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582B1 -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582B1
KR101488582B1 KR20130011669A KR20130011669A KR101488582B1 KR 101488582 B1 KR101488582 B1 KR 101488582B1 KR 20130011669 A KR20130011669 A KR 20130011669A KR 20130011669 A KR20130011669 A KR 20130011669A KR 101488582 B1 KR101488582 B1 KR 10148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user
information
termi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009A (ko
Inventor
박종호
한지연
Original Assignee
박종호
한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한지연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13001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5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위임장을 생성하여 전자위임장을 통해 대리인의 신분으로 의료기관에 의료서류를 요청하고, 수신 된 의료서류 및 보험금 청구서를 유저가 계약되어 있는 해당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의료실비 청구를 요청하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저단말기로부터 유저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보험사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저를 대신하는 대리인을 위임하기 위한 전자위임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위임장을 상기 진료정보에 등록된 의료기관 단말기 및 상기 보험사정보에 등록된 보험사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진료정보를 증빙하는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세지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료서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와 의료서류를 기반으로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상기 보험사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자위임장을 생성하여 유저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대리인으로써 의료기관에 의료실비 청구에 필요한 서류들을 요청하고 전송 받은 서류들을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편리하게 의료실비를 청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ERVICE METHOD FOR BILLING OF ACTUAL MEDICAL EXPENS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위임장을 생성하여 전자위임장을 통해 대리인의 신분으로 의료실비를 청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인으로 의료기관에 의료서류를 요청하고, 수신 된 의료서류 및 보험금 청구서를 유저가 계약되어 있는 해당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의료실비 청구를 요청하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험사에 의료실비를 환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환자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증빙하기 위한 진료관련 서류를 발급받는다. 이에 발급 받은 서류는 보험사에 직접 찾아서 전달하거나, 우편 및 팩스를 통해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보험사로부터 전달받은 서류를 확인 후 의료비를 환급받는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은 유저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신청하며, 신청 후 발급 등의 복잡한 절차로 인해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의료서류 발급 후, 보험사로 전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바빠진 현대사회 고객들은 의료실비 청구를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 공개 특허 10-2011-0049107(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은, 고객 단말기, 의료기관 서버, 보험사 서버로 이루어진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보험청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의료 문서를 제공받기 위한 의료 기관 서버에 접속한 후, 내장된 모바일 인증서를 통해 개인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단계와 상기 의료 기관 서버에서 인증된 고객의 의료문서 리스트를 전송한 후, 전송문서와 보험사가 선택되고, 의료문서 전송이 요청되면, 전송할 의료문서에 전자서명을 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료문서를 다운로드해주는 의료문서 다운로드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의료문서를 상기 보험사 서버에 전송하는 의료문서 전송단계와 상기 보험사 서버에서 전송받은 의료문서를 수신한 후 그 결과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의료문서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행문헌은 청구인이 진료 후 다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원격에서 편리하게 보험청구에 필요한 문서들을 보험사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보험금 청구를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보험사를 방문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은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보험을 청구하는 시스템으로써, 모바일상에서 의료보험을 청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대리인이 아닌 유저 본인이 의료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의료문서를 수신하고 이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써, 1-step방식이 아닌 2-step 방식으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한, 개인인증을 위한 모바일 인증서를 구비해야 접속이 가능하며 모바일 인증서의 인식이 불가능한 의료기관에서는 의료문서의 수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9107, 공개일자 2011년 05월 12일, 출원번호 10-2009-0105964, 출원일자 2009년11월04일, 발명의 명칭 :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전자위임장을 생성하여 유저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대리인으로써 의료기관에 의료실비 청구에 필요한 서류들을 요청하고 전송 받은 서류들을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편리하게 의료실비를 청구할 수 있는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위임장을 전송하는 데 있어서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전자위임장의 URL을 암호화함으로써, 전자위임장의 관리 및 확인이 편리하고 전자위임장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점에 따른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은 유저단말기로부터 유저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보험사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저를 대신하는 대리인을 위임하기 위한 전자위임장을 생성하는 위임장 생성단계와 상기 전자위임장을 상기 진료정보에 등록된 의료기관 단말기 및 상기 보험사정보에 등록된 보험사단말기로 송신하는 위임장 송신단계와 상기 진료정보를 증빙하는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세지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료서류를 수신하는 의료서류 송수신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와 의료서류를 기반으로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상기 보험사단말기로 송신하는 청구서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위임장 생성단계는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서명수단을 통해 유저의 자필서명이 포함된 상기 전자위임장 및 도장 생성 동의서를 수신하여 상기 유저의 자필서명을 인식하는 서명인식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의 이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이름정보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장 생성단계와 상기 유저를 인증할 수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 수단을 통해 상기 생성된 도장 이미지에 대한 유저를 인증하는 유저인증단계와 상기 생성된 도장 이미지를 상기 유저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도장 등록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임장 송신단계 전,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코드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위임장에 부여하는 코드부여단계와 상기 전자위임장의 열람을 위한 URL을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구서 송신단계이후, 상기 보험사단말기로부터 상기 보험금 청구서 등록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위임장을 자동으로 폐기하는 위임장 폐기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은, 전자위임장을 생성하여 유저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대리인으로써 의료기관에 의료실비 청구에 필요한 서류들을 요청하고 전송 받은 서류들을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편리하게 의료실비를 청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위임장을 전송하는 데 있어서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전자위임장을 암호화함으로써, 전자위임장의 관리 및 확인이 편리하고 전자위임장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실비 서비스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임장 생성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서류 송수신단계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서 송신단계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실비 청구 시스템은 유저단말기(100),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 의료기관 단말기(300), 보험사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유저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유저정보는 유저의 개인정보, 의료기관 정보, 보험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이메일 등의 유저의 개인정보이며, 의료기관 정보는 유저가 진료 받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로써, 의료기관 이름, 진료분야, 진료과목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의료기관은 병원, 진료소, 조산소와 같이 의료를 제공하는 장소를 포함하며, 약국, 의약품 판매소와 같이 의료법에 의해 규정된 의료시설을 포함한다. 보험사정보는 유저가 계약되어 있는 보험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Laptop,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수 매가바이트 내지 수백 매가바이트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단말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 받는다. 유저정보를 수신 받은 후, 유저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위임장을 생성한다. 이처럼 생성된 전자위임장을 의료기관 단말기(300)와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한다. 또한, 의료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유저의 진료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의료서류를 수신한다. 또한,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한 전자위임장을 기반으로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하고 이를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의료기관 단말기(300)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시지를 수신 받는다. 이에 의료기관 단말기(300)는 전자위임장을 확인 후, 수신 받은 요청에 따라 유저의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의료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서류를 분별하여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 의료기관 단말기(300)는 병원, 의원, 진료소, 보건소, 조산원, 약국 및 의약품 판매소 등의 의료시설에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의료서류는 병원의 의료비뿐만 아니라 약국의 약제비 등 보험금 청구에 사용되는 모든 진료정보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포함한다.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의료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의료서류를 수신 받은 후, 수신 받은 의료서류를 유저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보험사단말기(400)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장치(200)로부터 보험금 청구서와 의료서류를 수신한다. 이에 보험사단말기(400)는 전자위임장을 확인 후, 보험금청구서를 단말기 내에 등록하여 심사의 과정을 갖게 된다.
통신망은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사용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장치(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장치(2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통신부(210), 도장 생성부(220), 유저인증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위임장 생성부(250), 코드부여부(260), 암호화부(270), 위임장관리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유저정보는 유저의 개인정보, 의료기관 정보, 보험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이메일 등의 유저의 개인정보이며, 의료기관 정보는 유저가 진료 받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로써, 의료기관 이름, 진료분야, 진료과목 등을 포함하며, 보험사정보는 유저가 계약되어 있는 보험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모듈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FID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뿐만 아니라, wi-fi, 네스팟 등 무선랜으로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 사용이 가능한 W-CDMA, 와이브로(Wibro), HSDPA, 와이맥스(Wimax), LTE(Long Term Evolution) 중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모듈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장 생성부(220)는 유저단말기로부터 유저의 이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름정보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생성부(220)는 한글/한자와 모양과 크기를 선택하여 입력된 이름에 대한 도장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도장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으며, 크기는 5, 10, 15와 같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장 미리보기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선택한 모양과 크기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장 이미지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한글/한자, 모양, 크기만으로 선택하는 것을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로 도장의 음각/양각, 도장의 색깔 등과 같이 도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인증부(23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유저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 수단을 통해 생성된 도장 이미지에 대한 유저를 인증한다. 여기서 유저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공인인증서, 모바일을 통한 개인인증 등 유저의 입증이 가능한 어느 하나의 수단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부(240)는 도장 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된 도장 이미지를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유저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서명수단을 통해 유저서명이 포함된 동의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동의서는 전자위임장 및 도장을 생성하기 전, 전자위임장 및 도장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유저의 동의를 구하는 전자문서이다. 동의서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를 통해 제공한다.
전자서명수단은 유저단말기(100)내의 입력수단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입력수단장치는 유저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입력수단장치로는 터치패널,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장치로는 터치패널(touch panel), 마우스(mouse)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유저 본인의 자필로 서명입력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볼(track ball), 디지타이저(digitizer)와 같이 자필서명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터치패널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를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도장 이미지, 유저의 자필서명 및 유저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임장 생성부(25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보험사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유저를 대신하는 대리인을 위임하기 위한 전자위임장을 생성한다. 여기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미리 다양한 전자위임장 포맷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에 유저는 저장된 다양한 전자위임장의 포맷을 선택하여 작성이 가능하다.
코드부여부(260)는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코드번호를 생성하여 전자위임장에 생성된 코드번호를 부여한다. 여기서 미리 기 설정된 기준은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 내에서 설정한 기준으로써, 각 전자위임장에 대한 코드번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코드번호를 생성하는 하나의 예로써, 코드번호가 2013-0123456789-1 와 같이 구성된 경우, 2013은 생성연도를 나타내고, 0123은 날짜를 나타내며 4567890은 각 유저에게 부여되는 고유의 숫자를 나타내게 된다. 마지막 1은 4567890로 부여된 유저가 전자위임장을 생성한 횟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성으로 생성된 코드번호를 통해, 코드번호에 따른 전자위임장을 효과적으로 정리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리소스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코드번호는 날짜, 유저고유숫자, 생성횟수로 한정하지 않으며, 순서를 바꿔 생성할 수 있으며 코드번호를 구성하는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생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코드번호를 생성함으로써, 유저단말기(100), 의료기관 단말기(300), 보험사단말기(400)는 코드번호만으로 서비스장치(200) 내에서 전자위임장의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을 통해 전자위임장에 대한 2차적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암호화부(270)는 상기 전자위암장의 열람을 위한 URL을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암호화한다.
여기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웹 문서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준을 말한다. 전자위임장은 PDF형식이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에 전자위임장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PDF형식이나 이미지 파일의 자체를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자위임장의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URL을 전송하게 된다. 이에 전자위임장의 URL을 보험사나 의료기관에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에 대한 효율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전자위임장의 URL을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자위임장의 불법 악용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RL 암호화 기능을 통해, 외부에 전자위임장의 링크를 제공할 때 URL의 자세한 위치를 숨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처럼 암호화된 URL을 통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전자위임장을 확인할 경우, 암호화된 URL을 복호화하는 암호화복호부(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암호화부(270)는 직접, 간접적으로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암호화부(270)는 전자위임장의 링크를 제공하는 URL을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으로써,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먼저 암호화 되지 않은 전자위임장을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해독 불가능한 전자위임장을 생성 및 전송한다. 이에 의료기관 단말기(300) 및 보험사단말기(400)는 수신된 암호화된 전자위임장을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해독 가능한 전자위임장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송신한 단말기와 수신한 단말기만이 전자위임장의 확인이 가능하다.
암호화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간접적으로 암호화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로써 전자위임장의 작성내용이 송수신과정에서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는 사실 증명을 통한 암호화 방법 등 암호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암호화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전자위임장을 진료정보에 등록된 의료기관 단말기(300) 및 보험사정보에 등록된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한다. 또한, 진료정보를 증빙하는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세지를 의료기관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의료기관 단말기(300)부터 전자위임장의 확인이 완료되면 의료서류를 수신하고 개인정보와 수신된 의료서류를 기반으로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위임장관리부(280)는 보험사단말기(400)로부터 보험금 청구서 등록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위임장을 자동으로 폐기한다. 이는 등록이 완료된 보험금 청구건에 대한 위임을 해지한다는 의미로써, 등록이 완료된 이후,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등록된 보험금 청구에 대한 대리인의 효과는 더 이상 남지 않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실비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위임장 생성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서류 송수신 단계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서 송신단계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 본 본 발명의 의료견적 시스템의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한다(S401). 여기서 유저정보는 유저의 개인정보, 의료기관 정보, 보험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이메일 등의 유저의 개인정보이며, 의료기관 정보는 유저가 진료 받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로써, 의료기관 이름, 진료분야, 진료과목 등을 포함하며, 보험사정보는 유저가 계약되어 있는 보험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단말기(100)로 동의서를 제공한다(S402). 여기서 동의서는 전자위임장 및 도장을 생성하기 전, 전자위임장 및 도장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유저의 동의를 구하는 전자문서이다. 동의서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되며 전자문서로 구성된다. 이에 동의서는 웹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유저단말기(100)는 제공 받은 동의서에 전자서명을 수행한다(S403). 동의서는 암호화된 웹페이지 형식으로 제공하여 유저는 어느 하나의 전자서명수단을 통해 자필로 전자서명이 가능하다. 전자서명수단은 유저단말기(100)내의 입력수단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전자서명수단은 입력수단장치로는 터치패널(touch panel), 마우스(mouse), 트랙볼(track ball), 디지타이저(digitizer)와 같이 자필서명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저는 입력수단장치를 통해 직접 자필로 전자서명이 가능하다. 전자서명 된 동의서는 유저의 신원을 확인하고 전자위임장 및 도장의 생성에 대한 승인을 나타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서명은 손으로 하는 수기서명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단말기로(100)부터 전자서명 된 동의서를 수신한다(S404).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단말기(100)로 자필서명 확인메세지를 송신한다(S405). 여기서 자필서명 확인메세지는 유저 본인이 직접 동의서를 수신하여 자필서명을 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메세지이다. 이를 위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앞서 입력된 유저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유저의 핸드폰 및 이메일 등 메세지 수신이 가능한 유저의 연락처로 자필서명 확인메세지를 송신한다. 유저의 핸드폰으로 자필사명 확인메세지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유저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유저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을 통해 통신사로부터 유저정보와 핸드폰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자필서명 확인메세지를 유저정보에 포함된 핸드폰번호로 송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저단말기는 송신된 자필서명 확인메시지를 수신하여, 본인의 자필서명 유무를 확인한다(S406).
유저 본인에 의해 자필서명이 되지 않은 경우, 유저단말기(100)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본인 불일치메세지를 송신한다(S407). 유저단말기(100)로부터 본인 불일치메세지를 수신하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 본인에 의해 자필로 동의서에 전자서명이 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앞서 수신된 동의서를 폐기한다(S408). 이는 유저 본인이 아닌 타인에 의해 전자위임장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기 위함이다. 또한, 동의서를 폐기함과 동시에 앞서 진행된 모든 과정은 취소되며 전자위임장을 생성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저 본인이 의해 자필서명이 된 경우, 유저단말기(100)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본인 일치메세지를 송신한다(S409).
다음으로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동의서에 포함된 전자서명을 인식한다(S410). 전자서명 인식을 통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전자위임장 및 도장생성에 대한 동의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유저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의 이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이름정보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생성한다(S411). 여기서 생성된 도장 이미지는 전자위임장 및 청구서에 날인하게 된다. 또한, 도장 이미지를 따로 생성하지 않고, 유저로부터 인감도장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이 가능하다.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수신된 유저의 인감도장을 전자위임장 및 청구서에 날인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저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 수단을 통해 상기 생성된 도장 이미지에 대한 유저를 인증한다(S412). 인증수단으로는 공인인증서, 모바일을 통한 개인인증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자위임장에 날인할 도장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유저인증을 함으로써, 본인인증을 통해 본인이 아닌 타인에 의해 도장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를 인증하는 단계를 통해 앞서 수행한 전자서명에 대하여 자필서명 된 유저를 인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저 자신에 의해 동의서에 전자서명 하였는지에 대한 2차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유저인증이 취소 될 경우, 앞서 생성한 도장 이미지 및 전자서명 된 동의서는 삭제되며 저장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생성된 도장 이미지를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유저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유저정보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등록한다(S413). 이처럼 등록된 이미지를 통해 유저는 전자위임장을 생성할 때마다 도장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지 않으며 보관함에 저장된 도장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저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위임장을 생성한다(S414). 전자위임장은 유저를 대신하는 대리인을 위임하기 위한 위임장으로써, 이를 통해 대리인의 효과를 갖게 된다.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생성된 전자위임장을 유저단말기(100)로 송신한다(S415).
다음으로 유저단말기(100)는 수신된 전자위임장을 확인하여 전자위임장에 대한 위임의 수락 여부를 선택한다(S416). 위임을 수락한 경우, 전자위임장 수락에 대한 위임장 수락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하게 된다(S419).
위임을 거절한 경우, 전자위임장 거절에 대한 위임장 거절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S417).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전자위임장을 재생성하게 된다(S418). 또한, 유저단말기(100)는 유저정보를 수정 및 추가하여 다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재전송함으로써, 전자위임장의 수정 및 추가를 통해 전자위임장을 재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생성한 전자위임장에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코드번호를 생성하여 부여한다(S420). 코드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전자위임장을 효과적으로 정리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 내에서 코드번호의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을 통해 전자위임장에 대한 2차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생성된 코드번호를 유저단말기(100)로 송신한다(S421). 다음으로 전자위암장의 열람을 위한 URL을 미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암호화한다(S422). URL 암호화 기능을 통해, 외부에 전자위임장의 링크를 제공할 때 URL의 자세한 위치를 숨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처럼 암호화된 URL을 통해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전자위임장을 확인할 경우, 암호화된 URL을 복호화하는 암호화복호부(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암호화는 전자위임장의 링크를 제공하는 URL을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코드번호가 부여된 전자위임장을 의료기관 단말기(300) 및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한다(S423).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서류 송수신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코드번호가 부여된 전자위임장을 의료기관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501).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진료정보를 증빙하는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세지를 의료기관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502).
다음으로 의료기관 단말기(300)는 전자위임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S503). 이는 암호화 된 전자위임장의 URL을 통해 전자위임장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 내의 코드번호 검색기능을 통해 2차적으로 전자위임장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자위임장 확인이 완료되면 의료서류 요청메세지에 포함되어 있는 유저정보를 분석하여, 진료서류를 분별하여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S506).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의료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의료서류를 유저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7).
만약 의료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위임장 확인이 완료되지 않으면, 의료기관 단말기(300)는 위임장 재요청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S504).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수신 받은 위임장 재요청메세지를 유저단말기(100)로 전달한다(S505). 여기서 위임장 재요청메세지는 재요청하는 사유와 더 추가하고자 하는 유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청구서 송신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코드번호가 포함된 전자위임장을 보험금단말기로 송신한다(S601).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유저정보와 의료서류를 기반으로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한다(S602). 이에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는 유저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03). 여기서 보험금 청구서는 각 보험금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게 된다. 하나의 예를 들어, A 보험금단말기에서 필요로 하는 보험금 청구서와 B 보험금단말기에서 필요로 하는 보험금 청구서가 다를 경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A 보험금단말기에 대한 보험금 청구서와 B 보험금단말기에 대한 보험금 청구서를 각각 분류하게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정확하며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유저단말기(100)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청구서를 확인한다(S604). 이에 청구서의 확인이 완료되면 청구서 확인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S607).
만약, 청구서 확인이 완료되지 않으면 청구서 재작성 요청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S605).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보험금 청구서를 재작성하게 된다(S606). 여기서 청구서 재작성 요청메세지는 재작성을 요청하는 사유와 추가하고자 하는 유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보험금 청구서와 의료서류를 보험금단말기로 전송한다(S608). 이에 의료서류는 각 보험금단말기에 필요로 하는 서류를 분류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예를 들어 A의 보험금단말기는 병원영수증, 초진차트를 필요로 하고, B의 보험사단말기는 초진차트, 입퇴원확인서, 진단서를 필요로 한다면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A, B 각 보험사단말기(400)에서 필요로 하는 서류를 분류하여 각각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에 각 보험사단말기(400)가 필요로 하는 서류를 미리 기 저장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즉, 각 보험사는 의료실비 보험금 청구에 요구하고자 하는 서류들이 다르기 때문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각 보험사가 요구하고자 하는 의료실비 청구 서류들을 미리 기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의료서류를 각 보험사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의료서류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보험금 단말기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를 등록한다(S609). 이에 보험금 단말기는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등록된 등록 정보를 송신한다(S610). 여기서 등록정보는 등록번호, 등록날짜, 접수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수신된 등록정보를 유저단말기(100)로 송신한다(S611).
다음으로 유저단말기(100)는 수신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등록정보 확인메세지를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송신한다(S612).
이에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자동으로 전자위임장를 폐기한다(S613). 이는 유저정보를 보호하고 전자위임장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등록이 완료된 보험금 청구에 대한 사건에 대한 위임을 해지한다는 의미로써, 등록이 완료된 이후,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는 등록된 보험금 청구에 대한 대리인의 효과는 더 이상 남지 않게 된다.
도 4의 실시 예는 전체 또는 그 일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416부터 S419 단계는 생략 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실시 예는 그 순서를 달리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420 단계는 S414 단계 수행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유저단말기 200 : 의료실비 서비스장치
210 : 통신부 220 : 도장 생성부
230 : 유저인증부 240 : 데이터베이스부
250 : 위임장 생성부 260 : 코드부여부
270 : 암호화부 280 : 위임장관리부
300 : 의료기관 단말기 400 : 보험사단말기

Claims (5)

  1.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보험사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를 수신하는 유저정보수신단계;
    싱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전자위임장 및 도장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유저의 동의를 구하기 위한 동의서를 상기 유저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동의서전송단계;
    상기 유저단말기(100)가 상기 수신된 동의서에 유저의 자필서명이 포함된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전자서명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전자서명된 동의서를 상기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동의서수신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동의서를 상기 유저 본인이 직접 자필서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메시지를 상기 유저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확인메시지전송단계;
    상기 유저단말기(100)가 상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서명을 본인이 자필서명하였는지 유무에 따라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로 본인 일치메시지를 전송하는 본인확인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본인 일치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동의서에 포함된 전자서명을 인식하는 전자서명 인식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유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위임장을 생성하는 전자위임장생성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200)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코드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위임장에 부여하는 코드부여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코드번호가 부여된 전자위임장을 상기 진료정보에 등록된 의료기관 단말기(300) 및 상기 보험사정보에 등록된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하는 위임장 송신단계;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300)가 상기 전자위임장에 부여된 코드번호를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200)내에 구비된 코드번호 검색기능에 입력하여 상기 전자위임장의 정보를 확인하는 위임장확인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진료정보를 증빙하는 의료서류를 요청하는 의료서류 요청메세지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300)로 송신하여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의료서류를 수신하는 의료서류 송수신단계; 및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개인정보와 의료서류를 기반으로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상기 보험사단말기(400)로 송신하는 청구서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실비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서명 인식단계 이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유저의 이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이름정보에 대한 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장 생성단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유저를 인증할 수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 수단을 통해 상기 생성된 도장 이미지에 대한 유저를 인증하는 유저인증단계; 및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생성된 도장 이미지를 상기 유저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도장 등록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실비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여단계 이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전자위임장의 열람을 위한 URL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실비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서 송신단계이후,
    상기 의료실비 서비스장치(200)가 상기 보험사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보험금 청구서 등록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위임장을 자동으로 폐기하는 위임장 폐기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의료실비 서비스 방법.
  5. 삭제
KR20130011669A 2013-02-01 2013-02-01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669A KR101488582B1 (ko) 2013-02-01 2013-02-01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669A KR101488582B1 (ko) 2013-02-01 2013-02-01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09A KR20140099009A (ko) 2014-08-11
KR101488582B1 true KR101488582B1 (ko) 2015-02-02

Family

ID=5174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1669A KR101488582B1 (ko) 2013-02-01 2013-02-01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67B1 (ko) * 2022-01-11 2022-12-15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환자 진료 후 특정 일시 및 상황에 따른 자동 실손의료보험 청구 방법 및 시스템
KR102545795B1 (ko) * 2022-01-14 2023-06-22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주소록 등록을 통한 실손의료보험 대리청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757B1 (ko) * 2016-04-26 2018-09-10 (주)프리원 보험금 청구 장치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101863882B1 (ko) 2017-01-13 2018-06-01 (주)맥스카드시스템즈 카드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보험금 간편 청구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8002B1 (ko) * 2020-09-14 2022-08-29 국립암센터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36459B1 (ko) * 2020-09-15 2023-05-26 주식회사 온빛 의료 제증명서류 발급 및 보험금 청구를 위한 서비스 대행 시스템
KR102515654B1 (ko) * 2021-09-13 2023-04-03 (주)크레소티 요양비 지급 청구 대행 시스템
KR102653660B1 (ko) * 2023-05-11 2024-04-01 양승권 비표준 보험설계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877A (ja) * 2002-06-21 2004-01-29 Hitachi Eng Co Ltd 電子印鑑システム
KR100464851B1 (ko) * 2001-12-22 2005-01-05 서정수 온라인 보험 청구 시스템
KR20070080423A (ko) * 2006-02-07 2007-08-10 주식회사 포씨게이트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082A (ko) *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위임장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51B1 (ko) * 2001-12-22 2005-01-05 서정수 온라인 보험 청구 시스템
JP2004029877A (ja) * 2002-06-21 2004-01-29 Hitachi Eng Co Ltd 電子印鑑システム
KR20070080423A (ko) * 2006-02-07 2007-08-10 주식회사 포씨게이트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082A (ko) *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위임장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67B1 (ko) * 2022-01-11 2022-12-15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환자 진료 후 특정 일시 및 상황에 따른 자동 실손의료보험 청구 방법 및 시스템
KR102545795B1 (ko) * 2022-01-14 2023-06-22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주소록 등록을 통한 실손의료보험 대리청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09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582B1 (ko) 의료실비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34383A1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9698992B2 (en) Method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with an analog-digital signature with additional verification
EP2767947A1 (e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using electronic contract
US201200895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prescriptions for controlled substances
CN107506635B (zh) 身份证网上功能开通方法、手机、可信终端和验证服务器
JP2014238642A (ja) 個人情報保護装置および個人情報保護システム並びに個人情報保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43185A1 (en) Tap and Go PHI System
KR101329003B1 (ko)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KR20200054552A (ko)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2324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CONFIRMATION
CN115378609A (zh) 电子证件展示方法、核验方法、终端及服务器
KR102274807B1 (ko)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처방전 관리용 클라우드 서버
EP3145117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shared digital signing of a document
KR102303043B1 (ko) 단일인증을 통한 다문서발급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US20220198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tatus with an event ticket
Arroyo Guardeño et al. Using smart cards for authenticating in public services: a comparative study
KR100713695B1 (ko) 픽셀암·복호화방식을 이용한 민원 서비스 제공방법
US202202008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 signed certificate
EP3356977A1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70080391A (ko) 건강보험 수진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180B1 (ko) 샵메일 기반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
JP2022092390A (ja) 認証装置および文書提供システム
KR20230023907A (ko)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3006478A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ー端末、ユーザー媒体、認証方法、被認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