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665B1 -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 Google Patents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665B1
KR101488665B1 KR20130103832A KR20130103832A KR101488665B1 KR 101488665 B1 KR101488665 B1 KR 101488665B1 KR 20130103832 A KR20130103832 A KR 20130103832A KR 20130103832 A KR20130103832 A KR 20130103832A KR 101488665 B1 KR101488665 B1 KR 101488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gun
connector
urethane foam
wor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세
Original Assignee
박경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세 filed Critical 박경세
Priority to KR2013010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7Actuators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valve and being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e.g. downstream a valve fitted to the container; Actuators associated to container valves with valve seats located outside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6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omprising connectors, e.g. for tyre valves, or actuators connected to the aerosol container by a flexibl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는 우레탄폼을 분사하기 위해서 대체로 스프레이건의 상부에 충전용기의 분사구가 하방향에 위치하도록 끼워 사용하였으나, 스프레이건에 충전용기를 바로 결합시킴으로써, 그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손떨림 현상은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은 그 작업공간이 협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 공간에 충전용기의 결합으로 부피가 커진 스프레이건을 사용하기 어려우며 특히, 스프레이건 상부에 결합된 충전용기가 천장과 닿으면서 건분사구가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까지 도달하지 못하면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충전용기와 스프레이건을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어댑터를 구성하여,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충전용기의 간섭이 발생하는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와 같은 곳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중 충전용기를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용기 내의 우레탄폼이 모두 소진된 후, 미처 분사되지 못한 어댑터에 남은 우레탄폼을 모두 공기압으로 이동 분사되도록 하여 우레탄폼의 재구입 비용은 줄이면서 스프레이건의 재사용은 가능하게 한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Polyurethane foam spray gun with adapter}
본 발명은 발포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탄폼이 내장된 충전용기와 내장된 우레탄폼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스프레이건을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어댑터를 구성하여,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충전용기의 간섭이 발생하는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와 같은 곳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중 충전용기를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용기 내의 우레탄폼이 모두 소진된 후, 미처 분사되지 못한 어댑터에 남은 우레탄폼을 모두 공기압으로 이동 분사되도록 하여 우레탄폼의 재구입 비용은 줄이면서 스프레이건의 재사용은 가능하게 한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폼이란 액체 상태의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라는 두 화합물질을 섞은 후 발포제를 넣어서 만드는 화학물지로서, 주로 건축물에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 또는 소리를 흡수시키는 방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시공 시 또는 시공 후에 벌어진 틈새를 메우도록 충진하여 보수작업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우레탄폼은 현재 충전용기에 내장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그 우레탄폼을 분사하기 위해서 대체로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스프레이건(2')의 상부에 충전용기(1')의 분사구가 하방향에 위치하도록 끼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스프레이건의 상부에 끼워 결합된 충전용기는 우레탄폼 작업시 스프레이건의 건분사구를 가리게 되어 작업자의 시야 확보에 애로사항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작업 위치를 파악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스프레이건에 충전용기를 바로 결합시킴으로써, 그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손떨림 현상은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은 그 작업공간이 협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 공간에 충전용기의 결합으로 부피가 커진 스프레이건을 사용하기 어려우며 특히, 스프레이건 상부에 결합된 충전용기가 천장과 닿으면서 건분사구가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까지 도달하지 못하면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특허등록 제1151983호(명칭:스프레이 건)가 제공되었고, 상기 스프레이 건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히바여 폼이 분사되는 작업 위치가 작업자로부터 멀리 떨어지더라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길게 연장된 스프레이 건으로 충전용기를 끼움 위치를 조절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 건분사구가 도달하게 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레이 건은 연장부에 의해 길어지면서 건의 무게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작업시 손떨림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정교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고, 더욱이 스프레이건의 무게에 충전용기의 무게가 더해 지면서 과중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기존의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용기를 스프레이건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적정한 거리를 두도록 어댑터로 연결시켜, 작업시 충전용기의 간섭되지 않게 스프레이건과 연결하여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동시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또한 충전용기의 무게를 덜어서 작업자가 수월하게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거리를 두고 연결되는 충전용기를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시켜 이동 및 작업을 편하게 하고, 충전용기 내의 우레탄폼이 모두 소진된 후, 남은 우레탄폼을 모두 분사시켜 우레탄폼의 재구입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스프레이건이 잔여 우레탄폼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우레탄폼이 내장된 충전용기와 그 충전용기가 결합되어 내부 우레탄폼을 분사하도록 하는 스프레이건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기의 우레탄폼이 이동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유체이동호스가 구비되고, 스프레이건에 구비된 연결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체이동호스의 선단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이동호스와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제1커넥터와, 상기 유체이동호스의 말단에 마련되어 충전용기의 분사구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결합캡과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이동호스와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제2커넥터로 이루어진 어댑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내면을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용하고, 타측은 충전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용기와 어댑터로 연결된 스프레이건을 손으로 쥔 상태로 작업 가능하도록 한 착용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남은 우레탄폼을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면에 일방향으로 만 개방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제2커넥터의 연통구멍 및 중공된 호스의 내주연과 밀착하는 패킹이 마련된 헤드와, 그 헤드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밀대와, 헤드와 밀대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 공기가 진입하도록 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용기와 스프레이건을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어댑터로 연결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기존의 협소공간에 충전용기가 간섭되는 문제로 작업에 제한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용기와 스프레이건과 결합하는 어댑터를 나사식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어댑터를 탄성체를 이용한 간단한 끼움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결합 및 분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용기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작업시 충전용기가 늘어뜨려져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작업자가 충전용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서 작업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충전용기의 내의 우레탄폼이 모두 소진된 후, 압축공기의 소멸로 어댑터 내부에서 미처 분사되지 못한 우레탄폼을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대로 밀어올려 분사 가능하게 함으로써, 잔여량이 없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우레탄폼 재구입의 수요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스프레이건이 잔여 우레탄폼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작업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충전용기가 스프레이건에 직접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기와 스프레이건이 어댑터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충전용기를 발췌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충전용기와 스프레이건이 어댑터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충전용기를 발췌한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대에 충전용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착용대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가 어댑터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헤드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 밀대가 상승하여 체크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밀대가 하강하여 체크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밀대가 다시 상승하여 체크밸브가 폐쇄되어 우레탄폼을 공기압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체크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크게 우레탄폼(100)이 내장된 충전용기(1)와 우레탄폼(100)을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과, 충전용기(1)와 스프레이건(2)을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어댑터(3)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용기(1)는 캔으로 형성되고, 그 밀페된 내부에 우레탄폼(100)이 충전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누름동작을 통해 내부의 우레탄폼(100)이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구(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연의 상,하단부에는 충전용기를 제조시 말아서 접은 말림부(1b)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충전용기(1) 상부에는 분사구(1a)가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끼움 결합하는 결합캡(10)(11)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2)은 충전용기(1)에서 이동된 우레탄폼(100)이 레버(2a)의 조작으로 내부에서 개폐되는 밸브에 의해 이동 및 차단되고, 이렇게 이동된 우레탄폼(100)은 전방에 구비되는 건분사구를 통해 작업 위치에 충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프레이건(2) 상부에는 압축공기에 의해 이동된 우레탄폼(100)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연결구(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용기(1)와 스프레이건(2)은 이미 공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자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3)는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5와 같이, 충전용기(1)와 스프레이건(2)에 연결되어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우레탄폼(100)이 이동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유체이동호스(30)가 구비되고, 그 유체이동호스(30)의 선단에는 스프레이건(1)의 연결구(20)와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의 유체이동호스(30)와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구멍(34)이 형성된 제1커넥터(31)가 고정되고, 말단에는 충전용기(1)의 결합캡(10)(11)과 결합되고, 내부에 연통구멍(34)이 형성된 제2커넥터(32)(33)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중공의 유체이동호스(30)와 제1커넥터(31) 및 제2커넥트(32)(33)의 연통구멍(34)은 서로 연통되어 우레탄폼(100)이 압축공기에 의해 충전용기(1)에서 스프레이건(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31) 및 제2커넥터(32)(33)와 스프레이건(2)의 연결구(20) 및 충전용기(1)의 결합캡(10)(11)이 서로 결합 고정하는 나사체결식과 탄성결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먼저 나사체결식은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구(20)의 내주연에 제1암나사(20a)를 형성하고, 그와 체결하는 제1커넥터(31)의 외주연에는 제1수나사(31a)를 형성하며, 결합캡(10)의 외주연에는 제2수나사(10a)를 형성하고, 그와 체결하는 제2커넥터(32)의 내주연에는 제2암나사(32a)를 형성시켜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나사체결식은 스프레이건(2) 및 충전용기(1)와 어댑터(3)에 형성된 나사산의 갯 수에 따라서 좀더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서 나사 체결부위에 밀폐링(미도시)을 설치시켜 압축공기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탁월하다.
다음, 탄성결합식은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제2커넥터(33)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부(33b)를 형성시켜, 절개되지 않은 부분에 자체적으로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 복수의 탄성체(33a)를 구비하고, 그 탄성체(33a)의 내주연에는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결속돌기(33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돌기(33c)와 대응하는 위치의 결합캡(11) 외주연에는 결속홈(11a)을 형성시켜 결속돌기(33c)가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캡(11) 상부에 제2커넥터(33)를 올린 후 누르면, 자체탄성력이 있는 탄성체(33a)가 벌어져 하부로 이동하다 결속돌기(33c)가 결속홈(11a)과 만나면 탄성체(33a)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캡(11)과 끼움 결합되는 제2커넥터(33)는 작업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결합캡(11)에 끼움 결합된 제2커넥터(33)는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레이건(2)의 이동에 따라 유체이동호스(30)가 비틀어져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탄성결합식을 결합캡(11)과 제2커넥터(33)에만 구성하여 설명한 이유는 스프레이건(2)이 기성품으로서, 이미 연결구(20)의 형상이 나사 체결식으로 형성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연결구(20)와 제1커넥터(31)는 제1암,수나사(20a)(31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이를 개량하여 연결구(20)에 결속홈(11a)이 형성된 결합캡(11)을 고정 결합하고, 제1커넥터(31)를 탄성체(33a)가 형성된 제2커넥터(33)로 대체시켜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실용성을 따져 교체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충전용기(1)가 유체이동호스(30)에 매달려 작업에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용기(1)를 휴대한 상태로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충전용기(1)가 착탈 가능하도록 한 착용대(4)를 제공한다.
상기 착용대(4)는 충전용기(1)가 끼워 고정되는 충전용기끼움부(41)와 작업자의 신체를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3)이 구비된 신체착용부(42)로 구분된다.
상기 충전용기끼움부(41)의 일측을 충전용기(1)가 끼워져 외주연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하고, 그 곡면에 밀착된 충전용기(1)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체탄성력을 갖는 "C" 형상의 탄성고정편(41a)이 적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편(41a)의 상하 단부는 충전용기(1)의 중심에서 더 감쌀 수 있도록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탄성고정편(41a)이 충전용기(1)의 제조시 형성되는 말림부(1b)에 걸려지도록 하면 충전용기(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제어하여 더욱 견고한 장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신체착용부(42)는 충전용기끼움부(41)가 형성된 타측에 작업자의 팔 또는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신체착용부(42)에는 고정수단(43)이 연결되어 신체를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의 밴드홀(4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홀(42a)은 신체착용부(42)에 신체가 수용하도록 개방된 넓은 단부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43)은 양면에 각각 암수의 밸크로파스너(43b)가 구비된 밴드(43a)로 구성되고, 그 밴드(43a)의 일단은 신체착용부(43)에 형성된 어느 한 부분의 밴드홀(42a)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른 밴드홀(42a)을 통과한 후, 리턴되어 신체를 고정하도록 결속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5와 같이, 충전용기(1) 내부에 충전된 우레탄폼(100)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도 길이를 갖는 어댑터(3) 내부에 잔여 우레탄폼(100)이 남아 있고, 그러하기 때문에 스프레이건(2)이 우레탄폼()에 의해 경화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잔여 우레탄폼(100)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분사하도록 하는 밀대(5)가 구성된다.
상기 밀대(5)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제2커넥터(32)(33)의 연통구멍(34)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헤드(51)가 형성되어 연통구멍(34)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진과 후퇴 가능하게 하며, 헤드(51)와 밀대(5)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체이동호스(52)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공기이동통로(52)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헤드(51)의 상면으로 노출된 공기이동통로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53)(54)를 설치하며, 헤드(51)의 외주연에는 연통구멍(34)의 내주연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패킹(51a)이 패킹홈에 끼워 고정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51)의 상면에 설치된 체크밸브(53)는 공기이동통로(52)에서 벗어난 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한 쌍의 브래킷(53a)이 구비되고, 그 브래킷(53a)에는 회전축(53c)이 설치되는 축구멍이 형성되고, 그 한 쌍의 브래킷(53a)의 사이에 축구멍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일단이 개재되어 설치되는 커버(53b)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53b)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53c)이 축구멍과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53b)는 연통구멍(34)에 직상부에 위치하게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연통구멍(34)을 폐쇄하고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체크밸브(53)는 헤드(51)를 연통구멍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밀대(5)를 밀면 커버(53b)는 유체이동호스(30)와 연통구멍(34)의 내부에 채워진 우레탄폼(100) 그리고 내부의 압축된 공기에 의해 닫힌 상태로 전진하면서 우레탄폼(100)을 이동시키고, 헤드(51)가 전진할 수 있는 거리를 이동한 후 밀대(5)를 빼내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이동통로(52)를 통해 유입된 후, 공기이동통로(52)를 폐쇄했던 커버(53b)를 회전축(53c)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려 유체이동호스(30) 및 연통구멍(34)의 공간을 외부공기로 채우고, 다시 밀대(5)를 밀어 올리면 커버(53b)는 유입된 공기가 공기이동통로(52)로 다시 유입되어 커버(53b)를 밀어 공기이동통로(52)를 폐쇄하며, 이러한 동작은 커버(53b)의 자중 무게에 의한 복귀력이 더해져 신속하게 회전되게 함으로써, 헤드가(51) 전진하면서 발생하는 밀어내는 공기압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53b)가 외부공기가 유입으로 회전할 때, 수직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부 공기압이 커버(53b)를 밀어내면 더욱 개방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53b)의 수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브래킷(53a)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53d)가 구비되고, 그 스토퍼(53d)의 설치 각도(θ)는 커버(53b)가 회전하는 방향에서 90°보다 작은 각도에 형성되고, 바람직한 각도는 공기가 유입되는 량 및 커버의 신속한 폐쇄를 고려하여 70°내지 8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54)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꺾여진 일단이 헤드(51)에 고정된 연질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개폐커버(54a)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평면이 공기이동통로(52)를 항상 폐쇄된 상태를 이루다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꺾여지는 부분을 힌지로 회전되어 개방시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프레이건(2)과 충전용기(1)에 각각 구비된 연결구(20)와 결합캡(10)(11)에 어댑터(3)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커넥터(31) 및 제2커넥터(32)(33)를 나사체결식 또는 탄성결합식으로 고정 결합하고, 이때, 제2커넥터(32)(33)의 내부 상면은 충전용기(1)의 분사구(1a)를 눌러 내부의 우레탄폼(100)이 분출되어 스프레이건(2)의 밸브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후, 스프레이건(2)의 레버(2a)를 당기면 연동되어 밸브가 개방되면서 우레탄폼(100)이 외부로 분사가 되는 것이고, 우레탄폼(100)의 양이 조금 남았을 경우에는 연질의 유체이동호스(30)는 구부리기가 용이함으로써, 충전용기(1)를 들어올려 내부의 잔여 우레탄폼(1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모두 소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충전용기(1)를 착용대(4)에 장착하고, 그 착용대(4)를 작업자의 신체 특히, 스프레이건(2)을 잡는 팔에 착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렇게 착용대(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어댑터(3)에 매달린 충전용기(1)가 작업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을 마치면 어댑터(3)에서 충전용기(1)를 탈거하고, 그 어댑터(3) 내부로 밀대(5)의 헤드(51)를 밀어넣은 후, 펌프와 같이 전진과 후퇴의 반복하여 체크벨브(53)(54)의 개폐동작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미처 배출되지 못한 잔여 우레탄폼(100)을 이동시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충전용기: 1 결합캡: 10,11
제2수나사: 10a 결속홈: 11a
통공: 12 스프레이건: 2
레버: 2a 연결구: 20
제1암나사: 20a 어댑터: 3
유체이동호스: 30 제1커넥터: 31
제1수나사: 31a 제2커넥터: 32,33
제2암나사 : 32a 탄성체: 33a
절개부: 33b 결속돌기:33c
연통구멍: 34 착용대: 4
충전용기끼움부: 41 탄성고정편: 41a
신체착용부: 42 밴드홀: 42a
고정수단: 43 밴드: 43a
밸크로파스너: 43b 밀대: 5
헤드: 51 패킹: 51a
공기이동통로: 52 체크밸브: 53
브래킷: 53a 커버: 53b
회전축: 53c 스토퍼: 53d

Claims (9)

  1. 우레탄폼(100)이 내장된 충전용기(1)와 그 충전용기(1)가 결합되어 내부 우레탄폼(100)을 분사하도록 하는 스프레이건(2)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기(1)의 우레탄폼(100)이 이동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유체이동호스(30)가 구비되고, 스프레이건(2)에 구비된 연결구(20)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체이동호스(30)의 선단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이동호스(30)와 연통되는 연통구멍(34)이 형성된 제1커넥터(31)와, 상기 유체이동호스(30)의 말단에 마련되어 충전용기(1)의 분사구(1a)가 노출되도록 결합된 결합캡(10)(11)과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이동호스(30)와 연통되는 연통구멍(34)이 형성된 제2커넥터(32)(33)로 이루어진 어댑터(3)로 구성하되,
    상기 스프레이건(2)에 구비된 연결구(20)에는 내주연에 제1암나사(20a)가 형성되고, 그 연결구(20)와 체결되는 제1커넥터(31) 외주연에는 제1수나사(31a)가 형성되며, 제2커넥터(3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부(33b)를 형성시켜 자체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체(33a)를 구비하고, 그 내주연에 호형상으로 돌출된 결속돌기(33c)가 형성되며, 그 제2커넥터(33)의 결속돌기(33c)와 대응하는 결합캡(11)의 외주연에는 결속홈(11a)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33)를 눌러 결합캡(11)과 끼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건(2)에 구비된 연결구(20)에는 내주연에 제1암나사(20a)가 형성되고, 그 연결구(20)와 체결되는 제1커넥터(31) 외주연에는 제1수나사(31a)가 형성되며, 충전용기(1)와 결합된 결합캡(10)의 외주연에는 제2수나사(10a)가 형성되고, 그 결합캡(10)과 체결되는 제2커넥터(32)에는 제2암나사(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내면을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용하고, 타측은 충전용기(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용기(1)와 어댑터(3)로 연결된 스프레이건(2)을 손으로 쥔 상태로 작업 가능하도록 한 착용대(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대(4)는
    일측이 충전용기(1)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곡면에 밀착된 충전용기(1)를 자체탄성력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탄성고정편(41a)이 형성된 충전용기끼움부(41);
    타측에 작업자의 팔 또는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신체착용부(42); 및
    상기 신체착용부(42)에 구비되어 신체와 견고하게 착용대(4)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3)은
    신체착용부(42)에 형성된 복수의 밴드홀(42a) 중 어느 한 부분에 일단이 고정되고, 양면에는 암수의 밸크로파스너(43b)가 구비된 밴드(43a)가 구비되며, 상기 밴드(43a)의 타단은 다른 밴드홀(42a)에 리턴되어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파스너(43b)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의 내부에 남은 우레탄폼(100)을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면에 일방향으로 만 개방되는 체크밸브(53)(54)가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제2커넥터(32)(33)의 연통구멍(34) 및 중공된 호스의 내주연과 밀착하는 패킹(51a)이 마련된 헤드(51)와, 그 헤드(51)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밀대(5)와, 헤드(51a)와 밀대(51)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 공기가 진입하도록 하는 공기이동통로(52)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53)는
    헤드(51)의 상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고, 축구멍이 형성된 브래킷(53a);
    상기 한 쌍의 브래킷(53a) 사이에 일단이 개재되어 축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헤드(51)에 노출되는 공기이동통로(52)를 회전되어 개폐하도록 하는 커버(53b);
    상기 브래킷(53a)의 축구멍과 커버(53b)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커버(53b)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53c);
    상기 브래킷(53a)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제2커넥터(32)(33)의 연통구멍(34) 및 중공된 호스으로 헤드(51)가 진입하면 내부 공기압에 의해 커버(53b)가 닫아지고, 후퇴하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커버(53b)가 회전될 때, 그 커버(53b)가 수직상태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다시 헤드(51)가 진입할 때, 커버(53b)가 자중과 내부 공기압에 밀려 내려와 닫히도록 하는 스토퍼(53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54)는
    연질로 이루어지고, 형상이 "ㄱ" 자로 형성되어, 꺾여진 일단이 헤드(51)에 고정결합되고, 수평면은 헤드(51)에 노출된 공기이동통로(52)를 폐쇄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꺾임 부분을 힌지로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커버(54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KR20130103832A 2013-08-30 2013-08-30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KR10148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832A KR101488665B1 (ko) 2013-08-30 2013-08-30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832A KR101488665B1 (ko) 2013-08-30 2013-08-30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65B1 true KR101488665B1 (ko) 2015-02-04

Family

ID=5259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832A KR101488665B1 (ko) 2013-08-30 2013-08-30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5912A1 (de) * 2018-07-02 2020-01-02 Karlheinz Geb Schaumpistole
KR20200030270A (ko) * 2018-09-12 2020-03-20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20220129880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와이산업 이액형 폴리우레탄폼 용기
DE202018006790U1 (de) 2018-07-02 2022-12-19 Karlheinz Geb Schaumpist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283B1 (en) * 1993-12-02 1999-01-15 Monsanto Co Dispensing system
JP2003225594A (ja) 2002-02-04 2003-08-12 Daizo:Kk 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283B1 (en) * 1993-12-02 1999-01-15 Monsanto Co Dispensing system
JP2003225594A (ja) 2002-02-04 2003-08-12 Daizo:Kk 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5912A1 (de) * 2018-07-02 2020-01-02 Karlheinz Geb Schaumpistole
DE202018006790U1 (de) 2018-07-02 2022-12-19 Karlheinz Geb Schaumpistole
DE102018115912B4 (de) 2018-07-02 2022-12-29 Karlheinz Geb Schaumpistole
KR20200030270A (ko) * 2018-09-12 2020-03-20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102102602B1 (ko) 2018-09-12 2020-04-21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20220129880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와이산업 이액형 폴리우레탄폼 용기
KR102601745B1 (ko) 2021-03-17 2023-11-13 주식회사 케이와이산업 이액형 폴리우레탄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665B1 (ko) 어댑터가 구비된 우레탄폼 스프레이건
CN100464866C (zh) 具有截止阀的施放头
KR101378719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WO2012052449A2 (en) Handheld applicator suitable for gun valve containers
CN104941836A (zh) 压缩空气喷枪
KR101642306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EP2977333B1 (en) Dispensing adaptor for one-component polyurethane foam
CN109641234A (zh) 用于分配可喷射可发泡产品的系统
KR200448964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WO2008016013A1 (fr) Distributeur de seringue du type à gâchette
ITUB20150632A1 (it) Gruppo di miscelazione di due composti
KR101517029B1 (ko) 이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장치
RU182361U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насадка
KR20180094358A (ko) 이액형 분사장치
US20040099695A1 (en) Chargeable fluid dispensing kit
KR101497632B1 (ko) 포장이 용이하면서 물의 분사세기가 조절가능한 물총
US10138878B2 (en) Air compressor
CN204017219U (zh) 一种灭火器
AU2016348118B2 (en) Presser controlling device and manifold gauge set having same
CN106110547B (zh) 喷头及消防水枪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CN101418671A (zh) 泡沫在建筑物表面钻孔中的防尘应用及其所用的喷放器
KR200378249Y1 (ko) 캐비넷형 소화기
CN207413739U (zh) 发泡枪安装结构和发泡胶出胶设备和发泡枪
EP3758861B1 (en) High-pressure washers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