(60)에서 코팅 두께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30)는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출력 값과 입력부(40)로부터 측정시료(P)의 모재와 코팅의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모재와 코팅의 정보와 일치하는 모재와 코팅을 포함하는 표준시료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검색하고, 검색된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자속밀도 측정부재(2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읽어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코팅 두께는 표시부(60)에서 표시된다. 여기서, 제어부(30)에 저장되는 표준시료 검량선이 단수일 경우에는 표준시료 검량선을 검색하는 과정이 생략된다.
제어부(30)에 저장되는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제어부(30)에 코팅 두께가 측정되어야 할 측정시료의 모재와 코팅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재와 코팅의 정보는 모재와 코팅의 자성체 여부 또는 재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에 저장되는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얻는 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표준시료 검량선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첫 번째로, 모재(M)와 코팅(C)의 재질은 동일하고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제1표준시료(P1_1~P1_n)들을 준비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표준시료(P1_1~P1_n)들 각각의 모재는 자성체인 철이 이용되고, 코팅은 비자성체인 비닐필름이 이용되었다.
두 번째로,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팅 두께 측정 장치(1)의 자석부재(10)의 S극과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복수의 제1표준시료(P1_1~P1_n)들 중 첫번째 제1표준시료(P1_1)에 접촉되도록 한다.
세 번째로,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출력하는 출력 값을 기록한다.
네 번째로, 복수의 제1표준시료(P1_1~P1_n)들 모두에 대해 두번째와 세번째 과정을 수행하여,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복수의 제1표준시료에 대한 출력 값 데이터를 얻는다.
다섯 번째로, 복수의 제1표준시료(P1_1~P1_n) 각각에 대한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출력하는 출력 값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1표준시료 검량선을 도출한다.
예컨데,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앞서 얻어진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복수의 제1표준시료에 대한 출력 값 데이터를 XY좌표계(A)에 기입한다. 그 다음, XY좌표계(A)에 기입된 좌표(B)들로부터 제1표준시료 검량선(C)을 도출한다.
한편, 제1표준시료 검량선(C)을 얻는 방법은 통계학적인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표준시료 검량선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첫 번째로, 모재(M)와 코팅(C)의 재질은 동일하고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제2표준시료(P2_1~P2_n)들을 준비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2표준시료(P2_1~P2_n)들 각각의 모재는 비자성체인 구리가 이용되고, 코팅은 자성체인 니켈이 이용되었다.
두 번째로,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팅 두께 측정 장치(1)의 자석부재(10)의 S극과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복수의 제2표준시료(P2_1~P2_n)들 중 첫번째 제2표준시료(P2_1)에 접촉되도록 한다.
세 번째로,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출력하는 출력 값을 기록한다.
네 번째로, 복수의 제2표준시료(P2_1~P2_n)들 모두에 대해 두번째와 세번째 과정을 수행하여,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제2표준시료에 대한 출력 값 데이터를 얻는다.
다섯 번째로, 복수의 제2표준시료(P1_1~P1_n) 각각에 대한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출력하는 출력 값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1표준시료 검량선을 도출한다.
예컨데,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앞서 얻어진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복수의 제1표준시료에 대한 출력 값 데이터를 XY 좌표계(A)에 기입한다. 그 다음, XY좌표계(A)에 기입된 좌표(B)들로부터 제1표준시료 검량선(C)을 도출한다.
한편, 제1표준시료 검량선(C)을 얻는 방법은 통계학적인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우선, 제어부(30)는 입력부(40)로부터 코팅 두께가 측정되어야 할 측정시료(P)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901). 즉, 측정시료(P)의 모재와 코팅의 재질 정보를 입력 받는다.
그 다음, 제어부(30)는 자속밀도 측정부재(20)가 출력하는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입력 받는다(902).
그 다음, 제어부(30)는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표준시료 검량선 중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측정시료(P)의 모재와 코팅의 재질 정보와 동일한 재질을 가지는 표준시료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검색한다(903). 여기서, 제어부(30)에 저장되는 표준시료 검량선이 단수일 경우에는 903단계가 생략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는 검색된 표준시료의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자속밀도 측정부재(20)의 출력 값에 대응되는 코팅 두께를 읽어들여 출력한다(90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효과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를 실험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는 모재가 자성체인 스테인레스 430이고, 코팅이 비자성체인 비닐필름인 기준시료에 대해 코팅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분산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두께가 이미 알려진 기준시료의 코팅 두께들이고, Y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가 측정한 값이다.
도 10의 (b)는 모재가 비자성체인 구리이고, 코팅이 자성체인 니켈인 기준시료에 대해 코팅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분산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두께가 이미 알려진 기준시료의 코팅 두께들이고, Y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가 측정한 값이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준시료의 코팅 두께와 이들을 측정한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측정한 값이 거의 일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신뢰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코팅 두께 측정 장치 10: 자석부재
20: 자속밀도 측정부재 30: 제어부
40: 제어부 60: 표시부
C: 코팅 M: 모재
P: 시료 P1: 제1표준시료
P2: 제2표준시료

Claims (6)

  1. 모재와 상기 모재에 코팅된 코팅을 포함하는 측정시료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부재;
    상기 측정시료와 상기 자석부재 사이의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출력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재;
    자성체 여부 및 재질 정보에 따라 분류된 상기 모재와 상기 코팅의 표준시료 검량선을 저장하고 있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상기 모재와 상기 코팅의 자성체 여부 및 재질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시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는 상기 자석부재의 N극 또는 S극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N극과 상기 코팅이 접하는 면 또는 상기 자석부재의 S극과 상기 코팅이 접하는 면을 지나는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출력 값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측정시료 정보에 매칭되는 표준시료 검량선을 검색하고, 검색된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상기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출력하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는 홀센서인 코팅 두께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은 상기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시료 각각을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으로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를 얻고, 상기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에서 상기 코팅 두께와 상기 출력 값의 관계로부터 도출되어 얻어지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의 재질은 자성체이고 상기 모재의 재질은 비자성체이거나, 상기 코팅의 재질은 비자성체이고 상기 모재의 재질은 자성체인 코팅 두께 측정 장치.
  5. 코팅 두께가 측정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모재에 코팅된 코팅의 자성체 여부 및 재질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시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자속밀도 측정부재가 상기 측정시료에 접촉되어 출력하는 출력 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상기 측정시료 정보에 매칭되는 표준시료 검량선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표준시료 검량선에서 상기 출력 값에 대응하는 코팅 두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은 자성체 여부 및 재질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는 자석부재의 N극 또는 S극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N극과 상기 코팅이 접하는 면 또는 상기 자석부재의 S극과 상기 코팅이 접하는 면을 지나는 자속밀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출력 값으로 출력하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시료 검량선은 상기 코팅 두께만 다른 복수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시료 각각을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으로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를 얻고, 상기 표준시료 출력 값 데이터에서 상기 코팅 두께와 상기 출력 값의 관계로부터 도출되어 얻어지는 코팅 두께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46276A 2013-04-25 2013-04-25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9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276A KR101490357B1 (ko) 2013-04-25 2013-04-25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276A KR101490357B1 (ko) 2013-04-25 2013-04-25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495A KR20140128495A (ko) 2014-11-06
KR101490357B1 true KR101490357B1 (ko) 2015-02-06

Family

ID=5245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276A KR101490357B1 (ko) 2013-04-25 2013-04-25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842A (ja) * 2005-02-03 2006-08-17 A & D Co Ltd 液体物性値測定装置及び液体物性値測定方法
KR20120064992A (ko) * 2010-12-10 2012-06-20 한국기계연구원 클래드 두께측정 장치 및 클래드 두께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842A (ja) * 2005-02-03 2006-08-17 A & D Co Ltd 液体物性値測定装置及び液体物性値測定方法
KR20120064992A (ko) * 2010-12-10 2012-06-20 한국기계연구원 클래드 두께측정 장치 및 클래드 두께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495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0571B (zh) 缺陷测量方法、缺陷测量装置及检查探针
US6914427B2 (en) Eddy current probe having sensing elements defined by first and second elongated coils and an associated inspection method
CN103238064B (zh) 淬火深度测定方法以及淬火深度测定装置
US201503165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ner defects of steel plate
CN106814131B (zh) 一种铁磁平面构件浅层损伤磁发射检测方法及磁发射检测系统
KR102501065B1 (ko) 결함 측정 방법, 결함 측정 장치 및 검사 프로브
JP2014044087A (ja) パルス磁気を用いた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Sun et al. Magnetic flux leakag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concrete rebar using an open electromagnetic excitation technique
CN109374748A (zh) 声发射源时反定位成像方法
JP4650167B2 (ja)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JP6768305B2 (ja) 探傷装置および探傷方法
CN102175131B (zh) 一种利用漏磁场测量钢板厚度的方法
JP6905884B2 (ja) プローブ
KR101490357B1 (ko) 코팅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116049A (zh) 涡电流检测方法
KR101999945B1 (ko) 강자성체 응력 측정 장치
JP6551885B2 (ja) 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CN105874329B (zh) 检测钢板的缺陷的设备和方法
US20100315077A1 (en) Method of non-destructively testing, a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Ou et al. Surface and back-side defects identification combined with magnetic flux leakage and boundary magnetic perturbation
Singh et al. Thickness evaluation of aluminium plate using pulsed eddy current technique
Otterbach et al. Comparison of defect detection limits in Lorentz force eddy current testing and classical eddy current testing
JP2000304725A (ja) 鋼材の変態層厚さ計測方法
JP2005077203A (ja) 透磁率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96513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rand position in a post-tensioned tend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