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31B1 -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31B1
KR101489831B1 KR20130088360A KR20130088360A KR101489831B1 KR 101489831 B1 KR101489831 B1 KR 101489831B1 KR 20130088360 A KR20130088360 A KR 20130088360A KR 20130088360 A KR20130088360 A KR 20130088360A KR 101489831 B1 KR101489831 B1 KR 10148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rning signal
wearer
batte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629A (ko
Inventor
지성원
이봉현
김찬중
권성진
배철용
김규식
강호준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8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가 발전된 전원으로 내장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 및 충전부와, 시각, 촉각,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와,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 상황의 검출 및 전자 구속 장치 자체의 동작이나 상태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내장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발전된 전원이나 외장배터리를 이용해 상기 내장배터리가 충전되면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BIND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목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착용이 쉽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선과 주변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구속 장치는 범죄자의 행동이나 의사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속박하기 위하여 신체에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전자 장치이다. 예컨대 상기 전자 구속 장치에는 전자발찌가 있으며, 재범률이 높은 범죄자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재범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최근 법원으로부터 전자발찌 부착명령을 판결 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 구속 장치를 착용하고도 재범을 일으키는 범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전자 구속 장치 착용자의 심리적인 부작용으로 전자 구속 장치를 훼손하거나, 충전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상기 전자 구속 장치는 발목과 같이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착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오히려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일단 전자 구속 장치를 착용한 후에는 그 착용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충전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전자 구속 장치(특히 전자발찌)가 발목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이듯이 착용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갑갑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종래의 전자 구속 장치는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는 있으나, 상기 위치 정보는 적게는 수십 미터까지의 오차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추적에 어려움이 있으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주변 상황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 조치와 대응 속도가 느려 범죄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구속 장치는 착용자가 범죄 발생 지역 근처에 있을 경우, 착용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혹은 착용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등의 착용자의 알리바이(alibi)를 증명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억울한 누명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72417호(2008.08.06.공개, 전자 구속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발목뿐만 아니라 목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착용할 수 있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선과 주변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인근 지역에 있는 폐쇄 회로 카메라(CCTV)에서 일반인과 착용자를 구별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구속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완함으로써 착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는, 자가 발전된 전원으로 내장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 및 충전부; 시각, 촉각,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 상황의 검출 및 전자 구속 장치 자체의 동작이나 상태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내장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발전된 전원이나 외장배터리를 이용해 상기 내장배터리가 충전되면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전 및 충전부는, 태양광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의 출력이 차단되거나 가려질 경우, 촉각이나 청각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배터리 충전상태 검출 센서, 착용자의 맥박 및 온도 검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에 대한 경고신호로서 전기적 충격을 줄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가려지거나 전방을 향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주기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야간 상태에 따라 촬영 주기를 상대적으로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촬영 주기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상기 하우징과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입사되는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발전 및 충전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설치되어 시각, 촉각,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상태,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 또는 상기 카메라부가 가려져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에 대한 경고신호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전체나 일부를 통하여 전기적 충격을 줄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목줄, 끈, 전원선, 신호선, 안테나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검출하는 절단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슈퍼티타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최초 착용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과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제어 방법은, 목걸이나 팬던트 타입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전자 구속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속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인디케이터부를 제어하여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기 시작하여 충전상태가 상승할 경우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주변이 밝은지 어두운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구속 장치가 어두운 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인디케이터부를 제어하여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주변이 밝은 상태로 전화됨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전방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주/야간 상태에 따라 촬영 주기를 상대적으로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촬영 주기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목뿐만 아니라 조이듯이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목 부위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갑갑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전자 구속 장치에 포함된 초소형 카메라를 이용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선의 주변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죄의 증명이나 누명을 벗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 영상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보완함으로써 착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 구속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착용자의 인근 지역에 있는 폐쇄 회로 카메라(CCTV)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일반인과 착용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100)는, 고전압 출력부(110), 절단 감지부(120), 발전 및 충전부(131), 충전부(132), GPS 처리부(140), 인디케이터부(150), 카메라부(160), 센서부(170), 통신부(180), 배터리(190), 내장배터리(191), 외장배터리(192), 저장부(200),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는 착용자가 전기적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기적 충격은 위한 전압은 생명에 치명적인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경고성 충격을 발생시키는 저전압을 출력한다. 예컨대 수10(V) 정도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하지 않고 더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는 배터리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예 : 0.1 초)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는 상기 증폭된 전압을 일정 시간(예 : 5초) 동안 수회(예 : 10회)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는 상기 증폭된 전압(이하, 고전압)을 전자 구속 장치(100)의 하우징(320, 도 2 참조) 외측면 전체, 하우징(320)의 외측면 일부분, 또는 목걸이로 착용할 경우에 연결부재(310)(예 : 목줄, 끈, 전원선 등)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고전압 출력 시 내부 회로(미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0)의 내측면(또는 내부)을 절연시키거나, 상기 내부 회로(미도시)가 상기 하우징(320)의 외측면(또는 외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32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는 고전압 출력시에만 스위치 온 되어 고전압을 출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 오프 되어 전자 구속 장치(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고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절단 감지부(120)는 전자 구속 장치(100)의 하우징(320)에 연결되어 신체(특히 목 부분)에 착용시키는 연결부재(310)(예 : 목줄, 끈, 전원선, 신호선, 안테나선 등)가 절단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연결부재(310)은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이 뛰어난 슈퍼티타늄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0)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또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관의 내부를 통해 전원선(또는 신호선이나 안테나선)(미도시)이 관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선(또는 신호선이나 안테나선)(미도시)은 반드시 상기 연결부재(310)의 내부에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 노출시켜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10) 자체가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10)에는 전자 구속 장치(100)가 내장된 하우징(320)과 외장배터리(192)가 연결된다. 상기 외장배터리(192)의 전원은 상기 전원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하우징(320) 내의 전자 구속 장치(100)에 인가된다.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가 내장된 하우징(320)과 외장배터리(192)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를 목걸이 형태로 착용할 경우, 신체의 앞에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320)과 신체의 뒤에 위치하게 되는 외장배터리(192)가 무게 균형을 이루어 목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10)에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를 최초 착용할 경우 길이 조절 후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감지부(120)는 상기 연결부재(310)이 절단되거나, 상기 연결부재(310)이 상기 하우징(320)에서 분리되는 것을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절단 감지부(120)는 상기 연결부재(310)의 일측단에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소정의 신호가 다른 일측단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310)이 절단되거나 분리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발전 및 충전부(131)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내장배터리(191) 또는 외장배터리(192)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내장배터리(191)와 외장배터리(192)는 충전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외장배터리(192)는 상용 배터리를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발전 및 충전부(131)는 반드시 태양광을 한정해서 충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자체적으로 발전 가능한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부(132)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전용 어댑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90)를 충전한다.
상기 GPS 처리부(1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개략적인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GPS 처리부(140)에서 산출된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 시 해당 전자 구속 장치(100)의 아이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움직임이나 시간에 따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와 아이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상기 배터리(190)의 충전 상태에 따른 경고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시각 수단(예 : 발광 소자)(미도시), 촉각 수단(예 : 진동 모터)(미도시), 청각 수단(예 : 스피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상기 배터리(190)의 충전 상태(또는 레벨)에 따라 경고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상기 경고 단계에 따라 상기 시각 수단의 색상이나 휘도 단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 단계에 따라 상기 촉각 수단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 단계에 따라 상기 청각 수단의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의 시각 수단(미도시)은 상기 하우징(320)의 외측면(외부)에 노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320)의 내측면(내부)에 구성되어 있다가 인디케이팅 시에만 외측면(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의 시각 수단(미도시)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이 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람의 시각을 통해서는 잘 식별되지 않게 하면서 특정 소자(예 : 적외선 검출 소자)에 의해서만 식별이 가능한 적외선 LED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배터리 상태에 따른 인디케이팅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또는 하우징)가 착용자의 전면을 향하도록 착용해야 하는데, 착용자가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또는 하우징)의 자세를 바꿔 착용자의 후면을 향하게 하거나,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또는 하우징)를 테이프 수단을 이용하여 전면을 가렸을 경우에 인디케이팅 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또는 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초소형 디지털 이미지 센서(예 : CMOS, CCD 센서)를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하우징(320)의 외측면(외부)에 노출되게 구성하여 전방을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으로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움직임이나 시간에 따라 상기 촬영 주기나 촬영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60)에서 촬영된 영상들은 저장부(20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영상들을 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전송한다.
상기 센서부(170)는 주간과 야간(또는 밝음과 어두움)을 검출하거나, 착용자가 움직일 경우에 그 움직이는 속도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170)는 조도 센서(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진동 센서(미도시), 및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 상황의 검출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동작 검출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 착용자의 맥박이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 NFC, 블루투스, 적외선 등)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예 : 이동통신, WiFi 등) 방식으로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 아이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원격 제어신호는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를 제어하는 신호,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를 제어하는 신호, 상기 카메라부(160)를 제어하는 신호, 및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정보나 데이터를 전송 제어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동작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배터리(190)는 메인 배터리로서, 하우징(320)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배터리(191)와 보조 배터리로서, 하우징(320) 외부(예 :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외장배터리(192)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배터리(192)를 상기 연결부재(310)에 장착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배터리(192)는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전력이 소모될 경우, 상기 외장배터리(192)의 전력을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동작 전원으로 인가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외장배터리(192)의 전력으로 내장배터리(191)를 충전하여,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전력을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동작 전원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 아이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용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전송된 정보나 데이터는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정보나 데이터는 임의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구성 수단들(110 ~ 200)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0)의 구체적인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3 내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도 1에서 이미 설명된 동일한 구성 수단들에 대해서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100)는, 전자 구속 장치의 본체로서, 전자 부품들로 구성된 회로를 내장하는 하우징(320), 상기 하우징(320)을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310), 상기 연결부재(310)과 상기 하우징(320)을 연결하는 연결고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하우징(320)은,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을 위한 발전 및 충전부(131)를 포함하고, 전용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해 내장배터리(19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의 하우징(320)은 착용자의 신체 부위 중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나 팬던트 형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발찌와 같이 바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위치에 착용하던 전자 구속 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나 팬던트 형태의 전자 구속 장치는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가능하며, 경고등의 점멸을 통해 착용자가 어두운 곳에 숨어있지 못하게 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고등을 고의적으로 가릴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검출하여 청각 수단에 의해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어두운 곳에 숨어있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10)는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상태를 검출한다(S101). 즉,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충전상태는 다단계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를 제어한다(S102).
예컨대 상기 충전상태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노란색 경고등을 표시하고, 상기 충전상태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빨간색 경고등을 점멸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촉각 수단(미도시)이나 청각 수단(미도시)을 통해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상태가 미리 설정된 위험상태(예 :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 출력부(110)를 제어하여 착용자에게 전기적 충격을 주는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3).
상기 경고신호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인지한 착용자가 외장배터리(192)를 연결하여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을 시작하거나, 전용 어댑터(미도시)를 충전부(132)에 연결하여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을 시작하거나, 발전 및 충전부(131)를 통해 발전된 전원으로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을 시작하여 상기 내장배터리(191)의 충전상태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주/야간 상태를 검출한다(S201).
여기서, 주/야간 상태란, 단지 시간적인 주/야간 상태를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에 관계없이 현재 위치가 어두운 곳인지 밝은 곳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상태가 야간 상태인 경우, 즉, 착용자가 어두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를 제어한다(S202).
예컨대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가 어두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예 : 2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노란색 경고등을 표시하고, 상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예 : 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빨간색 경고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고등을 통해 어두운 곳에 누군가 있음을 주변에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촉각 수단(미도시)이나 청각 수단(미도시)을 통해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소자(예 : 적외선 검출 소자)에 의해서만 식별이 가능한 적외선 LED 소자(미도시)를 점등시켜 폐쇄회로 카메라(CCTV)를 통한 촬영 시 일반인과 착용자를 쉽게 구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구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카메라부(160)를 제어하여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영상(예 : 동영상, 정지영상)을 촬영한다(S301).
예컨대 주/야간 상태에 따라 야간 상태인 경우에는 상대적 빠른 주기로 영상을 촬영하고, 주간 상태인 경우에는 상대적 느린 주기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주기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이 빠른 경우에는 상대적 빠른 주기로 영상을 촬영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느린 경우에는 상대적 느린 주기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주기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그 이외에도 미리 설정된 특정 이벤트 발생(예 : 통신 상태 불량 등) 시 기존보다 더 빠른 주기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기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서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촬영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통신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촬영된 영상을 기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전송한다(S302).
예컨대 상기 제어부(210)는 통신망의 종류(예 : 대역폭, 유료/무료 등)에 따라, 대역폭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 빠른 주기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무료인 경우에 상대적 빠른 주기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송할 정보나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상대적 빠른 주기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선과 주변 영상을 기지정된 관제센터(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센터에서는 상기 전자 구속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전송된 주변 영상을 조합하여 전자 구속 장치 착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재범이 발생할 경우 현장 상황을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 구속 장치 110 : 고전압 출력부
120 : 절단 감지부 131 : 발전 및 충전부
132 : 충전부 140 : GPS 처리부
150 : 인디케이터부 160 : 카메라부
170 : 센서부 180 : 통신부
190 : 배터리 191 : 내장배터리
192 : 외장배터리 200 : 저장부
210 : 제어부 310 : 연결부재
320 : 하우징 330 : 연결고리

Claims (17)

  1. 자가 발전된 전원으로 내장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 및 충전부;
    시각, 촉각,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 상황의 검출 및 전자 구속 장치 자체의 동작이나 상태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내장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발전된 전원이나 외장배터리를 이용해 상기 내장배터리가 충전되면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제어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가려지거나 전방을 향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주기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및 충전부는,
    태양광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의 출력이 차단되거나 가려질 경우, 촉각이나 청각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배터리 충전상태 검출 센서, 착용자의 맥박 및 온도 검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착용자에 대한 경고신호로서 전기적 충격을 줄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야간 상태에 따라 촬영 주기를 상대적으로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촬영 주기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8.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상기 하우징과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입사되는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발전 및 충전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설치되어 시각, 촉각,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상태,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 또는 상기 카메라부가 가려져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부재는,
    목줄, 끈, 전원선, 신호선, 안테나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착용자에 대한 경고신호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전체나 일부를 통하여 전기적 충격을 줄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검출하는 절단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슈퍼티타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최초 착용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과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
  15. 목걸이나 팬던트 타입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전자 구속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속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인디케이터부를 제어하여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기 시작하여 충전상태가 상승할 경우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전방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서, 주/야간 상태에 따라 촬영 주기를 상대적으로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촬영 주기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주변이 밝은지 어두운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구속 장치가 어두운 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인디케이터부를 제어하여 단계적으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구속 장치의 주변이 밝은 상태로 전화됨에 따라,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구속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KR20130088360A 2013-07-25 2013-07-25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360A KR10148983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360A KR10148983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29A KR20150012629A (ko) 2015-02-04
KR101489831B1 true KR101489831B1 (ko) 2015-02-05

Family

ID=5248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360A KR10148983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44B1 (ko) * 2019-08-23 2022-02-24 (주)메디스포츠랩 발광체가 적용된 스마트 의류
KR102099965B1 (ko) * 2019-09-06 2020-05-15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전자 감독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JP2010079479A (ja) * 2008-09-25 2010-04-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警報器
KR20110005927A (ko) * 2009-07-13 2011-01-20 박원일 의류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휴대용 방범 cctv 감시 장치
KR20120118369A (ko) * 2011-04-18 2012-10-26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JP2010079479A (ja) * 2008-09-25 2010-04-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警報器
KR20110005927A (ko) * 2009-07-13 2011-01-20 박원일 의류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휴대용 방범 cctv 감시 장치
KR20120118369A (ko) * 2011-04-18 2012-10-26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29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229129B2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KR101802669B1 (ko) 드론을 이용한 자율 방범 시스템
KR20160043806A (ko) 다기능 헬멧
KR101489831B1 (ko) 전자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ITVR20100008A1 (it) Capo d'abbigliamento per la sorveglianza e il pattugliamento e sistema di sorveglianza territoriale
KR20200044174A (ko) 가스 검출 장치
KR101844382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
CN112017407B (zh) 一体化无线地标监测装置
KR101366349B1 (ko)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KR101493810B1 (ko) 무인기계 경비시스템용 오경보 방지 카메라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KR101407549B1 (ko) 씨씨티브이
EP3073455A1 (en) Theft detection and alarm apparatus coordinated with other similar devices
KR101667350B1 (ko)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JP2016096383A (ja) 監視カメラ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報知システム
KR20160123410A (ko) 능동형 상황 감지 시스템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2289306B1 (ko) 영유아용 스마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영유아 보호시스템
KR20160106298A (ko)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20130019598A (ko) 조명이 내장된 ip센서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6989917B1 (ja) 携帯撮影リング、及び撮影画像管理システム
KR20160136631A (ko) 감시 시스템
Seljanko Low-cost electronic equipment architecture proposal for urban search and rescue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