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19B1 - 입상물의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입상물의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719B1
KR101489719B1 KR20127024486A KR20127024486A KR101489719B1 KR 101489719 B1 KR101489719 B1 KR 101489719B1 KR 20127024486 A KR20127024486 A KR 20127024486A KR 20127024486 A KR20127024486 A KR 20127024486A KR 101489719 B1 KR101489719 B1 KR 10148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anular material
discharge
distribution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2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210A (ko
Inventor
야스히로 다치바나
히로카쓰 시토
데쓰오 가와이데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filed Critical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Publication of KR2013004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6Seeders with other distributing devices, e.g. brushes, discs, screws o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 Fertiliz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입상물(粒狀物)에 적응시키고, 한 알씩 및 복수 알씩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속으로 고정밀도의 분배를 실현할 수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공급측 프레임과, 공급측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입상물을 소정량씩 수용하는 홀더를 외주부에 구비한 분배 플레이트와, 입상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홀더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주부에 구비한 방출(放出) 플레이트와, 분배 플레이트와 방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분배 플레이트로부터 방출 플레이트에 입상물을 받아건네는 받아건넴 구멍이 상부에 형성된 받아건넴판과, 방출 플레이트의 외주를 덮고, 하단부에, 오목부에 수용된 입상물을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비한 방출측 프레임체로 이루어지고, 분배 플레이트 및 방출 플레이트가, 모두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 또한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입상물의 분배 장치{GRANULAR OBJECT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종자(seed)나 비료, 정제(錠劑) 등의 입상물(粒狀物)을, 일정한 알(粒; grain)씩 고속으로 분배하고, 방출(放出)할 수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종자를 소정 알씩 소정 위치에 뿌리기 위한 파종기에 사용되는 분배 장치로는, 팬(fan)이나 블로어(blower)에 의한 공기를 이용하는 진공식 또는 가압식, 홈이 형성된 롤이나 다공판(多孔板)의 회전에 의해 종자를 분배하는 롤식(roll type) 또는 경사 다공판식(inclined-plate type)등이 있다.
종래, 예를 들면, 옥수수 등의 비교적 큰 종자를 고속으로 1알씩 픽업하여 파종할 때는, 한 알 파종용의 진공식 또는 가압식이 사용되고, 벼나 보리 등과 같이 비교적 알이 작은 종자를 복수 알 파종할 때는, 일정 체적 내에 복수 알을 수용하는 롤식 또는 다공판식 등이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진공식 또는 가압식 타입에서는, 고속으로 종자를 1알씩 파종할 수 있을뿐, 한번에 복수 알의 종자를 뿌리는 주 파종(株播種; sowing in hill)에는 적응할 수 없다.
한편, 롤식 또는 다공판식 타입은, 종자를 1알씩 또는 복수 알씩의 어딘가에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종자에 적응할 수 있지만, 속도를 빠르게 하면 결주(缺株; vacant hill)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종자를 수용하는 구멍을 크게 하면, 소정의 알수보다 많이 종자가 수용되는 경우가 있어, 정밀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고속성과 정밀도의 양립은 곤란하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종자 수용공을 가지는 2체(體)의 반송(搬送) 벨트를 대향시켜 종자를 분배하는 벨트식의 파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33389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파종 장치는, 파종 속도가 약 0.6m/s 이하이며, 고속 가동시키면 벨트에 휨이 생기기 쉬워, 고속 작업에 적합하지 않다.
현재의 파종기는, 외국제는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업성이 뒤떨어지고, 비교적 고가인 것, 일본 제품은 파종의 정밀도와 속도의 양립이 어려운 것이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사료 작물은 옥수수, 대두, 수수, 벼, 보리 등, 종류가 많고, 각각의 작물의 종자의 크기나 형상, 및 파종 조건(1알 파종 또는 주 파종)에 따라 복수의 파종기를 갖출 필요가 있어, 경영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종자에 대한 적응성이 높고, 고속이며 또한 고정밀도의 파종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고성능 파종기의 개발을 확인하여, 그 심장부인 종자의 고속 분배 장치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입상물에 적응하고, 한 알씩 및 복수 알씩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속으로 고정밀도의 분배를 실현할 수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공급측 프레임과,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입상물을 소정량씩 수용하는 홀더를 외주부에 구비한 분배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상기 홀더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주부에 구비한 방출 플레이트와, 상기 분배 플레이트와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방출 플레이트에 상기 입상물을 받아건네는 받아건넴 구멍이 상부에 형성된 받아건넴판과,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외주를 덮어, 하단부에,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비한 방출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와 상기 받아건넴판 및 상기 방출측 프레임체는 고정되고, 상기 분배 플레이트 및 상기 방출 플레이트는, 모두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 또한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입상물의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형상은, 외주를 향해 개방되는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상기 홀더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두께가, 회전 방향 후방측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상기 홀더의 회전 방향 후방측에,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입상물이 일시 저류(貯留)되고, 또한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에 상기 입상물을 공급하는 호퍼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받아건넴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외주에 탄성을 가지고 접촉하는 스크레이퍼(scrap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폭을 가지는 판재의 선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그 굴곡부가,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외주 중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위치와 반대측의 코너부에 접촉하여, 상기 방출 플레이트 측을 향해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방출측 프레임체가 상기 분배 플레이트보다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하단에서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알씩, 또는 복수 알씩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정확한 양을 고속으로 분배하고,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입상체의 분배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 플레이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분배 플레이트의 상이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환립(丸粒)의 종자를 수용한 분배 플레이트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로서, (a)는 본 발명의 분배 플레이트, (b)는 종래의 다공판식 플레이트, (c)는 원호형의 홀더의 플레이트이다.
도 5는 편평립(扁平粒)의 종자를 수용한 분배 플레이트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로서, (a)는 본 발명의 분배 플레이트, (b)는 종래의 다공판식 플레이트, (c)는 원호형의 홀더의 플레이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배 플레이트의 변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스크레이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스크레이퍼가 분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방출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분배 장치의 진행 방향의 설명도로서, (a)는 본 발명의 진행 방향, (b)는 종래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要素)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상물 분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분배 장치(1)는, 이른바 경사 다공판식이며, 중심축이 연직(鉛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분배 장치(1)는, 회전 기구로서,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 등의 모터(2)를 구비하고, 호퍼(3), 공급측 프레임체(4), 분배 플레이트(5), 받아건넴판(6), 방출 플레이트(7), 방출측 프레임체(8)를 가지고 있다. 분배 플레이트(5)와 방출 플레이트(7)는, 모터(2)의 동력을,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11)로 전달하여 구동축(12)을 회전시키고, 구동축(12)을 통하여 같은 축 또한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공급측 프레임체(4) 측을 표면측, 방출측 프레임체(8) 측을 배면측이라고 한다.
호퍼(3)는, 입상체, 예를 들면, 종자를 일시 저류하고, 또한 공급측 프레임체(4) 내로 입상체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파종기에 탑재되는 종자의 분배 장치의 경우로 하여 설명한다.
공급측 프레임체(4)는, 원통형의 중공부(中空部)(13)를 가지는 프레임체이며, 배면측에, 분배 플레이트(5)가 배치된다. 중공부(13) 내에 종자 체류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측 프레임체(4)는 적절한 막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은 전체가 원통형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직육면체의 중앙에 원통형의 중공부(13)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공급측 프레임체(4)의 표면측에는, 호퍼(3)로부터 공급된 종자가 탈락하지 않도록, 커버를 설치해도 된다. 공급측 프레임체(4)는 회전하지 않고, 방출측 프레임체(8)에 고정된다.
분배 플레이트(5)는, 외주부에, 종자를, 한번에 파종하는 알씩 수용하는 홀더(21)가,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분배 플레이트(5)의 예를 나타내고, 홀더(21)의 평면 형상은, 분배 플레이트(5)의 외주측을 향해 개방되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홀더(21)의 회전 방향 후방측의 변을 따라, 분배 플레이트(5)의 두께 방향으로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홀더(21)의 회전 방향 후방측의 두께를, 회전 방향 전방측의 변보다 두껍게 하여, 인접하는 홀더(21)의 회전 방향 전방측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홀더(21)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함으로써, 환립 및 편평립의 양쪽의 종자에 적응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립의 종자(9a)의 경우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삼각형의 홀더(21)에서도, 도 4의 (b)에 나타낸 종래의 다공판식 플레이트의 원형의 홀더(51)에서도, 또는 도 4의 (c)에 나타낸 원호형의 홀더(52)에서도, 확실하게 1알씩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한편, 편평립의 종자의 경우, 본 발명의 삼각형의 홀더(21)에 의하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자(9b)가 어느 방향으로 수용되어도, 1알더 비집고 들어갈 수는 없어, 정확하게 1알씩 수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의 (b)에 나타낸 원형의 홀더(51)나 도 5의 (c)에 나타낸 원호형의 홀더(52)의 경우, 종자(9b)가 수용되는 각도 등에 따라서는, 1개소의 홀더(51, 52)에 종자(9b)가 2알 들어가 버린다. 따라서, 원형 또는 원호형의 홀더(51, 52)의 경우에는, 환립의 종자(9a)와 편평립의 종자(9b)에 따라, 플레이트를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21)를 삼각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종자의 형상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져, 분배 플레이트(5)를 교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진다.
그리고, 공급측 프레임체(4)가 분배 플레이트(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홀더(21) 이외의 장소로부터 배면측으로 종자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으므로,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측 프레임체(4)의 중공부(13)의 내측면(23)과 분배 플레이트(5)의 외주와의 사이에, 종자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받아건넴판(6)의 받아건넴 구멍(24)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종자가 방출 플레이트(7) 측으로 낙하하도록, 받아건넴 구멍(24)의 위치만, 공급측 프레임체(4)의 내측면(23)과 분배 플레이트(5)의 외주와의 간극을 넓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상물(종자)의 분배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분배하는 종자의 크기나 수에 따라 홀더(21)의 크기나 수가 상이한 분배 플레이트(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분배 플레이트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홀더(21a, 21b)의 수가 모두 16개로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이며, 예를 들면, 옥수수의 알이 큰 종자는 도 6의 (a)의 분배 플레이트(5a), 알이 작은 종자는 도 6의 (b)의 분배 플레이트(5b)를 사용하며, 파종 방법은 마찬가지이며 종자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6의 (c)의 분배 플레이트(5c)는 작은 홀더(21c)가 32개 있고, 예를 들면, 수수와 같이 작은 알의 종자에 사용되고, 도 6의 (d)의 분배 플레이트(5d)는 홀더(21d)가 8개로 간격이 크고, 예를 들면, 사료 벼(feed rice)나 밀을 1개소에 복수 알씩 공급하는 주 파종용으로서 사용된다. 후술하는 방출 플레이트(7)의 종자 수용부인 오목부(25)의 위치와 홀더(21)의 위치를 대응시키기 위해, 각각의 분배 플레이트(5)에서의 홀더(21)의 개수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8의 배수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e), 도 6의 (f)는, 1개소에 복수 알씩 파종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배 플레이트의 예이다. 도 6의 (e)의 분배 플레이트(5e)는, 2개 연속된 홀더(21e)가, 분배 플레이트(5e)의 외주에 등(等) 간격으로 설치되고, 예를 들면, 대두나 옥수수 등을 1개소에 2알씩 파종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6의 (f)의 분배 플레이트(5f)는, 3개 연속된 홀더(21f)가, 분배 플레이트(5f)의 외주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고, 예를 들면, 수수 등과 같이 비교적 알이 작은 종자를 1개소에 3알씩 파종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분배 플레이트(5)는, 1개 또는 복수 개 연속된 홀더(21)가, 외주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분배하는 입상물의 원하는 방출 위치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홀더(21)를 배치하면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배 플레이트(5)와 방출 플레이트(7) 사이에, 받아건넴판(6)이 설치된다. 받아건넴판(6)은, 회전하지 않고 방출측 프레임체(8)에 고정된다. 또한, 외형은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사각형이라도 상관없다. 받아건넴판(6)의 상부, 즉 분배 장치(1)로서 조립할 때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분배 플레이트(5)로부터 방출 플레이트(7)에 종자를 받아건네는 받아건넴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배 플레이트(5)가 회전하여 홀더(21)가 받아건넴 구멍(24)을 다 통과하기 전의 위치에, 분배 플레이트(5)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스크레이퍼(31)가 설치된다. 스크레이퍼(31)는, 종자(9)가 홀더(21)에 부착되어 방출 플레이트(7) 측으로 낙하하지 않는 경우에, 강제적으로 종자(9)를 받아건넴 구멍(24)의 방향으로 압출(壓出)한다. 스크레이퍼(31)는, 예를 들면, 스프링강 제품이며, 폭을 가지는 판재의 선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예를 들면, 공급측 프레임체(4)의 표면측의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부(32)가, 분배 플레이트(5)의 외주의 표면측, 즉 받아건넴판(6)이나 방출 플레이트(7)과 반대측의 코너부(27)에 접촉하고, 방출 플레이트(7) 측을 향해 탄성을 가지고 가압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어떠한 분배 플레이트(5a~5d)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어, 분배 플레이트(5)에 따라 교환하거나, 장착 위치 등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크레이퍼(31)의 탄성의 방향을, 분배 플레이트(5)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방출 플레이트(7) 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종자(9)를 방출 플레이트(7)에 압출할 수 있다.
방출 플레이트(7)의 외주에는, 분배 플레이트(5)로부터 받아건넨 종자를 수용하는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방출 플레이트(7)의 예를 나타내고, 오목부(25)는, 1알 파종의 알이 큰 종자나 주 파종 시 등에 사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오목부(25a)와, 짧은 간격으로 파종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비교적 작은 오목부(25b)가 교호적(交互的)으로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5)의 위치는, 분배 플레이트(5)의 홀더(21)에 대응하고, 큰 오목부(25a)는, 알이 큰 종자용이나 주 파종용의 분배 플레이트(5)의 홀더(21)보다 크고, 작은 오목부(25b)는 알이 작은 종자용의 분배 플레이트(5c)[도 6의 (c) 참조]의 홀더(21c)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방출 플레이트(7)는, 도 6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 종류의 분배 플레이트(5a~5d)에 대하여,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큰 오목부(25a)가, 도 6의 (e), (f)에 나타낸 연속하는 복수의 홀더(21e, 21f)를 합한 크기보다 크면, 도 6의 (e), (f)에 나타낸 분배 플레이트(5e, 5f)에 대해서도, 같은 방출 플레이트(7)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25)는, 표면측으로 개방되고 배면측은 바닥이 있는 것으로 하고, 표면측으로부터 받아건넨 종자가 배면측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오목부(25) 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출 플레이트(7)는, 방출측 프레임체(8)의 내부에 설치된다. 방출측 프레임체(8)는, 방출 플레이트(7)의 외주 전체를 덮어, 하단부에 방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방출측 프레임체(8)가 방출 플레이트(7)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오목부(25)에 수용된 종자가, 방출구(26) 이외의 위치에서 오목부(25)의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방출측 프레임체(8)의 내측면과 방출 플레이트(7)의 외주와의 사이에, 종자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써, 방출 플레이트(7)의 오목부(25)에 수납된 종자는, 방출 플레이트(7)의 회전에 의해 아래쪽까지 반송되고, 방출구(26)로부터 방출된다.
본 발명의 분배 장치(1)는, 종래의 경사 다공판식의 종자 분배 장치와 마찬가지로, 종자의 방출측[방출측 프레임체(8)]이 공급측[공급측 프레임체(4)]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방향으로, 중심축[구동축(12)]이 경사를 가지고 있다. 경사 각도는, 연직 방향 0°에 대하여, 예를 들면 30°~ 50°정도이면, 양호한 정밀도로 파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분배 장치(1)를 파종기에 탑재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호퍼(3)에 일시 저류된 종자가 공급측 프레임체(4) 내에 공급되고, 공급측 프레임체(4) 내에 공급된 모여진 종자로부터, 1회의 파종에 필요한 소정 알씩의 종자가, 분배 플레이트(5)의 홀더(21)에 수납된다. 분배 플레이트(5)의 회전에 의해, 받아건넴판(6)의 받아건넴 구멍(24)의 위치에 도달한 홀더(21)에 수납된 종자는, 받아건넴 구멍(24)을 통하여 낙하하고, 방출 플레이트(7)의 오목부(25)에 수납된다. 홀더(21)가 외주측으로 개방되는 삼각형이며, 또한 회전 방향 후방측의 두께가 회전 방향 전방측보다 두꺼운 것에 의해, 종자의 수납 시에는 홀더(21) 내에 종자가 들어가기 쉽고, 받아건넴 시에는 종자가 나오기 쉽다.
오목부(25)에 수납된 종자는, 방출 플레이트(7)의 회전에 의해 방출구(26)까지 반송되고, 하단부 즉 지면(地面)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방출구(26)로부터 방출된다.
본 발명의 분배 장치(1)는, 예를 들면, 파종기 등에 탑재되는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낸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파종 작업을 행한다. 즉, 위로부터 본 평면 방향에 있어서 구동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한 방출 플레이트(7)의 하단에서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진행하고, 분배 장치(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종자가 후방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분배 장치(1) 전체의 속도와 종자의 방출 시의 속도가 상쇄(相殺)되어, 종자와 지면과의 속도차가 작아져, 정확한 위치에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진행 방향은, 방출 위치에 대한 분배 장치(1)의 상대적인 진행 방향의 경우도 포함된다. 즉, 예를 들면, 분배 장치(1) 전체의 위치가 고정되고, 방출 위치가 컨베이어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분배 장치(1)의 상대적인 진행 방향 후방을 향해 입상물을 방출한다. 종래의 파종기에서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배 장치(1)가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만일 방출 위치를 지면 가까이에 설치한 경우,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이, 진행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종자가 방출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를 높이면, 원하는 파종 위치보다 크게 가로 방향(회전 방향 전방)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출 위치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파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종자 등의 입상물을 소정 알씩 분리하는 분배 플레이트(5)와, 분리된 입상물을 방출하는 방출구(26)까지 반송하는 방출 플레이트(7)를 별개로 함으로써, 높은 분배 정밀도와 방출 정밀도를 양립할 수 있다. 따라서, 파종기에 탑재한 경우, 예를 들면, 옥수수나 수수, 대두 등의 1알 파종이나, 벼 등의 주 파종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속화가 가능하게 된다.
방출 플레이트(7)와 분배 플레이트(5)를 나눔으로써, 지면에 가까운 곳에서, 부재 등에 닿지 않고 종자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부재나 지면에서의 튀어서 되돌아오는 것을 적게 할 수 있어, 파종 정밀도가 높아진다. 종래의 경사 다공판식 파종기에서는, 종자의 방출 위치를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보다 낮게 하면, 종자 체류의 위치와 간섭하므로 곤란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자를 종자 체류의 위치보다 낮은 곳까지 옮겨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심플하므로, 예를 들면, 파종기의 종자 분배 장치로서 사용한 경우, 기계의 감가상각비가 억제되어 파종 작업의 저비용화에 공헌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품종, 크기, 형상이 상이한 종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분배 장치를 사용하여, 종자의 공급 속도의 정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성능 시험을 행하였다. 옥수수의 경우의 공급 속도는, 파종기에 대한 탑재 시에 최대 2m/s의 속도로 1주(one hill) 1알씩의 파종 작업을 상정(想定)하고, 4회/s, 8회/s, 12회/s의 회전 속도로 시험했다. 옥수수의 품종은, 환립이 KD777LR(1000알 중 397g)과 NS129SR(1000알 중 226g), 편평립이 KD772 슈퍼 LF(1000알 중 326g)와 KD670SF(1000알 중 263g)의 합계 4종류로 하였다.
정밀도의 지표는 1알률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파종 작업의 상정 속도는, 시판 중인 1알 파종용의 공기 가압식 파종기와 동등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5973918-pct00001
표 1에 있어서, 1알률, 결주율, 2알률은, 각각, 100회의 연속 공급을 5회 행한 평균값이며, 고속도 카메라로 알의 낙하 지점을 촬영한 후, 모니터로 재생하여 카운트했다. 분배 플레이트의 기호에 대해서는, N은 분배 플레이트의 외주에 형성된 홀더의 수, φ는 홀더의 내접원의 직경(mm), t는 분배 플레이트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mm)를 나타낸다.
4종류의 옥수수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립, 편평립 모두, 4~12 회/s의 공급 속도로, 1알률이 대략 98% 이상으로 고정밀도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수수에 대하여, 공급 속도의 정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성능 시험을 행하였다. 공급 속도는, 파종기에 대한 탑재 시에 최대 2m/s의 속도로 1주 1알씩의 파종 작업을 상정하고, 8회/s, 16회/s, 24회/s의 회전 속도로 시험했다. 수수의 품종은, 슈퍼 슈가(1000알 중 32g)로 하였다.
정밀도의 지표는, 실시예 1의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1알률로 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5973918-pct00002
표 2에 있어서, 1알률, 결주율, 2알률은, 각각, 200회의 연속 공급을 3회 행한 평균값이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속도 카메라로 알의 낙하 지점을 촬영한 후, 모니터로 재생하여 카운트했다. 분배 플레이트의 기호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수수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8~24 회/s의 공급 속도로, 1알률이 약 99%로 고정밀도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주 파종이 행해지는 사료 벼와 밀에 대하여, 공급 속도의 정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성능 시험을 행하였다. 공급 속도는, 1.5m/s로 1주 복수 알씩의 파종 작업을 상정하고, 4회/s, 6회/s, 8회/s의 회전 속도로 하였다. 사료 벼의 품종은, 리프 스타(Leaf Star)(1000알 중 27g)와 니시아오바(1000알 중 37g), 밀의 품종은 농림 61호(1000알 중 39g)로 하였다.
상기한 파종 작업의 상정 속도는, 시판 중인 물 벼(paddy rice)의 조파용(條播用)의 관수 직파기(irrigation direct sowing machine)와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정밀도의 지표는, 1주의 평균 알수로 하고, 50회의 연속 공급을 1회 행하여, 1주 알수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 변동 계수를 구하였다. 1주 알수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속도 카메라로 촬영하고, 모니터로 재생하여 카운트했다. 그리고, 분배 플레이트는, N8―φ7―t7으로 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5973918-pct00003
사료 벼와 밀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 회/s의 범위로 공급 속도를 변경해도, 평균 공급 알수에 큰 변화는 없고, 표준 편차는 1알 전후, 1회의 공급 알수의 변동 계수는, 어느 작물도 공급 속도의 차이에 관계없이 15% 이하이며, 대략 일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범위였다.
〈실시예 4〉
분배 플레이트 및 방출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의 경사 각도가 파종 정밀도에 부여하는 영향을 조사하는 성능 시험을 행하였다. 종자는 실시예 1의 환립, 대형의 옥수수 KD777LR로 하였다. 구동축의 경사 각도는, 연직 방향을 0°로 하여 38°, 43°, 48°, 53°, 58°의 5종류로 하고, 100회의 연속 공급을 5회 행한 1알률, 결주율, 2알률의 평균값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카운트했다. 공급 속도는, 8회/s로 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5973918-pct00004
기준의 48°에 대하여 ±10°정도 경사져 있어도, 1알률은 대략 98% 이상이며, 정밀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경사 다공판식 분배 장치보다 넓은 설치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주로 높은 작업 능률이 요구되는 컨트랙터(contractor)의 이용을 전제로 하여 개발이 기대되는, 고성능 파종기나 불경작 파종기 등의 종자 공급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종자에 한정되지 않고, 비료나 식품, 약제 등, 대략 둥근 형상 또는 편평 형상의 입상물을 1알씩 또는 소정 알씩, 고속으로 정확하게 분배하는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1: 분배 장치
2: 모터
3: 호퍼
4: 공급측 프레임체
5: 분배 플레이트
6: 받아건넴판
7: 방출 플레이트
8: 방출측 프레임체
9: 종자
12: 구동축
21: 홀더
24: 받아건넴 구멍
25: 오목부
26: 방출구
31: 스크레이퍼
32: 굴곡부

Claims (10)

  1.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機構);
    공급측 프레임;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입상물(粒狀物)을 소정량씩 수용하는 복수의 홀더를 외주부에 원주 방향으로 구비한 분배 플레이트;
    상기 입상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상기 홀더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주부에 구비한 방출(放出) 플레이트;
    상기 분배 플레이트와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방출 플레이트에 상기 입상물을 받아건네는 받아건넴 구멍이 상부에 형성된 받아건넴판;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외주를 덮고, 하단부에,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비한 방출측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와 상기 받아건넴판 및 상기 방출측 프레임체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분배 플레이트 및 상기 방출 플레이트는, 모두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 또한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 전방측 및 회전 방향 후방측에 각각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면은 회전 방향 후방측의 면보다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길이가 짧고, 상기 홀더의 회전 방향 후방측이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상기 입상물의 공급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형상은, 외주를 향해 개방되는 삼각형인, 입상물의 분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상기 홀더의 회전 방향 후방측에,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이 일시 저류(貯留)되고, 또한 상기 공급측 프레임체에 상기 입상물을 공급하는 호퍼가 설치되어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아건넴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외주에 탄성을 가지고 접촉하는 스크레이퍼(scraper)가 설치되어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폭을 가지는 판재의 선단부(先端部)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그 굴곡부는,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외주 중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위치와 반대측의 코너부에 접촉하여, 상기 방출 플레이트 측을 향해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방출측 프레임체가 상기 분배 플레이트보다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평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하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플레이트의 하단에서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입상물을 방출하는, 입상물의 분배 장치.
KR20127024486A 2010-03-23 2011-03-16 입상물의 분배 장치 KR101489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5913 2010-03-23
JP2010065913A JP5732733B2 (ja) 2010-03-23 2010-03-23 粒状物の分配装置
PCT/JP2011/056206 WO2011118472A1 (ja) 2010-03-23 2011-03-16 粒状物の分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210A KR20130044210A (ko) 2013-05-02
KR101489719B1 true KR101489719B1 (ko) 2015-02-04

Family

ID=4467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24486A KR101489719B1 (ko) 2010-03-23 2011-03-16 입상물의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50850B1 (ko)
JP (1) JP5732733B2 (ko)
KR (1) KR101489719B1 (ko)
CN (1) CN102833996B (ko)
WO (1) WO2011118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6648B2 (ja) * 2013-01-16 2016-10-26 ヤンマー株式会社 粒状物の繰出装置
JP6175713B2 (ja) * 2013-09-10 2017-08-09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播種装置
JP6238674B2 (ja) * 2013-10-10 2017-11-29 株式会社北海コーキ 種子等の供給装置
CN104145573B (zh) * 2014-08-14 2016-06-01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播种机
CN104221554B (zh) * 2014-09-15 2016-08-24 石河子市农友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播种不同作物的播种装置
CN104541686B (zh) * 2015-01-29 2017-10-03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播撒装置和农机设备
DE102015114155A1 (de) * 2015-08-26 2017-03-02 Amazonen-Werke H. Dreyer Gmbh & Co. Kg Dosiervorrichtung für granulares Material mit Vordosiereinheit
JP6771175B2 (ja) * 2016-02-24 2020-10-21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育苗箱用播種機の繰出しロール構造
GB2557201A (en) * 2016-11-30 2018-06-20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GB2557202B (en) 2016-11-30 2019-05-15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GB2557204B (en) * 2016-11-30 2019-02-20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EP3376180B1 (en) * 2017-03-14 2020-01-08 Daneme Holding B.V. Dispensing device for powders
DE102017117841A1 (de) * 2017-08-07 2019-02-07 Horsch 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Reiheneinheit zum Verteilen von Körnern
CN108097956B (zh) * 2018-02-05 2024-02-23 温州大学激光与光电智能制造研究院 大型复杂梯度功能构件激光直接制造粉末配比动态送粉装置及加工设备
CN108901267B (zh) * 2018-06-07 2020-06-12 诸暨市烈火工业设计工作室 一种用于不规则农田的种植装置
DK180616B1 (en) * 2019-03-20 2021-10-14 Farmdroid Aps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individual seeds one by one
DE102019117555A1 (de) * 2019-06-28 2020-12-31 Amazonen-Werke H. Dreyer Gmbh & Co. Kg Portioniervorrichtung für chemisches Granulat
KR102084942B1 (ko) * 2019-11-01 2020-03-05 함영철 파종장치
CN111512752A (zh) * 2020-06-15 2020-08-11 昆明理工大学 一种全地形智能播种机
DE102022122557A1 (de) * 2022-09-06 2024-03-07 Amazonen-Werke H. Dreyer SE & Co. KG Granulatportionierer
FR3141839A1 (fr) * 2022-11-16 2024-05-17 Sepeba Ebra Semoir mécanique et bloc de distribution pour semoir mécan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6187A (en) * 1923-07-06 1925-12-15 James L Fifer Seed planter
US4282985A (en) * 1980-01-21 1981-08-11 Ray Yamamoto Seed plate
EP0140236A1 (de) * 1983-10-28 1985-05-08 SCHMOTZER AGRARTECHNIC GmbH Einzelkornsä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8709A (en) * 1934-01-03 1935-05-17 George William Wakeham Improvements in seed sowers and the like
US2297642A (en) * 1939-12-01 1942-09-29 Deere & Co Planter
FR1150291A (fr) * 1956-05-29 1958-01-09 Perfectionnements aux semoirs
DE1457869A1 (de) * 1965-11-29 1969-05-29 Schmotzer Maschf Einzelkornsaegeraet
JPS61108304A (ja) * 1984-10-30 1986-05-27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機
JPH035212Y2 (ko) * 1985-10-05 1991-02-12
JPS6398025U (ko) * 1986-12-16 1988-06-24
JP2573519B2 (ja) * 1988-10-26 1997-01-22 来田農産株式会社 播種機における種子導出装置
JP3746114B2 (ja) * 1996-10-18 2006-02-15 スター農機株式会社 肥料散布機
JP3068795B2 (ja) * 1996-12-19 2000-07-24 みのる産業株式会社 回転目皿式播種機
CN2398808Y (zh) * 1999-12-13 2000-10-04 李生祥 排种器
JP2005333895A (ja) 2004-05-27 2005-12-08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点播用精密播種装置
CN201345816Y (zh) * 2008-12-19 2009-11-18 辽宁省农业机械化研究所 大蒜排种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6187A (en) * 1923-07-06 1925-12-15 James L Fifer Seed planter
US4282985A (en) * 1980-01-21 1981-08-11 Ray Yamamoto Seed plate
EP0140236A1 (de) * 1983-10-28 1985-05-08 SCHMOTZER AGRARTECHNIC GmbH Einzelkornsä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8472A1 (ja) 2011-09-29
CN102833996B (zh) 2016-01-27
KR20130044210A (ko) 2013-05-02
JP2011193831A (ja) 2011-10-06
JP5732733B2 (ja) 2015-06-10
EP2550850B1 (en) 2016-05-18
EP2550850A1 (en) 2013-01-30
EP2550850A4 (en) 2013-09-18
CN102833996A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719B1 (ko) 입상물의 분배 장치
US7451713B2 (en) Seed disk for a seed meter
JP6129958B2 (ja) 開口溝を有するシングルシード種播装置用分配ボックスと、この分配ボックスを用いた種播装置
US8752490B2 (en) Singulating seed
US4793511A (en) Seed meter having seed disk aperture cleaning wiper and brush arrangement
US20230192340A1 (en) Rotary Filling Machine
US20160044861A1 (en) Metering disk of a distribution device for granular material
US20110271887A1 (en) Vacuum seed meter
GB1569232A (en) Seed dispensing apparatus
US10104831B2 (en) Universal seed metering disc
JP2010172320A (ja) 播種機
RU2635369C2 (ru) Высевающая машин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истанционной загруз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бункера, содержащего устройство выпуска воздуха
US10021825B2 (en) Metering disk of a distribution device for granular material
US3622042A (en) Planter with flexible radial spring fingers for seed selection
US20040112913A1 (en) Universal seed metering disc
CA2814221A1 (en) Apparatus for metering seeds
US763308A (en) Rotary seed-disk.
JP6708899B2 (ja) 粒状物の分配装置
WO2006065206A1 (en) Sample carrier
JPH0692467A (ja) 固形物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