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96B1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96B1
KR101488796B1 KR20080048181A KR20080048181A KR101488796B1 KR 101488796 B1 KR101488796 B1 KR 101488796B1 KR 20080048181 A KR20080048181 A KR 20080048181A KR 20080048181 A KR20080048181 A KR 20080048181A KR 101488796 B1 KR101488796 B1 KR 10148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operation mode
character string
input
variabl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995A (ko
Inventor
홍경아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96B1/ko
Priority to US12/470,392 priority patent/US8761748B2/en
Priority to EP09160909A priority patent/EP2134066B1/en
Priority to CN2009101454458A priority patent/CN101588410B/zh
Publication of KR2009012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기능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고,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된 경우, 복수의 키 중에서 가변 기능키는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키는 제1 동작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의 제약 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문자입력, 기능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키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동작 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키나 터치 키의 기능이 완전히 변경되거나, 혹은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핫 키 등의 개수나, 디스플레이의 협소한 크기로 인해 동작 모드에 따라 필수 입력 키의 제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 방식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뉴 이동 등에 따른 번잡한 키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정의된 기능이 적응적으로 전환되는 입력 키를 사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마련하는 단계, 입력받은 문자열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시, 상기 문자열이 숫자열이면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모드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다른 동작모드와 링크된 식별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동작 모드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문자키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시, 상기 문자열이 숫자열이면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동작 모드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시,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다른 동작모드와 링크된 식별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정의된 기능이 적응적으로 전환되는 가변 기능키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위한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의 제약 사항을 극복할 수 있으며, 입력 키 등의 부족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여 메뉴 이동 등에 따른 번잡한 키 조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 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 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 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 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모(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130b, 130c), 마이크(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 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과,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130b, 130c)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4 사용자 입력부(130d)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 모듈(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 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메시지 작성이나 메모 작성 등과 같은 문자입력 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문자입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문자 키 등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10). 문자 키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캐 패드에서 숫자, 한글, 알파벳 등과 같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터치 캐패드 입력창을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문자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변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문자를 표시한다(S215). 가변 기능키는 '*' 키나 '#' 와 같은 문자 키 이외의 키 중에서 선택된 키이며, 터치 키패드 입력창의 경우에는 '*' 키나 '#' 에 대응하는 터치 키 아이콘이 될 수 있다.
가변 기능키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변 기능키 입력시 표시되는 문자는, ':', '~', '/', '-' 등과 같이 시간이나 날짜, 전화번호 등의 표시에 사용되는 기호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자나 이모티콘 등이 가변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문자 키나 가변 기능 키 외에 삭제, 이동 등과 같은 기능이 정의된 다른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S225), 제어부(180)는 입력된 키에 설정된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230).
이러한 동작은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235). 만일,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가변 기능키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전환하도록 하고(S240),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25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 빈도가 적은 키를 가변 기능키로 사용하여 특정 문자의 입력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키나 터치 키패드 등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S300), 제어부(180)는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10).
이와 같이 문자가 입력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변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310),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문자열이 숫자열이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숫자열을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한다(S320). 이때, 숫자열을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한다는 것은, '0220337796' 와 같은 숫자열의 경우 '02-2033-7796' 과 같은 전화번호 표시 형식으로 나타내거나, '1203' 과 같은 숫자열을 '12월3일', '12:03' 등과 같은 날짜나 시간의 표시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3000000'을 '3,000,000' 등과 같은 금액 표시 형식으로 나타낼 수 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원'이나 '$' 등과 같은 화폐단위를 금액 다음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표시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이메일 주소를 표시한다(S330). 예컨대, 'abcd'가 표시된 경우 'abcd@lge.com' 이란 이메일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면 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이메일 주소를 표시하고, 표시된 이메일 주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35). 만일,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4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금액 등을 가변 기능키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지 보기 등과 같은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400), 텍스트가 표시 상태에서, 가변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S405), 제어부(180)는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문자열을 다른 동작모드와 링크시키고, 다른 문자열들과 식별가능한 형태로 표시한다(S410). 이때, 특정 문자열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페이지 주소 등이 될 수 있으며, 링크된 동작모드는 자동통화, 이메일 전송, 웹접속 등이 될 수 있다. 특정 문자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만일,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 문자열 중에서 이메일 주소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이메일 전송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420).
특정 문자열 중에서 웹페이지 주소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선택된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웹접속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 다(S430). 또한 특정 문자열 중에서 전화번호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통화를 요청하여 수행하는 통화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저장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S445), 제어부(180)는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 문자열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각 특정 문자열에서 전화번호는 전화번호 목록에, 이메일 주소는 이메일 주소 목록 등과 같이 그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며, 선택된 특정 문자열만 저장되거나, 혹은 전체 특정 문자열을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웹페이지 주소 등의 선택은 표시된 곳을 터치하는 터치입력이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키 신호 입력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455). 만일, 다른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46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수신받은 메시지 등에 포함된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의 일 예와 사용자 입력부에 구비된 캐 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600)의 상단에는 통화지역의 신호 세기, 현재 사용중인 배터리의 잔량, 현재시간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이 표시되고, 그 아래 현재 동작중인 메뉴 항목과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가 표시 된다.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600)에는 키 패드(700)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고,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600)의 하단에는 메뉴 선택 등을 위한 '메뉴'(605), 한영 전환을 위한 '영문'(610) 등의 메뉴 아이콘이 표시된다.
키 패드(700)에는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키가 구비되어 있고, 키 패드(700)에서 문자입력시 사용이 적은 '*' 키(710)와, '#' 키(712)를 가변 가능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키 패드(700)를 이용하는 대신,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 키(710)와, '#' 키(712)는 대기 모드에서는 진동 선택이나 잠금 선택 등의 기능키로 사용될 수 있지만, 문자입력 모드에서는, '~', ':', '/', '-' 등과 같은 문자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터치 키패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모드 진입시. '*' 키(710)와, '#' 키(712)' 대신 '~;'(711) 키와 '~;'(713) 같은 터치 키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 키(711)의 경우, 한번 입력시 '~'가 표시되고, 두 번 연속입력이나 롱키 입력시 ':' 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키(711)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가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의 (a)는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에 숫자열이 입력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에 '0220337796' 숫자열(620)과 '1203' 숫자열(630)이 표시된 경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키(710)나 '*' 키(712)가 입력되면,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02-2033-7796' 와 같은 전화번호 표시형식(621)으로 구획되어 표시되거나, '12/03' 혹은 '12월3일'과 같은 날 짜 표시형식(6310)으로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1203' 숫자열(630)의 경우, '*' 키(710)나 '#' 키(720)가 입력된 경우,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12:03' 이나 '12시03분'가 같은 시간 표시형식(633)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글' 메뉴 아이콘(610)의 입력선택에 따라, '12:03' 및 '12시03분'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문자 메시지 작성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와 같이 'abcd'와 같은 문자열(640)이나 '송금액 20000' 과 같은 문자열(650)이 표시된 경우,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키(710)나 '*' 키(712)가 입력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 이메일 중에서 'abcd'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인, 'abcd@lge.com'(641)이 표시된다. 또한, '송금액 20000' 가 같은 문자열(650)은 '송금액 20,000원'(651)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abcd'를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cd'를 포함하는 모든 이메일 주소를 표시하고(643), 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최종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송금액 20000' 가 같은 문자열(650)은 '송금액 20,000$'(653)과 같이 사용자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한 화폐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문자 메시지 보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 메시지 보기 화면(660)에는 수신된 메시지 중에서 선택된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수신 메시지 확인 화면에서 내용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키(710)나 '*' 키(712)가 입력되면,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이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abcd@lge.com'(663),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2033-7796'(665), 웹페이지 주소에 해당하는 'www.lge.com'(667) 등과 같은 특정 문자열이 다른 문자와 식별가능하게 표시된다. 도 10의 (c)의 경우에는 특정 문자열에 밑줄이 쳐진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11의 (a)는 문자 메시지 보기 화면에서 다른 동작모드와 링크되어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문자열 중에서 'abcd@lge.com'(663)이 터치된 경우, 선택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이메일 전송 화면(670)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의 (b)는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 문자열에서 '2033-7797'(665)이 선택된 경우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가 요청하여 수행할 수 있는 통화 모드 화면(680)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 문자열을 선택하여 이메일 전송모드. 통화모드. 웹접속 모드 등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한 문자열을 식별가능하게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특정 문자열을 전화번호부 등에 저장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 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6)

  1.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아이들(idle)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문자입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진동 및 잠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키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미리 정의된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 키 및 '#' 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능키의 기능은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삭제
  5.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키는 상기 제1 동작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아이들(idle)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문자입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및 잠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특수 문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 키 및 '#' 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제1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터치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터치키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에서 상기 가변 터치키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터치키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아이들(idle)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문자입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터치키는 진동 및 잠금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키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터치키는 미리 정의된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터치 키는,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에서 '*' 키 및 '#' 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터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동작 모드 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문자키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문자열이 숫자열이면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기능키 입력 시, 메모리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들 중 상기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이메일 주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1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전화번호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고, 제2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날짜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며, 제3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시간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 키 및 '#' 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디스플레이부;
    동작 모드 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문자키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문자열이 숫자열이면 소정 형식으로 구획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가변 기능키 입력 시, 메모리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들 중 상기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메일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전화번호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고, 제2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날짜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며, 제3 가변 기능키 입력 시, 상기 숫자열을 시간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능키는, '*' 키 및 '#' 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동작 모드 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 시,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문자열이 특정 동작 모드에 링크되도록 상기 검색된 문자열을 문자열 링크로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을 상기 텍스트 내 다른 문자열과 식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저장 모드 선택 시, 상기 특정 문자열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문자열을 분류하여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은, 전화번호, 이메일,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에서 상기 전화번호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에서 상기 이메일 주소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이메일 주소에 대한 이메일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에서 상기 웹페이지 주소가 선택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 주소에 대한 웹접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은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3. 텍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동작 모드 별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기능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가변 기능키의 입력 시,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문자열이 특정 동작 모드에 링크되도록 상기 검색된 문자열을 문자열 링크로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을 상기 텍스트 내 다른 문자열과 식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 모드 선택 시, 상기 특정 문자열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문자열을 분류하여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자열은, 전화번호, 이메일,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문자열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특정 문자열에 대해 링크된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48181A 2008-05-23 2008-05-2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181A KR101488796B1 (ko) 2008-05-23 2008-05-2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2/470,392 US8761748B2 (en) 2008-05-23 2009-05-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09160909A EP2134066B1 (en) 2008-05-23 2009-05-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2009101454458A CN101588410B (zh) 2008-05-23 2009-05-22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181A KR101488796B1 (ko) 2008-05-23 2008-05-2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95A KR20090121995A (ko) 2009-11-26
KR101488796B1 true KR101488796B1 (ko) 2015-02-02

Family

ID=4089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8181A KR101488796B1 (ko) 2008-05-23 2008-05-2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61748B2 (ko)
EP (1) EP2134066B1 (ko)
KR (1) KR101488796B1 (ko)
CN (1) CN101588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4466B2 (en) * 2009-11-16 2016-12-06 Yahoo! Inc. Collecting and presenting data including links from communications sent to or from a user
WO2012071479A2 (en) * 2010-11-22 2012-05-31 Andy Turudic Moveable camera for mobile computing and phone devices
CN102821190B (zh) * 2011-06-09 2015-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状态切换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272582B1 (ko) * 2012-11-14 2013-06-28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
USD768101S1 (en) * 2013-10-17 2016-10-04 Shenzhen Wave Multimedia Co., Ltd. Cellular phone
CN103677910B (zh) * 2013-12-06 2017-07-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计算器的启动方法和系统
JP1522206S (ko) * 2014-04-15 2015-04-20
JP5963806B2 (ja) * 2014-05-30 2016-08-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文字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方法
CN104216633B (zh) * 2014-08-27 2018-05-1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219385B (zh) * 2014-08-27 2017-08-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按键功能控制方法
USD798282S1 (en) * 2015-06-30 2017-09-26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801958S1 (en) * 2015-06-30 2017-11-07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84950S1 (en) * 2015-06-30 2017-04-25 L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815612S1 (en) * 2015-10-05 2018-04-1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2381B1 (en) * 1997-10-06 2001-02-20 Megg Associates, Inc. Single-document active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7003327B1 (en) * 1999-07-23 2006-02-21 Openwave Systems Inc. Heuristically assisted user interfa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18640A (ko) * 2005-05-16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입력 방법
KR100672432B1 (ko) 2004-11-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GB2371948B (en) * 2001-02-02 2005-09-14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7356361B1 (en) 2001-06-11 2008-04-08 Palm, Inc. Hand-held device
JP3873697B2 (ja) * 2001-10-01 2007-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並びに送信プログラム及び送受信プログラム
US6947028B2 (en) * 2001-12-27 2005-09-20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gadgets
AU2002311525A1 (en) * 2002-06-21 2004-01-06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sic player navigation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40137921A1 (en) * 2002-11-08 2004-07-15 Vinod Valloppillil Asynchronous messaging based system for publishing and accessing content and accessing applications on a network with mobile devices
US20040253973A1 (en) * 2003-06-12 2004-12-16 Nguyen Manh 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text entry using a keypad
JP4518536B2 (ja) * 2003-07-29 2010-08-04 ユーエムイー・インシュアランス・インク パソコン兼用携帯電話機。
US7096036B2 (en) 2003-09-10 2006-08-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mode keypad for a mobile device
US7869832B2 (en) 2005-10-07 2011-01-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KR20070120236A (ko) * 2006-06-19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와의 거리 감지를 통한 단말상태 설정 장치 및 방법
US8942764B2 (en) * 2007-10-01 2015-01-27 Apple Inc. Personal media device controlled via user initiated movements utilizing movement based inte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2381B1 (en) * 1997-10-06 2001-02-20 Megg Associates, Inc. Single-document active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7003327B1 (en) * 1999-07-23 2006-02-21 Openwave Systems Inc. Heuristically assisted user interfa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72432B1 (ko) 2004-11-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8640A (ko) * 2005-05-16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4066A1 (en) 2009-12-16
CN101588410B (zh) 2013-07-24
EP2134066B1 (en) 2012-11-28
KR20090121995A (ko) 2009-11-26
US20090291678A1 (en) 2009-11-26
CN101588410A (zh) 2009-11-25
US8761748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4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749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359252B (zh) 使用触摸屏的移动终端及控制其的方法
KR101398478B1 (ko)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51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95351B1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482119B1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83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03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8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608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12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95350B1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506489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4762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753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402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34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90358B1 (ko) 블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121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