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676B1 -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 Google Patents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676B1
KR101488676B1 KR20140110433A KR20140110433A KR101488676B1 KR 101488676 B1 KR101488676 B1 KR 101488676B1 KR 20140110433 A KR20140110433 A KR 20140110433A KR 20140110433 A KR20140110433 A KR 20140110433A KR 101488676 B1 KR101488676 B1 KR 10148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ad
coupled
member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현
강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웜메터리얼
황수현
강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웜메터리얼, 황수현, 강원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웜메터리얼
Priority to KR2014011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나 나사 또는 볼트 등 별도의 체결구 없이,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두께를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판 재질의 시트 상에 가공에 의해 절개선이 형성된 복수 개의 부품들이 마련되되, 복수 개의 부품들은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상호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Assembly kit and assemble mod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나 나사 또는 볼트 등 별도의 체결구 없이,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모형은 다양한 형상의 블록들을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조립모형은 다양한 구조의 미니어쳐(miniature) 예를 들어, 각종 건물, 가구, 자동차 등의 모형을 만들 수 있고, 만드는 재미와 함께 장식적인 기능 및 학습효과도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조립모형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블록들은 조립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예컨대 프라모델이나 레고, 또는 종이나 목재로 부품들의 형상이 그려진 조립키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조립키트들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하거나, 단순히 돌기를 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에 불과하여, 조립 과정이 단순하여 쉽게 흥미를 잃거나, 내구성이 약하여 조립모형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접착식 모형은 접착제를 이용하는데, 접착제의 유해성으로 인해 영·유아에게 놀이기구로 권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접착제의 접착력은 하중을 지탱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접착식 모형은 하중을 지탱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완구 또는 장식용 조립모형 이외에는 별다른 쓰임새, 예를 들어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물건을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KR 20-2010-0003920 U (2010.04.1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나 나사 또는 볼트 등 별도의 체결구 없이,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모형 완성 후에도 실용성을 가지는 조립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통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설계를 통해 과학적이고 재미있으면서 친환경적인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두께를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판 재질의 시트 상에 가공에 의해 절개선이 형성된 복수 개의 부품들이 마련되되, 복수 개의 부품들은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상호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두리를 따라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에 의해 상하 적층 조립되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제2 베이스의 상측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제1 수직부재; 및 제1 수직부재와 장부맞춤 방식으로 양측이 결합되어 제2 베이스의 상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조립키트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는 그 테두리 형상이 소정 두께를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판 재질의 시트 상에 가공되어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1 수직부재와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1 수직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3 베이스와, 제3 베이스의 상측에 산지이용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4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단이 제4 베이스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지지부재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헤드부는 복수 개의 헤드부재와 헤드부재 사이에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며, 복수 개의 헤드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단에 고리가 형성되는 고리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헤드부의 양측에 상단이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3 베이스 및 제4 베이스의 양측에 하단이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시트는 CNC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절개선이 가공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조립키트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모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에 의하면, 접착제나 볼트 또는 나사 등 별도의 체결구 없이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은 우리나라의 전통 짜맞춤 기법에 의해 조립되므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계승하고 세계에 널리 알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키트에 의한 조립모형은 실용성을 가지므로, 필요한 용도로 조립모형을 사용할 수 있고, 조립 후 판매를 유도함으로써 자활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키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키트의 사용 상태도.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조립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
도 20은 전통 짜맞춤 기법 중 하나인 반턱끼움을 도시한 예시도.
도 21은 전통 짜맞춤 기법 중 하나인 장부맞춤을 도시한 예시도.
도 22는 전통 짜맞춤 기법 중 하나인 산지이용장부맞춤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10)은 접착제나 볼트, 나사 등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 짜맞춤 기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통 짜맞춤 기법으로는 예컨대, '이음'으로서 맞이음, 빗이음, 오늬쪽매, 사모턱이음, 나비장이음, 띠열장이음, 메뚜기장이음, 반턱띠열장이음, 제혀쪽매, 딴혀쪽매 등이 있다. 또한, '맞춤'으로서 각재와 각재의 맞춤방식인 맞짜임, 연귀촉짜임, 맞연귀짜임, 안연귀짜임, 밖연귀짜임, 반턱짜임, 겉쐐기, 빗턱짜임, 막장부촉맞짜임, 벌림쐐기, 십자턱짜임, 턱짜임, 아래턱짜임, 반연귀숨은장부촉짜임, 숨은장부촉맞짜임, 막이산지, 방두산지, 산지장부짜임, 내림턱열장짜임, 막장부촉연귀짜임, 연귀숨은촉짜임, 주먹장부촉짜임, 십자걸침턱짜임, 사개물림 등이 있다. 아울러, 판재와 판재의 맞춤방식으로 턱짜임, 장부짜임, 막장부짜임, 쌍장부짜임, 사개맞춤, 주먹장맞춤, 연귀주먹장맞춤, 내자지 장부 등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조립모형(10)으로서 램프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립모형(1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통 짜맞춤 기법으로 조립된 조립모형(10)은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31)를 장착하여 실생활에서 램프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조립모형은 전체적으로 램프 형상이며, 전구(31)의 하단을 받쳐주는 베이스부(20)와, 전구(31)가 장착되는 전구 장착부(30)와, 전구(31)를 보호하기 위해 그 둘레를 둘러싸면서 후술하는 헤드부(50)를 지지하는 지지부(40)와, 지지부(4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단에 손잡이 고리(652)가 구비되는 헤드부(50)와, 헤드부(50)의 양측과 베이스부(2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7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키트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키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조립키트(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판 등의 시트(sheet) 상에 각종 부품들의 외곽 형상이 절취 가능하게 가공된다. 이때, 종이의 경우에는 펀치(punch) 등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부품 형상의 절개선이 가공될 수 있고, 플라스틱은 부품 형상에 맞는 절개선을 갖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소재비와 조립모형의 내구성을 감안하면, 시트는 소정 두께의 합판(예컨대, 자작나무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부품들의 테두리 절개선은 CNC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부품들의 테두리 형상이 시트 상에 가공되면, 사용자는 시트로부터 부품들을 쉽게 절취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각종 부품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램프 형태로 조립하기 위한 부품들이며, 서랍장이나 모니터 받침 또는 베드 트레이(bed tray) 등 다른 형태의 조립모형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부품 절개선이 가공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는 하나의 시트에 복수 개의 부품들이 가공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소재비 절감을 위한 최적의 부품 배치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달리 배치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상단에 손잡이(110)를 마련하여, 운반이 편리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시트마다 손잡이(110)를 마련할 수도 있고, 모든 시트를 종이백 등에 수납한 후, 어느 하나의 시트에만 손잡이(110)를 마련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형태의 조립모형(10)을 조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부(2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수직부재(240)와 한 쌍의 제2 수직부재(250)를 조립한다. 이때, 제1 수직부재(240)와 제2 수직부재(250)는 양단이 장부맞춤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여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장부맞춤 방식'이라 함은 도 21a와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의 요홈(1a)에 제2 부재(2)의 돌출부(2b)가 삽입 결합되는 방식을 일컫는다.
다시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직부재(240)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상하 양측으로 돌출 후 길이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된 결합부(241)가 형성되며, 제1 수직부재(240)의 좌우 양측에는 제2 수직부재 삽입홈(242)이 관통 형성된다.
제2 수직부재(250)의 좌우 양단에는 삽입부(251)가 돌출 형성되며, 제2 수직부재(250) 양단의 삽입부(251)가 각각 제1 수직부재(240) 양측의 제2 수직부재 삽입홈(2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수직부재(250)와 한 쌍의 제1 수직부재(2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제1, 제2 수직부재(240,250)를 제2 베이스(220) 상에 조립한다.
제2 베이스(22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이며, 중앙에 사각형의 공간부(222)가 관통 형성되는데, 공간부(222)의 일측에는 폭이 확장된 확장부(223)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수직부재(240)의 하단 결합부(241)가 제2 베이스(220)의 확장부(223)에 삽입된 후 공간부(222)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2 베이스 (220)에 끼워진다.
제1 베이스(21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이며, 직경이 제2 베이스(22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데,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제1 수직부재 삽입홈(212)이 관통 형성된다.
제2 베이스(220) 상에 조립된 제1 수직부재(240)의 하단 결합부(241)는 제2 베이스(220)의 하부로 돌출되며, 제1 베이스(210)의 제1 수직부재 삽입홈(212)에 삽입된다.
이후, 제1 베이스(210)와 제2 베이스(220) 및 제1 결합부재(230)가 반턱끼움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여기서 '반턱끼움 방식'이라 함은 도 20a와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1 부재(1)의 요홈(1a)과 제2 부재(2)의 요홈(2a)이 서로 대향 결합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즉, 제1 베이스(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1 베이스 요홈(211)이 절개 형성되고, 제2 베이스(220)의 테두리를 따라 제1 베이스 요홈(211)과 대응하도록 제2 베이스 요홈(221)이 절개 형성되며, 제1 결합부재(230)의 내측에는 제1 결합부재 요홈(231)이 형성된다. 제1 베이스(210)와 제2 베이스(220)가 적층 조립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재 요홈(231)이 제1 베이스 요홈(211) 및 제2 베이스 요홈(221)과 대응 결합하도록 제1 결합부재(230)가 삽입되며, 이때 제1 베이스(210)와 제2 베이스(220)는 제1 결합부재 요홈(231) 사이에 지지된다.
한 쌍의 제1 수직부재(240) 상측에 원판 형태의 제3 베이스(260)를 조립한다. 이때, 제3 베이스(260)에는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제1 결합부 삽입홈(261)이 관통 형성되며, 제1 수직부재(240)의 상단 결합부(241)가 제3 베이스(260)의 제1 결합부 삽입홈(261)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제1 수직부재(240)의 상단 결합부(241)가 제3 베이스(260)의 제1 결합부 삽입홈(261)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3 베이스(260)에 끼워진다.
제3 베이스(260)의 상측에 제4 베이스(270)가 조립된다. 이때, 제4 베이스(270)는 양측에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제2 결합부 삽입홈(271)이 관통 형성되며, 제3 베이스(260)의 제1 결합부 삽입홈(261)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1 수직부재(240)의 상단 결합부(241)가 제4 베이스(270)의 제2 결합부 삽입홈(271)에 삽입됨으로써 제4 베이스(27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전구 장착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제4 베이스(270)의 상측에 전구(31, 도 1 참조)가 장착된다. 이때 전구(31)는 제2 수직부재(250) 하단의 전선 삽입홀(252, 도 4 참조)과 제3 베이스(260)와 제4 베이스(270)의 중앙에 서로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265)을 통해 연결된 전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4 베이스(270)의 장착홀(265) 주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1 받침부재 삽입홈(272)이 관통 형성되고, 각각의 제1 받침부재 삽입홈(272) 사이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410, 도 12 참조)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 삽입홈(273)이 관통 형성된다.
제4 베이스(270)의 상측에 원판 형태의 제1 지지판(310)이 안착된다. 이때, 제1 지지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1 지지판 요홈(311)이 절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받침부재(320)가 제1 지지판(310)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받침부재(320)의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재 요홈(321)이 대향하는 제1 지지판 요홈(31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제2 지지판(330)이 받침부재(320)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전구 장착부(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제2 지지판(33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2 받침부재 삽입홈(331)이 관통 형성되며, 제2 받침부재 삽입홈(331) 사이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410)가 관통하는 제2 지지부재 삽입홈(332)이 관통 형성된다.
조립된 전구 장착부(30)는 받침부재(320)의 하단이 제4 베이스(270)의 제1 받침부재 삽입홈(272)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부(20)와 결합한다.
다음,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지지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부(40)는 전구 장착부(30)에 장착된 전구(3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휜 복수 개의 지지부재(410)와, 지지부재(4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 형상 보강부재(42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410)와 보강부재(4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410)는 제2 지지판(330)의 제2 지지부재 삽입홈(332)을 관통하여 제4 베이스(270)의 제1 지지부재 삽입홈(273)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된다. 보강부재(420)는 지지부재(410)의 상하 양단에 하나씩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단 보강부재(420)와 하단 보강부재(42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며,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보강부재 요홈(421)이 절개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부재(410) 내측에도 상하 방향 이격하여 지지부재 요홈(411)이 절개 형성되며, 보강부재 요홈(421)에 지지부재 요홈(411)이 삽입됨으로써 보강부재(420)와 지지부재(410)는 반턱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지지부(40)의 조립은 지지부재(410)와 보강부재(420)를 먼저 조립하고, 이어서 지지부재(410)의 하단을 제2 지지판(330)의 제2 지지부재 삽입홈(332)에 삽입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연결부와 헤드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10)의 상단에 제1 헤드부재(510)가 조립된다. 이때, 제1 헤드부재(510)에는 중앙 십자홀(511)을 중심으로 각각의 지지부재(410) 상단이 삽입되는 제3 지지부재 삽입홈(5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 헤드부재(510)의 상측에 제2 헤드부재(520)가 안착된다. 제2 헤드부재(52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1 이격부재 하단 삽입홈(521)이 관통 형성되며, 제1 이격부재(530)의 하단이 제2 헤드부재(520)의 제1 이격부재 하단 삽입홈(521)에 장부맞춤 방식으로 끼워져 수직하게 세워진다.
제1 이격부재(530)의 상단에 제3 헤드부재(540)가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3 헤드부재(540)에는 제1 이격부재(530)의 상단이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이격부재 상단 삽입홈(541)이 복수 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제3 헤드부재(540)에는 제1 이격부재 상단 삽입홈(541)의 외측에 제3 헤드부재(54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2 이격부재 하단 삽입홈(542)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이격부재(550)의 하단이 제2 이격부재 하단 삽입홈(542)에 장부맞춤 방식으로 조립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제2 이격부재(550)의 상단에 제4 헤드부재(560)가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4 헤드부재(560)에는 제2 이격부재(550)의 상단이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이격부재 상단 삽입홈(561)이 복수 개 관통 형성된다.
제4 헤드부재(560)의 상측에 제5 헤드부재(570)가 안착되며, 제4 헤드부재(560)와 제5 헤드부재(570)는 연결부재(710)와 제2 결합부재(720)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부재(710)는 제4 헤드부재(560)와 제5 헤드부재(57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연결부재(710)의 상단은 제4,제5 헤드부재(560,570)의 양측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고, 연결부재(710)의 하단은 제3,제4 베이스(260,270)의 양측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710)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부에 연결부재 요홈(711)이 형성되고, 제4 헤드부재(560)와 제5 헤드부재(570)의 양측 테두리에는 연결부재 요홈(711)과 대응 결합하도록 각각 제4 헤드부재 요홈(562)과 제5 헤드부재 요홈(571)이 형성되며, 제3 베이스(260)와 제4 베이스(270)의 양측 테두리에는 각각 제3 베이스 요홈(262, 도 8 참조)과 제4 베이스 요홈(274, 도 8 참조)이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연결부재(710)는 서로 이격하는 한 쌍의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제3 베이스 요홈(262)과 제4 베이스 요홈(274), 제4 헤드부재 요홈(562)과 제5 헤드부재 요홈(571) 역시 서로 이격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재(710)는 한 쌍의 동일한 형상의 부재가 제3,제4 결합부재(730,740)에 의해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3 결합부재(730)는 한 쌍의 부재의 상단 꺾임부 요홈(712)에 결합되며, 제4 결합부재(740)는 하단 꺾임부 요홈(713)에 결합된다.
각각의 연결부재(710)가 더욱 견고히 결합되도록, 'T'자 형태의 제2 결합부재(720)가 연결부재(7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다. 예컨대, 제4,제5 헤드부재(560,570)는 제4,제5 헤드부재 요홈(562,571)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63,572)에 제2 결합부재 삽입홈(564,573)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제2 결합부재(720)의 하단이 제4,제5 헤드부재(560,570)의 제2 결합부재 삽입홈(564,573)에 삽입되어 산지이용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2 결합부재(720)의 상단은 연결부재(710) 상단의 상측을 가압 지지한다.
여기서, '산지용장부맞춤 방식'이라 함은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의 요홈(1a)과 제2 부재의 요홈(2a)이 연통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산지(3)가 요홈(1a,2a)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을 일컫는다.
다시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3,제4 베이스(260,270)는 제3,제4 베이스 요홈(262,274)의 내측에 각각 제2 결합부재 삽입홈(263,275)이 관통 형성되며, 제2 결합부재(720)의 하단이 제3,제4 베이스(260,270)의 제2 결합부재 삽입홈(564,573)에 삽입되어 산지이용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2 결합부재(720)의 상단은 연결부재(710) 하단의 상측을 가압 지지한다.
제5 헤드부재(570)의 상측에 제3 이격부재(580)가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5 헤드부재(57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3 이격부재 하단 결합홈(574)이 관통 형성된다.
이하,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나머지 헤드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이격부재(580)의 상측에 원판 형태의 제6 헤드부재(590)가 장부맞춤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6 헤드부재(590)에는 복수 개의 제3 이격부재 상단 결합홈(591)이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제6 헤드부재(590)에는 제5 결합부재 삽입홈(592)이 관통 형성되는데, 제5 결합부재(610)는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제7 헤드부재(630)를 관통하여 하단이 제6 헤드부재(590)의 제5 결합부재 삽입홈(592)에 삽입된다. 이때, 제5 결합부재(610)의 양측 하단부에는 전술한 연결부재(71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단턱(611)이 절개 형성된다.
제6 헤드부재(590)의 상측에 복수 개의 제4 이격부재(620)가 장부맞춤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6 헤드부재(59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4 이격부재 하단 결합홈(593)이 관통 형성된다.
제4 이격부재(620)의 상측에 원판 형태의 제7 헤드부재(630)가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7 헤드부재(63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제4 이격부재 상단 결합홈(631)이 관통 형성되며, 전술한 제5 결합부재(610)의 조립을 위한 한 쌍의 제5 결합부재 조립홈(632)이 양측에 한 쌍씩 형성된다.
제7 헤드부재(630)의 상측 중앙부에 편자 형태의 가이드부재(640)가 안착되며, 이 가이드부재(640)로부터 제1 헤드부재(510)까지 하향 관통하도록 고리부재(650)가 삽입된다. 고리부재(650)의 하단에는 반원 형태의 걸림부(651)가 확장 형성되며, 상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손잡이 고리(652)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10)의 조립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각의 부품들의 구체적인 조립 순서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10')은, 베이스부(20')가 육면체 형상이고 연결부(70')가 6개의 부재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형(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이 있으나, 이 역시 접착제나 볼트, 나사 등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 짜맞춤 기법으로 조립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10', 10" : 조립모형 100 : 조립키트
20,20' : 베이스부 210 : 제1 베이스
220 : 제2 베이스 230 : 제1 결합부재
240 : 제1 수직부재 250 : 제2 수직부재
260 : 제3 베이스 270 : 제4 베이스
30 : 전구 장착부 31 : 전구
310 : 제1 지지판 320 : 받침부재
330 : 제2 지지판 40 : 지지부
410 : 지지부재 420 : 보강부재
50 : 헤드부 510 : 제1 헤드부재
520 : 제2 헤드부재 530 : 제1 이격부재
540 : 제3 헤드부재 550 : 제2 이격부재
560 : 제4 헤드부재 570 : 제5 헤드부재
580 : 제3 이격부재 590 : 제6 헤드부재
610 : 제5 결합부재 620 : 제4 이격부재
630 : 제7 헤드부재 640 : 가이드부재
650 : 고리부재 70 : 연결부
710 : 연결부재 720 : 제2 결합부재
730 : 제3 결합부재 740 : 제4 결합부재

Claims (10)

  1. 삭제
  2. 테두리를 따라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에 의해 상하 적층 조립되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의 상측에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제1 수직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장부맞춤 방식으로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제2 베이스의 상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조립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는 그 테두리 형상이 소정 두께를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판 재질의 시트 상에 가공되어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와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3 베이스와, 상기 제3 베이스의 상측에 산지이용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4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제4 베이스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복수 개의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 사이에 장부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단에 고리가 형성되는 고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상단이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3 베이스 및 제4 베이스의 양측에 하단이 반턱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CNC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절개선이 가공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키트.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키트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모형.











KR20140110433A 2014-08-25 2014-08-25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KR10148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0433A KR101488676B1 (ko) 2014-08-25 2014-08-25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0433A KR101488676B1 (ko) 2014-08-25 2014-08-25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76B1 true KR101488676B1 (ko) 2015-02-04

Family

ID=5259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0433A KR101488676B1 (ko) 2014-08-25 2014-08-25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12A (ko) * 1999-05-03 2000-12-05 이완수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12A (ko) * 1999-05-03 2000-12-05 이완수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73Y1 (ko) 목재블록
US20120309258A1 (en) Folded block structure kit and method for making
CN201714763U (zh) 自组装家具
KR101488676B1 (ko)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CN105764583A (zh) 玩具用大型组装块
US20070194020A1 (en) Easy to Assemble Wastebasket
JP2017210993A (ja) 接続部材および棚
KR200483536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면 블록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220161863A (ko)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KR101051332B1 (ko) 가구용 체결구
KR101870319B1 (ko) 트리 키트
JP2004089729A (ja) 組立板材
JP2005240991A (ja) 多機能モジューラ・フレーム構造
JP3182940U (ja) 簡易式接合部品構造
KR101859553B1 (ko) 캣타워
JP3169915U (ja) 仕切板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CN202673897U (zh) 用于家居产品的板材或部件之间的快速装配配件
KR200425212Y1 (ko) 조립식 수납함
JP6731711B2 (ja) 組立玩具
JP3217169U (ja) インテリア用品
JP3182295U (ja) 木製組み立て補助部材
JP3206854U (ja) 組立て式家具
KR101825874B1 (ko) 학습 및 인테리어용 입체모형의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퍼즐식 입체모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