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78B1 -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78B1
KR101398478B1 KR1020080033249A KR20080033249A KR101398478B1 KR 101398478 B1 KR101398478 B1 KR 101398478B1 KR 1020080033249 A KR1020080033249 A KR 1020080033249A KR 20080033249 A KR20080033249 A KR 20080033249A KR 101398478 B1 KR101398478 B1 KR 10139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mode
menu icon
menu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793A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64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984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78B1/ko
Priority to US12/407,603 priority patent/US8185098B2/en
Publication of KR2009010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메뉴 아이콘을 설정하고, 제1 동작 모드에서 가변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에서 가변 메뉴 아이콘은 제1 동작 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메뉴 아이콘은 제1 동작 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의 협소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의 제약 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메뉴, 아이콘

Description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using variable menu ic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 모드에 따라 정의된 기능이 전환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면 터치스크린은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의 기본 요소인 키패드 등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전면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더라도 그 크기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키나 메뉴 아이콘의 기능이 완전히 변경되거나, 혹은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핫 키 등의 개수나, 디스플레이의 협소한 크기로 인해 동작 모드에 따라 필수 입력 키의 제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정의된 기능이 적응적으로 전환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가변 메뉴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 계,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가변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메뉴 아이콘 중에서 상기 가변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동작 모드에서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된 경우, 표시된 상기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가변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정의된 기능이 적응적으로 전환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을 다른 메뉴 아이콘과 함께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의 협소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의 제약 사항을 극복할 수 있으며, 입력 키 등의 부족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 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 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 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 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 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모(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130b, 130c), 마이크(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 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과,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130b, 130c)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4 사용자 입력부(130d)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 모듈(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 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아이들 모드가 되면(S200),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어부(180)에 의해 메뉴 아이콘이 표시된 아이들 모드 화면이 표시된다(S205). 메뉴 아이콘이 터치입력이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해 선택되며, 미리 정의된 동작이나 메뉴 진입 등과 같은 기능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절전 등을 위해 소정 시간 후에 터치스크린은 화면 꺼짐 상태가 되고,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입력이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키 입력 등이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은 다시 화면 켜짐 상태가 되어, 터치스크린에 아이들 모드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아이들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가 꺼진 상태로 기지국과의 신호를 교환하는 대기 모드에서 제1 바디(100A)가 슬라이드 업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키 입력이 있는 경우 등에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가 켜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아이들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2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거나 2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는 멀티태스킹 모드와 같이, 특정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S210),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215). 그리고, 제어부(180)는 일부 메뉴 아이콘의 기능이 변경된 동작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일부 메뉴 아이콘의 기능이 변경된다는 것은, 아이들 모드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은 선택된 특정 동작 모드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고, 나머지는 메뉴 아이콘은 아이들 모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능이 전환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은, 사용자 명령 등이나 기본 설정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메뉴 아이콘의 표시 위치가 동일한 상태에서 기능이 전환되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지 못할 수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메뉴 아이콘이 뒤집어 지면서 새로운 메뉴 아이콘으로 변경되는 등의 애니메이션을 제공하여 메뉴 아이콘의 기능 등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유사한 유형의 메뉴 아이콘이 아닌 경우 이러한 변경 과정이 표시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선택된 특정 동작 모드에서, 특정 메뉴 아이콘이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 등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30). 메뉴 아이콘 외에 다른 메뉴 항목이 표시된 경우에도,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동작 모드의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에는(S235), 다시 아이들 모드 상태가 되고(S20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20 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아이들 모드와, 멀티태스킹 수행이 가능한 모드와 같이, 동작 모드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여, 제한된 크기를 갖는 터치스크린에서도 여러 동작 모드에 적합하도록 메뉴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아이들 모드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가변 메뉴 아이콘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1 동작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S300), 제어부(180)는 제1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05).
이와 같은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에서 특정 메뉴 아이콘 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15). 이러한 과정은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S320), 제어부(180)는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330), 일부 메뉴 아이콘의 기능이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335). 일부 메뉴 아이콘의 기능이 전환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에서 가변 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메뉴 아이콘의 기능과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메뉴 아이콘이나 기타 다른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S340),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나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45). 그리고, 다시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S350), 제1 동작 모드로 진입하고(S300),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S335 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아이들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도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아이들 모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아이들 모드 화면(400)의 상단에는 메인 메뉴, 메시지 메뉴, 통화 메뉴 등의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420)이 표시된다. 메뉴 아이콘(420)의 아래에는 통화지역의 신호 세기, 현재 사용중인 배터리의 잔량, 현재 시간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430)이 표시 되고, 아이들 모드 화면(400)에는 설정된 배경 이미지가 표시된다. 아이들 모드 화면(400)의 하단에는, 카메라, 영상 통화, 인터넷 접속, DMB 시청 등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440)도 표시된다.
도 7은 아이들 모드에서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전화번호부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화번호부 화면(500)에는 상단에는 메시지 메뉴, 통화 메뉴 등의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520)이 표시되고, 하단에도 메인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 확인을 위한 '확인', 이전 메뉴로 돌아가는 '이전' 등의 메뉴 아이콘(530)이 표시된다.
상단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520) 중에서 메인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은 멀티 태스킹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521)으로 변경되고, 나머지 메뉴 아이콘은 아이들 모드 화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이 유지된다. 즉, 아이들 모드 화면(400)에서 메인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421)이, 특정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멀티태스킹 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521)으로 기능이 전환되어 다른 이미지로 표시되는 가변 메뉴 아이콘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메뉴 아이콘이 동작 모드에 따라 2개 이상의 기능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동영상 파일이나 음악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화면(600)의 경우, 상단의 메뉴 아이콘(620)은 전화번호부 화면(500)에서와 동일한 이미지와 기능의 메뉴 아이콘이 유지된다. 그러나, 하단의 메뉴 아이콘(640)은 선택된 동작 모드에 적합하도록 모두 변경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통화 메뉴 화면에서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통화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는 통화 메뉴 화면(700)에서 전화번호 입력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통화 메뉴 화면(700)에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에서 도 10과 같이,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도 9의 하단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740) 중에서 이전 메뉴로 복귀하는 메뉴 아이콘(741)은,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화번호를 한자리 씩 지울 수 있는 메뉴 아이콘(743)으로 기능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통화 메뉴 화면(700)에서 입력된 전화번호가 모두 지워지면, 다시 도 9에 도시한 통화 메뉴 화면(70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메뉴에서도,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여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통화 메뉴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메시지 작성 모드와 수신 메시지 확인 모드, 최근 기록의 조회와 부재중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및 기타 유사하거나 관련된 동작 모드의 전환 시 등에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 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제1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제1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제2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의 이전 기능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의 표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표시되고,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의 기능은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의 기능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아이들(idle)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통화 메뉴에서 전화번호 입력 대기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통화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입력된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메시지 작성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수신 메시지 확인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각각은, 터치 입력 및 키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 메뉴 아이콘 표시 시,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상기 제1 및 제2 메뉴 아이콘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의 표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1 동작 모드에서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1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고,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제2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의 표시를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의 표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 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의 이전 기능을 유지하며,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의 표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표시되고,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의 기능은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의 기능과 상이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각각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서로 다른 기능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각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각각의 선택에 대응하는 기능이 각 동작 모드 별로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아이들(idle)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통화 메뉴에서 전화번호 입력 대기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통화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입력된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메시지 작성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수신 메시지 확인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 메뉴 아이콘 표시 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이 정의된 상기 제1 및 제2 메뉴 아이콘을 미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2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고정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들 및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2 메뉴 아이콘의 표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33249A 2008-04-10 2008-04-10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49A KR101398478B1 (ko) 2008-04-10 2008-04-10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2/407,603 US8185098B2 (en) 2008-04-10 2009-03-19 Mobile terminal using variable menu ic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49A KR101398478B1 (ko) 2008-04-10 2008-04-10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793A KR20090107793A (ko) 2009-10-14
KR101398478B1 true KR101398478B1 (ko) 2014-05-26

Family

ID=4116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249A KR101398478B1 (ko) 2008-04-10 2008-04-10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85098B2 (ko)
KR (1) KR101398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7852B (zh) * 2008-11-12 2013-06-01 Htc Corp 功能選擇系統及方法,及其機器可讀取媒體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38050B1 (ko) * 2009-12-15 2016-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722547B2 (ja) 2010-03-19 2015-05-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698761B2 (en) * 2010-04-30 2014-04-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US9521244B2 (en) 2010-10-13 2016-12-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isplay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groups for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vents
US20120092245A1 (en) * 2010-10-15 2012-04-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with rotatable portion for input mechanism
US8497942B2 (en) * 2011-04-07 2013-07-30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udio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TV
US20130085705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upon detecting a change in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SD732571S1 (en) * 2012-04-27 2015-06-23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phone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29523B2 (en) 2012-06-27 2017-04-25 Camplex, Inc. Binocular viewing assembly for a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
US9642606B2 (en) 2012-06-27 2017-05-09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
US20140055369A1 (en) * 2012-08-22 2014-02-27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Single-gesture mobile computing device operations
US20140195980A1 (en) * 2013-01-04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122389B2 (en) * 2013-01-11 2015-09-01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the stylus-initiated opening of an application
WO2014189969A1 (en) 2013-05-21 2014-11-27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CN105453544B (zh) * 2013-07-30 2018-12-25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WO2015042483A2 (en) 2013-09-20 2015-03-26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WO2015042460A1 (en) 2013-09-20 2015-03-26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US9658739B1 (en) * 2013-10-22 2017-05-23 Google Inc. Optimizing presentation of interactive graphical elements based on contextual relevance
CN104077145B (zh) * 2014-07-11 2017-07-21 北京安兔兔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处理方法及系统
WO2016090336A1 (en) 2014-12-05 2016-06-09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KR101707651B1 (ko) * 2014-12-26 2017-02-1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온라인 쇼핑몰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제공 디바이스
EP3277152A4 (en) * 2015-03-25 2018-12-26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CN105072536A (zh) * 2015-08-19 2015-11-18 广州长嘉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音响实现音效声场处理的方法及系统
JP6329112B2 (ja) * 2015-09-16 2018-05-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7091704A1 (en) * 2015-11-25 2017-06-01 Camplex, Inc.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KR102607564B1 (ko) *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8208691A1 (en) 2017-05-08 2018-11-15 Camplex, Inc. Variable light source
CN108170360B (zh) * 2017-12-28 2020-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势功能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79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 단말기에서의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한 가변형 메뉴구현 방법
KR20040085918A (ko) * 2003-04-02 2004-10-08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의 다중메뉴 운용 방법
EP1976242A1 (en) 2007-03-30 2008-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7562A3 (en) * 2007-01-19 2013-04-03 LG Electronics Inc.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US9031583B2 (en) * 2007-04-11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Notification on mobile device based on location of other mobile device
US20090005018A1 (en) * 2007-06-28 2009-01-01 Apple Inc. Route Sharing and Location
WO2009075602A1 (en) * 2007-12-13 2009-06-18 Motorola, Inc. Scenarios creation system for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79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 단말기에서의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한 가변형 메뉴구현 방법
KR20040085918A (ko) * 2003-04-02 2004-10-08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의 다중메뉴 운용 방법
EP1976242A1 (en) 2007-03-30 2008-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US20080259045A1 (en) 2007-03-30 2008-10-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5098B2 (en) 2012-05-22
KR20090107793A (ko) 2009-10-14
US20090258638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78B1 (ko)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796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51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9833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1301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46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21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264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506489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467885B1 (ko) 터치스크린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046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81934B1 (ko)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28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468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90358B1 (ko) 블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833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23285B1 (ko) 타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626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290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64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7813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