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21B1 -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21B1
KR101490321B1 KR20140072910A KR20140072910A KR101490321B1 KR 101490321 B1 KR101490321 B1 KR 101490321B1 KR 20140072910 A KR20140072910 A KR 20140072910A KR 20140072910 A KR20140072910 A KR 20140072910A KR 101490321 B1 KR101490321 B1 KR 101490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layer
coating layer
particles
prim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14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03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2014007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21B1/ko
Priority to JP2015089474A priority patent/JP6242364B2/ja
Priority to US14/726,835 priority patent/US10244891B2/en
Priority to EP15172009.1A priority patent/EP2957352A3/en
Priority to CN201510329841.1A priority patent/CN10517042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matt or rough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05D2401/3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 B05D2401/32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applied as pow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기기 표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에 도트입자의 코팅액이 반복적으로 점 분사되어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도트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트층의 평균 높이는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ITCHEN APPARATUS COATED DOT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기구 표면 전체에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용 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기구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음식물을 담아 조리하는 용기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주방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주방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주방기구(10)는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손잡이(13)로 구성되고, 본체에는 음식물의 눌러붙음을 방지하면서 세척시에는 눌은 때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조리면(11a)에 한층 이상의 보호피막층(12)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주방기구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음식물을 담아 조리하는 용기를 말하며, 그 구성은 볼(Bowl)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취급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거나 탈착가능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고, 주방기구에 표면(11)을 보호하는 보호피막층(12)을 코팅한다.
한편, 구매자들이 주방기구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주방기구 표면의 디자인인 즉, 이미지피막층 및 새로운 시각효과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행해지고, 이러한 시도의 예로 냄비의 표면에 실크인쇄를 이용한 독특한 문양을 나타내는 방식등으로 다양한 무늬를 주방기구의 표면에 조성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으로 주방기구를 제작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이러한 종래의 주방기구는 조리면의 색상이 대체로 어둡고 단색이기 때문에, 주요 구매자이면서 사용자인 여성에게 제품을 구매하고 싶다는 욕구나 제품의 상업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주방기구의 측면은 수직으로 라운드진 곡면을 이루므로 이에 바닥면에 스크린인쇄, 전사 혹은 패딩으로 스탬핑 하는 등의 방법으로 내부에 문양을 구성하여 단순한 색상에서의 변화를 주고 있는데 이는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거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주방기구 제작 방법에서는 통상적으로 고압으로 안료를 분사하기 때문에 다량의 비산 손실이 발생하는 동시에 코팅되는 도막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기구에 색상효과를 형성함에 있어서 주방기구 표면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표시되어 주방기구의 미감 향상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기구 표면에 선택적으로 코팅하되, 원하는 두께로 기존보다 두꺼운 코팅층을 형성하면서 내구성이 있는 주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기구 표면에 코팅하는 데 있어 코팅액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기구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은 코팅액을 색상별로 마련하여 다양한 색상의 주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기기 표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에 도트입자의 코팅액이 반복적으로 점 분사되어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도트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트층의 평균 높이는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트층 상에 탑 코팅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입자는 점 분사로 인한 프라이머 코팅층에 유착시 평균지름은 5㎛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점 분사 방식으로 스패터링한 것으로 상기 도트입자가 0 ~ 20층으로 겹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트층의 면적은 60 내지 98%의 면적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여러 가지 색상을 갖는 복수의 노즐을 통해 점 분사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하여 도트층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0.2~1.0MP의 압력으로 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머 코팅액을 10~12㎛ 두께로 상기 주방기구의 표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 후 100~200℃에서 건조하는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 전체에 반복적인 점 분사로 코팅액을 스프레이하여 도트형상을 형성시키는 도트층 형성단계, 및 400~420℃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트층의 평균 높이는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100~200℃에서 건조하고, 탑 코팅액을 8~12㎛ 두께로 도포한 다음 400~420℃에서 열처리하여 탑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입자는 점 분사로 인한 프라이머 코팅층에 유착시 평균지름은 5㎛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점 분사 방식으로 스패터링한 것으로 상기 도트입자가 0 ~ 20층으로 겹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트층의 면적은 60 내지 98%의 면적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여러 가지 색상을 갖는 복수의 노즐을 통해 점 분사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하여 도트층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트층은 0.2~1.0MP의 압력으로 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은 코팅층을 50~150㎛의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 있으며, 불량율이 저하되는 주방기구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은 프라이머 코팅층, 도트층 및 탑 코팅층을 주방기구 표면에 선택적으로 코팅하되, 도트층 형성시 저압의 점 분사로 코팅함으로써 저압분사를 통한 코팅액의 비산액적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은 주방기구 표면에 코팅되는 도트층은 복수개의 노즐에 다른 색상의 코팅액을 마련하여 점 분사를 분사시키도록 하여 단색의 색상 또는 다색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방기구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방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은 주방기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층(110) 및 도트층(120)으로 이루어지거나, 프라이머 코팅층(110), 도트층(120) 및 탑 코팅층(130)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코팅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주방기구 표면(100)에 프라이머 코팅층(110)이 형성되는 데, 이러한 프라이머 코팅층(110)은 코팅시킬 액이 주방기구 표면에 잘 코팅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0)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아미드이미드의 nmp용해 혼합물, PTFE분산액, 카본블랙 분산액 및 실리카 분산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폴리아미드이미드의 nmp용해 혼합물 63~74중량%, 물 3~5중량%, PTFE분산액 15~18중량%, 카본블랙 분산액 2~4중량% 및 실리카 분산액 6~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코팅액을 10~12㎛ 두께로 상기 주방기구의 표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 코팅층(110)을 형성하고, 온도는 100~200℃에서 약 5 내지 20분간 건조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 코팅층(110)의 건조는 작업성과 작업시간 등을 고려한 온도라고 할 수 있다. 프라이머 코팅층(110)의 건조시간이 5분보다 짧은 시간으로 할 경우 건조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코팅시 주방기구를 균일하게 코팅하는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20분보다 긴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경우 작업시간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0) 상에는 도트층(120)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도트층(120)은 프라이머 코팅층(110)을 형성한 주방기구 표면 전체에 반복적인 점 분사로 코팅액을 스패터링(spattering)하여 형성되는 도트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트층(120)을 코팅액은 점 분사로 스패터링 하는 경우 코팅액이 도트입자 형태로 하나하나가 떨어져 각각이 개별적으로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점분사에 의해 도트입자의 코팅액이 개별적으로 프라이머 코팅층(110) 상에 유착되어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점분사되는 상기 도트입자는 평균지름이 5㎛ 에서 10mm까지 그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도트입자는 표현하고자하는 도트의 크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점 분사되는 노즐의 제어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트층(120)의 도트입자는 점 분사로 프라이머 코팅층(110) 상에 형성될 때 0 내지 20겹으로 겹칠 수 있다. 점 분사로 인해 반복적으로 도트입자가 여러층으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도트층(1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점 분사로 도트층(120)을 형성할 경우 두께를 다른 코팅구조 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도트층(120)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액체 형태로 점 분사된 도트입자는 건조시에 액체성분은 건조되어 상기 도트입자 개개로 수축이 일어나 전체 도트층으로 볼 때는 도트층의 상단부분에 요철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50㎛이상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을 때 건조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인 동시에, 50㎛이상의 두꺼운 코팅층이 형성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본 발명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트층(120)은 여러 색상의 코팅액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는 도트층(120) 형성시 코팅액을 색상별로 마련하여 복수개의 노즐로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하여 도트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트층(120)의 조성은 PTFE분산액, 물, 방향족 탄화수소, 트리에틸아민,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및 무기안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PTFE분산액 86~92중량%, 물 5.5~6.53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0.5~1.5중량%, 트리에틸아민 0.2~0.5중량%, 올레인산 0.2~0.5중량%, 계면활성제 0.1~0.4중량%, 무기안료 1.5~3.5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트층(120)의 형성은 저압의 점 분사를 이룸으로써, 0.2~1.0MP의 압력으로 점 분사하여 코팅액의 비산액적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도트층(120)의 두께를 50~150㎛로 하여 코팅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가 이루어질 경우 기체 형태로 이루어져 분사된 코팅액의 30 내지 60%의 손실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도트층을 형성시 점 분사 형태로 입자를 크게 하여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저압으로 점 분사되는 경우 손실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트층(120)을 형성한 다음 400~420℃에서 5~20분간 기구를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는 400 ~ 420℃의 온도에서 약 5 내지 20분간 건조하게 된다. 이는 상기 열처리 온도를 높은 온도로 하여 건조함으로써 코팅 효율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400℃보다 낮은 온도로 열처리하게 되면, PTFE 수지의 용융 소결이 부족하여 도막을 견고하게 코팅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또한 도트층(120)을 형성한 후 열처리 단계 이전에 상기 도트층(120) 상에 탑 코팅층(13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탑 코팅층(130)은 상기 도트층(120) 상에 탑 코팅액을 8~12㎛ 두께로 도포한 다음 400~420℃에서 약 5 내지 20분간 열처리하여 탑 코팅층(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건조하는 단계는 작업성과 작업시간 등을 고려한 온도라고 할 수 있으며, 5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건조할 경우에 건조시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코팅시에 주방기구를 균일하게 코팅하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을 20분보다 긴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은 작업시간의 증대를 초래하게 될 수 있다.
탑 코팅층(130)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으로 아니며, PTFE분산액, 방향족 탄화수소, 트리에틸아민,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운모 및 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PTFE분산액 86~92중량%, 물 5.5~6.53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0.5~1.5중량%, 트리에틸아민 0.2~0.5중량%, 올레인산 0.2~0.5중량%, 계면활성제 0.1~0.4중량%, 운모 1.5~3.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주방기구 11 : 표면
11a : 조리면 12 : 보호피막층
13 : 손잡이
100 : 주방기구 표면 110 : 프라이머 코팅층
120 : 도트층 130 : 탑 코팅층

Claims (14)

  1. 주방기기 표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에 도트입자의 코팅액이 반복적으로 점 분사되어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도트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트층의 평균 높이는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트입자는 점 분사에 의해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개별적으로 유착되어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트입자는 점 분사로 인한 프라이머 코팅층에 유착시 평균지름은 5㎛ 내지 10mm이며,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트층의 면적은 60 내지 98%의 면적비율을 나타내며,
    상기 도트층은 점 분사 방식으로 스패터링한 것으로 상기 도트입자가 0 ~ 20층으로 겹치게 형성되며, 여러 가지 색상을 갖는 복수의 노즐을 통해 점 분사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하여 도트층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며,
    액체 형태로 점 분사된 도트입자는 건조시에 액체성분은 건조되어 상기 도트입자 개개로 구분되어 전체 도트층으로 볼 때 도트층의 상단부분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층 상에 탑 코팅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층은 0.2~1.0MP의 압력으로 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8. 프라이머 코팅액을 10~12㎛ 두께로 주방기구의 표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 후 100~200℃에서 건조하는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 전체에 반복적인 점 분사로 코팅액을 스프레이하여 도트형상을 형성시키는 도트층 형성단계, 및
    400~420℃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트층의 평균 높이는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도트입자는 점 분사에 의해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개별적으로 유착되어 표면을 형성하며, 도트입자는 점 분사로 인한 프라이머 코팅층에 유착시 평균지름은 5㎛ 내지 10mm이며,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트층의 면적은 60 내지 98%의 면적비율을 나타내며,
    상기 도트층은 점 분사 방식으로 스패터링한 것으로 상기 도트입자가 0 ~ 20층으로 겹치게 형성되며, 여러 가지 색상을 갖는 복수의 노즐을 통해 점 분사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하여 도트층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며,
    액체 형태로 점 분사된 도트입자는 건조시에 액체성분은 건조되어 상기 도트입자 개개로 구분되어 전체 도트층으로 볼 때 도트층의 상단부분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100~200℃에서 건조하고, 탑 코팅액을 8~12㎛ 두께로 도포한 다음 400~420℃에서 열처리하여 탑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층은 0.2~1.0MP의 압력으로 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제조방법.
KR20140072910A 2014-06-16 2014-06-16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2910A KR101490321B1 (ko) 2014-06-16 2014-06-16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5089474A JP6242364B2 (ja) 2014-06-16 2015-04-24 ドット方式にコーティングされた厨房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14/726,835 US10244891B2 (en) 2014-06-16 2015-06-01 Kitchen appliance coated by dot metho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15172009.1A EP2957352A3 (en) 2014-06-16 2015-06-15 Kitchen appliance coated by dot metho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01510329841.1A CN105170425A (zh) 2014-06-16 2015-06-15 通过点法涂覆的厨房器具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2910A KR101490321B1 (ko) 2014-06-16 2014-06-16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43A Division KR20150144257A (ko) 2014-10-21 2014-10-21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321B1 true KR101490321B1 (ko) 2015-02-11

Family

ID=5259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2910A KR101490321B1 (ko) 2014-06-16 2014-06-16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4891B2 (ko)
EP (1) EP2957352A3 (ko)
JP (1) JP6242364B2 (ko)
KR (1) KR101490321B1 (ko)
CN (1) CN1051704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56A (ko) 2017-06-27 2019-01-04 이현주 3d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된 도트층을 가지는 조리용기
KR20190047751A (ko) * 2017-10-27 2019-05-09 김영 요철구조의 도트층으로 구성된 주방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34B1 (ko) * 2016-08-04 2016-12-26 노세윤 입체무늬 질감을 나타내는 표면코팅방법
KR101881153B1 (ko) * 2016-10-31 2018-07-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용 저상 대차
US11479789B2 (en) 2017-04-26 2022-10-25 Seminis Vegetable Seeds, Inc Pepper plants with improved pest resistance
CN109013237A (zh) * 2018-09-28 2018-12-18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采用辅助工具对试样指定表面喷斑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440A (ko) * 2008-09-12 2010-03-22 김영 열전도율이 향상된 기구 및 이의 코팅방법
KR20130057641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이레코팅 용기 코팅용 패턴형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0609A (en) * 1975-07-11 1979-12-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icle coated with fluoropolymer finish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JP2934122B2 (ja) * 1993-06-29 1999-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高温調理機器用皮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9510489A (pt) * 1994-12-22 1998-01-13 Du Pont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utensílio para cozinhar tendo uma superfície de cozimento e utensílio para cozinhar
US5667891A (en) * 1996-01-12 1997-09-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andomly patterned cookware
US6733832B2 (en) * 2001-06-29 2004-05-11 Kansai Paint Co., Ltd. Process for forming multicolor pattern coating film
JP4094016B2 (ja) * 2005-07-08 2008-06-04 玲 金 ワンコーティングまたはスリーコーティング層にインク顔料を塗布して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した器具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00486717C (zh) * 2005-07-20 2009-05-13 金玲 在单涂覆层或三涂覆层上形成油墨涂覆层的器具及其方法
US8091621B2 (en) * 2006-01-19 2012-01-10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Flat tube, flat tub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770618B2 (ja) * 2006-07-18 2011-09-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7597939B2 (en) * 2007-02-01 2009-10-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applying fluoropolymer powder coating as a primer layer and an overcoat
US8158251B2 (en) * 2008-02-07 2012-04-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icle with non-stick finish and improved scratch resistance
GB0806443D0 (en) * 2008-04-09 2008-05-14 Ucl Business Plc polymer films
DE102009049137A1 (de) * 2009-10-12 2011-04-14 Rhenotherm Kunststoffbeschichtungs Gmbh Beschichtungsaufbau
FR2969533B1 (fr) * 2010-12-23 2016-11-18 Seb Sa Article comprenant un revetement thermostable dote d'un decor au moins bichrome en tons continu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rticle.
CN103182808A (zh) * 2011-12-28 2013-07-03 圣戈班高功能塑料集团 一种包括含氟聚合物表面层以及非氟聚合物过渡层的多层复合物
DE102013112404B4 (de) * 2013-11-12 2023-03-16 ACTEGA Schmid Rhyner AG Erzeugung von polymeren Partikeln sowie rauer Beschichtungen mittels Ink-Jet-Dru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440A (ko) * 2008-09-12 2010-03-22 김영 열전도율이 향상된 기구 및 이의 코팅방법
KR20130057641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이레코팅 용기 코팅용 패턴형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56A (ko) 2017-06-27 2019-01-04 이현주 3d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된 도트층을 가지는 조리용기
KR101953339B1 (ko) * 2017-06-27 2019-02-28 이현주 3d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된 도트층을 가지는 조리용기
KR20190047751A (ko) * 2017-10-27 2019-05-09 김영 요철구조의 도트층으로 구성된 주방기구
KR102015977B1 (ko) * 2017-10-27 2019-09-04 김영 요철구조의 도트층으로 구성된 주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02455A (ja) 2016-01-12
US20150359383A1 (en) 2015-12-17
EP2957352A2 (en) 2015-12-23
EP2957352A3 (en) 2016-03-09
CN105170425A (zh) 2015-12-23
US10244891B2 (en) 2019-04-02
JP6242364B2 (ja)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321B1 (ko)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5077388A (ja) 点描化した厨房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943566B2 (ja) 改良された視認性および精度を有する有色熱インジケータを含む加熱物品
BRPI1014477B1 (pt) utensílio de cozinha e método para produzir um utensílio de cozinha
CN102407638A (zh) 包括具有功能性设计的溶胶-凝胶涂层的器具以及制造这种器具的方法
JP6779128B2 (ja) ノンスティッククッキングコンテナ
US20110192850A1 (en) Culinary article comprising a non-stick coating having improved non-stick properties
KR20100031440A (ko) 열전도율이 향상된 기구 및 이의 코팅방법
KR102392525B1 (ko) 디지털 인쇄에 의해 열-안정성 코팅을 제조하는 방법
JP4094016B2 (ja) ワンコーティングまたはスリーコーティング層にインク顔料を塗布して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した器具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07660226A (zh) 增强陶瓷涂层
KR101067297B1 (ko)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225226B1 (ko) 취반기
CN101505957B (zh) 铝箔及其制备方法
KR20150144257A (ko) 도트 방식으로 코팅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593B1 (ko) 점묘화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10606Y1 (ko) 컬러 마블코팅 조리기구
KR101185774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170667B1 (ko) 표면단차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도장층이 형성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264145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EP2505688B1 (en) Decoration method for a cooking vessel
CN215738465U (zh) 一种动态显示标识的厨具
JP2010063765A (ja) 調理面にポイント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調理用具
CN100486717C (zh) 在单涂覆层或三涂覆层上形成油墨涂覆层的器具及其方法
KR102015977B1 (ko) 요철구조의 도트층으로 구성된 주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430

Effective date: 201605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491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29

Effective date: 2016122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83;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009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19

Effective date: 201704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8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2

Effective date: 201706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67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831

Effective date: 2017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